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5 02:47:22

엘베강

엘베 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상징 국가(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지리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하위지역) · 헤센(하위지역) · 튀링겐(하위지역) · 니더작센(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하위지역) · 바이에른(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하위지역) · 자를란트(하위지역) · 작센(하위지역) · 작센안할트(하위지역) · 함부르크 · 브레멘(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베스트팔렌 · 라인강 · 라인란트 · 엘베강 · 도나우강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 산맥 · 보덴 호 · 모젤강 · 네카어강 ||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Thalys)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독일 마르크(폐지) · 유로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문화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만경강 · 미호강 · 밀양강 · 반포천 · 보성강 · 보통강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재령강 · 정안천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사로베츠가와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가와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 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 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 강 · 허드슨 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 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 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 강 · 스와니 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엘베강
Elbe | Elbe Riv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be.river.bastei.jpg

1. 개요2. 언어별 표기3. 역사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vacationstogo.com/1044.gif
엘베강 외에 라인강, 다뉴브강도 표시되어 있다.

독일, 체코, 폴란드, 오스트리아를 지나는 총길이 1,091km의 강이다. 다만 폴란드나 오스트리아를 흐르는 본류의 길이는 두 국가를 다 합쳐도 전체의 1%가 안 되고 독일 영토를 관통하는 길이가 전체의 70% 정도이고 체코가 30% 정도이다. 폴란드와 체코의 국경지대에 있는 스테티 산지를 수원으로 하여 체코 북부, 독일 동부를 흘러 하류에서 함부르크를 지나 북해로 흘러들어간다. 이름의 어원은 '강'을 뜻하는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Elfr'이다. 'Elfr'가 중세 저지 독일어 단어 'Elve'를 거쳐 'Elbe'로 정착된 것이다. 정작 엘베강 유역에 거주하던 고대 게르만족은 이 강을 'Albis(알비스)'라고 불렀다. 'Albis'라는 단어의 흔적은 엘베강을 가리키는 고지 독일어 단어 'Albiz'에 남아 있다. 독일의 드레스덴, 마그데부르크, 함부르크가 이 강을 끼고 발전한 도시들이다.

2. 언어별 표기

독일어 Elbe (엘베)
체코어 Labe (라베)
폴란드어 Łaba (와바)

3. 역사

엘베강이 기록에 등장하는 최초의 사례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에서이다. 이 저서에서 엘베강은 Albis[1]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프톨레마이오스와 동시대를 살아간 로마인들도 이 강을 Albis라고 불렀으며, 서기 1세기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엘베강을 로마 제국의 동쪽 국경으로 삼으려고 시도한다. 20년에 걸친 정복 사업 끝에 성공하는 듯이 보였던 엘베 강 이서지역 제패는 서기 9년 아르미니우스에 의하여 로마군이 토이토부르크 전투에서 참패하면서 물거품이 된다. 토이토부르크 전투 이후 로마 제국은 라인강 너머로 국경을 물렸고 이후 로마가 멸망할 때까지 라인강이 로마의 동북지역 국경으로 유지된다. 중간중간에 로마군이 라인강을 건너 군사작전을 진행한 경우도 있기는 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예방전쟁 차원에서 게르만족들을 억누르려고 넘어간 거지, 게르만족을 로마의 속주민으로 만들려는 시도는 없었다.

게르만족의 대이동과 서로마 제국의 붕괴 이후 무주공산이 된 이 일대는 슬라브족들의 차지가 된다. 카롤루스 대제프랑크 왕국9세기 경 이 지역을 자신들의 영토로 편입시키지만, 카롤루스 대제는 슬라브족들을 억누르는 대신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자치권을 허용하는 온건한 정책을 실시한다. 하지만 카롤루스 대제 사후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면서 다시 혼란기가 찾아오고, 북부의 색슨족이 남하하여 슬라브족들을 축출한다. 그나마 잔존해있던 슬라브족 주민들 역시 10세기 무렵 진행된 북방 십자군동방식민운동으로 인해 게르만족에게 동화되면서 자취를 감춘다.

해운 무역이 중심이 된 중세 시기, 엘베강은 중요한 무역 루트 중 하나였고 엘베강을 따라 자리잡은 한자동맹 소속의 도시들이 번영을 누린다. 중세를 지나 근대에 들어서도 엘베강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았고 1842년에는 서쪽의 베저강과 북쪽의 발트해를 이어주는 상업용 운하가 개설된다. 이 상업용 운하를 통해 독일 서부의 공업 지대와 독일 동부의 농업 지대가 교역이 더 활발히 진행되면서 독일의 경제 성장이 빨라진 것은 덤. 덧붙여서 내륙지방에 위치한 체코슬로바키아(당시 오스트리아의 속령) 역시 이 운하 덕분에 상공업이 크게 번성한다. 이 운하는 체코슬로바키아의 목숨줄과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가 독립할 당시 연합국은 체코슬로바키아를 보호할 목적으로 북해와 만나는 운하의 초입 지역(함부르크 일대)을 체코슬로바키아의 소유로 할 것을 명시한 조항을 베르사유 조약에 넣어 버린다. 그리고 이 소유권은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로 분할된 이후에는 체코에 소유권이 넘어갔으며, 2029년에 소유권이 종료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막바지에 다다르던 1945년 4월 29일에는 이 강 유역에 위치한 작은 도시 토르가우(Torgau)에서 미군소련군이 최초로 조우하기도 했으며, 종전 후 독일이 분단되면서 엘베강은 동독서독을 가르는 국경선이 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위에서 언급한 상업용 운하가 직격탄을 맞았다. 운하의 일부분이 동독의 영토로 편입되면서 마음대로 상선이 들락날락할 수 없었기 때문. 결국 서독은 운하를 다시 팠다. 다만 독일 재통일 이후로는 기존의 운하를 다시 사용한다고 한다.

4. 여담

  • 유럽에서 홍수가 잦은 지역이 바로 이 강의 유역이다. 당장 21세기 들어와서만 세 차례(2002, 2006, 2013)의 대형 홍수가 일어났다. 특히나 지난 2013년의 홍수는 근처의 대도시인 마그데부르크라이프치히를 직격해서 대피령이 떨어지고 해외 언론에서도 크게 다루어졌다.
  • 엘베강 동안은 10세기동방식민운동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슬라브인들의 영토였기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전간기에서 극단적인 폴란드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는 '엘베강까지 영토를 확장하자!'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물론 워낙 말도 안되는 소리인지라 반독 감정이 극심한 폴란드 내부에서조차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대체로 냉담했다. 한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이 엘베강까지의 독일 영토를 폴란드에 할양하는 방안을 잠시 고려한 적이 있었다.[2] 실제 엘베강을 독일-폴란드 국경선으로 삼았다면 독일은 그야말로 동방식민운동 이전의 독일 영토로 축소되는데 수도 베를린과 제2도시 함부르크마저 폴란드 영토가 된다.[3] 덤으로 현재 폴란드 영토가 독일보다 더 넓어졌을 것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잠시 고려된 것 뿐이지 이런 무리한 주장은 힘을 얻지 못하고 금방 철회되었다.
  • 히틀러의 최후를 둘러싼 무수한 카더라 가운데 소련이 히틀러의 시신을 화장해 그 재를 엘베강에다 뿌렸다는 썰도 있다. 물론 진실은 저 너머에.
  • 근세 이후로 독일어권은 엘베강을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로 나뉘곤 했다. 서부 지역은 자유주의, 상공업이 발달하여 부르주아 위주의 사회가 성립한 반면 동부 지역은 보수주의, 농업을 근간으로 하는 융커들이 장악했다. 근대 독일 역사에서 승자는 융커였지만 그 대가로 엘베강 동부 지역은 산업화된 서부 지역에 비해 낙후되고 만다. 그리고 융커가 몰락한 이후에도 이 일대를 통치한 것이 동독이라 서부와의 격차는 더 벌어진다.
  • 구간이 넓은 곳과 좁은 곳이 존재하는데, 특히 독일 쪽 넓은 구간에선 유럽 최대 높이의 227m 높이의 송전탑이 설치되어 있다. 가다가 보면 소름끼치게 크다는 의견이 많다.

[1] 고대 게르만어로 강이라는 뜻이다.[2] 이는 소련의 처사보다도 가혹한데, 승전국인 소련은 독소 불가침조약을 통해 폴란드 분할나치 독일과 사이좋게 나눠먹은 폴란드 반절의 대부분을 2차 대전이 끝난 후에도 뱉지 않았고, 이에 폴란드를 달랜답시고 패전국인 독일 영토를 떼어다가 폴란드에게 주었는데 그것이 지금의 현재 독-폴 국경인 오데르-나이세 선이다.[3] 물론 현재의 오데르-나이세 선이 그러하듯 강줄기를 그대로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엘베강이 독폴의 주 국경이 되었다 하더라도 함부르크까지 폴란드령으로 삼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실제로 독폴국경이 완전히 오데르강과 나이세강을 따르지도 않고 슈체친과 같은 예외사례도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