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15:11:15

뮌헨 공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북부 [[니더작센|
파일:니더작센 주기.svg
]] 하노버 · [[브레멘|
파일:브레멘 주기.svg
]] 브레멘 · [[함부르크|
파일:함부르크 주기.svg
]] 함부르크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파일: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기.svg
]] 로스토크-라게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기.svg
]] 뤼베크 블랑켄제 · 쥘트
동부 [[베를린|
파일:베를린 주기.svg
]] [[브란덴부르크|
파일:브란덴부르크 주기.svg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작센|
파일:작센 주기.svg
]] [[작센안할트|
파일:작센안할트 주기.svg
]] 라이프치히-할레 · 드레스덴 · [[튀링겐|
파일:튀링겐 주기.svg
]] 에어푸르트 바이마르
서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기.svg
]] 뒤셀도르프 · 쾰른 본 · 뮌스터 오스나브뤼크 · [[헤센|
파일:헤센 주기.svg
]] 프랑크푸르트 · [[라인란트팔츠|
파일:라인란트팔츠 주기.svg
]] · [[자를란트|
파일:자를란트 주기.svg
]] 자르브뤼켄
남부 [[바덴뷔르템베르크|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기.svg
]] 슈투트가르트 · 유로 에어포트FR · 바덴 에어파크 · [[바이에른|
파일:바이에른 주기 (2).svg
]] 뮌헨 · 뉘른베르크 · 메밍겐
FR : 프랑스 소재
}}}}}}}}}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솅겐지역 소속 공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국가 공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에인트호번 공항, 흐로닝언 공항, 로테르담-헤이그 공항, 마스트리흐트 아헨 공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브뤼셀 자벤텀 공항, 샤를루아 브뤼셀 쉬드 공항, 오스텐더 공항, 리에주 공항, 안트베르펀 공항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공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프랑크푸르트 공항, 뮌헨 공항,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뒤셀도르프 공항, 함부르크 공항, 쾰른-본 공항, 슈투트가르트 공항, 하노버-랑엔하겐 공항, 뉘른베르크 공항, 라이프치히-할레 공항, 드레스덴 공항, 한 공항, 브레멘 공항, 바덴 에어파크, 에어푸르트-바이마르 공항, 자르브뤼켄 공항, 메밍겐 공항, 드레스덴 공항, 뮌스터-오스나브뤼크 공항, 뤼벡-블랑켄제 공항, 로스토크-라게 공항, 쥘트 공항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취리히 공항, 제네바 공항, 장크트갈렌-알텐하인 공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빈 공항, 잘츠부르크 W.A.모차르트 공항, 인스브루크 공항, 린츠 공항, 그라츠 공항, 클라겐푸르트 공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로마 피우미치노 공항, 로마 참피노 공항, 밀라노 말펜사 공항, 밀라노 리나테 공항, 나폴리 국제공항, 코미소 공항, 트라파니 공항, 팔레르모 공항, 카타니아 공항, 레조디칼라브리아 공항, 라메지아 테르매 공항, 크로토네 공항, 브린디시 공항, 바리 공항, 포자 공항, 비에스테 공항, 페스카라 공항, 밀라노 베르가모 공항, 페루자 공항, 피사 국제공항, 피렌체 공항, 앙코나 공항, 리미니 공항, 볼로냐 굴리엘모 마르코니 공항, 볼로냐 포를리 공항, 파르마 공항, 크리스토포로 콜롬보 국제공항, 쿠네오 국제공항, 볼차노 공항, 트리에스테 공항, 토리노 공항, 베로나 공항, 베네치아 마르코 폴로 국제공항, 베네치아 트리비소 국제공항, 람페두사 공항(LMP), 판텔레루아 공항, 칼리아리 사르데냐 공항, 알게로 사르데냐 공항, 올비아 사르데냐 공항, 엘바 공항, 산 도미노 공항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몰타 국제공항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마드리드 바라하스 공항, 바르셀로나 엘 프라트 공항, 발렌시아 공항,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공항, 팔마 데 마요르카 공항, 말라가 코스타델솔 공항, 그란 카나리아 공항, 알리칸테 엘체 공항, 테네리페 수르 공항, 테네리페 노르테 공항, 이비사 공항, 란사로테 공항, 지로나-코스타 브라바 공항, 레우스 공항, 빌바오 공항, 아스투리아스 공항, 세비야 공항, 푸에르테벤투라 공항, 산타크루즈데라팔마 공항, 라코루냐 공항, 비고 공항, 비야돌리드 공항, 헤레즈 공항, 그라나다 공항, 산탄데르 공항, 알메리아 공항, 무르시아 공항, 비토리아 공항, 사리고사 공항, 도노스티아 공항, 카스테욘데라플라나 공항, 메노르카 공항, 살라망카공항, 레리다 공항, 라세우두르젤 공항, 팜플로나 공항, 레온 공항, 로그로뇨 공항, 멜리야 공항, 발베르데 공항, 산세바스티안 공항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리스본 공항,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국제공항, 포르투 프란시스쿠 사 카네이루 국제공항, 파루 공항, 폰타델가다 공항, 카스카이스 공항, 베자 공항, 비제우 공항, 빌라 레알 공항, 포르티망 공항, 브라간사 공항, 빌라두코르부 공항, 코르부 공항, 플로르스 공항, 그라시오사 공항, 산타마리아 공항, 상조르즈 공항, 피쿠 공항, 오르타 공항, 라즈스 공항, 포르투산투 공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 샤를 드골 공항, 파리 오를리 공항, 파리 보베 공항, 리옹 생텍쥐페리 공항, 툴루즈 블라냐크 공항, 마르세유 프로방스 공항, 보르도 메리냐크 공항, 니스 코트 다쥐르 공항, 스트라스부르 공항, 릴 공항, 낭트 아틀랑티크 국제공항, 캉 카르피케 공항, 유로 에어포트, 브레스트 브르타뉴 공항, 렌 생자크 공항, 비아리츠 페이 바스크 공항, 몽펠리에 메디테라네 공항, 툴롱 이에르 공항, 클레르몽페랑 오베르뉴 공항, 메츠 낭시 로렌 공항, 포 피레네 공항, 그르노블 알프 이제르 공항, 샹베리 사부아 공항, 생테티엔 루아르 공항, 도빌 노르망디 공항, 라로셸 일드레 공항, 베르제락 도르도뉴 페리고드 공항, 베지에 카프 다주드 공항, 카르카손 살바자 공항, 리모주 벨가르드 공항, 님 가롱 공항, 페르피냥 리브살트 공항, 타르브 루르드 피레네 공항, 로리앙 브르타뉴 쉬드 공항, 푸아티에 비아르드 공항, 투르 발 드 루아르 공항, 돌 쥐라 공항, 생말로 디나르 플뢰르튀 공항, 아작시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공항, 바스티아 포레타 공항, 피가리 쉬드 코르스 공항, 칼비 생트카테린 공항, 샬롱 바트리 공항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케플라비크 국제공항, 레이캬비크 공항, 아퀴레이리 공항, 베스트만나에이야르 공항, 토르쇼픈 공항, 후사비크 공항, 보프나피외르뒤르 공항, 그림세이 공항, 이사피외르뒤르 공항, 아르네스렙(자구르) 공항, 빌두달루르 공항, 회픈 공항, 에이일스타디르 공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코펜하겐 공항, 보른홀름 공항, 레쇠 공항, 로스킬레 공항, 쇠네르보르 공항, 빌룬 공항, 오르후스 공항, 올보르 공항, 에스비에르 공항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오슬로 공항, 베르겐 공항, 트론헤임 공항, 스타방에르 공항, 트롬쇠 공항, 스발바르 공항, 토르프 사네피오르 공항, 모이라나 공항, 스토르마르크네스 공항, 하르스타-나르비크 공항, 안데스 공항, 브뢰뇌이순 공항, 샌드네스요엔 공항, 산네스쇠엔 공항, 보되 공항, 모조엔 공항, 스볼베르 공항, 배뢰이 공항, 트뢰넬라그 공항, 남소스 공항, 레크네스 공항, 외를란 공항, 뢰로스 공항, 로르빅 공항, 뢰스트 공항, 바두포스 공항, 알타 공항, 함메르페스트 공항, 시르케네스 공항, 바드쇠 공항, 바르되 공항, 하스비크 공항, 락셸 공항, 메함 공항, 호닝스버그 공항, 쇠르쿄센 공항, 베를레보그 공항, 보츠피오르 공항, 푀르데 공항, 플로뢰 공항, 외르스타-볼다 공항, 몰데 공항, 크리스티안순 공항, 올레순 공항, 살렌-트리실 공항 공항, 크리스티안산 공항, 헤우게순 공항, 송달 공항, 산다네 공항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톡홀름 알란다 공항, 스톡홀름 브롬마 공항, 스톡홀름 베스테로스 공항, 스톡홀름 스카브스타 공항, 예테보리-란드베테르 공항, 키루나 공항, 말뫼 공항, 벡셰공항, 칼마르 공항, 스베그 공항, 론네뷔 공항, 할름스타드 공항, 해그퍼스 공항, 토스비 공항, 외레브로 공항, 트롤헤탄 공항, 비스뷔 공항, 엥엘홀름-헬싱보리 공항, 노르셰핑 공항, 린셰핑-사브 공항, 살렌-트리실 공항, 모라 공항, 외스테르순드 공항, 룰레오 공항, 옐리바레 공항, 아르비사우르 공항, 파얄라 공항, 우메오 공항, 순스발 공항, 크람포르스-솔레프테오 공항, 외른셸스비크 공항, 셸레프테오 공항, 빌헬미나 공항, 헤마반 공항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헬싱키 반타 공항, 이발로 공항, 키틸래 공항, 로바니에미 공항, 쿠사모 공항, 케미-토르니오 공항, 오울루 공항, 카야니 공항, 위베스퀠레 공항, 투르쿠 공항, 탐페레-피르칼라 공항, 포리 공항, 한리 공항, 우티 공항, 에논테키외 공항, 요엔수 공항, 쿠오피오 공항, 코콜라-피에타르사리 공항, 바사 공항, 라펜란타 공항, 미켈리 공항, 사본린나 공항, 바르카우스 공항, 마리에함 공항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렌나르트 메리 탈린 공항, 타르투 공항, 캐르들라 공항, 쿠레사레 공항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가 공항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빌뉴스 공항, 카우나스 국제공항, 팔랑가 공항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바르샤바 쇼팽 공항, 바르샤바 모들린 공항, 브로츠와프 코페르니쿠스 국제공항, 크라쿠프 요한 바오로 2세 국제공항, 그단스크 레흐 바웬사 공항, 슈체친-골레니우프 솔리다르노시치 공항, 우치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공항, 카토비체 보이치에흐 코르판티 공항, 포즈난-와비차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공항, 제슈프-야시온카 공항, 루블린 공항, 바르샤바 라돔 공항, 비드고슈치 공항, 지엘로나구라 공항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프라하 바츨라프 하벨 공항, 브르노 공항, 오스트라바 공항, 파르두비체 공항, 카를로비바리 공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국제공항, 코시체 공항, 포프라트 타트리 공항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리스트 페렌츠 국제공항, 데브레첸 국제공항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요제 푸치니크 국제공항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공항, 두브로브니크 공항, 스플리트 국제공항, 오시예크 공항, 풀라 공항, 자다르 공항, 리예카 공항, 브라치 공항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아테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 이라클리온 니코스 카잔차키스 국제공항, 테살로니키 마케도니아 국제공항, 로도스 디아고라스 국제공항, 코르푸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국제공항, 프레비자-레프가다 공항, 아락소스 공항, 칼리마타 공항, 카발라 공항, 알렉산드로폴리스 공항, 카스토리아 공항, 코자니 공항, 요아니나 공항, 볼로스 공항, 코스 공항, 사모스 공항, 미틸리니 공항, 카르파토스 공항, 하니아 공항, 산토리니 공항, 미코노스 공항, 스키아토스 공항, 케팔로니아 공항, 자킨토스 공항, 카스텔로리조 공항, 시티아 공항, 카소스 공항, 키티라 공항, 아스티팔라이아 공항, 레로스 공항, 칼림노스 공항, 밀로스 공항, 파로스 공항, 낙소스 공항, 시로스 공항, 이카리아 공항, 림노스 공항, 키오스 공항, 스키로스 공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소피아 국제공항, 부르가스 국제공항, 바르나 국제공항, 플로브디프 공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클루지나포카 공항, 부쿠레슈티 아우렐블라이쿠 국제공항, 이아시 공항, 티미쇼아라 공항, 시비우 국제공항, 수체아바 공항, 콘스탄차 공항, 오라데아 공항, 크라이오바 공항, 브라쇼브-김바브 공항, 사투마레 국제공항, 바이아마레 공항, 트르구무레슈 공항, 바커우 공항
}}}}}}}}} ||
뮌헨 공항
Flughafen München Franz Josef Strauß
Munich Airport
파일:뮌헨 국제공항 로고.svg
파일:external/www.airport-technology.com/4-munich-airport.jpg
IATA: MUC / ICAO: EDDM
개요
<colbgcolor=#f5f5f5,#191919> 국가 <colbgcolor=#ffffff,#1c1d1f>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치 Erding and Freising districts, Bavaria
종류 민간공항
소유 Flughafen München GmbH
운영 Flughafen Berlin Brandenburg GmbH
운영시간 06:00 ~ 22:00
개항 1992년 5월 17일
활주로 08R/26L (4,000m x 60m)
08L/26R (4,000m x 60m)
고도 453m (1,487 ft)
웹사이트 파일:뮌헨 국제공항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지도

1. 개요2. 운항노선
2.1. 대한민국 직항
3. 시설4. 연계 대중교통
4.1. 뮌헨 S반 노선 S-Bahn4.2. 루프트한자 급행 버스4.3. 지역 철도4.4. 시내버스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1992년에 개항한 독일 뮌헨 시내에서 동북쪽으로 28km 떨어져프라이징 및 인근 지자체에 걸쳐 있는 공항. 지금은 폐쇄된 뮌헨-림(München-Riem) 공항을 대체했다. 독일에서는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국제공항 다음으로 2번째로 바쁜 공항이고 전 유럽으로 따져도 10위 안에 드는 큰 공항이다. 과거 독일의 정치인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이름을 딴 공항이다.

루프트한자의 양대 허브 공항 중 하나이다. 스카이팀 및 기타 항공사들은 터미널 1을 쓰고 루프트한자와 스타얼라이언스 항공사들은 터미널 2를 쓴다.

2. 운항노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뮌헨 공항/운항노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뮌헨 공항/운항노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뮌헨 공항/운항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대한민국 직항

대한민국으로는 루프트한자가 단독 운항 중이다. 루프트한자(LH718/719)가 취항하고 있으며, A350-900이 투입된다.[1]
  • 성수기
    • LH719(주7회): 11시 40분(ICN) → 17시 50분(MUC)
    • LH718(주7회): 15시 55분(MUC) → 09시 55분+1(ICN)
  • 비수기
    • LH719(주5회): 13시 30분(ICN) → 18시 50분(MUC)
    • LH718(주5회): 15시 40분(MUC) → 10시 50분+1(ICN)

한때 대한항공이 뮌헨행을 운항했지만 수익성 문제로 인해 단항하며, 현재는 루프트한자만 인천 - 뮌헨 직항을 운항 중이다. 루프트한자가 아니고 다른 항공사를 이용할려면 무조건 환승해야 한다. 루프트한자의 협력을 위한 무리한 요구를 이용한 노선이라는 특징이다. 자세한건 루프트한자 참고.

3. 시설

프랑크푸르트는 오래된 느낌이 들고 동선도 꼬여 있는 반면, 이 공항은 인천공항처럼 깨끗한 느낌이 들고 동선도 단순하다.[2]

퍼스트 클래스 혹은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라운지는 매우 넓다. 이용객은 라운지 내에서 각종 간식과 독일 맥주를 맛볼 수 있다. 무료로 공장제 아이스크림을 먹을 수 있다. 다만 점심 시간 전후로 가면 사람이 정말 많아서 앉을 자리 찾기도 쉽지 않다. 터미널 2 도착층엔 카지노가 있다. 1터미널 근처에 힐튼 호텔이 있다.[3]

공항 내에 FC 바이에른 뮌헨의 팬샵이 2군데 있다. 한 곳은 체크인 전에, 한 곳은 체크인 후 보이는 면세점과 함께 있다. 만약에 급히 선물용이나 개인용으로 뮌헨 굿즈를 구해야 하면 이곳을 찾아도 된다.[4]

4. 연계 대중교통

뮌헨 시내와 공항을 잇는 대중교통은 S반과 루프트한자 급행버스가 전부이다. 프랑크푸르트와의 비교는 민망할 정도고, 심지어 장거리 허브보다는 지역 공항에 가까운 베를린이나 뒤셀도르프도 풍부한 지역열차 노선망을 자랑하는 걸 생각해보면 뮌헨은 그 규모나 중요성에 비해 독일 연방정부와 도이체반의 무관심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걸 알 수 있다.

ICEIC같은 장거리 열차는 다니지 않으나 2019년 8월 30일 바이에른주 교통장관인 한스 라이히하르크가 ICE 정차를 추진중이라는 보도자료가 나왔다. 2022년에는 뮌헨-잉골슈타트 고속 선로에 덧붙여 뮌헨 국제공항까지 선로를 신설하여 ICE를 30분 배차간격으로 운행하는 초안을 도이체반에서 발표했다.[5] 그러나 2023년에 연방 정부에서 이 계획을 거부하여, 해당 노선의 현실화 가능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

4.1. 뮌헨 S반 노선 S-Bahn

노선 정차역 소요시간 배차간격
S1 뮌헨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베주허파크 - 노이파른 - 오버슐라이스하임 - 펠트모힝[6] - 모스아흐[7] - 라임[8] - 히르슈가르텐 - 돈너스베르거 브뤼케[9] - 하커브뤼케 - 중앙역[10] - 칼스플라츠[11] - 마리엔플라츠[12] - 이자르토어 - 로젠하이머 플라츠 - 동역[13] - 로이히텐베르크링[14] 공항 - 중앙역 45분 20분
S8 뮌헨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베주허파크 - 이스마닝 - 운터푀어링 - 다글핑 - 로이히텐베르크링[15] - 동역[16] - 로젠하이머 플라츠 - 이자르토어 - 마리엔플라츠[17] - 칼스플라츠[18] - 중앙역[19] - 하커브뤼케 - 도너스베르거 브뤼케[20] - 히르슈가르텐 - 라임[21] - 파징[22] - 베스트크로이츠 - 헤르싱 공항 - 중앙역 42분 20분

뮌헨 시내와 공항을 연결하는 S반 노선은 S1, S8 두개가 있다. 배차간격은 각각 20분이므로, 합쳐서 10분 간격이 되는 셈이다.

두 노선은 시내 운행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S1은 공항 -> 시내 방향일때 서쪽에서 동쪽으로[23] 운행하고, S8은 공항 -> 시내 방향일때 동쪽에서 서쪽으로[24] 운행한다. 반면 시내 -> 공항 방향으로 올 경우에는 S1은 동쪽에서 서쪽 방향 열차를 타야 하고, S8은 서쪽에서 동쪽 방향 열차를 타야 한다. 따라서 그때마다 승강장을 잘 확인하고 타는 것이 좋다.

소요시간은 중앙역 기준으로 했을때 두 노선이 비슷하다. 그러나 만약 실제 출발지/목적지가 중앙역이 아니라 시내 중심부의 마리엔플라츠(Marienplatz) 또는 동역 등의 시내 동쪽이라면, S8을 타는 것이 시간상 조금이나마 유리하다.

뮌헨 S반의 고질병인 도심 지하터널 병목현상에서 이 노선들도 자유롭지 못한데, 이 노선들이 중앙역으로 가려면 도심 S반 터널을 통과해야 한다. S1은 현제 계획중인 제 2터널이 완공되면 그쪽으로 옮겨갈 예정이다.

4.2. 루프트한자 급행 버스

루프트한자에서 운행하는 급행 버스(Lufthansa Express Bus)를 타는 방법도 있다. 공항 터미널 2에서 중앙역까지 운행하며, 배차간격은 20분이다. 요금은 인터넷 구매시 편도 12.00유로, 왕복 19.30유로.[25]
노선 정차역 소요시간 배차간격
Lufthansa Express Bus 뮌헨 국제공항 터미널 2 - 뮌헨 국제공항 센터 (MAC) - - 뮌헨 국제공항 터미널 1D - 뮌헨 슈바빙/노르트프리드호프[26] - 중앙역[27] 터미널1D - 중앙역 45분 20분

4.3. 지역 철도

지역 철도 노선이 있지만, 뮌헨 시내 방향이 아니라 북쪽 레겐스부르크 방향으로 운행한다.
노선 정차역 소요시간 배차간격
RE 22 뮌헨 국제공항 - 프라이징 - 란츠후트 - 하겔슈타트 - 레겐스부르크 공항 - 레겐스부르크 1시간 22분 60분

4.4. 시내버스

MVV에서 운행하는 버스 노선이 있지만, 뮌헨 시내 방향이 아니라 북쪽 프라이징(Freising) 방향으로 운행한다.
노선 정차역 소요시간 배차간격
635 뮌헨 국제공항 터미널 1/MAC - 프라이징[28] 터미널1 - 프라이징 20분 20분

5. 여담

6. 둘러보기

스카이트랙스 선정 세계 공항 순위 Top1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본 순위는 2025년 기준으로 이곳를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싱가포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
하마드 국제공항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인천국제공항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뮌헨 공항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취리히 공항
같이 보기: 세계 공항 순위 Top100, 공항/순위
}}}}}}}}} ||
[1] 이전에는 A340을 투입했었다.[2] 터미널 1과 2간의 거리가 멀지 않아 환승 시 소요시간이 짧다.[3] 퀄리티는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비하면 비교적 떨어진다.[4] 이외에도 뮌헨 시내 곳곳에 구단 팬샵이 있기 때문에 뮌헨 내에서 굿즈 구하기는 상당히 쉽다.[5] 출처[6] U2 환승[7] U3 환승[8] S2, S3, S4, S6, S8 환승[9] S7 환승[10] U1, U2, U4, U5, U7, U8 환승[11] U4, U5 환승[12] U3, U6 환승[13] S2, S3, S4, S6, S7, U5 환승[14] S8 환승[15] S1 환승[16] S2, S3, S4, S6, S7, U5 환승[17] U3, U6 환승[18] U4, U5 환승[19] U1, U2, U4, U5, U7, U8 환승[20] S7 환승[21] S1, S2 환승[22] S3, S4, S6 환승[23] 라임 -> 중앙역 -> 동역[24] 동역 -> 중앙역 -> 라임[25]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참조[26] U6 환승[27] U1, U2, U4, U5, U7, U8 환승[28] S1 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