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임명 회의 (관리자 · 중재자)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틀 · 템플릿 |
1. 개요
바로 가기이 문서는 상단 메뉴 바(검색창 상단)의 " 특수 기능" 버튼을 클릭하고 "게시판"을 클릭하면 나오는 나무위키의 게시판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다.
초기에 사용했던 Q&A 게시판은 현재 폐쇄되었다. 나무위키 게시판은 2015년 5월 26일에 폐쇄할 예정이었지만 토론 게시판을 제외한 나머지 게시판은 남겨 두기로 했다.
2021년 1월 15일 위키게시판 뷰어가 출시되어 게시판을 앱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21년 3월 15일 게시판이 XpressEngine 기반에서 umanle 자체 개발 엔진인 Live v2으로 변경되었다. 아카라이브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기존 글은 모두 이전되었다. 종전 게시판에서는 로그인이 연동되지 않아 위키에서는 자동 로그인이 걸렸더라도 게시판에서는 일일이 다시 로그인을 해야 했으나 게시판 이전 후에는 자동 로그인이 적용된다.
2. 2016년 2월 29일 이후 복구된 게시판
기존과 주소는 동일하다. 이전과 달리 나무위키 계정과 연동되며 개장 시에는 공지사항과 자유 게시판 두 개만 있었다. 이후 문의, 신고 등 여러 게시판이 생겼다. 복구 당시에는 자유 게시판만 있어 실제 사용되지 않는 게시판으로 추측되었으나 이후 공지사항 게시판이 생기고 namu가 직접 점검 공지를 올리며 실제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6년 6월 16일부터 문서 형식의 구 게시판을 완전히 대체하게 되었다.게시판의 시간은 협정 세계시(UTC+0)를 기준으로 했었으며, NamuFix가 적용된 현재는 자신이 거주 중인 장소의 시간대로 표시된다.
3. 보존된 나무위키 게시판
- 2015년 11월 10일 23시경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나무위키의 게시판이 DMCA 테이크다운 요청으로 인하여 다운되었기 때문에, 2016년 6월 16일까지 아래와 같은 문서 형식의 게시판들을 사용했었다. 현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나 보존 처리되었다.
- 현재는 나무위키의 게시판에 오류가 발생할 때마다 아래의 임시 게시판들을 보존해제 처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4. 게시판 목록 및 이용 방법
- 글과 댓글의 수정 및 삭제는 운영자만 가능하므로 한 번 쓸 때 정확히 쓰는 게 좋다. 수정 혹은 삭제 기능은 관리자만 사용할 수 있다.[1]
- 자신이 쓴 글을 검색하려면 하단 검색창 오른쪽 박스의 분류를 글쓴이로 선택하고 ID나 IP를 검색하면 된다.
- 표 등 각종 위키 문법이나 문서 역사, 토론 댓글, 차단내역 등을 그대로 복사하고 싶다면 '
[[]]
' 같은 문법을 쓰지 말고, PC에서는 복사 후 게시판에 붙여넣기하자. HTML 태그까지 그대로 복사된다. 대신 붙여넣은 후에도 문법은 그대로 적용된다. 모바일에서 붙여넣으려면 여기를 참조하면 된다.[2] - 내용이 긴 토론 댓글을 복사 후 붙여넣기하면 글자가 겹치는 현상이 있는데, 1x1 사이즈의 표를 생성하여 그 안에 붙여넣으면 해결된다. #
- 도배 방지 차원에서 한 번 글을 작성한 다음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야 다음 글을 쓸 수 있다.
- 그루터기랑 다중 계정 검사 게시판을 제외한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에는 글머리를 설정해야 하며, 설정하지 않을 경우 글을 올릴 수 없다.
게시글 작성 시 해당 글머리를 클릭 하면 된다.
- 아카라이브 소스 기반 게시판이라서 @또는 댓글이나 답변을 이용하여 로그인 된 사용자를 언급 할 수 있다. 언급당한 사용자는 게시판 로그인 시 오른쪽 위의 종 모양 알림 버튼을 통해 언급되었다는 알림을 받는다. 이때 로그인을 한 이용자는 게시판 설정에서 IP 사용자의 언급도 알림을 받을지 안받을지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아예 알람을 안 받게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유저의 글이나 댓글을 보이지 않게 하거나 특정 단어를 안보이게 차단할 수도 있다.
https://board.namu.wiki/u/@(사용자 이름)을 하면 해당 사용자의 게시글, 댓글 작성 내역을 확인 할 수 있다. 다만, 운영진 또는 본인만 가능하다.
운영진이 아닌 사용자가 타 사용자의 작성 내역에 들어가면 이렇게 뜬다.
4.1. 공지사항
링크엔진 업데이트 내역이나 위키 관련 공지 , 각 채널 공지등의 공지 사항이 올라오며 프로젝트 정리 공지도 프로젝트 정리가 시작되고 완료될 때마다 올라온다. 운영진만 사용가능한 게시판이다.
4.2. 그루터기
링크다른 나무위키 사용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친목질은 엄금된다. 비난/광고 목적의 글, 유머글이나 뻘글, 규정 관련 문의 등과 같이 규정을 위반하는 글, 필요 없는 글, 다른 게시판에 작성해야 하는 글은 절대 작성하면 안 된다. 만약 무시하고 이런 글을 올릴 경우 삭제를 당하고 제재를 받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하며, 차단된 사용자는 차단 기한 만료 전까지 사용이 불가능하다. 로그인을 하지 않은 이용자는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댓글을 달 수 없다.
4.3. 문의 게시판
링크나무위키에 관련된 궁금한 점들을 운영진들에게 문의하거나 해당 이용자가 처리할 수 없는 사안에 대해서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는 게시판이다.[3]
문의 게시판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은 다음과 같다.
- 봇 사용 승인 요청(이용자 관리방침 '4.2.1. 봇 사용 승인')
- 접근 제한 상향 또는 하향이나 해제의 요청
- 규정 개정 토론의 이의 제기 기간 진입을 위한 합의안 확인 요청(기본방침 4.4.2. '규정 개정 토론의 이의 제기 기간')
4.4. 신고 게시판
링크규정을 위반한 사용자들을 신고하고 오리 실험 요청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규정에 따라 일반 이용자가 답변 등 신고 처리에 불필요한 내용이 들어간 댓글을 작성하면 안 된다. 단, 피신고자가 반론 정도는 할 수 있다. 편집 차단된 사용자가 신고 게시판에 신고를 하는 건 불가능하다.
중복 신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차단 내역에 해당 아이피, 아이디를 검색하고, 신고게시판에서 제목/내용으로 다시 확인을 하고 신고하자.
신고 게시판에서는 글머리가 없는 글은 즉시 삭제 대상이였으며, 현재는 아예 글머리가 없는 글은 올릴 수도 없다.
4.5. 편집 요청 게시판
링크2021년 3월 14일 개편으로 새로 만들어진 게시판. 편집 요청 승인/닫기를 요청하는 게시판이다. 이전에는 문의 게시판에서 회원수정 3 및 관리자 수정 문서 편집 요청만 문의 게시판에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회원수정 1, 2도 요청할 수 있다. 차단된 사용자는 차단 기한 만료 전까지 사용할 수 없다.
한꺼번에 요청할수 있는 개수한도는 5개다.
4.6. 차단 소명/해제 요청 게시판
링크차단당한 계정 혹은 IP에 대한 소명을 할 수 있는 게시판이다. 차단된 사용자나 IP인 경우만 차단 소명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다.
보통 차단을 당하더라도 차단 소명 게시판은 차단 관련 문의, 차단 해제 요청을 위한 게시판이므로 차단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부적절한 소명을 하는 등의 소명을 작성하면 차단 소명/해제 요청 게시판도 막힐 수 있다.
불량 사용자들의 부적절한 소명글로 인해[4] 2018년 8월 15일부터 차단 소명 게시판은 운영자와 소명자 본인만 열람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5]
차단 사용자들의 차단소명 게시판에서 글을 작성 할 수 없다는 문의가 지속적으로 들어와서[6] 2021년 3월 게시판 업데이트 이후 차단되지 않은 IP, ID도 차단 소명 게시판에서 글을 쓸 수 있게 되었다.
4.7. 다중 계정 검사 요청 게시판
링크다중 계정 검사를 요청할 수 있는 게시판이다. 일반 사용자들은 댓글 작성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작성해야 한다.[7] 계정-계정 간의 검사만 가능하며, 계정-IP 혹은 IP-IP 간의 검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엔 신고 게시판에서 오리 실험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다중 계정인 게 밝혀져 무기한 차단을 당한 경우 IP도 비공개적으로 차단된다.
기여 내역이 전무하거나 우회 수단 등을 이용해 접속하는 IP 유저들의 악의적인 요청이 지속되어 게시판 개편 이후 IP는 다중 계정 검사 게시글을 작성할 수 없게 되었다. 차단된 사용자는 차단 기한 만료 전까지 사용할 수 없다.
4.8. 토론 문의 게시판
링크토론 종결 요청과 중재 요청을 하는 곳이다. 해당 문서의 링크가 아닌 토론의 링크(https://namu.wiki/thread/~)를 첨부해야 한다.
한번에 최대 5개의 링크를 넣을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 넣을 시 관리자의 재량에 따라 거부될 수 있다. 이 게시판 또한 차단된 사용자는 차단 기한 만료 전까지 사용할 수 없다.
4.9. 운영진 게시판
링크나무위키 운영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게시판이다. 운영진[8]만 열람 및 글 작성을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악용의 우려가 있어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
5. 이슈 트래커
6. 과거 나무위키 게시판
나무위키가 설립되고 세 번째로 개설된 나무위키의 공식 게시판으로 ztirf의 서버에서 운영되었다. XpressEngine를 사용했다. 처음에는 IP 주소가 공개되었지만, 어느 순간 익명화 시스템이 시작되면서부터 IP 주소 비공개가 원칙이었지만, 나무위키 최고 관리자 사퇴 사건 이후 다시 IP 주소 공개 원칙으로 바뀌었다. IP 주소 공개 공지 후 글을 작성한 사용자들이야 IP 주소 공개에 암묵적으로 동의했다고 치더라도, 이전에 익명 게시판이라고 생각하고 글을 올린 사용자들의 IP 주소 공개의 경우는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왜냐하면 IP 주소 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IP 주소까지 강제로 공개하는 건 개인정보 보호법 및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9]6.1. 홈
공지사항, 건의/문의게시판, 신고게시판의 최신 다섯 게시글을 띄워놓는다. 좌측에는 최근 게시글, 최근 댓글, 최근 변경 내역, 최근 토론 게시글 위젯이 있다.6.2. 공지사항
관리자들이 공지를 적는 게시판이다. 몇몇 최신 게시물들의 제목이 굵게 나오기도 한다. 문서 방식의 공지사항 게시판도 있다.6.3. 토론 게시판
문서, 규정에 대해 종합적으로 토론하는 게시판이다. 나무위키에 각 문서 토론 기능이 생기긴 전까지는 다른 게시판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활발하고 조회수도 높았었다. 운영진의 실수로 폐쇄되었다가 다시 복구된 적이 있다. 2015년 5월 19일부로 사실상 폐쇄된 읽기 전용 게시판이다. 문서에 대한 토론 기능은 각 문서별로 있는 위키의 '최근 토론' 탭으로 옮겼다. 이 토론은 게시판과 비슷한 형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지금 토론 게시판은 운영진만 게시판을 통해 들어갈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주소를 쳐야만 들어갈 수 있다. 토론 게시판 폐쇄 후 토론 게시판처럼 이용되었다. 2015년 6월 22일, 건의 게시판의 기능은 문의 게시판과 병합되었다.6.4. 건의/문의 게시판
건의/문의사항이 있을 경우에 이용한다. 건의 게시판, 문의 게시판으로 나뉘어 있던 것을 건의 게시판으로 합친 것이다. 문의 전에 문의 게시판에서 검색 결과를 참고하자.6.5. 신고 게시판
문서 훼손을 하는 사용자나 토론 규정 위반을 신고하거나 토론 중재 요청을 하는 게시판이다.6.6. 운영진용 게시판
일반 사용자는 볼 수 없고 운영진에게만 접속 권한이 있다.6.6.1. 관리 게시판
나무위키 운영과 관계된 글을 작성/보관하는 게시판이다.6.6.2. 글보관함
문제가 있는 글을 옮겨놓는 일종의 휴지통 게시판이다.6.6.3. 매뉴얼
나무위키 개발자 ztirf가 신임 관리자를 위한 참고사항을 올려놓은 게시판이긴 한데, 규정 공식화도 되지 않은 상당히 오래전의 글들이라 잘 활용되지 않는다.7. 폐쇄된 게시판
7.1. 개발진 문의 게시판
https://board.namu.wiki/b/helptodeveloper7.2. 기술지원 게시판
나무위키의 기술 지원 문의를 받는 곳이었다. 참고.(404 error) 나무위키 최하단에 있는 Contáctenos 버튼을 눌러 보낼 수 있는 [email protected] 메일을 통해서 기술 지원 문의를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었다. 현재는 the seed forum에서 기술 지원 문의를 받는다.7.3. 사랑방
나무위키 설립 초기에 사용되었던 임시 게시판. 현재 폐쇄. 당시에는 나무위키 게시판이 없었기 때문에 임시 문서 형태로 게시판의 기능을 대신하였다. 당시 문서 이름은 '나무위키:사랑방'. 위키백과의 사랑방과 같은 형태였다. 2015년 6월 14일을 기점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당시의 사랑방을 보려면 나무위키:보존문서/사랑방으로.7.4. Q&A 게시판
나무위키가 설립되고 최초로 개설되었던 나무위키의 공식 게시판. 현재는 폐쇄되었고 ztirf의 서버에서 운영되었다. 댓글 달린 게시글이 제일 위로 올라오는 포럼 형식의 게시판이었다. Q&A 게시판의 형태에 대해서는 아카이브 링크[10]를 참고하자.7.5. 저작권 침해 삭제 요청 게시판
https://board.namu.wiki/b/copyright저작권을 가진 저작권자가 나무위키에서 저작물이 무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사용하는 게시판이다. 나무위키의 이미지, 혹은 내용에 대해서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하는 게시판이 아니므로 주의할 것. 기타 다른 저작권에 대한 질문들은 문의 게시판을 이용하자.
현재 폐쇄된 상태이므로 게시글 열람을 제외한 글쓰기, 댓글 쓰기가 안 된다.
현재는 임시조치 및 문의 게시판에서 해당 업무를 처리한다.
7.6. 휴지통
https://board.namu.wiki/b/trash리뉴얼 전에는 글을 삭제하면 이 게시판으로 이동됐으며 열람권은 운영진들에게만 주어졌다. 게시판 개편 이후에는 운영진들 한정으로 삭제된 글을 열람이 가능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1] 이걸 간과했다가 피를 보는 유저들이 많다.[2] 파이어폭스 등의 일부 브라우저에서 문법 복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복사가 제대로 안 된다면 다른 브라우저를 이용하도록 하자.#1 #2[3] 차단 소명 게시판에 작성이 안 될 경우 이곳에서 소명할 수도 있다.[4] 지금이야 차소게 열람을 할 수 없어서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차단 소명 게시판에는 악성 사용자들의 불량 게시글이 넘쳐났었다. 모르겠다면 2017년 12월 이전의 구 차단 소명 게시판을 보면 알 수 있다.[5] 이 중 받아들여진 소명글은 문의 게시판에 소명 공개 요청을 하여 내용을 열람할 수 있다.[6] 과거에는 차단된 IP, ID로만 차단 소명게시판에서 글을 쓸 수 있었다.[7] 게시판 업데이트가 되기 전에는 일반 사용자가 댓글은 작성할 수 있었으나 2021년 3월 게시판 업데이트 이후 일반 사용자는 댓글을 작성할 수 없게 되었다. 다중 계정 검사의 근거나 의심되는 사용자가 또 발견되었을 경우 일반 사용자는 댓글로 알렸으나 지금은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작성해야 한다.[8] 사측 관리자, 관리자, 중재자[9] 이렇듯 IP 주소는 개인을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함부로 수집하거나 제공하지 못하도록 통신비밀보호법에서 이를 규율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정으로 특정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에 웹로그가 포함되게 되었다. 웹로그는 특정 개인의 시간, IP 주소, 행동에 관한 개인정보라 볼 수 있다. http://legalinsight.co.kr/archives/48502 참고.[10] 다만, Q&A 게시판을 마무리 할 당시, 일베저장소에서의 반달로 인해 시끄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