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5:42:22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

표제어 규정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규정
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도움말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설정 · 소명 · 권리침해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운영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운영진 임명 회의 /진행 중인 회의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공지 목록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기능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계정 · 통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분류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 템플릿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나무위키:로고3.png
나무위키의 편집지침을 서술하는 문서입니다.

나무위키의 모든 문서는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편집지침은 개정 토론을 거쳐 개정할 수 있습니다.

1. 문서명의 구성2. 일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2.1. 표제어 기준2.2. 표제어 변경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2.4. 정식 번역어2.5.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3. 특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3.1. 프로젝트 문서3.2. 파일 문서
3.2.1. 파일명 통일
3.3. 리다이렉트 문서
4. 종속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4.1. 문서의 종속 여부4.2. 종속 문서 설정 근거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5.1.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5.2. 우선 노출 문서
5.2.1. 우선 노출 문서 후보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
6.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6.1. 인물·단체 문서
6.1.1. 동아시아 군주 문서6.1.2. 서양 왕족 문서
6.2. 국가 문서
6.2.1. 국가간 관계에 대한 문서
6.3. 학술 분야
6.3.1. 고생물 문서
6.4. 방언 문서6.5. 외국어 단어 문서6.6. 대한민국 선거 관련 문서6.7. 창작물 분야
6.7.1. 리듬 게임 음악 문서6.7.2.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관련 문서6.7.3. 궤적 시리즈 관련 문서6.7.4. 하스스톤 관련 문서6.7.5. VOCALOID 등 음성 합성 엔진 관련 문서6.7.6. 프리티 시리즈 관련 문서6.7.7. SCP 재단 관련 문서6.7.8. 포켓몬스터 시리즈 관련 문서6.7.9. 슈퍼전대 시리즈 관련 문서6.7.10. 메이플스토리 관련 문서6.7.11. 가면라이더 시리즈 관련 문서
6.8. 철도 분야
6.8.1. 동음이의어인 철도역6.8.2. 일본 철도 관련 문서
6.9. 스포츠 문서6.10. 전자기기 분야
6.10.1.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
6.11. 여러 해에 걸친 기간에 대한 년도 표기법6.12. 행정구역 관련 문서6.13. 자연 지명6.14. 사건 사고 문서6.15. 대한민국의 외교공관 문서

1. 문서명의 구성

  • '문서명'은 문서의 최상단에 표시되는 문서의 이름이며, 이름공간:표제어(구분자) 형태의 조합입니다.[조합예시]
문서명 이름공간 표제어 구분자
나무위키 문서(생략됨) 나무위키 없음
배(과일) 문서(생략됨) 과일
나무위키:통계 나무위키 통계 없음
틀:국가(노래) 국가 노래 }}}]
  • '표제어'는 서술 대상의 이름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2]
  • '구분자'는 서술 대상의 특성을 표시하는 식별자로, 표제어 뒤에 \'(XX)'와 같은 형태로 붙습니다.[3]
  • '이름공간'은 문서 종류 특성을 표시하는 식별자로, 표제어 앞에 \'XX:'와 같은 형태로 붙습니다.[4]

[조합예시] {{{#!wiki style="font-size: 0.8em[2] 종속의 의미로 슬래시(/)가 사용된 표제어는 '4. 종속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을 따릅니다.[3] 구분자는 동음이의어 문서의 식별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생략합니다. 표제어 자체에 포함된 괄호는 구분자로 보지 않습니다.[4] 문서명 중 \'이름공간:'은 \'밑줄'이 표시되며, 기본 이름공간인 \'문서:'는 생략됩니다.

2. 일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2.1. 표제어 기준

  • 아래의 기준을 순위대로[5] 적용합니다.
    1. 공신력이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 또는 정식 발매 명칭[6]
    2. 표준국어대사전 또는 관련 기관의 규정집에서, 동의어 정보만이 아닌 독립된 설명이 존재하는 명칭
    3. 1·2순위가 아닌 표제어
  • 아래의 기준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표제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상식적인 측면에서 문서 내용과 개념이 부합하지 않는 명칭
    • 오탈자가 있는 명칭
    • 정식 발매 명칭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의미나 독음이 크게 달라져 원제를 유추할 수 없는 번역 명칭
    • 공식적으로 개명이 이루어진 후, 공식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명칭
      • 개명 이전까지의 내용만을 이후의 내용과 별도의 문서로 작성할 경우, 개명 이전의 명칭을 표제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 정부나 표제어와 관련이 있는 유관 기관 등에서 기존 표제어를 대신하여 사용할 것을 단순히 제안, 권고, 권장만 한 표제어의 경우 이 기준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예]

[5] 1순위가 최상위 순위.[6] '정식 발매 명칭'이란 2.4. 문단에서 정하는 '정식 번역어'와 대한민국에서 상품으로 유통되었던 것의 등록된 상품명으로, 한국에서의 상품명을 말합니다. 내용물이 전혀 번역되지 않은 상태로 유통된 경우는 '정식 발매 명칭'으로 보지 않습니다.[예] 정부에서 일본군 위안부 대신 "일본군 '위안부'" 명칭을 사용해줄 것을 권장한 것, 안명옥 국립중앙의료원장이 폐경 대신 "완경"을 사용해줄 것을 제안한 것, 박근혜 정부에서 정부 명칭을 박근혜 정부 대신 "박근혜정부"를 사용해줄 것을 권고한 것 등.

2.2. 표제어 변경

  • 표제어는 기존 표제어와 신규 표제어로 구분됩니다.
    • '기존 표제어'란 3개월 이상 유지되거나 토론으로 합의된 표제어를 말합니다.
    • '신규 표제어'란 기존 표제어가 아닌 표제어를 말합니다.
  • 신규 표제어의 변경은 2.1. 문단에서 정하는 표제어 기준(이하 '표제어 기준')을 충족하면서, 동순위 표제어일 경우 2.3 문단에서 정하는 더 범용적·보편적인 명칭(이하 '보편적 명칭')일 경우 가능합니다.
  • 기존 표제어를 변경하려면, 신규 표제어가 표제어 기준상 사용할 수 없는 표제어가 아니어야 하며 추가로 다음 중 하나를 입증해야 합니다.
    • 기존 표제어가 표제어 기준상 사용할 수 없는 표제어에 해당함
    • 1·2순위에 해당하는 신규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보다 더 높은 순위의 표제어에 해당하면서, 기존 표제어보다 더 보편적 명칭임
      • 신규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보다 더 높은 순위의 표제어인지를 놓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양립되는 의견 모두 해석의 차이일 뿐 한 쪽 의견이 문제 있다고 보기 어려울 경우 표제어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 1·2순위에 해당하는 신규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보다 더 높은 순위의 표제어에 해당하면서, 신규 표제어에 기존 표제어가 포함되어 있음
    • 3순위에 해당하는 신규 표제어가 3순위에 해당하는 기존 표제어보다 더 보편적 명칭임
      • 이때,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기준은 1.5배가 아닌 10배를 적용합니다.
      • 단, 신규 표제어의 검색 결과 수가 1000건 미만일 경우 표제어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 기존 표제어가 스포일러 문제로 신규 표제어에 비해 표제어로서 문제가 있음을 입증할 경우
      • 이 경우 반드시 토론을 통해 문제 여부를 입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 표제어가 복수일 경우 표제어 기준을 통해 우선 순위를 결정합니다. 동순위 표제어가 복수일 경우 그 중 보편적 명칭을 우선합니다.
  • 문서명을 변경할 경우, 어느 문서로도 연결되지 않는 하이퍼링크와 리다이렉트(이하 '깨진 링크')[8]를 3시간 이내에 정상화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그 예입니다.
    • 역링크를 직접 수정[9]
    • 리다이렉트 생성
  • 1개월 이상 유지된 문서명을 변경할 경우, 다른 문서가 이전 문서명을 대체하지 않는다면 이전 문서명을 새로운 문서로의 리다이렉트로 최소 1개월간 유지시켜야 합니다.

참고: 문서 이동 후 리다이렉트 연결이 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이중 리다이렉트는 작동하지 않으며, 문서명 변경으로 인해 목표 문서로 바로 도달할 수 없게 된 리다이렉트는 직접 변경하여야 합니다.
참고: 역링크가 매우 많아 직접 수정하기 힘들다면, 나무위키:프로젝트/역링크 개선나무위키:사용 승인된 봇 계정 목록 등에 도움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도 깨진 링크는 리다이렉트를 생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3시간 이내에 정상화하여야 합니다.

[8] 다른 문서 내에서 빨갛게 보이는 하이퍼링크와, 목표 문서로 바로 도달할 수 없게 된 리다이렉트가 깨진 링크에 해당됩니다. 메타 문서로 연결되는 링크 등은 깨진 링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9] 가장 권장하는 방법입니다.

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 구글에서 큰따옴표로 검색어를 묶어 검색한 결과는 범용성·보편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구글 검색 결과를 제시할 때는 검색어, 검색 결과 수, 그리고 검색어 확인을 위한 검색 결과 링크를 제시해야 합니다.
  • 규정에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 검색 결과 수가 1.5배 이상 차이가 날 경우 더 높은 쪽을 더 범용적·보편적인 표제어로 취급합니다.
    • 이용자마다 같은 내용을 검색한 결과 수가 서로 다를 때, 검색 결과 수의 차이가 비교 수치에 미달하는 결과가 있다면 그것을 우선합니다.
    • 토론에서 제시된 검색 결과 수에 이의가 있을 경우 특정 중재 행위를 요청할 수 있으며, 특정 중재 행위를 위해 개입한 운영자는 제시된 검색 결과 수를 이하 요건을 바탕으로 본인의 검색 결과 수와 비교합니다.
      • 토론 참여자가 제시한 검색 결과 수 중 운영자의 검색 결과 수의 80%보다 적거나 120%보다 많은 결과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 인정된 검색 결과 수가 여러 개일 경우에는 위 항에 따라 비교 수치에 미달하는 결과를 우선합니다.
      • 제시된 모든 검색 결과 수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운영자의 검색 결과 수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 운영자의 검색 결과 수가 다른 모든 제시된 검색 결과 수보다 적거나 많은 경우, 운영자의 검색 결과 수와 가장 가까운 검색 결과 수와 운영자의 검색 결과 수의 80%~120% 범위 내의 검색 결과 수를 인정합니다.
  • 한쪽 비교 대상이 동음이의어·다의어일 경우 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의 한정어 추가 검색 방식을 사용할 수 있지만, 토론을 통해 검색 결과에서의 용례가 의도한 개념과 일치함과 동시에 유효한 검색어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2.4. 정식 번역어

  • '정식 번역어'는 작품과 작품에 등장하는 요소에 적용되며, 같은 원어에 대해 하나 이상의 역어가 존재할 시 기준이 됩니다.
  • 작품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정식으로 유통(이하 '정식 유통')되었다면 이때 쓰인 역어 중 하나를 정식 번역어로 정합니다.
  • 전작과 속편의 번역이 다르다면 최신작의 역어를, 구판과 신판의 번역이 다르다면 최신판의 역어를 따릅니다.
  • 한 작품 안에서 역어가 변경된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역어가 공존한다면 다음을 따릅니다.
    • 제작사 및 유통사에서 이용하는 공식적인 번역 정책이 있다면 이를 따릅니다. 단, 제작사 및 유통사에서 공식적으로 예외적인 번역을 적용한다고 했다면 예외적인 번역 적용 범위 내에서는 해당 역어를 따릅니다.
    • 공식적인 번역 정책이 없다면 공식 번역에서 사용한 횟수[10]가 더 많은 역어를 따릅니다.
  • 원작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믹스 작품이 한국에 들어올 때 아래와 같은 작업을 거쳐 현지화된 경우 표제어는 현지화된 정식 발매명을 우선하나, 해당 작품의 캐릭터명과 같은 작중 요소 이름의 경우 원작이 현지화되지 않고 한국에 정식 발매된 경우 원작의 표기를 우선합니다.
    • 화면상의 왜색을 없애는 작업
    • 원작이나 원작 기반 미디어 믹스 작품의 제목이 한국식으로 변경된 작업
  • 어떤 작품의 원작 또는 2차적 저작물[11][12] 중 하나 이상의 작품이 정식 유통되었다면 정식 번역어 기준은 아래의 우선순위를 따릅니다. 단, 서로 다른 매체 또는 복수 작품에서의 역어끼리 우선순위가 같다면 더 범용적·보편적인 역어를 우선합니다.
    1. 정식 유통된 원작
    2. 미디어 믹스[13] 형식으로 제작된 작품 중 정식 유통된 것
    3. 원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고 정식 유통된 2차적 저작물 중 2가 아닌 것
  • 정식 유통된 2차적 저작물에 등장하는 요소를 설명하는 문서가 원작 쪽 문서와 분리된 경우, 2차적 저작물에 쓰인 역어를 정식 번역어로 정합니다.
  • 공식적인 번역을 특정할 수 없다면[14] 문서가 작성된 시점의 표제어를 정식 번역어로 간주합니다. 단, 그 표제어가 공신력이 있는 번역자의 것이어야 하며, 토론을 거쳐 기존의 정식 번역어를 공신력이 더 높은 번역자의 역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 이상의 기준에 부합하는 역어가 없다면 가장 범용적·보편적인 역어를 정식 번역어로 정합니다.
  • 정식 번역어에 치명적인 오역이 있음을 토론에서 입증할 경우, 기존의 정식 번역어를 제외한 역어 중 이상의 기준에 가장 부합하는 것을 정식 번역어로 정합니다.

[10] 작품의 개수를 기준으로 합니다.[11] 원작과 2차적 저작물의 구분은 각각의 원어판을 기준으로 합니다.[12] 기존의 저작물을 다소 이용하였더라도 기존의 저작물과 실질적인 유사성이 없는 별개의 독립적인 신 저작물이 된 경우에는 2차적 저작물이 아닌 원작으로 간주합니다.[13] 미디어 믹스, 미디어 프랜차이즈, 원 소스 멀티 유즈를 총칭합니다.[14] 정식 유통된 작품이 없거나, 번역의 저작권이 소멸된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2.5.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 나무위키는 대중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기법을 우선하며,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을 원칙적으로 준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만을 토론의 근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국립국어원 등의 각종 단체에서 수행한 언어 순화 운동의 결과는 표제어 변경 혹은 관련 토론의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3. 특수 문서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3.1. 프로젝트 문서

  • 프로젝트 문서의 표제어는 나무위키:프로젝트/프로젝트명으로 통일합니다.

3.2. 파일 문서

  • 파일의 표제어를 파일명이라 합니다.
  • 파일명은 파일에 등장하는 대상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표제어로 정함을 권장합니다.

3.2.1. 파일명 통일

  • 특정 분야에 관한 파일은 다음 각 호에 따른 파일명을 우선합니다. 허구로 지어낸 대상의 경우에도 다음 규정을 따릅니다.
    • 인물
      • '인물의 활동명' + '파일의 특징'으로 구성되며, 활동명에 해당 인물의 애칭을 사용하지 않은 파일명
    • 상품
    • 상징
      • 국가[15] 및 행정구역[16]
        • 국가의 상징
          • 국기: '국가 이름' + '국기'로 구성된 파일명
          • 국장: '국가 이름' + '국장'으로 구성된 파일명
        • 행정구역의 상징
          • 깃발: '행정구역 이름' + '기'로 구성된 파일명
          • 문장: '행정구역 이름' + '문장'으로 구성된 파일명
        • 확장자는 .PNG 또는 .SVG로 하는 것을 우선합니다.
        • 국가 및 행정구역의 이름은 위키 내 생성된 문서의 표제어를 따르는 것을 우선합니다.
      • 로고아이콘
        • '대상 이름' + '로고 / 아이콘'으로 구성된 파일명
        • 로고와 아이콘이 동일한 경우 로고의 파일명을 우선합니다.

3.3. 리다이렉트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 문서
번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4. 종속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 '종속 문서'는 종속 관계를 표기하기 위해[17] 기존 문서의 문서명에 '/하위 문서 특성'을 붙여 문서명으로 삼은 문서입니다. 이 때 기존 문서는 새 문서의 '상위 문서'라고 하고, 새 문서는 기존 문서의 '하위 문서'라고 합니다.
    • 어떤 문서(A)의 하위 문서(B)의 하위 문서(C)도 원래 문서(A)의 하위 문서입니다. (C⊂B⊂A → C⊂A)
  • '독립 문서'는 종속 문서가 아닌 문서입니다.
  • 존재하지 않는 문서를 상위 문서로 할 수 없습니다.
  • 상위 문서들의 개수는 6개를 초과해서는 안됩니다.[18]
  • 종속 문서 형식의 표제어를 다른 종속 문서 형식의 표제어로 바꿀 때에는 2.2. 표제어 변경을 적용합니다.
    • 목록이나 예시를 위한 종속 문서[19]의 경우, 나무위키에서 많이 쓰는 하위 문서 특성을 참고합니다.
    • 종속 표기를 위해 사용하는 '/'는 적절한 관형사나 조사로 치환하여 취급할 수 있습니다.
      • 상위 문서를 그대로 둔 채로 하위 문서 특성만 바꾸는 경우에 한하여 '하위 문서 특성' 부분만이 1순위 표제어의 요건을 만족한다면, 그것을 포함하는 종속 문서 형태의 표제어를 1순위 표제어로 간주합니다.
  • 종속 문서를 독립 문서로, 혹은 독립 문서를 종속 문서로 바꿀 때에는 2.2. 표제어 변경적용하지 않고, 4.1. 문서의 종속 여부4.2. 종속 문서 설정 근거을 따릅니다.

[15] 분류:파일/국기분류:파일/국장에 분류된 파일[16] 주, 특별행정구, 속령 등[17] S/W 개발병처럼 서술 대상의 이름 자체에 슬래시가 포함되는 경우는 종속 관계를 표기한 것으로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S/W 개발병은 종속 문서가 아닌 독립 문서입니다.[18] 1/2/3/4/5/6(허용), 1/2/3/4/5/6/7(불가)[19] 목록, 예시, 여담, 비판, 사건 사고, 시간별 현황(/2023, /2023년 6월) 등

4.1. 문서의 종속 여부

  • 이하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토론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 문서가 개별 창작물(미디어 믹스 작품 포함), 실존·가상 인명 또는 지명, 사전적 단어에 대한 문서면 반드시 독립 문서이어야 합니다. 단, 메타 문서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어떤 창작물(A)의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파생된 창작물들을 다루는 메타 문서(B)가 존재할 경우 B는 A의 종속 문서여야 합니다.
    • 원작 문서(A)가 존재하는 미디어 믹스 애니메이션(B)의 경우 최초 문서 작성 시엔 원작 문서와 동명이거나[예시1]언어에 따른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원작 정발명과 같은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예시2] 단일 정보만 다루더라도 B는 A의 종속 문서여야 합니다. 이후 다른 방영 기수·매체 등의 정보가 추가되어 해당 문서가 메타 문서화될 경우, 여기서 분리되는 각 작품 문서는 종속 문서로 하지 않습니다.
    • 예외 사항의 경우, 규정 개정 토론을 통해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에 추가하여야 합니다.
  • 어떤 창작물(A)에 등장하는 요소(a)가 미디어 믹스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른 창작물(B, 등장 요소는 b)에 등장했을 때, b에 대한 문서가 작중 행적 등 A와 B가 공유하는 성질을 주로 다루는 경우 b를 a의 종속 문서로 합니다.
    • a와 b가 다루는 내용이 작품에서의 성질 등 A와 B에서 공유하는 내용이 아니거나 중대한 스포일러의 우려가 있을 때 b는 독립 문서로 합니다.
    • 이에 대해 편집 분쟁이 발생할 경우 토론을 통해 정합니다.
      • 이 때, b의 정식 명칭이 a와 다름에도 불구하고 혼동될 우려가 큰 경우 동음이의어 문서가 아니더라도 b에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붙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4.2. 종속 문서 설정 근거

  • 특정 문서(B)를 다른 문서(A)의 종속 문서로 하자는 쪽은 최소한 이하를 증명해야 합니다.
    • B가 A의 요소(성질, 목록[22], 역사[23], 평판[24] 등)의 나열을 중시함
  • 특정 문서(B)를 독립 문서로 하자는 쪽은 이하 중 최소한 하나를 증명해야 합니다.
    • B가 표제어의 정의, 성질, 목록, 역사, 평판을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것을 중시함[25]
    • B가 목록으로서 역할을 하는 A에서 나열되는 개별 요소 중 하나임[26]
    • 나무위키의 어떤 문서도 B를 종속하는 데에 적절하지 않음

[22] 창작물의 '/등장인물', '/목록'[23] 가상 인물의 '/작중 행적', 실존 인물의 '/사건사고', 게임의 '/업데이트 로그', 나라의 '/역사'[24] 인물 문서의 '/비판'[25] B에 종속된 문서의 서술도 포함[26] 실존 인물, 창작물의 가상 인물(NPC나 적도 포함), 각각의 창작물, 개별적인 개념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

  • '동음이의어 문서'는 동일 이름공간에서 같은 표제어를 가진 서로 다른 문서입니다.
    • 대소문자만 다른 영문 표제어들은 동음이의어 문서에 해당합니다.
  • 구분자는 동음이의어 문서의 구별을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 동음이의어 문서가 없는 문서는 구분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우선 노출 문서'는 구분자를 사용하지 않는 동음이의어 문서입니다. 동음이의어 문서 간 우선 노출 문서는 유일하게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27]
  • 구분자를 지정하는 조항은 우선 노출 문서로 선정되거나 동음이의어 문서가 없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5.1.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

  •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표제어 지침 내에서 편의상 '메타 문서'로 부릅니다.)는 자신의 표제어로 지칭할 수 있는, 문서의 링크나 개별 문서로 분리되지 않은 항목의 서술을 열거하는 목록 문서입니다.
  • 메타 문서는 하나의 동음이의어·다의어 당 1개만 생성할 수 있습니다.
    • 같은 개념을 서술하면서 외래어 표기 문제로 한글 표기가 다양한 동음이의어·다의어가 있을 경우, 메타 문서의 표제어는 6.5 외국어 단어 문서 지침의 한글 이름 기준을 따릅니다.
  • 메타 문서의 구분자는 '동음이의어'로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메타 문서에 인물 목록만 포함된 경우, 풀네임이 모두 같은 경우 '동명이인'을, 성씨만 같은 경우 '성씨'를, 그 외의 경우는 '인명'으로 합니다.
  • 메타 문서를 제외한 개별 동음이의어 문서는 문서 당 하나의 개념을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동일한 분야 내에서 동음이의어가 있고 아래의 조건 중 하나 이상 해당하면 예외적으로 개별 동음이의어 문서에 복수의 개념을 목차로 구별해 실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개념의 내용만으로는 토막글이 되는 분량의 동음이의어 개념을 수록하는 경우
    • 서로 다른 개념이 동음이의어가 된 명확한 이유가 있어서 복수 개념을 한 문서에 서술하는 것이 정보 전달에 용이할 경우

5.2. 우선 노출 문서

  • 메타 문서가 존재하지만 우선 노출 문서가 아닐 경우, 우선 노출 문서 상단에 문서 유도 틀을 삽입해 메타 문서를 안내해야 합니다.
  • 우선 노출 문서 상단에는 토막글인 동음이의어 문서를 안내할 수 없습니다.
  • 저명성을 근거로 문서를 우선 노출할 때에는, 검색 키워드와 검색량을 편집 요약에 기재할 것을 권장합니다.

5.2.1. 우선 노출 문서 후보

  • 동음이의어 문서[28]는 아래의 제한이 없을 경우 우선 노출 문서 후보(이하 '후보')가 됩니다.
  • 다른 동음이의어 문서에서 파생된 문서는 우선 노출 문서가 될 수 없고, 근원이 되는 문서를 후보로 정합니다.[29]
    • 근원이 되는 문서가 그 서술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토막글일 경우, 메타 문서에 수록합니다.
    • 단, 한글이 아닌 표제어의 경우, 일반명사에서 파생된 문서[30]는 해당 제한을 적용받지 않고, 고유명사[31]에서 파생된 문서만 적용받습니다.
  • 토막글 분량을 초과하는 후보가 적어도 하나 있을 경우, 토막글인 문서는 후보가 될 수 없습니다.

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규정도 참고하십시오.
  • 아래의 선정 기준으로 우선 노출 문서가 정해지지 않는다면, 메타 문서[32]를 우선 노출 문서로 정합니다.
  • 우선 노출 문서 후보의 사용 빈도가 다른 동음이의어 문서[33] 모두에 비해 월등히 높을 때, 이를 우선 노출 문서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우선 노출 문서로 정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입증 책임이 부여됩니다.
    • 구글에서 "동음이의어" "한글 한정어"를 검색어로 검색하여 결과량을 사용 빈도의 척도로 삼습니다. 우선 노출 문서로 삼으려는 분야의 동음이의어 검색어와 다른 분야의 동음이의어 각각의 검색어와 개별 비교해서 그 수치가 다른 모든 동음이의어 각각의 검색어 개별 수치보다 3배 이상 클 경우, 해당 동음이의어의 사용 빈도가 충분히 크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이때 개별 검색량이 100만 건 이상인 동음이의어는 다른 검색어와의 비교 수치를 2배로 합니다.
      • "동음이의어"는 표제어를 그대로 입력해야 합니다. 글자 추가 및 삭제 등 변형이 불가능합니다.
      • "한글 한정어"는 해당 동음이의어를 구분할 수 있는 특정한 개념이어야 합니다.[34]
      • 검색 결과[35]에서 의도하지 않은 동음이의어만을 주제로 하는 페이지가 10% 초과할 경우 해당 검색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다른 "한글 한정어"를 제시해야 합니다.
      • 유효한 검색어를 여러 개 제시할 수 있을 경우, 그 중 가장 높은 수치의 검색 결과를 검색어 수치로 인정합니다. 유효한 검색어를 제시할 수 없는 동음이의어는 검색량 비교 대상에서 배제할 수 있습니다.
    • 담당 중재자의 판단 또는 토론에 참여한 이용자들의 동의에 따라 검색 범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매크로로 작성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사이트의 포함/배제 등).
    • 토론을 통해 높은 사용 빈도를 근거로 우선 노출 문서가 된 문서는, 다른 후보 문서에게 사용 빈도가 따라잡히기 전까지 해당 근거로 인한 우선 노출 문서 자격이 유지됩니다.
  • 리다이렉트 문서를 우선 노출 문서로 선정하기 위해선 아래의 조건 중 하나가 추가적으로 충족되어야 합니다.
    • 공신력이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36] 또는 정식 발매 명칭
    • 리다이렉트 문서의 표제어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됨
    • 검색어 사용 빈도 비교에서 다른 동음이의어 검색어와의 비교 수치가 10배 이상임[37]

[27] A(B)와 A(C) 문서는 있지만 A는 없는 경우, ABC와 abc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는 허용되지 않습니다.[28] 동음이의어 메타 문서 내에 열거된 개별 항목도 같은 표제어로 개별 문서화가 가능하다면 동음이의어 문서로 간주합니다. 같은 표제어를 가질 수 있는 리다이렉트도 동음이의어 문서로 간주합니다.[29] 예시로 열매 카카오가 근원이 되는 문서고, 카카오(기업)은 파생된 문서입니다.[30] 예시로 일반명사 Apple(사과)에서 파생된 Apple(기업)이 있습니다.[31] 예시로 고유명사 Next Level(A$ton Wyld의 노래)에서 파생된 aespa의 리메이크곡 Next Level(aespa)이 있습니다.[32] 비 한글 표제어인 경우 한글 음차 표제어인 메타 문서로 향하는 리다이렉트 문서를 포함합니다.[33] 우선 노출 문서 후보가 아닌 동음이의어 문서도 토막글 분량을 초과할 경우 비교 대상에 포함해 이의제기할 수 있습니다. 단, 우선 노출 문서 후보에서 배제된 파생된 동음이의어 문서는 그 근원이 되는 문서의 비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34] 동음이의어가 존재하거나(예: 의원, 의사 등) 범위가 포괄적인 한정어도(예: 방송, 여행 등) 특정한 개념으로 압축할 수 있는 한정어가 될 수 있습니다.[35] 구글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유사 페이지를 생략한 검색 결과.[36] 이 때 명칭은 정식 명칭 뿐 아니라 축약어나 대체어를 포함합니다.[37] 예시로 블라디미르 푸틴의 1, 2순위 표제어에 해당하지 않은 푸틴이 블라디미르 푸틴의 리다이렉트 문서가 되기 위해선 러시아 대통령 '푸틴'에 대한 유효한 검색 결과("푸틴" "대통령" 등)가 기타 동음이의어 '푸틴'에 대한 유효한 검색 결과("푸틴" "음식" 등)보다 10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6. 특정 분야에 적용되는 표제어 지침

  • 본 문단의 지침이 다른 표제어 지침과 상충하는 경우 본 문단을 우선합니다.
    • 단, 구분자를 지정하는 조항의 해석은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의 구분자 지정 조항을 따릅니다.

6.1. 인물·단체 문서

  • 인물의 본명이 표제어일 경우, 한글 표제어를 우선합니다.
    • 단, 로마자 머리글자 부분과 특이한 표기 부분은 해당하지 않습니다.[38]
  • 귀화한 인물의 경우, 귀화한 인명의 범용성이 더 높을 경우에만 표제어 변경이 가능합니다.
    • 단, 대한민국 국적이 있던 인물이 2000년 이후 다른 국가로 귀화했을 경우, 귀화하기 전 대한민국 인명이 널리 알려져있을 경우 이를 우선합니다.
  • 해외 음악 아티스트는 공식적인 한글 표기가 존재할 경우 이를 우선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계정, 상품에서 밝혀진 경우로 한정하며, 기타 매체 보도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공식적인 한글 표기가 없는 해외 음악 아티스트는 보편적인 한글 표기와 원어 표기를 동순위 표제어로 간주합니다. 보편적인 한글 표기는 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기준에 따른 가장 범용적·보편적인 한글 표기를 의미합니다.
      • 단, "보편적인 한글 표기" +"한글 한정어"를 통한 구글 검색결과 수가 "원어 표기" +"한글 한정어"의 검색결과보다 높다는 것이 입증된 경우[39], 원어 표제어에서 한글 표제어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이용자가 상이한 결과를 도출하거나, 검색결과에 중대한 결점을 입증할 경우 유효한 이의로 간주합니다. 이 경우 합의 또는 중재를 통한 검색 명령어 추가로 검색 범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한글 표제어에서 원어 표제어로의 변경은 금지합니다.
  • 프로게이머 문서는 본명 표제어를 우선합니다.
  • 인터넷 방송인 문서는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인터넷 방송인'을 사용합니다. 단, 다른 방송 플랫폼에서의 등재기준을 만족하지 않고 유튜버 등재 기준만 만족한 인터넷 방송인일 경우, 구분자로 '유튜버'를 사용합니다.
  • 어떤 인물이 법원으로부터 금고 이상의 실형 유죄 판결이 확정된 경우에만 '범죄자'를 구분자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8] 로마자 머리글자 부분의 예시로 '조지 H. W. 부시', 특이한 표기 부분의 예시로 일론 머스크의 아들 ​'X Æ A-Xii 머스크'가 있습니다.[39] 예시로 "콜드플레이" +"밴드"의 구글 검색 결과 수가 "coldplay" +"밴드"보다 높을 경우.

6.1.1. 동아시아 군주 문서

  • 동아시아 군주에 대한 문서의 표제어는 아래의 예외를 제외하고 제호[40]로 정합니다. (예: 세종(조선), 가종(후 레), 광무제)
  •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국명\' 또는 '왕조명\'을 사용합니다.
  • 아래의 예외를 제외하고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동아시아 군주의 제호의 고유명사 부분은 현지음으로 표기합니다. (예: 쿠빌라이 칸, 진무 덴노, 자롱 황제)
    • 유교식 예법으로 지은 묘호·시호는 한국식 한자음으로 표기합니다.(예: 가종(후 레))
    • 현지음이 불분명할 경우 한국식 한자음으로 표기합니다.
  • 다음의 경우, 2.2. 문단에서 정하는 표제어 변경에 따라 표제어를 정합니다.
    • 제호가 없는 군주[42]
    • 정식 제호[43]가 여러 개인 군주
    • 추존 군주

[40] 묘호·시호 포함[41] 반란국 등[42] 본성명을 우선합니다.[43] 사시 등 비정식 제호 제외

6.1.2. 서양 왕족 문서

  • 이 규정에서 가리키는 '왕족'은 우랄산맥 이서, 캅카스산맥 또는 그 이북을 영토의 일부로 가진 현대 국가 및 역사상의 국가의 왕조에 속하는 인물 문서를 대상으로 합니다. 단, 이슬람을 국교로 하는 국가, 몽골 제국과 그 계승국 및 분류:마이크로네이션에 해당하는 국가의 인물은 제외합니다.
  • 성과 이름이 아닌 공식 작위명으로 표제어를 정합니다.
    • 단, Prince/Princess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잃은 왕족의 경우 퍼스트네임 + 성으로 표기합니다. (예: 루이즈 마운트배튼윈저) 경칭을 쓰지 않지만 작위를 쓰는 경우에는 작위명을 사용합니다.
    • 복수의 작위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가장 높은 작위를 표제어로 정합니다.
  • 국왕이나 (통치자로서의) 대공, 공, 공작은 영지명 없이 왕호로 적습니다. (예: 엘리자베스 2세)
  • 통치자가 아닌 대공, 공, 공작은 영지와 함께 작위명을 적습니다. (예: 웨일스 공 윌리엄,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 영지명과 작위명이 모두 겹칠 경우, 생년을 구분자로 표기합니다. (예: 웨일스의 샬럿 공녀(2015), 웨일스의 샬럿 공녀(1796))
  • 여왕이 아닌 여성 왕족이나, 부군의 경우 혼인 직전 작위명이나 이름으로 표제어를 정합니다.
    • 다만 구글 따옴표 검색어가 10배가 넘어가는 경우 혼후 작위명으로 표제어를 정합니다. (예: 카타리나 데 메디치(X) 카트린 드 메디시스(O))
  • 이미 고유 명사로 굳어진 경우, 제3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명칭에 한함) (예: 마리 앙투아네트)
    •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숫자를 한글로 표기한 경우 아라비아 숫자로 바꾸어 씁니다. (예: 엘리자베스 일세(X), 엘리자베스 1세(O))
    •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성 앞에 오는 관사를 성과 붙여 썼다면, 이를 띄어 쓸 수 있습니다. (예:Catherine de Médicis 카트린 드메디시스(O), 카트린 드 메디시스(O))
  • Prince/Princess의 경우 국왕의 자녀이거나 친손주일 경우 왕자/공주로 해석하고, 대공/공/공작의 자녀, 친손주일 경우 국왕의 친손주여도 공자/공녀로 해석합니다.
    • 단, 여왕의 부군의 작위가 대공/공/공작일 경우 적용되지 않습니다.
    • 스웨덴은 이 규정을 예외로 하고 국왕의 손주도 왕자/공주로 해석합니다.
    • 선제후나 방백의 자녀, 친손주일 경우 영지명 + 이름으로 표기합니다.
    • 영국의 프린세스 로열 작위를 보유한 인물은 프린세스 로열 작위만 표기합니다.
  • Infante/Infanta의 경우 고유명사 그대로 인판테/인판타로 해석합니다.
  • 이름은 영지명의 언어 발음대로 적습니다.
    •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족인 경우에는 독일어가 아닌 스페인어 발음으로 적습니다. (예: 오스트리아의 카테리나(X) 오스트리아의 카탈리나(O))
  • 드(de)는 '~의'로 해석하지 않고 발음을 살려 적습니다. (예: 메디시스의 카트린(X) 카트린 드 메디시스(O))

6.2. 국가 문서

  • 이 규정은 유엔 회원국 및 참관국, 대한민국이 승인한 국가에 적용됩니다.
  • 표제어 기준 중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한 명칭'은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 명칭으로 합니다. 단, 해당하는 명칭이 2개 이상일 경우 그중에서 구글 검색 결과에서 더 범용적·보편적인 명칭을 우선합니다.
    •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인지하는 공식 명칭[44]
    • 한국어로 작성된 조약 및 법령에 사용된 명칭
    • 국립국어원에서 결정한 표기법에 따른 명칭
  • 해당 국가의 공식적인 요청에 의해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명칭의 변경을 결정한 경우[45], 이전의 명칭을 표제어 기준 중 '공식적으로 개명이 이루어진 후, 공식적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명칭'으로 간주합니다.

6.2.1. 국가간 관계에 대한 문서

  • 2020년 1월 1일 이후에 생성된 국가간 관계를 서술한 문서의 표제어는 아래 규칙을 순서대로 적용합니다.
    1. 표제어는 기본적으로 '갑국-을국 관계'로 정합니다.
    2. 삼각관계에 해당하는 국가간 관계에 대한 문서의 표제어에 한해서는 '갑국-을국-병국 관계'로 정합니다.
    3. 구글 검색결과, 한국어로 된 양자조약·다자조약·법령, 제도권 언론, 학술 서적(논문 포함) 등에서 '갑국-을국 관계', '갑국-을국-병국 관계'보다 '갑을관계', '갑을병관계'라는 약칭이 더 보편적·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표제어를 '갑을관계', '갑을병관계'라고 정합니다.[46]
    4. 삼각관계에 해당하는 국가간 관계의 표제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갑을병관계'로 정하나, '갑을병'이라는 약칭이 더 보편적·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갑을병'이라고 정합니다.
    5. 두 또는 세 국가간의 순서는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사용하는 순서를 따르나, 외교부의 표현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한국어로 된 양자조약·다자조약·법령에서의 명칭을 따릅니다.
  • 기존 문서 또는 신규 생성 문서의 표제어를 변경할 경우 토론을 통해 결정합니다.
    • 단, 표제어 변경 지침에 따라 '갑국-을국 관계', '갑을관계', '갑국-을국-병국 관계', '갑을병관계', '갑을병'를 비롯해 토론 내에 제시된 국가간 관계를 뜻하는 명칭들의 보편성·범용성 차이가 거의 없거나, 한쪽 의견이 문제있다고 보기 어려울 경우 표제어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44] 이때 '외교부 홈페이지의 국가/지역 검색' 등을 참조합니다.[45] 이때 '외교공관의 명칭 변경' 등을 확인합니다.[46] 단, 약칭 사용시 다른 국가와 혼동이 없어야 합니다.

6.3. 학술 분야

  • 동일한 개념에 해당하고, 표제어 기준상 2순위 이내에 해당하는 한글로 된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한글 이외의 문자로 된 표제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47]

[47] 예를 들어, '아드레날린'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독립 표제어로 수록되어 표제어 기준상 2순위를 만족하므로, 그에 대응하는 원어 명칭 'adrenaline'을 표제어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6.3.1. 고생물 문서

  • 표제어 기준 중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한 명칭"은 대한민국 내부에서의 공식적인 일반 명칭으로 합니다.
    • 대한민국의 초중고 교과서에 언급된 명칭 (매머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제어로 올라간 명칭 (티라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등)
    • 위 조항들에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라틴어 표기를 기준으로 한 명칭
      • 대중 사이에 익숙하게 쓰이는 표기가 있더라도, 공식적인 것이 아닌 한 라틴어를 우선합니다. (풀모노스콜피우스 → 풀모노스코르피우스)

6.4. 방언 문서

  • 대한민국 방언의 경우 행정구역과 방언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에 방언 표제어에는 행정구역을 나타내는 도(道)를 붙이지 않습니다.
  • 대한민국 방언의 경우 사투리보다 방언이 넓은 의미를 담고 있기에 방언/사투리 관련 문서의 표제어는 방언으로 표기합니다.
  • 해외 방언은 보편적 명칭을 표제어로 합니다.

6.5. 외국어 단어 문서

  • 이 규정은 고유명사가 아닌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서술한 외국어 단어 표제어에 적용됩니다.
  • 표제어는 외국어 원어 표제어(이하 '원어 이름'), 원어 이름에 속하는 로마자 표제어(이하 '로마자 이름')와 외국어 단어를 음차한 한글 표제어(이하 '한글 이름')를 사용합니다.
  • 한글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표기를 우선합니다. 이외의 경우 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방식으로 검색 결과 수가 높은 쪽의 한글 이름을 우선하며, 낮은 쪽의 한글 이름을 리다이렉트로 합니다.
    • 낮은 쪽의 한글 이름이 고유명사 문서[48]와 충돌할 경우,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에 따라 사용 빈도가 다른 동음이의어보다 충분히 큰 고유명사가 있다면 해당 고유명사의 표제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없다면 고유명사에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추가해야 합니다.[49]
  • 외국어 단어 문서는 한글 이름을 우선하며, 다음의 경우 원어 이름을 우선합니다.
    •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제외한 문법 지식, 해외 문화적 배경 설명, 전문 분야에 대한 지식 등을 토막글 이상의 분량으로 심화하여 다루면서 주로 원어 이름으로 통용될 경우[50]
    • 한글 이름이 순우리말, 한자어 문서와 충돌하며, 한쪽 분량이 토막글 이상의 분량으로 심화하여 다뤄진 경우[51]
    • 범용적·보편적인 한글 이름이 없다는 것이 입증된 경우
  • 로마자 이름은 소문자 로마자를 사용하며, 고유명사로서의 내용이 더 많을 경우 첫 글자가 대문자이고 이하가 소문자인 표기를 사용합니다.
    • 문장으로 된 표제어를 대문자로 시작할 때에는 문장의 각 단어를 대문자로 시작하되, 문장 중간의 관사·접속사·전치사는 소문자로 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두문자어 내용이 더 많은 경우 모두 대문자인 표기를 사용합니다.
  • 한글 이름을 사용할 경우, 원어 이름은 문서 또는 문단 리다이렉트로 합니다.
    • 원어 이름 리다이렉트가 다른 고유명사 문서와 충돌시, 고유명사 문서 상단에 문서 유도 틀을 삽입해 한글 이름 문서를 안내하는 것으로 대체합니다.
    • 원어 이름 리다이렉트와 충돌한 고유명사 문서가 2개 이상이며, 5.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 관련 표제어 지침에 따라 한쪽의 사용 빈도가 다른 동음이의어보다 충분히 큰 경우가 입증되지 않는다면, 원어 이름을 한글 이름 문서의 리다이렉트로, 고유명사 문서를 '원어 이름(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정합니다.
  • 외국어 단어 문서는 이하의 경우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로 치환합니다.[52]
    • 해당 외국어 단어 외의 뜻이 있는 경우[53]
    • 복수의 외국어 단어가 같은 한글 이름을 공유하는 경우[54]
    • 실제 인명, 지명, 그 외 사전에 별도의 가지 번호로 등재되어 있는 단어

[48] 동음이의어·다의어 메타 문서는 고유명사 문서에 포함하지 않습니다.[49] 예를 들어 조조의 다른 한글 이름이지만 사용 빈도가 충분히 크다고 입증된 고유명사 문서 죠죠조조(동음이의어) 메타 문서의 리다이렉트로 하지 않으며, 동음이의어 구분자도 추가하지 않습니다.[50] 문법 지식 예시로 a(관사), the, 문화적 배경 예시로 Geek, OK, 전문 분야 지식 예시로 Null 등이 있습니다.[51] 충돌 예시로 (門) 과 moon이 있습니다.[52] 랙(컴퓨터)처럼 특정 의미 자질에 관해서 심화하여 다루는 문서는 적용하지 않습니다.[53] 예를 들어 '에그'는 egg의 한글 이름 외에, 한국어 감탄사인 안타깝거나 안쓰러운 일을 볼 때 내는 소리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동음이의어 문서로 합니다.[54] 예를 들어 그리드는 Greed와 Grid의 공통된 한글 이름이므로 동음이의어·다의어 문서로 합니다.

6.6. 대한민국 선거 관련 문서

  • 대통령 선거·부통령 선거·국회의원 선거·전국동시지방선거·국민투표의 명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의한 것을 따릅니다.
    • 예외적으로 1960년 3월 15일 실시된 정·부통령 선거는 3.15 부정선거를 표제어로 합니다.
  • 재보궐선거 문서의 표제어는 '선거 실시 년도+재보궐선거'로 합니다. (예: 2021년 재보궐선거)
  • 다른 날짜에 실시된 여러 선거를 묶어 하나의 문서로 작성하는 경우, 위의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통령 선거와 같은 날에 실시된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 문서에 함께 작성할 수 있습니다.

[55] 예: 2019년 보궐선거는 선거 실시 지역 중 재선거 지역이 없고 모두 보궐선거 지역이므로, '보궐선거'를 표제어로 합니다.

6.7. 창작물 분야

  • 만화·라이트 노벨·애니메이션·웹툰·웹소설·영화·드라마 문서는 같은 분야에서 표제어가 중복되는 문서가 있을 경우,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발매 연도를 사용합니다.
    • 작품 특성상 발매 연도 구분이 부적합할 경우 토론 합의를 통해 다른 기준의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원작과 동명이며 방영 기수(시즌) 구분도 명확한[56] 애니메이션·드라마가 개별 문서화될 경우 각각 '애니메이션 ○기'·'드라마 시즌 ○'[57]을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합니다.
  • 미디어 믹스 작품의 정식 발매 명칭이 원작과 동명은 아니나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할 경우, 원작의 동음이의어 문서로 간주하고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 언어에 따른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원작 정발명과 같은 단어로 이루어진 경우[58]
    • 애니메이션 제목이 원작 제목과 띄어쓰기만 다르거나[59] 부제를 의미하는 쌍점(:), 물결표(~), 또는 하이픈(-)이 추가되어[60] 원작 제목과 큰 차이가 없을 경우
  • 게임·만화·라이트 노벨·애니메이션·웹툰·웹소설·영화·드라마 작품의 최상위 문서는 본제와 부제를 모두 포함한 제목을 표제어로 합니다.
    • 권수 혹은 부에 따라 부제가 변경되는 작품은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제외한 제목을 표제어로 합니다.[61] ​단, 부제마다 별도 문서로 만들어진 경우 해당 부제 문서들은 각각의 부제를 표제어에 포함합니다.
    • 부제를 표기하는 방식은 표지를 기준으로 합니다.[62]
    • 한국 정식 발매 작품일 경우 정식 발매본 제목에 부제가 포함된 사례가 1개 이상 있어야 표제어에 부제 표기가 가능합니다. 표지, 판매처 제목란[63], ISBN 중 최소 한 곳에서 부제 표기가 이루어지면 조건에 해당합니다.
    • 부제와 별개로 본제 자체가 계속 바뀌는 작품의 시리즈 통합 문서의 경우, 제목에서 바뀌지 않는 핵심 부분과 시리즈를 합쳐 '○○ 시리즈' 형식으로 표제어를 설정합니다.[64] 단, 본제마다 시리즈 통합 문서와 별도 문서로 만들어진 경우 해당 문서들은 각각의 본제를 그대로 표제어로 설정합니다.[65]
      • 공식적으로 특정 시리즈를 부르는 명칭이 있다면 해당 명칭을 통합 문서의 표제어로 설정합니다. 단, 해당 공식 명칭이 시리즈 내 특정 작품과 동명이라면 본 하위조항이 아닌 상위조항을 적용합니다.
  • 창작물의 구성 요소가 단독 문서로 분리된다면, 해당 창작물 또는 창작물 시리즈 문서의 표제어를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사용합니다.
    • 단, 다음의 경우 구분자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 창작물의 공식 약칭이 있을 경우, 이를 구분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6]
      • 창작물의 공식 약칭이 없으며, 전각 문자 길이를 2, 반각 문자 및 띄어쓰기 길이를 1로 계산할 때 구분자의 길이가 40을 초과할 경우, 2.3. 범용성·보편성의 판단에 따른 범용적·보편적인 약칭을 구분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7]
      • 창작물의 부제를 생략해도 그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을 경우, 부제를 생략한 명칭을 구분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8]
    • 서로 표제어가 같고, 동일한 구분자를 공유할 수 있는 문서들은 해당 규정을 적용받지 않습니다.[69]
    • 다른 창작물과 이름 또는 약칭이 동일해 구분자가 충돌할 경우, 해당 구분자를 사용하기 위해선 5.2.2 우선 노출 문서 선정의 빈도 비교 방법을 통해 구분자의 상대적 사용 빈도 우위를 입증해야 하며, 이때 다른 창작물 검색어와의 비교 수치를 3배로 합니다.

[56] 'N', 'N기', 'Season N', 'Nth Season'과 같이 구분한 경우를 말합니다. 단, '진격의 거인 The Final Season'과 같이 기수(시즌)를 숫자로 구분하지 않고 특수한 변형을 가했을 경우는 해당하지 않습니다.[57] '드라마 시즌2'가 아닌 '드라마 시즌 2' 식으로 띄어쓰기를 적용합니다.[58] 예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마무스메 PRETTY DERBY' 등[59] 예시: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어서 오세요 실력 지상주의 교실에' 등[60] 예시: 명탐정 코난 범인 한자와 씨명탐정 코난: 범인 한자와 씨[61] 예: 재와 환상의 그림갈, 티어문 제국 이야기 ~단두대에서 시작하는 황녀님의 전생 역전 스토리~[62] 예: 제목이 판매처나 ISBN에선 '본제 : 부제'로 표기되는데 표지에선 '본제 ~부제~'로 표기될 경우 후자 방식으로 표기.[63] 본제와 별도 표기되더라도 해당.[64] 예: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청춘 돼지 시리즈[65] 예: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66] 예시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KOF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7] 예시로 길이 55인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메모리아 프레제~던메모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8] 예시로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무직전생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69] 규정을 적용 받지 않는 문서 예시로 세이버(4차), 세이버(5차), DIO(죠죠의 기묘한 모험 OVA) 등이 있습니다.

6.7.1. 리듬 게임 음악 문서

  • 리듬 게임 수록곡이란, 리듬 게임의 수록곡으로 처음 공개되고 수록된 오리지널 악곡을 말합니다.
  • 리듬 게임 수록곡은 해당 게임에 기재된 명칭(원어명)을 최우선 명칭으로 판단하여 작성합니다.
  • 라이센스곡이나, 이전에 공개된 적이 있는 악곡(앨범 수록곡 등)의 경우, 다음을 따릅니다.
    • 원곡을 단순 컷팅 정도가 아닌, 리듬게임 수록을 위해 커버 혹은 편곡된 경우는 원곡으로 간주하지 않으며[70], 해당 경우는 원곡의 표제어를 대표로 간주하지 않고, 대표한단 근거로 사용은 리듬게임 이외의 다른 근거가 필요합니다.
      • 단, 이는 대표 표제어 근거로 사용 만 제한하며, 이외 사항에서는 사용이 가능합니다.[71]
    • 이외 나머지 사항은 원래 공개된 명칭을 따르고, 이 지침 외의 다른 관련 지침이 있을 경우, 그것을 따릅니다.
    • 따라서, 리듬 게임에 수록될 때, 명칭이 바뀌었더라도[72] 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73]
  • 한국 정발판(또는 해외판)과 내수판이 서로 다를 경우, 내수판(원어명)을 기준으로 합니다.
    • 예를 들어, maimai 시리즈 (해외판은 일본어명을 영어로 음차) 등입니다.
  • 리듬 게임 수록곡의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수록된 리듬 게임이 속한 브랜드명'으로 합니다. ex) 비마니 시리즈의 수록곡: 곡명(BEMANI 시리즈)
    • 단, 특정한 브랜드명이 없이 같은 회사에서 나온 게임들에 공통으로 수록된 경우는 '회사명'으로 합니다. ex) Rayark사 게임의 수록곡: 곡명(Rayark)
    • 같은 시리즈/제작사/브랜드에 이름이 중복되는 곡의 경우 '수록된 리듬 게임'로 합니다.
    • 한 제작사의 리듬 게임에 수록된 곡이 이후 타 제작사의 리듬 게임에 수록되었을 경우, '원래 수록된 게임명, 제작사, 브랜드'로 합니다.(ex: FLOWER(BEMANI 시리즈)).
      • 단, 원 수록 작품이 상업 작품이 아닐 경우 (ex: Be-Music Script 수록곡) 작곡가 명칭을 우선합니다.
  • 일반 음악 문서에서 리듬 게임과 관련된 서술을 분리하여 하위 문서로 만들 시, '/리듬 게임 수록' 또는 '/(제작사, 브랜드 명, 플랫폼 종류) 수록' 또는 '/(제작사, 브랜드 명, 플랫폼 종류) 외 수록' 같은 방식으로 분리 할 수 있습니다.

[70] 한국 서비스에서 제목이 번역되는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커버곡과 엑스트라 곡 사례가 여기에 해당되는 대표적 사례입니다.[71] 예: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의 리다이렉트에서 "대상의 공식 명칭이 2개 이상인 경우, 공식 명칭들은 리다이렉트 수 제한에서 제외합니다." 적용시 공식 명칭 리다이렉트 갯수 제한 해제에서는 가능합니다.[72] Deemo 수록곡이 일본어를 영어로 음차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73] 예를 들어, 星空の花束 / Carnation은 이전에 일본어 명칭으로 발표된 적이 있었고, 이후 VOEZ에 수록되었으므로 원어(일본어)를, 君が残した世界で / Kimi ga Nokoshita Sekai de의 경우 Deemo에서 처음 발표되었고 영어로 수록되었으므로 영어로 문서 제목을 작성합니다.

6.7.2.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관련 문서

  • 일본명과 국제명이 혼용되어 명칭에 혼동을 일으키는 캐릭터들을 설명하는 문서들의 표제어는 다음과 같이 정합니다.

6.7.3. 궤적 시리즈 관련 문서

  • 시리즈 관련 문서의 표제어 전체 또는 일부분의 번역 명칭이 여러 가지가 있어 표제어 결정에 분쟁이 발생하면 서비스가 종료된 아루온 게임즈 판에서 사용된 번역어 명칭은 표제어 결정시 최하위 순위로 합니다. 예시로 "하늘의 궤적"/"천공의 궤적"(일본판 원어 "空の軌跡")으로 문서 표제어 충돌이 있는 경우, "천공의 궤적"이 아닌, "하늘의 궤적"으로 표제어를 정합니다.
  • 기존 작품과 주요 내용이 일치하고[74], 일본어 원어판에서 기존의 제목을 유지한 채로 추가적인 타이틀이 붙어서 발매된 작품을 설명하는 문서가 기존 작품을 설명하는 문서와 별도의 문서로 독립되어 있을 경우, 주요 내용이 일치하는 작품들끼리 일본 원작판 타이틀의 공통 부분이 동일하도록 표제어를 작성합니다. 예시로 궤적 Evolution 시리즈의 개별 타이틀을 설명하는 문서는 Evolution 이외 부분의 표제어는 기존 작품을 설명하는 문서의 표제어와 일치해야 합니다.
    • 문서명을 일치시키는 타이틀 간 표제어의 공통 부분의 번역 명칭이 여러 가지가 있어서 표제어 결정에 분쟁이 발생하면 공통 부분에 한하여 표제어 지침과 그 하위 조항을 준용합니다. 단, 상기한 문서 표제어 분쟁과 동일하게 서비스가 종료된 아루온 게임즈 판에서 사용된 번역어 명칭은 표제어 결정시 최하위 순위로 합니다.

[74] 주요 등장인물과 메인 스토리, 게임 진행 방식의 일치 여부로 판단합니다.

6.7.4. 하스스톤 관련 문서

  • 표제어는 카드 번역명을 따릅니다.
  •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하스스톤'을 사용합니다.

6.7.5. VOCALOID 등 음성 합성 엔진 관련 문서

  • 이하 규정의 'VOCALOID' 부분은 모든 음성 합성 엔진에 대해서도 준용합니다.
  • '음성 합성 엔진'이란 '인간의 육성 혹은 그와 비슷한 주파수의 합성으로 인간의 목소리를 닮은 인공음성을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75]
  • 라틴어 알파벳 언어권 이외의 외국어는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대한민국에 정식 발매된 번역 명칭이 존재하지 않을 때,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할 시 범용성을 우선으로 표제어를 정하되, 더 많은 조건을 충족한 번역어를 우선합니다. 단, 사이하테/마지막과 같이 흔히 쓰이는 한국어가 표제어 후보로 있는 경우 "사용된 VOCALOID + 표제어 후보"로 검색합니다.
  • 의미나 독음이 크게 달라져 원제를 유추할 수 없는 번역 명칭이 아닌 경우
  • 원작자의 의도를 해치지 않을 경우
  • 대한민국에서 정식 발매가 이루어져 한국어로 번역이 이루어진 상품의 경우 2.1. 문단에서 정하는 표제어 기준으로 가장 우선되는 명칭을 표제어로 합니다. 정발명 다수가 충돌하는 경우는 토론으로 표제어를 선정합니다.
  • 표제어에 원작자가 의도가 담겨 있을 경우 토론 합의를 통해 한글 번역 이외의 방법으로 작성이 가능하며, 이 경우 반드시 한국어로 된 리다이렉트를 1개 이상 생성해야 합니다.
  • VOCALOID 미디어 믹스 리듬 게임(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등)의 오리지널 곡을 제외한 리듬 게임의 오리지널 곡의 경우 리듬 게임 음악 관련 표제어 지침을 적용합니다. 단, 한국어 번역 명칭 사용이 필요함을 입증할 경우 해당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오리지널 곡의 경우 한국서버의 한국어 번역명이 존재할 경우 이를 정식 발매 명칭으로 간주합니다. 단, 문장형 일본어 원문을 단순 음차한 경우에는 타 번역어 사용의 필요성을 입증한 경우 대체할 수 있습니다.
  • VOCALOID 오리지널 곡을 원작으로 미디어 믹스된 경우 VOCALOID 오리지널 곡의 제목을 우선합니다.[76]
  • 동음이의어 구분이 필요할 때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VOCALOID 관련 문서와 별개의 동음이의어 문서가 있을 경우
음성 합성 엔진 (음성 합성 엔진)
가수 단일 음성 합성 엔진으로 발매[77] (VOCALOID)[78]
둘 이상의 음성 합성 엔진으로 발매[79] (음성 합성 라이브러리)
프로듀서 (프로듀서)
오리지널 곡 단일 음성 합성 엔진 사용 (VOCALOID 오리지널 곡)[80]
둘 이상의 음성 합성 엔진 사용[V1] (음성 합성 엔진 오리지널 곡)
사용된 음성 합성 엔진 불명[V2]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오리지널 곡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VOCALOID 관련 문서간에 동음이의어 문서일 경우
(모든 곡에 다음과 같이 적용)
오리지널 곡의 프로듀서가 한 명인 경우 (투고자)[83]
오리지널 곡의 프로듀서가 여러 명인 경우 단일 음성 합성 엔진 사용 (YYYY년 VOCALOID 오리지널 곡)[84][V3]
둘 이상의 음성 합성 엔진 사용[V1] (YYYY년 음성 합성 엔진 오리지널 곡)[V3]
사용된 음성 합성 엔진 불명[V2]

[75] 대표적으로 VOCALOID, 하츠네 미쿠 NT, Synthesizer V, UTAU, CeVIO, VOICEROID 등이 있습니다.[76] 미디어 믹스 관련 하위 문서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77] 하나의 음성 합성 엔진으로만 발매된 경우[78]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CeVIO를 사용한 경우, (CeVIO)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가수는 (NT)로 표기합니다.[79] 예를 들어 VOCALOID, VOICEROID, CeVIO 등 여러 개의 음성 합성 엔진으로 발매된 유즈키 유카리와 같은 경우[80]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UTAU를 사용한 경우, (UTAU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곡은 (NT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V1] 예를 들어, VOCALOID 하츠네 미쿠CeVIO 카후가 같이 사용된 경우[V2] 해당 오리지널 곡에서 사용된 음성 합성 엔진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경우[83] 투고한 프로듀서의 표제어명[84] VOCALOID가 아닌 타 음성 합성 엔진의 경우에는 구분자의 'VOCALOID' 자리에 그 음성 합성 엔진의 표제어를 삽입합니다. 예를 들어 UTAU를 사용한 경우, (YYYY년 UTAU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 단, 하츠네 미쿠 NT와 같이 크립톤 퓨처 미디어의 NT 엔진을 적용한 곡은 (YYYY년 NT 오리지널 곡)으로 표기합니다.[V3] '연도만으로 구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YYYY년 MM월 DD일'의 순으로 최초공개 시점을 더 자세하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곡 최초공개 시점의 기준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창작물을 따릅니다.[V1] [V3] [V2]

6.7.6. 프리티 시리즈 관련 문서

  • 프리티 시리즈와 관련된 문서의 표제어는 아래 규정에 따릅니다.
    • 프리티 시리즈의 작품(예시: 아케이드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기준을 순위대로[89] 적용합니다.
      1. 한국어판에서 사용되는 명칭
      2. 일본어판에서 사용되는 명칭의 한글 표기
      3. 1순위의 표제어를 표제어로 사용하면, 2순위의 표제어는 리다이렉트로 사용합니다.[예시_1]
      4. 아직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나오지 않은 작품은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을 사용합니다. 이때 단어의 본래 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를 사용합니다.
    • 프리티 시리즈의 등장인물의 경우에는 해당 등장인물의 이름 중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을 한글로 표기한 것을 표제어로 우선 사용합니다.[예시_2]
      • 다만,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이 일본어권이 아닌 언어권의 이름인 경우에는 본래 언어권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한 것을 표제어로 우선 사용합니다.[예시_3]
      • 다만, 본래 언어권의 이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경우[93]에는 일본어권의 가나 표기를 한글로 표기한 것을 표제어로 사용하되, 본래 언어권의 이름이 추후 공개되면 즉시 해당 언어권의 이름을 한글로 표기한 것을 표제어로 우선 사용합니다.
      • 다만, 등장인물에 대한 문서가 등재된 지 3개월이 지난 후이거나 바로 앞 조항을 적용한 지 3개월이 지난 후에, 신규 표제어가 기존 표제어보다 높은 범용성을 가진 것이 토론을 통해 입증된 경우, 신규 표제어를 대신 사용합니다.
    • 본 규정에서 한국어권이 아닌 언어권의 표현을 한글로 표기할 때의 기준은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입니다. 어떤 것이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인지 이견이 있는 경우에는 문서마다 토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예시_4][예시_5]

[89] 1순위가 최상위 순위[예시_1] 1순위인 한국어판 번안명에 따라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을 표제어로 하고, 그 일본어판 원제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는 2순위이므로 리다이렉트로 사용합니다.[예시_2]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 '春音あいら'를 한글로 표기한 하루네 아이라를 표제어로 사용하고,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이름 '아이라(SS애니멘트판)', '아라(동우A&E판)'는 표제어로 사용하지 않습니다.[예시_3] 'チェギョン'은 일본어권 이름이 아닌 한국어권의 이름이므로 '체굔'이 아닌 '채경'을 표제어로 사용합니다.[93] 본래 언어권의 이름을 분명하게 판단할 수 없거나, 여러 가지 이름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예시_4] 'キラッとプリ☆チャン'은 일본어권이므로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는 일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를 표제어로 사용하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 '기랏토 푸리☆찬'이 아닌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 '키랏토 프리☆챤'을 사용합니다.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에 이견이 있으면, 1순위인 한국어판에서 사용된 명칭이 나오기 전까지는 문서마다 토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예시_5] '小鳥遊おとは'는 일본어권이므로 일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를 표제어로 사용하되,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 '다카나시 오토하'가 아닌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 '타카나시 오토하'를 사용합니다.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에 이견이 있으면 문서마다 토론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이 일본어권이 아닌 언어권의 이름인 경우에도, 해당 언어권에 따른 한글 표기의 기준은 '대중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입니다.

6.7.7. SCP 재단 관련 문서

  • SCP-001의 제안 문서의 표제어는 'SCP-001/위키닷 표제어(~~의 제안)'의 형식으로 한다.
  • 외국 지부 SCP-001의 제안 문서의 표제어는 'SCP-001-(XX)/위키닷 표제어(~~의 제안)'의 형식으로 한다. 해당 문서의 상위 문서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예외적으로 표제어로 사용할 수 있다.

6.7.8. 포켓몬스터 시리즈 관련 문서

  • 본 규정에서의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외전작을 제외한, 메인 시리즈(통칭 '본가')만을 지칭하는 정의를 따릅니다.
  • 포켓몬스터 시리즈 게임의 표제어는 공식 정발명을 따르고, 정발되지 않은 버전의 경우 '한국닌텐도' 또는 '포켓몬코리아'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기준으로 합니다.
    • 단, 표제어 중 '포켓몬스터'의 이후에 통일적으로 띄어쓰기를 삽입합니다.(예: 포켓몬스터 소드·실드)
    • 표제어에 사용되는 가운뎃점은 '·(U+00B7)'을 사용합니다.

6.7.9. 슈퍼전대 시리즈 관련 문서

  • 슈퍼전대 시리즈 관련 문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 작품명과 등장인물을 포함한 모든 문서명은 국내에서 정식 방영된 명칭이 아닌 일본어판에서 사용된 이름을 한글로 표기한 것을 표제어로 우선 사용합니다.[예시]

6.7.10. 메이플스토리 관련 문서

  • 메이플스토리 관련 문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 모든 표제어는 행사나 패치 노트 내 표기보다 게임 내 표기를 우선적으로 사용합니다.

6.7.11. 가면라이더 시리즈 관련 문서

  • 가면라이더 시리즈 관련 문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릅니다.
    • 모든 작품 제목과 등장인물 등의 표제어는 원판의 일본어 원문(이하 '원문')을 한글로 음차한 내용을 따릅니다.
      • 음차한 표제어에 대한 편집 분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작품의 문서에서 토론과 합의를 통해 표제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정식 번역어는 만약 원문과 다를 경우 원문 문서로 리다이렉트를 걸며, 정식 번역어를 문서 내에 최소 1번 이상 언급합니다.

6.8. 철도 분야

  • 철도역 문서의 표제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 철도시설관리자의 역명 변경 고시가 있어야 합니다.
  • 신규 철도역 문서의 표제어는 철도시설관리자의 역명 확정 고시가 있기 전까지 노선 문서의 하위 문서로 하며, '/하위 문서 특성'을 숫자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역번호를 포함[97]해야 합니다.

[예시] 국내에서 수입된 '爆竜戦隊 アバレンジャー'는 폭룡전대 아바레인저가 문서명으로 한국에서 수입된 표제어인 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라는 명칭을 문서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97] 예시: 서울 경전철 서부선/101 정거장

6.8.1. 동음이의어인 철도역

  • 기본적으로 개별 철도역 문서는 반드시 분리되며 두 개 이상의 철도역 명칭이 동음이의어인 경우에는 개별 문서명에 가야역(가야선) 문서와 같이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합니다.
    • 복수의 간선 철도 노선이 접속하는 역을 구분하기 위해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철도역이 소재하는 도시명을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구포역(도시철도) 문서와 같이 해당 노선의 명칭을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사용합니다.
  • 일본에 있는 철도역이 동음이의어인 경우 소재 도도부현을 기준으로 하여 적되, 같은 지역에 존재할 경우 운영사를 나누어 적습니다.
    • 표제어가 중복되는 역들은 도도부현(都道府県)을 따져 표기합니다. 이 때 '도(都)', '부(府)', '현(県)'은 표기하지 않습니다.[98]
    • 만약 이 역들이 같은 도도부현에 속한다면 운영하는 철도 회사를 따져 표기합니다. 이 경우 철도 회사의 약칭을 사용합니다.[99]
    • 철도 회사가 같거나, 철도 회사가 다르더라도 비슷한 이름의 역이 많은 경우 시정촌을 따져 표기하며, 이 경우에는 반드시 행정 단위명까지 표기합니다.[100]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동음이의어 구분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98] 미도리가오카역(홋카이도), 미도리가오카역(도쿄), 미도리가오카역(효고)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99] 우지역(케이한), 우지역(JR)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100] 모토야마역(타카마츠시), 모토야마역(미토요시)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합니다(모토야마역 참고).[101] 우선순위는 번호가 작은 순부터입니다.[102] 덕천역, 만덕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103] 신평역, 초량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104] 부산진역, 범일역 등의 문서가 이에 해당합니다.

6.8.2. 일본 철도 관련 문서

  • (적용 대상) 일본의 철도역과 철도 노선 등 일본 철도 관련 문서의 표제어는 본 규정을 따릅니다.
  • (기본 표제어) 아래의 사항이 적용된 표제어를 '기본 표제어'로 합니다. '기본 표제어'는 본 규정의 '표제어의 변경' 조항을 근거로 하여 표제어를 변경하고자 할 때 기존 표제어로 간주합니다.
    • 일본어로 된 보통명사는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를 사용합니다. 단, 역명에 들어간 보통명사는 고유명사로 간주하며, 보통명사 중 ①貨物駅는 '화물역'으로, ②貨物ターミナル駅는 '화물터미널역'으로, ③空港는 '공항'으로, ④港는 こう로 읽는 경우에 한하여 '항'으로 표기합니다.[105]
    • 역명의 丁目, 条는 "초메(또는 쵸메), 조(또는 죠)"로 표기합니다. 또한 한자로 표기된 숫자는 한글로 음차하여 표기합니다.[106]
    • 가타카나로 적는 부분이 일본어의 영어 조어이거나 영어가 아닌 외국어를 일본어로 옮긴 경우 일본어 표기를 음차하여 표기합니다.[107]
    • 영어를 단순히 일본어로 옮긴 경우 영어 원어를 음차하여 표기합니다.[108]
    • 역명과 회사명의 로마자는 그대로 표기합니다.[109]
  • (표제어의 변경) 명백히 틀리지 않은 표제어[110]를 변경하려는 경우, 2.3. 문단에서 정하는 범용성·보편성의 판단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 적용하되 나머지 부분은 준용합니다.

  • 구글에서 큰따옴표로 검색어를 묶어 검색한 결과는 범용성·보편성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 결과 수가 1000건 이상이며 4배 이상 차이 나는 경우, 더 높은 쪽을 범용적·보편적인 표제어로 취급합니다.
    • 이용자마다 구글 검색 결과 수가 다를 때, 4배 이상 차이 나지 않는 결과가 하나 이상 있는 경우 그것을 우선합니다.||
    • 철도 회사의 한국어 역명 표기는 2.1.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정의한 명칭'에 해당하지 아니합니다.

[105] 예를 들어 上磯駅는 카미이소역, 中央本線은 츄오 본선, 北海道医療大学駅는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京都貨物駅는 교토 화물역, 新潟貨物ターミナル駅는 니가타 화물터미널역, 成田空港駅는 나리타 공항역, 大阪港駅는 오사카항역, 境港駅는 사카이미나토역으로 표기합니다.[106] 예를 들어 羽田空港第1ターミナル駅는 하네다 공항 제1터미널역, 西4丁目駅는 니시4쵸메역, 祇園四条駅는 기온시조역으로 표기합니다.[107] 예를 들어 ユーカリが丘駅(역명에 식물 학명 Eucalyptus의 일본식 분류명이 들어감)는 유카리가오카역, ハウステンボス駅(역명에 네덜란드어 Huis Ten Bosch가 들어감)는 하우스텐보스역으로 표기합니다.[108] 예를 들어 テレコムセンター駅는 텔레콤센터역, 東京ディズニーランド・ステーション은 도쿄 디즈니랜드 스테이션으로 표기합니다.[109] 예를 들어 YRP野比駅는 YRP노비역, JR東日本은 JR 히가시니혼으로 표기합니다.[110] 명백히 틀린 표제어는 한자를 잘못 읽은 경우,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표기인 경우('ま'를 '미'로 표기한 경우 등)를 의미합니다.

6.9. 스포츠 문서

  • 스포츠 경기의 표제어를 '참사, 쇼크, 기적'과 같이 특정 명칭으로 선정할 수 없습니다.
    • 해당 표제어로 리다이렉트 처리하려면 토론을 통해 합의를 해야 합니다. 이 때 경기 후 제도권 언론사에서 'OOO 참사', 'OOO 대첩' 등의 표현을 직접 사용[111]한 보도가 있어야 합니다.
    • 스포츠 관련 틀에서 특정 팀의 특정 경기로 리다이렉트되는 문서를 [[경기명|참사/쇼크/기적]] 형태로 서술할 수 없습니다.
  • 프로야구 또는 프로축구의 각 시즌 문서의 표제어는 스폰서명을 포함하여야 합니다.[112]
    • 스폰서가 확정되지 않았거나 알 수 없는 경우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스폰서가 확정되는 즉시 스폰서를 명시한 표제어로 변경하여야 합니다.
  • 프로야구 또는 프로축구의 단일 경기를 표제어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음의 기준을 따릅니다.
    • 프로축구 정규리그: (시즌 문서)/(라운드) (홈팀명) vs (원정팀명)[113]
    • 프로축구의 플레이오프나 토너먼트: (시즌 문서)/(라운드명)/(홈팀명) vs (원정팀명) n차전[필요시][115] or (시즌 문서)/(라운드명) n경기 n차전[116]
    • 프로야구 정규시즌: (시즌 문서)/(원정팀명) vs (홈팀명) 제n차전[117]
    • 포스트시즌: (포스트시즌 문서)/n차전[118]
    • 우천 등으로 경기가 일시중단되었다가 다른 날짜에 재개한 경우, 전반전 킥오프 또는 1회초 첫 타자 공격이 진행된 날짜를 표제어에 반영합니다.
  • 각국의 프로·아마추어 축구 구단 전체의 토너먼트 대회(코리아컵 등)의 문서 또한 시즌 문서에 준하여 본 규정을 적용합니다.[119]

6.10. 전자기기 분야

6.10.1. 조건부 작성 허용 공개 전 기기에 대한 지침

  • 문서 표제어는 정식 발매명으로 추정되는 명칭 중 2.3. 문단에서 정하는 표제어의 범용성·보편성의 판단 기준으로 판단하여 명명합니다.
    • 문서에서 다루는 기기의 정식 발매명이 기기의 정식 공개 이전에 발표되었다면 2.1. 문단에서 정하는 표제어 기준에 따라 별도의 토론 없이 표제어를 변경합니다.

6.11. 여러 해에 걸친 기간에 대한 년도 표기법

  • 여러 해에 걸친 기간에 대한 문서의 표제어에서 년도 표기법은 "XXXX-YYYY년"을 우선합니다.
    • 그 외 다른 방식의 년도 표기법은 넘겨주기로만 사용할 수 있으나 아래와 같은 경우엔 예외로 합니다.
      • 다른 방식의 표기법을 사용하자는 토론 합의가 나올 경우
      • 공식 명칭이 존재하는 경우[120]

[111] 기사 제목 또는 내용에 'OOO 참사', 'OOO 대첩'이라는 표현이 명확하게 드러나야 합니다.[112] 예: 2024 신한 SOL Bank KBO 리그, 하나은행 K리그1 2024[113] 예시: 하나은행 K리그1 2024/1라운드 대구 FC vs 김천 상무 FC 등[필요시] [115] 예시: 하나원큐 K리그 2022/승강 플레이오프/수원 vs 안양 2차전[116] UEFA 챔피언스 리그 2021-22/4강 2경기 2차전[117] 예시: 2024 신한 SOL Bank KBO 리그/SSG 랜더스 vs 두산 베어스 제1차전[118] 예시: 2024 신한 SOL Bank KBO 준플레이오프/1차전 등[119] 2024 하나은행 코리아컵 등.[120] 공식 명칭에서 "/"를 사용하여 년도를 구별할 경우 "/"를 "-"로 대체합니다.

6.12. 행정구역 관련 문서

  • 산, 강, 바다 등의 자연에 대한 지명은 본 규정의 적용 범위가 아닙니다.
  • 이 규정에서 말하는 행정구역명은 행정구역 수식어를 제외한 행정구역의 공식 명칭을 뜻합니다.
    • 행정구역명의 번역 또는 표기에 대해서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행정구역 문서에 대해 토론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외국의 행정구역명이 한자일 경우에 해당 행정구역에 적용되는 법률이나 규칙으로 규정된 공용어 중에 한국어가 있지 않는 한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표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이 규정에서 말하는 행정구역 수식어는 특별시, 도, 현 등과 같이 행정구역의 급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뜻합니다.
    • 행정구역 수식어의 번역 또는 표기에 대해서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가급적 원어 문서에서 토론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 대한민국, 북한, 일본, 중국, 대만의 행정구역은 행정구역명과 행정구역 수식어를 붙여서 씁니다.[예시1]
    • 동음이의 행정구역이 존재할 경우, 동음이의어 메타 문서를 우선 노출 문서로 정합니다.
    • 상위 행정구역이 있을 경우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직속 상위행정구역명을 원칙적으로 사용합니다.[예시2]
      • 동음이의어 문서는 있으나 그 중 행정구역이 없다면,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도시" 또는 "행정구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최상위 행정구역에 대해 동음이의 행정구역의 문서가 있을 경우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해당 행정구역이 소속된 국가명을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사용합니다.[예시4]
    • 행정구역 수식어가 3글자 이상이면서 대한민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행정구역 수식어일 경우 띄어 씁니다.[예시5]
    • 상기 조항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표제어가 만들어질 시 원칙적으로 해당 행정구역의 국가를 포함한 상위행정구역명을 동일하지 않을 때까지 순차적으로 동음이의어 구분자에 추가하여 사용합니다.[예시6]
      • 국가를 포함하여 동일한 급의 상위 행정구역 만으로도 구분할 수 있는 경우 나머지를 생략하고 이를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사용할 수 있다.[예시7]
  • 상기 이외의 국가의 행정구역에 대하여 동음이의어 문서가 없을 경우, 행정구역명 단독 표기를 허용합니다.[예시9]
    • 동음이의어 문서가 발생할 경우 행정구역 수식어를 붙여쓰기 합니다.[예시10]
      • 행정구역명을 원어로 포함하는 명칭이 고유명사화된 경우에는 해당 명칭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예시11]
      • 2글자 이상의 행정구역 수식어의 경우 대한민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행정구역 수식어라면 띄어 씁니다.[예시12]
        • 단, 행정구역 수식어 "시티"의 경우 붙여 씁니다.
      • 동음이의어 문서는 있으나 그 중 행정구역이 없다면, 행정구역명을 단독표기하고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도시" 또는 "행정구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상기 조항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표제어가 만들어질 시 국가를 포함하여 상위 행정구역을 동일하지 않을때까지 순차적으로 동음이의어 구분자에 추가하여 사용합니다.[예시13]
      • 국가를 포함하여 동일한 급의 상위 행정구역 만으로도 구분할 수 있는 경우 이를 동음이의어 구분자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시14]
    • 행정구역 수식어를 제외했을 때 동음이의 행정구역이 있을 경우, 구분자와 수식어를 제외한 명칭을 표제어로 한 동음이의어 메타 문서를 작성하여 각각의 행정구역 문서로 유도합니다.[예시15]
  • 상기 규정 중 예외 조항이 적용된 문서는 예외가 더 이상 인정되지 않게 되면 즉시 표제어를 변경하여야 합니다.
  • 위의 사항에 해당하지 않지만 범용성이 인정되는 명칭, 위에서의 인정 표기, 행정구역 수식어를 붙이거나 생략한 표기를 리다이렉트 문서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예시16]
  • 단일 행정구역이 선거구로 구성되어 행정구역 명과 명칭이 일치하는 선거구의 경우 행정구역 명을 표제어로 사용할 수 없으며 동음이의어 구분자 "선거구"를 이용하여 행정구역명과 구분하여야 합니다.[예시17]
  • 위 규정의 각 항에 부착된 [예시*] 형식의 각주는 참고사항이며, 구속력을 갖지 않습니다.

[121] 대한민국 정부(중앙정부)나 해당 행정구역을 관할하는 정부의 한글로 된 자료에서 사용하는 한글 명칭이 1순위 표제어에 해당되며, 국제 기구 등 기타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정의한 한글 명칭도 1순위 표제어에 해당됩니다.[예시1] 서울특별시[예시2] 강서구(서울특별시)[예시4] 강원도(대한민국) | 강원도(북한)[예시5] 신장 위구르 자치구[예시6] 철원군(대한민국 강원도) | 철원군(북한 강원도)[예시7] 철원군(대한민국) | 철원군(북한)[예시9] 펜실베이니아[예시10] 뉴욕주[예시11] 워싱턴 D.C.[예시12] 워싱턴 카운티[예시13]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워싱턴 카운티) | 워싱턴 타운십(아이오와 워싱턴 카운티)[예시14]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 워싱턴 타운십(아이오와)[예시15] 뉴욕[예시16] 서울시 -> 서울특별시,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워싱턴 카운티) -> 워싱턴 타운십(인디애나), 미시시피주 -> 미시시피, 도쿄 -> 도쿄도[예시17] 오산시(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6.13. 자연 지명

  • 국명과 행정구역명에 관련한 지명은 이 지침의 해당 사항이 아닙니다.
  • 해당 분야에서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이란 다음을 가리킵니다.
    1. 대한민국의 법률명, 법률 조문 또는 조약에서 사용하는 명칭
      • 조약은 한국어본이 조약의 정본이 아닌 경우 판단 순위에서 제외합니다.
    2. 해당 지명을 관할하는 정부의 자료가 가리키는 한글 명칭
      • 단, 해당 지역이 대한민국과 타국의 외교적 분쟁지역이거나 대한민국 정부의 행정력이 미칠 경우 판단 순위에서 제외합니다. 단, 북한의 경우 자연물의 전부가 북한의 영역에 속해 있는 지형지물에 대해서는 예외로 합니다.
    3. 대한민국 정부가 사용하는 명칭
      • 대한민국 지명의 경우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또는 그 산하기관(국토지리정보원 등)에서 사용하는 명칭이 우선하며, 판단되지 않을 경우 다른 국가행정조직이 사용하는 명칭으로 판단합니다.
      • 외국 지명의 경우 외교부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판별되지 않을 경우 다른 국가행정조직이 사용하는 명칭으로 판단합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만 사용되는 명칭은 제외합니다.
      • 단, 개인적으로 제기한 일반 민원이나 보도자료의 인용문, Q&A 등은 제외합니다.
    4. 국제기구 공식 문서의 한글 명칭
  • 해당 분야의 표제어 기준 2순위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이나 용례집을 근거한 것이 아닌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명칭 중 독립된 설명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정합니다.
  • 자연 지명에서 지형지물의 유형을 나타내는 수식어는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 지형지물의 유형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포함시킬 경우, 다음의 원칙에 따릅니다.
      • '-강(江)', '-고원(高原)', '-곶', '-도(島)', '-만(灣)', '-반도(半島)', '-산(山)', '-산맥(山脈)', '-섬', '-초(礁)', '-천(川)', '-평야(平野)', '-하(河)', '-해(海)', '-호(湖)'는 지명에 붙여 적습니다.
      • 그 외의 수식어[137]에 대한 띄어쓰기 여부는 자연 지명 규정에 따른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명칭, 그 외의 순위에 따른 명칭을 준용합니다.
    • 외래어 지명의 수식어를 원어로 표기할 것인지의 여부[138]는 자연 지명 규정에 따른 공신력 있는 기관이 정의한 명칭,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명칭, 그 외의 순위에 따른 명칭을 준용합니다.

[137] '-사막(沙漠)', '-해협(海峽)', '-호수(湖水)', '-화산(火山)' 등.[138] 이오섬 ↔ 이오지마, 타이핑섬 ↔ 타이핑다오, 노스 센티널섬 ↔ 노스 센티널 아일랜드 등.

6.14. 사건 사고 문서

  • 이 규정은 1·2순위 표제어가 없는 사건 사고 표제어에 적용됩니다.
  • 사건 사고 표제어는 n개의 '사건 수식 요소' + '사건 지칭어'로 구성됩니다.
  • '사건 수식 요소'(이하 '요소')는 사건 식별에 현저성이 높은 단어 등의 기호를 의미하며, 요소는 행위자, 대상(피해자), 시간, 장소, 원인, 행위, 도구, 기존 사건 등이 될 수 있습니다.
    • 표제어에 포함되는 요소는 가능한 한 적은 쪽을 권장합니다.
    • 요소의 후보는 제도권 언론의 주 제목, 사건 관련자의 진술, 행정·사법기관의 해석[139]에서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 요소의 선정은 최소한의 구별성만 목적으로 하며, 정확성 등 타 사유에 의한 요소 추가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 선정된 요소가 흔한 대명사이거나, 인지도가 현저히 부족한 고유명사이거나, 요소가 동일한 다른 사건 사고가 이미 등재되었을 경우 최소한의 구별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선정된 요소는 2.1. 표제어 기준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단어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140]
  • '사건 지칭어'는 표제의 마지막 어절입니다.[141]
    • 마지막 어절이 아닌 단어는 요소로 판단합니다.[142]
    • 사건 지칭어의 붙여쓰기는 제도권 언론의 용례가 충분해야 가능합니다.[143]
  • 사건 사고 표제어는 조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우선합니다.
    • 동일 요소 내 복수 대상의 관계성은 의미에 맞는 가운뎃점(·), 붙임표(-)로 표현합니다.[144]
    • 단, 사동의 주체와 피동의 주체가 동시 존재하는 경우 구분 목적의 조사 사용을 허용합니다.[145]
  • 사건 사고 표제어에서 분쟁이 없는 부분에 대해선 어떠한 입증도 필요하지 않으며, 다음을 유효한 이의로 보지 않습니다.
    • 반박 목적이 아닌 근거 제시
    • 합의안이 제시된 이후 대체 합의안 제시가 없는 이의
    • 제도권 언론에서 사용된 표현에 대한 오해석 우려를 근거로 한 이의
  • 자살 사고의 경우, 표제어는 <자살보도 권고기준 3.0>을 준수해야 합니다.[146]
  • 형사 사건의 경우, 재판이 확정되기 전까지 '혐의'를 요소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사건 사고의 경우, 사건 지칭어로 '게이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139] 수사기관·각급 법원·헌법재판소·중앙행정심판위원회의 해석[140] 예: '건보법'을 '국민건강보험법'으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141] 예: 사건, 논란, 대란, 지진, 회담, 순방, 게이트, 사망사건, 대지진 등 띄어쓰기가 없는 한 단어여야 합니다.[142] 예: 'XX 사망 사건'의 경우 '사망'은 요소, '사건'은 사건 지칭어에 해당됩니다. 'XX 사망사건'의 경우 '사망사건'이 사건 지칭어에 해당됩니다.[143] 예: '살인사건'은 붙여쓰는 충분한 용례가 있어서 사용 가능하며, '아동학대사망사건'은 붙여쓰는 용례가 없어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144] 예: 2019-2020년 북한 미사일 도발(시간 요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행위자 요소), 2019년 선거법·공수처법 패스트트랙 파동(대상 요소).[145] 예: 사동 주체 홍길동, 피동 주체 김철수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홍길동 김철수 폭행 사건'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146] 예: 표제어는 '자살' 대신 '사망'을 사용합니다.

6.15. 대한민국의 외교공관 문서

  • 대한민국 외교공관 문서의 표제어는 외교부 홈페이지에 기재된 명칭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