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0 23:39:58

나무위키:접근 제한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규정
기본방침 (문서 관리 방침 · 토론 관리 방침 · 이용자 관리 방침 · 운영 관리 방침 /운영진 선출) · 편집지침 (일반 문서 · 특수 문서 · 특정 분야 (인문사회 · 과학기술 · 문화예술 · 창작물) · 등재 기준 · 표제어)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도움말
FAQ · 도움말 (기능 · 편집 · 문법 (심화 · 수식 · 개발) · 토론 · 스킨 · 소명 · 권리침해 · 게시판) · 자주 하는 실수 · 문서 삭제식 이동 · 더미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운영
관리자 · 중재자 · 역대 운영진 · 운영진 지원 · 운영 도움말 (관리 · 중재 · 권한) · 접근 제한 (문서 목록) · 운영회의 (시행규칙 · 안건 건의) · 임명 회의 (관리자 · 중재자) · 봇 리스트 · 투명성 보고서 · 소급 적용 규정 일람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기능
분류 · 게시판 · 엔진 (업데이트) · 통계 · 데이터베이스 덤프 · 연습장 · 내 문서함 · 문서 작성 요청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나무위키의 분류
프로젝트 · 주요 페이지 링크 · 보존문서 · 파일 · · 템플릿


파일:나무위키:로고2.png파일:나무위키:로고2 c7c7c7.svg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공식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운영에 사용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문서의 수정 자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신중히 문서를 편집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기본방침/문서 관리 방침 문서
1.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나무위키운영진이 개입해서 해당 문서의 읽기[1], 편집[2], 이동, 삭제, 토론 발제, 토론 댓글 달기, 편집 요청, ACL 설정에 대해 제한(ACL)을 거는 조치.[3] 주로 운영상의 목적이나 문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유저들의 요청에 의해 제한되거나 제한이 해제될 수도 있다.

자신이 편집할 수 없는 문서는 편집 요청을 할 수 있으며,[4] 제한하는 시점에서 당시 문서 훼손의 빈도, 수위 등에 따라 문서 훼손성 편집 요청을 할 수 있는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 편집 요청까지 제한하는 경우가 생긴다.[5] 이 경우에는 문의게시판에 편집 요청 제한 해제 요청을 하면 된다. 해당 문의 게시판 공지에 따라 편집 요청 제한을 해제할 수 없는 문서는 관리자 수정 문서를 제외하고 규정 위반성 서술 제거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편집 요청 제한이 걸린 사용자가 어떠한 방법으로도 해당 문서를 편집할 수 없다. 다만 문서 이동은 이동 요청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이동 제한이 걸린 문서는 문의 게시판이나 편집 요청 게시판에 이동 요청을 하면 된다.[6]

2. 접근 제한의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기본방침/문서 관리 방침 문서
1.3.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본적으로 4단계로 분류되며, ACL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1. 비로그인 사용자 접근 제한 (1단계 제한 조치)

파일:Semi_protect.svg   로그인 후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비로그인 사용자 편집 제한된 문서에서 볼 수 있는 틀.

나무위키가 비로그인(IP) 편집자들에게도 문서 편집권을 부여하기에 가능한 조치로, 로그인한 회원 이외에는 문서를 편집하지 못하게 하는 조치이다. 보통 낮은 수위의 수정전쟁(편집 분쟁)이나 문서 훼손 등이 발생했을 때에 이렇게 조치를 한다. 가장 낮은 단계의 제한이지만 의외로 이렇게만 해도 문제를 상당히 진정시킬 수 있는 편이다. 하지만 일부 사람의 경우 회원 가입을 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비로그인 편집 제한을 했는데도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다음 단계로 한 단계 높은 편집 제한 조치를 취한다.

나무위키의 회원가입이 굉장히 쉽고 간편함에도 비로그인 편집 제한으로도 많은 분쟁이 해결된다니 믿지 못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사실이다. 나무위키의 경우 네이버, 다음, 구글, 카카오 같은 '메일 서비스'가 있는 포털사이트 아이디 하나만 있으면 메일 인증으로 바로 가입 가능할 정도로 매우 가입하기 쉬움에도[7] 비로그인 편집 제한만으로도 상당수 조용해진다.

이 1단계 편집 제한은 편집뿐만 아니라 편집 요청을 승인하는 행위 역시 로그인한 회원만 할 수 있다.

IP 차단을 당하고 나서 제한이 없는 문서를 편집하려 할 때에도 이 제한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뜬다.[8]

주로 학교 관련 문서에 많이 걸려 있다.[9]

이 문서 역시 1단계 제한이 걸려 있다.

2.2. 신규 가입 사용자 접근 제한 (2단계 제한 조치)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신규 가입 사용자 편집 제한된 문서에서 볼 수 있는 틀.

2017년 11월 22일 엔진 업데이트로 추가된 접근 제한이다. 휘발성이 강한 이슈가 터져 이로 인해 심각한 수준의 수정전쟁이 발생하는 등 1단계로도 해결이 안 될 때 여기로 넘어온다. 비로그인 사용자와 가입 후 15일이 경과하지 않은 로그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추가로 제한한다. 이 제한 단계가 추가되면서 2017년 11월 22일 기준 관리자 수정이었던 모든 문서들의 편집 제한이 이 단계로 하향되었다.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가는 문서들은 대부분 수정전쟁이 벌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소한 이 단계 이상의 접근 제한 조치가 내려져 있거나 틀:토론 합의가 붙어있는 문서들이 많다.

다만 악질 상습 반달러들은 다중 계정을 악용해서 15일 동안 계정을 방치해놓고 15일이 지나 편집 권한이 생기면 한꺼번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 단계에서도 막지 못하면 3단계 또는 일반 사용자가 직접 편집할 수 없는 4단계로 넘어간다.[10]

이 2단계 편집 제한은 편집뿐만 아니라 편집 요청을 승인하는 행위 역시 가입한 지 15일 이상인 회원만 가능하다.

2.3. 미기여 사용자 접근 제한 (3단계 제한 조치)

파일:Semi_protect3.svg   이 문서를 편집한 기록이 있어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미기여 사용자 편집 제한된 문서에서 볼 수 있는 틀.

2단계 제한 조치에 이어 2017년 11월 24일 엔진 업데이트로 추가된 편집 제한. 문서에 기여한 적이 있어야 편집이 가능하며 해당 문서에 대해 기여 기록이 없는 일반 사용자는 편집하지 못하게 된다. 이 틀이 걸린 문서를 편집해야 할 경우 편집 요청 기능을 이용해야만 하며, 편집 요청 등을 통해 한 번이라도 기여하면, 이후로는 편집 요청을 하지 않고서도 직접 편집이 가능해진다. 단 한번이라도 편집 기록이 있다면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특성상 3단계 제한이 걸린 문서에 단순 공백 추가 등 무의미한 편집 요청을 하면 거부될 수 있다.[편집요청차단]

2단계보다 높은 단계로 간주되지만, 비로그인 사용자[12]와 가입한 지 15일이 되지 않은 사용자도 편집 권한이 있으면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기에 제한의 강도가 2단계와는 약간 다르다.[13] 그리고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 요청 → 로그인 → 자신의 편집 요청을 승인 식으로 패널티를 우회하기도 한다.

이 3단계 편집 제한은 편집뿐만 아니라 편집 요청을 승인하는 행위 역시 편집 요청을 승인받지 못하면 할 수 없다.

2.4. 일반 사용자 접근 제한 (4단계 제한 조치)

파일:Full_protect2.svg   운영진만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일반 사용자 편집 제한된 문서에서 볼 수 있는 틀.

가장 높은 접근제한 단계. '회원수정4'라고도 불리지만 정식 명칭은 '관리자 수정'[14]. 나무위키의 운영과 관련된 문서들[15], 3단계 접근제한 상태에서도 악질 문서 훼손이 지속적으로 발생한 문서들, 시사 이슈나 연예인 이슈 등 휘발성이 너무 강한 이슈가 터져 심각한 문서 훼손이 발생한 문서들[16]만 이 단계의 제한을 건다. 이렇게 제한된 문서는 운영자가 아닌 사용자는 문서 편집을 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모든 일반 사용자들이 편집을 할 수 없어 문서 편집이 뜸해지므로 엔하위키 -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이렇게 처리하는 것을 '동결 처리'라고 칭하기도 했고, 여전히 나무위키에서도 이 용어가 간간이 통용되고 있다. 나무위키에서는 이 상태로 편집 제한된 문서가 별로 많지 않지만, 구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시사 이슈, 연예인 이슈 등으로 아주 큰 문서 훼손 사건이 일어나면 선제적으로 문서를 동결하는 일이 간혹 있었고, 위키 내부에서 분쟁이 크게 일어나버린 문서의 경우에도 아예 영구적으로 편집 제한을 해버리는 일도 있었다.[편집요청차단] 다만 이것도 문서 훼손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는게, 운영진이 권한 남용을 하면 그 운영자를 권한을 회수하지 않는 이상 어떻게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 수준으로 편집 제한된 문서가 이슈가 사그라들거나 운영진 판단 등으로 편집 제한을 해제할 때, 편집 제한을 완전히 없애는 경우보다는 못해도 2단계 접근제한으로 하향하는 경우가 많다. 큰 사건이 일어났던 문서이기 때문에 사건의 재발 가능성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2017년 9월 3일부터는 편집 요청 기능이 생겨 이 단계에서도 일반 사용자가 편집 요청을 통해 계속 기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문서 훼손성 편집 요청이 잦으면 편집 요청 또한 제한될 수 있다.[18]

나무위키:대문, 일부 운영 관련 문서들, 사용 빈도가 높은 틀(틀:회원수정,틀:문서 가져옴 등)은 훼손 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측 관리자만 편집 가능하도록 더 강한 편집 제한 조치가 적용되어 있다. 선출직 운영자가 권한을 악용하여 훼손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 문서의 경우 규정 위반 서술을 제거하거나 무기한 차단자의 사용자 문서를 초기화하려는 경우에만 관리자가 사용자 문서에 편집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삭제 토론으로 합의된 문서는 삭제 처리는 되나, 삭제 합의 문서는 접근 제한 요청을 할 수 없다. 다만, 토론 합의 규정 위반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요청이 가능하며, '관리자 수정'으로 변경된다.[19]

3. 접근 제한 처리된 문서 목록

파일:나무위키 로고 흰.svg 나무위키 내 접근 제한 조치된 문서 목록
파일:Semi_protect.svg 1단계 2016년 이전 | 2017년 | 2018년 | 2019년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파일:Semi_protect2.svg 2단계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2021년 | 2022년 | 2023년
파일:Semi_protect3.svg 3단계 2018년 이전 | 2019년 | 2020년
2021년 | 2022년 | 2023년
파일:Full_protect2.svg 4단계 2019년 이전 | 2020년 이후




[1] 읽기 제한된 문서는 관리자만 열람 가능하다. 열람 제한 대상은 심한 공포감/혐오감/불쾌감을 주는 사진이나 그러한 내용이 포함된 뻘문서 또는 저작권 등의 권리침해 문서, 임시조치로 삭제된 문서, 악용할 우려가 있는 내용이 포함된 운영용 문서이다. 휴지통 문서와 위키운영 문서가 여기에 해당한다. 해당 ACL은 현재 문서 ACL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이름공간 ACL에만 작동한다.[2] 가장 흔히 적용되는 제한.[3] 일반적인 경우 관리자만 ACL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외의 특수한 경우는 사측 관리자만 ACL을 설정할 수 있다. 휴지통, 파일휴지통, 위키운영 문서는 관리자도 ACL을 설정할 수 없으며, 오직 the seed의 개발자와 사측 관리자(이름공간 ACL에 ACL 조정 권한이 무규칙 거부로 설정되어 있어 nsacl 권한이 필요하다)만 가능하다.[4] 자신의 아이디가 차단되어 편집권이 제한되었을 때에도 편집 요청을 할 수 있다. 원래 지원하지 않았으나, 2020년 8월 26일부터 차단자도 편집 요청을 할 수 있게 지원한다.[5] 이럴 경우 아예 간접적으로나마 문서 편집에 관여할 수가 없는 것이다. 편집 요청 제한이 걸리면 자신이 편집할 수 없는 문서에 아예 기여할 수 없는 문제와 불편함 등이 생긴다.[6] 참고로 문서 편집 권한이 없는 경우 바로 편집요청으로 넘어가진다.[7] 포털사이트 아이디가 여러개 있으면 나무위키 아이디도 여러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네이버와 다음은 번호당 아이디 3개가 가능.[8] 단, 무기한 차단 같은 아이디 차단의 경우 제한이 없는 문서에는 차단 메시지가 뜨지만, 제한이 걸린 문서에는 그 제한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뜬다.[9] 단, 대학교와 외국 소재 학교, 가상의 학교는 제외한다.[10] 그 단적인 예로 2022년 9월 4일~5일 간 15일 경과 차단 회피 계정의 반달로 인해 BedWars(Roblox)/키트 문서는 3단계로 상향 조치되었다.[편집요청차단] 편집요청 차단이 걸리면 이 단계의 문서에 기여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12] 편집 권한 perm:ip를 거부로 처리할시 막힌다.[13] 다만 이 경우에는 가입한 지 15일이 되지 않은 사용자는 편집 요청을 하지 못하게 막아주면 된다. 단, 이전에 수정한 가입한 사용자는 막지 못한다.[14] 관리자 뿐만 아니라 같은 운영자인 중재자도 수정이 가능하다. 때문에 틀에도 "운영진만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라고 되어있다.[15] 가장 중요한 문서들이므로 훼손 시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16] 정치, 세대, 젠더 등 사회적 갈등의 뇌관을 건드리는 이슈가 터졌을 때가 많다. 이런 문서들은 틀:토론 합의, NPOV, MPOV로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 운영진이 강제적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편집요청차단] [18] ACL 설정으로 일반 사용자가 편집요청을 할 수 없게 만들 수 있다.[19] 만약에 삭제 합의 문서는 재생성 토론을 열어서 재생성 합의가 될 경우, 종결 요청을 해서 관리자가 토론 종결과 동시에 접근 제한이 하향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