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6 20:42:41

한글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0%;"
{{{#!folding [ 야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 어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여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뎌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셔 ||
[ 오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요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우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유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으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느 ||<width=14.3%> 드 ||<width=14.3%> 르 ||<width=14.3%> 므 ||<width=14.3%> 브 ||<width=14.3%> ||
[ 이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width=1000>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width=14.3%> ||
}}} ||
현대 한글의 모든 글자 · 틀:한글자모 ·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유니코드 U+C790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
두벌식
(QWERTY)
wk
세벌식 최종
(QWERTY)
lf
현행 로마자 표기법 ja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cha/ja

1. 2. 옛날에 성인이 되면 지어주었던 이름 字3. 십진수 秭4. 5. 성씨 慈6. 감탄사7. 도량형8. 한문의 어미(語尾)활용9. the와 -ther의 일본어 발음을 한국어로 표기한 것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옛날에 성인이 되면 지어주었던 이름 字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이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이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이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자문화권에서 본명 대신 사용하던 이름.

3. 십진수 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람 자. 자. 보통 '피의자', '전역자', '개발자', '소비자'처럼 접미사로 쓰인다. 일본어 훈독(뜻)은 모노(もの), 음독은 샤(しゃ).

5. 성씨 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감탄사

주로 남에게 뭔가를 권하거나 재촉할 때 쓰인다.
ex) “자 드가자~~!”, “자, 이제...” 등

7. 도량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단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단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단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길이 측정 도구 尺子

도량형 尺을 재는 도구 尺子에서 유래한 '길이를 재는 도구'.
영어로는 Ruler라고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도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도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도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한문의 어미(語尾)활용

공자, 맹자 등의 이름난 학자들의 이름이나 사자, 모자와 같이 실제 그 대상을 가리키는 이름은 맨 앞의 글자가 다 하지만 어미(語尾)로서 붙이는 것으로, 고립어한문의 거의 유일한 어미활용법[1]이다.

9. the와 -ther의 일본어 발음을 한국어로 표기한 것

일본어에 'ðə'에 상응하는 발음이 없기 때문에 The를 ザ(za)로 표기한다. brother, mother의 -ther 역시 같다. 그런데 한국어에는 일본어의 z발음이 없기 때문에 또 ㅈ(t͡ɕ)로 바꿔 표기한다. 유성치마찰음 ð가 유성치경마찰음 z를 거쳐 무성치경구개음 t͡ɕ 로 두차례 바뀌면서 원어의 발음과 차이가 나게 된 것.

한국에서는 'ðə'를 더(tʌ̹)로 표기하기 때문에 일본의 표기법을 보고 웃길 수 있다. 예시로 brother를 부라자로 읽거나, 더 월드를 자와루도로 읽거나 전설의 포켓몬자시안자마젠타 등. 셋 다 콩글리시로 읽으면 브라더, 더시안, 더마젠타가 된다.

일본어에서 ð를 z로 바꾸는 건 두 발음이 모두 유성마찰음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혀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닿느냐 윗니와 잇몸 사이에 닿느냐 차이일 뿐이다. 그런데 이게 한국어로 또 옮겨지는 과정에서 z가 아니라 ㅈ으로 받아들이는데 ㅈ발음은 무성파찰음으로서 ð 또는 z와는 차이가 크다. ㅈ는 잇몸 너머로 혓바닥을 올리고 유성음이 무성음으로 바뀌기 때문에 차이가 더 벌어져 일본이 the를 '자'라는 엉뚱한 발음으로 말하는 것처럼 우스운 오해가 생기는 것이다.

영어 th의 무성음인 θ는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s로 받아들이는데(サ행, ㅅ)[2], θ의 유성음이 ð이고 s의 유성음이 z인 것을 대조해보면 왜 일본이 th를 z로 옮기는지 직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단순히 한국어에 z발음이 없기 때문에 벌어지는 해프닝. 만약 현대 한국어에 반치음이 남아있었다면, 한국어 역시 the나 ther를 'ㅿㅓ'(zʌ̹)로 옮겼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1] 한문이라 특정짓는 것은, 한나라 이후의 중국어는 북방 민족들의 영향으로 교착어로서의 특성을 가지게 되어 다양한 어미활용법이 생겼지만, 한문은 한대 이후의 중국인들의 입말과 거리가 멀어진 글말로 옛 한나라의 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가까운 명나라 때만 해도 입말인 백화문과 글말인 한문의 차이는 크다.[2] 인명 smith의 th는 '스'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