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지진 | ||||||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지진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지진대피요령 | |||||
<colbgcolor=#bc002d><colcolor=#fff> 관련용어 | 리히터 규모 · 진도 · 단층지진 · 단층(대한민국) · 수도직하지진 · 슬로우 슬립 · 고유지진 · 쓰나미 · 지진파 · 군발지진 | |||||
지진대비 | 지진조기경보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긴급지진속보(일본) · 국가지진열도속보 및 예경공정(중국) · 내진설계 | |||||
관련 프로젝트 | 나무위키:프로젝트/지진 | |||||
지진목록 | 대한민국 · 해외(일본) | |||||
대한민국 관련 사이트 | 기상청(최근지진) · 기상청(지진목록) · NECIS(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 | |||||
해외 관련 사이트 | 일본기상청 · 중국지진국 · USGS(지진목록) · EMSC(지진목록) | |||||
대한민국 내 발생 주요 지진 | 2016년 울산 지진 · 2016년 경주 지진 · 2017년 포항 지진 ·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 2022년 괴산 지진 · 2023년 강화 지진 | |||||
대한민국에서 관측된 주요 지진해일(쓰나미) | 1964년 니가타 지진 · 1983년 아키타 지진 ·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 2023년 1월 26일 04시 49분 45초 (UTC+9) |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캉딩시 남남서쪽 27km 지역 | M 5.5 (최대 진도 Ⅶ) | 중국 |
쓰나미 여부 | - | 예상 최고높이 | 실측 최고높이 | |
- | - |
1. 개요
지진의 등재기준에서 단독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않지만 관심에 포함되는 지진을 서술하는 문서이다.2. 주요 지진
다음은 국가별로 최강의 규모를 가졌던 지진의 목록을 정리한 표며 뜻밖의 나라에서도 지진이 많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출처는 영문 위키피디아 및 NOAA 자료,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지진 문서의 하위 문서인 지진/대한민국/역사이다. 규모 값은 M8.0 이상일 경우에는 갈색, M9.0 이상일 경우에는 보라색으로 표시했다. 목록에서 보듯 서유럽/북유럽 국가도 예외가 아니다. 이는 지구상에서 지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은 있어도 절대적으로 안전한 지역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항목에 없는 아프리카 국가들도 마찬가지다.국가명 | 최대 규모 | 최대 진도 | 발생 일자 | 발생 지역 |
과테말라 | M 7.7 | ?? | 1942. 8. 6. | 과테말라 남부 해안 |
괌 | M 7.8 | ?? | 1993. 8. 8. | |
그리스 | M 8.5+ | XI | 365. 7. 21. | 그리스 크레타 섬 부근 |
남극 대륙 | M 8.1 | 없음 | 1998. 3. 25. | 참고 |
네덜란드 | M 5.8 | VII | 1992. 4. 13. | 네덜란드 루르몬트 |
노르웨이 | M 6.8 | ?? | 2018. 11. | 노르웨이 얀마옌섬 |
뉴질랜드 | M 8.3 | ?? | 1855. 1. 23. | 뉴질랜드 와이라라파 |
대만 | M 7.7 | X | 1999. 9. 21. | 대만 난터우 |
대한민국 | M 7.5 | VIII-IX | 1681. 6. 26. | 강원도 양양군-강릉시 앞바다 |
덴마크 | M 4.4 | VI | 2010. 2. 19. | 덴마크 유틀란트 |
도미니카 공화국 | M 8.1 | IX | 1946. 8. 4. | 도미니카 공화국 사마나 |
독일 | M 6.1-6.4 | VIII | 1756. 2. 18. | 독일 뒤렌 |
러시아 | M 9.0 | XI | 1952. 11. 4. | 러시아 세베로쿠릴스크 |
루마니아 | M 7.9-8.2 | IX | 1802. 10. 26. | 루마니아 브란체아 주 |
멕시코 | M 8.1 | IX | 2017. 9. 8. | 멕시코 남부 |
미국 | M 9.2 | XI | 1964. 3. 27. |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 |
방글라데시 | M 8.8 | XI | 1762. 4. 2. | 방글라데시 아라칸 |
벨기에 | M 6.3 | ?? | 1692. 9. 18. | 벨기에 베르비에 |
볼리비아 | M 8.2 | 없음 | 1994. 6. 9. | 볼리비아 라파즈 200km 지역(심발) |
북마케도니아 | M 7.5 | XII | 518. 7. 22. | 북마케도니아 스코페 |
북한 | M 7.7-8.0+ | VIII | 1597. 10. 6. | 함경남도 삼수군 백두산 부근 |
불가리아 | M 7.2 | X | 1904. 4. 4. | 불가리아 발치크 |
브라질 | M 7.6 | ?? | 1963. 11. 9. | 브라질-페루 경계 지역(심발) |
스웨덴 | M 4.8 | ?? | 1986. 7. 14. | 스웨덴 베스트라예탈란드 |
스위스 | M 6.5 | IX-X | 1356. 10. 18. | 스위스 바젤 |
아르메니아 | M 7.0 | X | 1988. 12. 7. | 아르메니아 스피타크 |
아르헨티나 | M 8.0 | IX | 1894. 10. 27. | 아르헨티나 산후안 |
아이슬란드 | M 6.6 | ?? | 2000. 6. 17. | |
아이티 | M 8.1 | 1842. 5. 7. | 아이티 카프아이티엔[1] | |
아제르바이잔 | M 6.9 | X | 1667. 11. 25. | 아제르바이잔 샤마키 |
아프가니스탄 | M 8.1 | VII | 1909. 7. 7. |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주 |
알바니아 | M 6.7 | X | 1967. 11. 30. | |
알제리 | M 7.1 | X | 1980. 10. 10. | 알제리 엘 아스남 |
에스토니아 | M 4.7 | ?? | 1976. 10. 25. | 에스토니아 오스무사르 |
에콰도르 | M 8.8 | IX | 1906. 1. 31. | 에콰도르 에스메랄다스 서쪽 해역 |
엘살바도르 | M 8.0 | ?? | 1862. 12. 19. | |
영국 | M 6.1 | III-IV | 1931. 6. 7. | 영국 도거 뱅크 |
오스트리아 | M 5.5-6.0 | VII-IX | 1590. 9. 15. | 오스트리에 노이렌바흐 |
온두라스 | M 7.3 | 2009. 5. 28. | ||
이란 | M 7.9 | X | 856. 12. 22. | 이란 담간 |
이스라엘 | M 6.3 | VI+ | 1927. 6. 11. | 이스라엘 예리코 지역 |
이집트 | M 7.3 | VIII | 1995. 11. 22. | 이집트 아카바 만 |
이탈리아 | M 7.4 | XI | 1693. 1. 11. |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 해안 |
인도 | M 8.6 | XI | 1950. 8. 15. | 중국 티베트-인도 아삼 경계 지역 |
인도네시아 | M 9.3 | IX | 2004. 12. 26.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서부 해안 |
일본 | M 9.1 | IX | 2011. 3. 11. | 일본 미야기현 먼바다(산리쿠 해역) |
중국 | M 8.6 | XII | 1950. 8. 15. | 중국 간쑤성 하이위안현 |
칠레 | M 9.4-9.6 | XII | 1960. 5. 22. | 칠레 발디비아 |
카자흐스탄 | M 7.7 | X | 1911. 1. 3. |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경계 지역 |
캐나다 | M 8.7-9.2 | ?? | 1700. 1. 26. | 캐나다 서부 해안, 캐스카디아 |
코스타리카 | M 7.7 | IX | 1991. 4. 22. | 코스타리카 리몬 |
쿠바 | M 7.5-7.9 | IX | 1766. 6. 11 | 쿠바 산티아고데쿠바 |
크로아티아 | M 6.4 | VIII | 2020. 12. 29. | 크로아티아 페트리냐 |
키프로스 | M 7.0 | IX | 1222. 5. 11. | 키프로스 파포스(수도직하지진) |
콜롬비아 | M 8.8 | ?? | 1906. 1. 31. | 콜롬비아-페루 경계 지역 |
태국 | M 6.1 | ?? | 2014. 5. 5. | 태국 마에 라오 |
튀르키예 | M 7.8 | XII | 1939. 12. 27. | 터키 에르진잔 |
포르투갈 | M 8.7-M 9.0 | XI | 1755. 11. 1. | 포르투갈 리스본 먼바다 |
프랑스 | M 6.2 | X | 1909. 6. 11. | 프랑스 프로방스 랑벡 |
핀란드 | M 4.7 | ?? | 1898. 11. 4. | 핀란드 토르니오 |
필리핀 | M 7.9 | XI | 1976. 8. 16. | 필리핀 민다나오 |
헝가리 | M 6.3 | ?? | 1763. 6. 28. | 헝가리 코마롬 |
호주 | M 6.7 | IX | 1998. 1. 22. | 오스트레일리아 테넌트 크릭 |
- 서라벌 지진 (630) - 삼국사기에 의하면 서라벌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대궐의 뜰이 갈라졌다고 한다. 이 지진이 원인이 되어 칠숙과 석품이 반란을 일으켰다.
- 호에이 대지진 - 1707년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단층이 동시에 파열 + 호에이 대분화(1707년 12월부터 1708년 1월까지 이어진 후지산 최대의 분화)까지 일어난 일본 역사상 가장 피해 범위가 넓은 지진이면서 일본 지진 중 최악의 시나리오에 해당한다.
- 뉴마드리드 지진 (1811~1812)
- 도카이 대지진 - 약 150년 주기로 일본에서 일어나는 대지진. 1854년에 일어났었으니 주기를 계산해보면 2004년 전후에 와야 하는데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 메시나 지진 (1908)
- 하이위안 지진 (1920)
- 난카이 대지진 (1946)
- 강서 지진 (1952)
- 니가타 지진 (1964)
- 싱타이 지진 (1966)
- 하이청 지진 (1975)
- 이르피니아 지진 (1980)
-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 (1985)
- 카이로 지진 (1990)
- 노스리지 지진 (1994)
- 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 니가타 추에쓰 지진 (2004)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4)
- 카슈미르 지진 (2005)
- 니가타 추에쓰 오키 지진 (2007)
- 페루 지진 (2007)
- 라퀼라 지진 (2009)
- 오클라호마 군발 지진 (2009~)
- 크라이스트처치 지진 (2010~2012)
- 도호쿠 대지진 (2011)
3. 목록
3.1. 19세기 이전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19세기 이전 지진 ||
~ 19세기 → [[틀:지진/19세기|19세기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89. 6. | M6.3 | 89년 서울 지진 |
779. 3. | M7.0 | 779년 경주 지진 |
1036. 7. 17. | M6.4 | 1036년 경주 지진 |
1455. 1. 15. | M6.4 | 1455년 순천 지진 |
1518. 6. 22. | M6.7 | 1518년 한성 지진 |
1556. 1. 23. | M8.0 | 산시 대지진 |
1597. 10. 6. | M8.0 | 1597년 백두산 지진 |
1643. 6. 9. | M6.7 | 1643년 합천 지진 |
1643. 7. 25. | M7.4 | 1643년 울산 대지진 |
1681. 6. 12. | M6.5 | 1681년 양양 대지진 |
1681. 6. 26. | M7.5 | |
1703. 12. 31. | M8.5 | 겐로쿠 대지진 |
1707. 10. 28. | M9.3 | 호에이 대지진 |
1755. 11. 1. | M9.0 | 리스본 대지진 |
1797. | M8.7 | 1797년 남아시아 대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2. 19세기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19세기 지진 ||
[[틀:지진/19세기 이전| ~19세기 → 19세기 → [[틀:지진/20세기|20세기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1810. 2. 19. | M6.7 | 1810년 부령 지진 |
1811. 12. 16. ~1812. 2. 7. | M8.8 | 뉴마드리드 지진 |
1833. 11. 25. | M9.0 | 1833년 남아시아 대지진 |
1897. 6. 12. | M8.3 | 1897년 아삼 지진 |
1899. 1. 15. | M6.4 | 1899년 대한제국 중부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3. 20세기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 |||
[[틀:지진/19세기| 19세기 → 20세기 → [[틀:지진/21세기 초|21C 초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1906. 4. 18. | M8.3 | 샌프란시스코 지진 | |
1909. 6. 11. | M6.2 | 1909년 프로방스 지진 | |
1920. 12. 16. | M8.7 | 1920년 간쑤성 대지진 | |
1923. 9. 1. | M8.3 | 1923년 간토 대지진 | |
1936. 7. 4. | M5.3 | 지리산 쌍계사 지진 | |
1944. 12. 7. | M7.9 | 1944년 도난카이 대지진 | |
1944. 12. 19. | M6.8 | 조선-중국 국경 지진 | |
1946. 4. 1. | M8.6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
1946. 12. 21. | M8.0 | 1946년 난카이 대지진 | |
1948. 6. 28. | M7.1 | 1948년 후쿠이 지진 | |
1950. 8. 15. | M8.6 | 1950년 아삼 지진 | |
1952. 3. 19. | M6.4 | 1952년 강서 지진 | |
1952. 4. 24. | M5.6 | 1952년 은천 지진 | |
1952. 11. 5. | M9.0 |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 |
1959. 5. 4. | M8.0 | 1959년 캄차카 지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1960. 5. 2. | M9.5 | 칠레 대지진 | |
1964. 3. 27. | M9.2 | 알래스카 지진 | |
1964. 6. 16. | M7.5 | 1964년 니가타 지진 | |
1965. 8. 3. ~1970. 6. 5. | M6.4 | 마츠시로 군발지진 | |
1975. 2. 4. | M7.0 | 1975년 하이청 지진 | |
1976. 7. 27. | M7.8 | 1976년 탕산 대지진 | |
1976. 7. 28. | M7.4 | ||
1976. 8. 16. | M7.9 | 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 |
1978. 9. 16. | M5.2 | 속리산 지진 | |
1978. 10. 7. | M5.0 | 홍성 지진 | |
1980. 1. 8. | M5.3 | 의주 지진 | |
1983. 5. 26. | M8.1 | 1983년 아키타 지진 | |
1985. 9. 19. | M8.0 | 멕시코시티 대지진 | |
1988. 12. 7. | M7.0 | 아르메니아 대지진 | |
1989. 10. 17. | M7.2 | 샌프란시스코 지진 | |
1990. 6. 21. | M7.7 | 1990년 이란 지진 | |
1990. 7. 16. | M7.8 | 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 |
1992. 4. 13. | M5.8 | 1992년 루르몬트 지진 | |
1993. 7. 12. | M7.8 |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 |
1995. 1. 17. | M7.3 | 효고현 남부 지진 | |
1996. 12. 13. | M4.8 | 1996년 영월 지진 | |
1999. 8. 17. | M7.6 | 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 |
1999. 9. 21. | M7.7 | 921 대지진 | |
2000. 6. 17. ~21. | M6.6 | 아이슬란드 지진 | |
2000. 6. 6. ~9. 28. | M6.5 | 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 |
2000. 10. 6. | M7.3 | 2000년 돗토리 지진 | |
A: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4. 21세기
문서가 존재하는 21세기 초 ('01~'15) 지진 | |||
[[틀:지진/20세기| 20세기 → 21C 초 → [[틀:지진/2016년|2016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2003. 5. 26. | M7.1 | 2003년 미야기 해역 지진 | |
2003. 9. 26. | M8.3 |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 |
2003. 12. 26. | M6.6 | 2003년 밤 지진 | |
2004. 5. 29. | M5.2 | 2004년 울진 해역 지진 | |
2004. 10. 23. | M6.8 |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 |
2004. 11. 29. | M7.1 | 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 |
2004. 12. 26. | M9.3 |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 |
2005. 3. 20. | M7.0 | 후쿠오카 현 서부 해역 지진 | |
2005. 3. 28. | M8.7 | 2005년 남아시아 대지진 | |
2006. 5. 27. | M6.4 | 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 |
2006. 10. 9. | M3.7 | 2006년 길주 인공지진 | |
2007. 1. 20. | M4.8 | 오대산 지진 | |
2007. 3. 25. | M6.9 | 2007년 이시카와 해역 지진 | |
2007. 7. 16. | M6.9 | 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 |
2008. 5. 12. | M8.0 | 쓰촨성 대지진 | |
2008. 5. 29. | M6.1 | 아이슬란드 지진 | |
2008. 6. 14. | M7.2 | 이와테 미야기 내륙 지진 | |
2009. 5. 25. | M4.5 | 2009년 길주 인공지진 | |
2009. 8. 11. | M6.5 | 2009년 시즈오카 해역 지진 | |
2009. 9. 29. | M8.1 | 2009년 사모아 지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2010년~201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2010. 1. 12. | M7.0 | 2010년 아이티 지진 | |
2010. 2. 27. | M8.8 | 2010년 칠레 대지진 | |
2011. 2. 21. | M6.2 | 2011년 캄차카 지진 | |
2011. 3. 9. | M7.3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 |
2011. 3. 11. | M9.1 | ||
2011. 3. 12. | M6.7 | 2011년 나가노 지진 | |
2011. 3. 15. | M6.4 | 2011년 시즈오카 지진 | |
2011. 4. 7. | M7.2 | 2011년 4월 미야기현 해역 지진 | |
2011. 4. 11. | M7.0 | 2011년 후쿠시마 지진 | |
2011. 4. 12. | M6.4 | 2011년 후쿠시마 지진(2차) | |
2011. 8. 23. | M5.8 | 2011년 버지니아 지진 | |
2012. 2. 6. | M6.8 | 2012년 필리핀 세부 지진 | |
2012. 12. 7. | M7.4 | 2012년 산리쿠 해역 지진 | |
2013. 2. 12. | M5.1 | 2013년 길주 인공지진 | |
2013. 4. 13. | M6.3 | 2013년 아와지시마 중부 지진 | |
2013. 4. 20. | M7.0 | 2013년 쓰촨성 지진 | |
2013. 10. 15. | M7.2 | 2013년 필리핀 세부 지진 | |
2014. 03. 14. | M6.2 | 2014년 이요나다 지진 | |
2014. 11. 22. | M6.7 | 2014년 나가노 지진 | |
2015. 4. 25. | M8.1 | 2015년 네팔 대지진 | |
2015. 5. 30. | M8.1 | 2015년 오가사와라 서해 지진 | |
2015. 9. 16. | M8.3 | 2015년 칠레 대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16년 지진 ||
[[틀:지진/21세기 초| 21C 초 → 2016 → [[틀:지진/2017년|2017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06. | M5.2 | 2016년 1차 길주 인공지진 |
01. 30. | M7.0 | 2016년 캄차카 지진 |
02. 06. | M6.6 | 2016년 가오슝 지진 |
04. 14. | M6.5 | 2016년 구마모토 지진 |
04. 16. | M7.3 | |
04. 17. | M7.8 | 2016년 에콰도르 지진 |
06. 16. | M5.3 | 2016년 홋카이도 지진 |
07. 05. | M5.0 | 2016년 울산 지진 |
08. 24. | M6.2 | 2016년 이탈리아 중부 지진 |
09. 09. | M5.3 | 2016년 2차 길주 인공지진 |
09. 12. | M5.2 | 2016년 경주 지진 |
M5.8 | ||
10. 17. | M6.4 | 2016년 칭하이성 지진 |
10. 21. | M6.6 | 2016년 돗토리 지진 |
10. 26. | M5.5 | 2016년 이탈리아 페루자 지진 |
M6.1 | ||
10. 30. | M6.6 | |
11. 13. | M7.8 | 2016년 뉴질랜드 지진 |
11. 22. | M7.4 | 2016년 후쿠시마 지진 |
12. 17. | M7.9 | 2016년 타론 지진 |
12. 28. | M6.3 | 2016년 이바라키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17년 지진 ||
[[틀:지진/2016년| 2016 → 2017 → [[틀:지진/2018년|2018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18. | M5.6 | 이탈리아 중부 지진 |
01. 22. | M7.9 | 파푸아뉴기니 지진 |
04. 25. | M7.1 | 2017년 칠레 지진 |
06. 20. | M5.0 | 오이타 지진 |
06. 25. | M5.7 | 나가노 지진 |
07. 12. | M6.3 | 나진 지진 |
08. 02. | M5.5 | 이바라키 지진 |
08. 08. | M7.0 | 2017년 쓰촨성 지진 |
09. 03. | M6.4 | 2017년 길주 인공지진 |
09. 08. | M8.1 | 멕시코 피히히아판 대지진 |
M5.3 | 아키타 지진 | |
09. 19. | M7.1 | 멕시코 중부 대지진 |
10. 06. | M5.9 | 10월 후쿠시마 지진 |
11. 13. | M7.3 | 이란-이라크 지진 |
11. 15. | M5.6 | 포항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18년 지진 ||
[[틀:지진/2017년| 2017 → 2018 → [[틀:지진/2019년|2019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05. | M4.4 | 이바라키 지진 |
01. 23. | M8.0 | 1월 알래스카 지진 |
02. 05. | M6.2 | 2월 대만 화롄 지진 |
02. 06. | M6.4 | |
02. 11. | M4.7 | 포항 지진 |
02. 26. | M7.7 | 파푸아뉴기니 지진 |
04. 09. | M6.1 | 시마네 지진 |
05. 04. | M6.9 | 하와이 지진 |
06. 18. | M6.1 | 오사카 지진 |
07. 07. | M6.0 | 치바 지진 |
08. 05. | M6.5 | 인도네시아 롬복 지진 |
M7.0 | ||
09. 06. | M6.7 |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
09. 28. | M7.5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
10. 23. | M6.0 | 10월 대만 화롄 지진 |
M5.7 | ||
11. 30. | M7.1 | 11월 알래스카 지진 |
12. 29. | M7.0 | 필리핀 민다나오섬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19년 지진 ||
[[틀:지진/2018년| 2018 → 2019 → [[틀:지진/2020년|2020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03. | M5.0 | 구마모토 지진 |
01. 26. | M4.4 | |
02. 21. | M5.8 | 홋카이도 지진 |
04. 18. | M6.3 | 대만 화롄 지진 |
04. 19. | M4.3 | 동해 지진 |
04. 22. | M6.1 | 필리핀 루손 지진 |
04. 23. | M6.4 | |
05. 26. | M8.0 | 페루 지진 |
06. 18. | M6.7 | 야마가타 지진 |
07. 05. | M6.4 | 캘리포니아 지진 |
07. 06. | M7.1 | |
08. 04. | M6.4 | 후쿠시마 지진 |
10. 16. | M6.7 | 10월 1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
10. 29. | M6.8 | 10월 2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
10. 31. | M6.8 | 10월 3차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
12. 15. | M6.9 | 12월 필리핀 민다나오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20년 지진 ||
[[틀:지진/2019년| 2019 → 2020 → [[틀:지진/2021년|2021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3. 13. | M5.6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지진 |
06. 23. | M7.7 | 멕시코 와하카 주 지진 |
06. 25. | M6.1 | 일본 치바현 지진 |
07. 30. | M5.8 | 토리시마 근해 지진 |
10. 30. | M7.1 | 에게해 지진 |
12. 18. | M5.1 | 이즈 제도 군발지진 (2020년 12월) |
12. 29. | M6.6 | 크로아티아 페트리냐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문서가 존재하는 2021년 지진 | |||
[[틀:지진/2020년| 2020 → 2021 → [[틀:지진/2022년|2022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1월~8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12. | M7.1 | 몽골 지진 | |
01. 15. | M6.2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 |
02. 13. | M7.3 | 후쿠시마 해역 지진 | |
03. 04. | M7.4 | 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 |
03. 05. | M7.6 | ||
M8.2 | |||
03. 18. | M6.0 | 알제리 지진 | |
03. 20. | M7.0 | 미야기 해역 지진 (3월) [A] | |
04. 10. | M6.1 | 인도네시아 자바섬 남부 지진 | |
M5.2 | 토카라 열도 해역 군발지진 (2021년 4월) | ||
04. 28. | M6.4 | 인도 아삼 지진 | |
05. 01. | M6.9 | 미야기 해역 지진 (5월) [A] | |
05. 21. | M6.4 | 중국 윈난성 지진 | |
05. 22. | M7.4 | 중국 칭하이성 지진 | |
06. 16. | M6.1 | 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지진 | |
06. 23. | M5.8 | 페루 지진 (6월) [B] | |
07. 29. | M8.2 | 알래스카 지진 | |
07. 30. | M6.4 | 페루 지진 (7월) | |
08. 05. | M6.1 | 대만 동부 군발지진 | |
08. 06. | M5.4 | ||
08. 12. | M7.3 | 필리핀 민다나오 섬 지진 | |
08. 13. | M7.8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 |
M8.1 | |||
08. 14. | M7.3 | 알래스카 지진 [C] | |
M7.2 | 아이티 지진 | ||
08. 16. | M6.9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 |
08. 18. | M7.1 | 바누아투 지진 | |
08. 22. | M6.6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 |
08. 23. | M7.1 | ||
08. 26. | M5.8 |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중부 지진 | |
08. 31. | M6.5 | 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E] | |
[A]: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B]: 7월 30일 발생한 페루 지진과 문서 병합됨. [C]: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E]: 3월 5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9월~12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9. 08. | M7.1 | 멕시코 지진 | |
09. 16. | M6.0 | 중국 쓰촨성 지진 | |
M5.4 | 이시카와현 군발지진(2021년 9월) | ||
09. 22. | M6.0 | 호주 지진 | |
09. 27. | M6.0 | 그리스 크레타 지진 [F] | |
10. 02. | M7.3 | 바누아투 지진 [G] | |
10. 04. | M6.2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 |
10. 06. | M6.0 | 이와테 해역 지진 (10월) [A] | |
10. 07. | M6.1 | 파키스탄 지진 | |
M6.1 | 일본 치바현 지진 | ||
10. 08. | M6.1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 |
10. 09. | M7.0 | 바누아투 지진 [G] | |
10. 11. | M6.9 | 알래스카 지진 [C] | |
10. 12. | M6.4 | 그리스 크레타 지진 | |
10. 16. | M5.1 | 인도네시아 발리 섬 지진 | |
10. 18. | M6.1 | 바누아투 지진 [G] | |
10. 24. | M6.5 | 대만 이란현 지진 | |
11. 14. | M6.4 | 이란 남부 지진 | |
M6.3 | |||
11. 28. | M7.5 | 페루 지진 (11월) | |
12. 03. | M5.0 | 야마나시현 군발지진 | |
M5.5 | 기이수도 지진 | ||
12. 09. | M6.1 | 토카라 열도 해역 군발지진 (2021년 12월) | |
12. 14. | M7.6 |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지진 | |
M5.1 |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 ||
[A]: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C]: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F]: 10월 12일에 발생한 지진의 전진. [G]: 8월 18일에 발생한 바누아투 지진의 여진. (문서 병합됨)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3><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ddd><tablewidth=450><tablealign=center><bgcolor=#000> 문서가 존재하는 2022년 지진 ||
[[틀:지진/2021년| 2021 → 2022 → [[틀:지진/2023년|2023 | ||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 규모 | 지진명 |
<colbgcolor=#bc002d> 01. 08 | M 6.9 | 중국 간쑤성 지진 |
01. 17. | M 5.3 | 아프가니스탄 지진 (1월) |
01. 22. | M 6.7 | 일본 휴가나다 지진 |
02. 16. | M 6.3 | 과테말라 지진 |
02. 25. | M 6.5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 |
02. 04. ~ 05. 04. | ~M4.8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3월)[1] |
03. 16. | M 6.1 | 후쿠시마 지진 |
M 7.4 | ||
03. 23. | M 6.7 | 대만 화롄 해역 지진 (3월) |
03. 31. | M 7.0 | 뉴칼레도니아 지진 |
M 7.2 | ||
04. 01. | M 6.5 | |
04. 22. | M 5.8 | 보스니아 지진 |
05. 09. | M 6.6 | 대만 화롄 해역 지진 (5월) |
05. 12. | M 5.6 | 페루 리마 지진 |
05. 22. | M 6.0 | 이바라키 지진 (5월) |
05. 26. | M 7.2 | 페루 푸노 지진 |
06. 01. | M 6.1 | 쓰촨성 야안시 지진 |
06. 08. | M 6.7 | 브라질 지진 |
M 5.2 |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진 | |
06. 10. ~ 06. 14. | ~M6.0 | 쓰촨성 군발지진[2] |
05. 14. ~ | ~M5.5 | 이시카와현 노토 지방 군발지진 (2022년 6월)[3] |
06. 21. | M 6.2 | 아프가니스탄 지진 (6월) |
06. 26. | M 4.9 | 구마모토 지진 |
07. 02. | M 6.1 | 이란 남부 지진 |
M 5.7 | ||
M 6.2 | ||
07. 24. | M 5.7 | |
M 5.8 | ||
07. 27. | M 7.3 | 필리핀 루손 섬 지진 |
08. 11. | M 5.2 | 홋카이도 카미카와 지방 지진 |
M 5.4 | ||
09. 05. | M 6.8 | 쓰촨성 서남부 지진 |
09. 11. | M 7.7 | 파푸아뉴기니 지진 |
09. 17. | M 6.5 | 대만 타이둥 지진 |
09. 18. | M 7.3 | |
09. 19. | M 7.7 | 멕시코 카찬 데 에체베리아 지진 |
10. 29. | M 3.5 | 괴산 지진 |
M 4.1 | ||
11. 09. | M 5.0 | 이바라키 지진 (11월) |
11. 21. | M 5.7 |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지진 |
연도별 지진 틀 둘러보기 |
[1]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한 3월 8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2]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한 6월 10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3] 해당 군발지진은 해당 군발지진 중 가장 큰 지진인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한 6월 19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음.
3.4.1. 2021년 - 2030년
- 2021년
- 2021년 1월 12일 몽골 지진(M 7.1, 진도 VIII)
- 2021년 1월 15일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M 6.2, 진도 VII)
- 2021년 2월 13일 일본 후쿠시마현 해역 지진(M 7.3, 진도 6강)
- 2021년 3월 5일 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M 8.2, 진도 IX)
- 2021년 3월 15일 일본 와카야마현 북부 지진(M 4.6, 진도 5약)
- 2021년 3월 18일 알제리 해역 지진(M 6.0, 진도 VII)
- 2021년 3월 20일 일본 미야기 해역 지진(M 7.2, 진도 5강)
- 2021년 4월 9일 ~ 11월 5일 일본 토카라 열도 군발지진(최대지진: M 5.2, 진도 4)
- 2021년 4월 10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남부 해역 지진(M 6.1, 진도 V)
- 2021년 4월 18일 일본 미야기현 해역 지진(M 5.8, 진도 4)
- 2021년 4월 18일 대만 화롄 지진(M 6.2, 진도 6약급)
- 2021년 4월 28일 인도 아삼 지진(M 6.4, 진도 VII)
- 2021년 5월 1일 미야기 해역 지진(M 6.9, 진도 5강)
- 2021년 5월 21일 중국 윈난성 지진(M 6.4, 진도 VIII)
- 2021년 5월 22일 중국 칭하이성 지진(M 7.4, 진도 VIII)
- 2021년 6월 11일 대만 화롄 지진(1차 M 5.0 / 2차 M 5.3)
- 2021년 6월 16일 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지진(M 6.1, 진도 VI)
- 2021년 6월 23일 6월 페루 지진(M 5.8)
- 2021년 7월 22일 파나마 해역 지진(M 7.0)
- 2021년 7월 29일 알래스카 지진(M 8.2, 진도 VIII)
- 2021년 7월 30일 페루 지진(M 6.4, 진도 VII)
- 2021년 8월 3일 이바라키현 해역 지진(M 6.0, 진도 3)
- 2021년 8월 5일 ~ 대만 동부 군발지진(최대지진: M 6.1, 진도 4급)
- 2021년 8월 12일 필리핀 민다나오 섬 지진(M 7.3, 진도 VI)
- 2021년 8월 13일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1차 M 7.8, 진도 VI / 2차 M 8.1, 진도 VII)
- 2021년 8월 14일 아이티 지진(M 7.2, 진도 IX)
- 2021년 8월 14일 8월 알래스카 지진(M 7.3, 진도 VI)
- 2021년 8월 18일 바누아투 지진(M 7.1, 진도 VII)
- 2021년 8월 26일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중부 지진(M 5.8, 진도 VII)
- 2021년 9월 8일 멕시코 지진(M 7.1, 진도 VII)
- 2021년 9월 16일 쓰촨성 지진(M 6.0, 진도 VII)
- 2021년 9월 16일 이시카와현 군발지진(M 5.4, 진도 5약)
- 2021년 9월 22일 호주 지진(M 6.0, 진도 VII)
- 2021년 9월 27일 1차 그리스 크레타 지진(M 6.0, 진도 VI)
- 2021년 10월 2일 10월 바누아투 지진(M 7.3, 진도 IV)
- 2021년 10월 6일 이와테 해역 지진(M 6.0, 진도 5강)
- 2021년 10월 7일 파키스탄 지진(M 6.1, 진도 VII)
- 2021년 10월 7일 치바현 지진(M 6.1, 진도 5강)
- 2021년 10월 11일 10월 알래스카 지진(M 6.9, 진도 VI)
- 2021년 10월 12일 2차 그리스 크레타 지진(M 6.4, 진도 VIII)
- 2022년
- 2022년 7월 27일 필리핀 루손 섬 지진 (M 7.1, 진도 VII)
- 2022년 9월 17일 대만 타이둥 지진(M 6.4, 진도 6강)
- 2022년 9월 18일 대만 타이둥 지진(M 6.8, 진도 6강)
- 2022년 9월 19일 2022년 멕시코 카찬 데 에체베리아 지진(M 7.7, 진도 IX)
- 2022년 9월 21일 2022년 9월 러시아 지진 (M 6.0)
- 2022년 11월 14일 미에현 남부 지진 (M 6.1, 최대진도 4, 깊이 350km )
- 2022년 11월 14일 이시카와현 동부 지진(M 4.2, 최대진도 4)
- 2022년 11월 21일 2022년 인도네시아 자바섬 서부 지진(M 5.6)
[1] 그러나 정작 인지도는 2010년 아이티 지진(M 7.0)이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