최근 수정 시각 : 2025-08-16 00:45:33

1. 1자 한자어2. 접사
2.1. -전(), 문학2.2. 전()-, 이전 경력2.3. 전(), 모두
3. 한자4. 외국어5. 고유명사
5.1. 전씨(全/田/錢), 한국의 성씨
6. 영양성분7. 영어권 소개8. 기타

1. 1자 한자어

1.1. (), 한국 요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한국 요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한국 요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한국 요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 화폐 단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화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화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화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접사

2.1. -전(), 문학

특정 인물의 일대기나 이야기를 구성한 소설, 전래 구전 동화 등에 붙이는 이름. 너무나도 유명한 홍길동전, 심청전, 허생전 등 웬만한 한국 전래문학에 붙여지는 이름이다.

2.2. 전()-, 이전 경력

막연한 과거의 어느 때, 이전의 경력을 나타내는 말. 뒤쪽에는 직책이 붙는다.

일본에서는 이전의 경력을 나타낼 때 '前' 대신 '元(もと)'를 쓴다. 정확히 말하면 前은 무조건 바로 앞 사람에게만 쓰고, 바로 앞 사람임을 강조할 때만 쓰인다. 그보다 더 앞선 사람에게는 元을 쓰고, 굳이 바로 전 사람임을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元를 쓰는 경우도 많다. 자세한 설명은 문서를 참조할 것.

2.3. 전(), 모두

'전 국민'처럼 '모든'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전 세계'처럼 뒷말의 모든 것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3.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 중 '전'으로 읽는 글자는 아래 12자이다.
  • (전할 전)
  • (온전할 전)
  • (법 전)
  • (앞 전)
  • (펼 전)
  • (싸울 전)
  • (밭 전)
  • (돈 전)
  • (번개 전)
  • (오로지 전)
  • 殿 (큰 집 전)
  • (구를 전)

4. 외국어

4.1. 중국어

한어병음 zhen이 한글로 '전'이라 표기된다. 중국 상용한자 2500자 중 이에 해당하는 글자는 아래 11자이다. 한국 한자음으로는 주로 진(7자), 정(2자), 침(2자)에 대응된다.
<colbgcolor=#DDDDDD,#383B40> 1성(zhēn) () () ()
2성(zhén)
3성(zhěn) () ()
4성(zhèn) ()

5. 고유명사

5.1. 전씨(全/田/錢),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전(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영양성분

파전은 100g당 약 195kcal이며, 탄수화물 23.20g, 당류 0.52g, 지방 9.35g, 단백질 4.56g, 수분 61.9g, 식이섬유 4.10g, 회분 0.97g의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7. 영어권 소개

해외 언론에서는 흔히 ‘한국 팬케이크 (Korean pancake)’로 전을 소개하며, "빠르고, 조리가 간단하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저렴하다"고 평가했다.코리아넷 뉴스

8. 기타

건설현장에서 cm를 부르는 일본식 단위다. 1전은 1cm, 10전은 10cm. [1] 참고로 mm 단위는 ‘리’ 라고 부른다. ex) 25mm - 2전5리, 87mm - 8전7리


[1] 미터단위는 원이라 부르나 잘 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