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교통 시설 | ||
도로 | 분류 | 자동차전용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 |
등급 |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
시설물 | 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 ||
기타 |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 ||
철도 | 분류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 |
형태 | 지하철 · 고가철도 | ||
시설물 | 역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 ||
항만 | 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 ||
공항 |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 ||
기타 | 운하, 갑문 | ||
공간 시설 |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 |||
유통·공급 시설 | |||
유통·생산 | 공장 · 물류 터미널 | ||
공급 | 수도 |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 |
전기 |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 ||
방송·통신 |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 ||
시장 | 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 ||
유류 | 주유소 | ||
공공·문화 체육 시설 | |||
공공 기관 | 중앙관청 및 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 ||
교육 | 유치원 · 학교 · 학원 | ||
문화 |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 ||
체육 | 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 ||
복지 |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 ||
방재 시설 | |||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보 · 댐 · 빗물펌프장 · 저류지 | |||
보건 위생 시설 | |||
의료 | 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 ||
결혼 | 결혼식장 | ||
장례 |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 ||
기타 | 도축장 | ||
환경 기초 시설 | |||
하수도 | 하수 처리장 · 정화조 | ||
폐기물 처리 | 매립지 · 소각장 | ||
기타 | 폐차장 | }}}}}}}}} |
자치구청인 서울특별시 마포구청 | 일반구청인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청 |
[clearfix]
1. 개요
區廳 / Gu[1] Office대한민국이나 중국, 일본 등 한자 문화권의 구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관할하기 위한 지방관청이다. 구청을 이끄는 사람은 구의 장이지만 구장이라고 부르지는 않고[2] 구청장이라고 한다.
2. 상세
2.1. 명칭
대한민국에서는 구청(區廳)이라고 부르고, 중국에서는 구정부(區政府), 대만에서는 구공소(區公所)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구역소(区役所)라고 한다.2.2. 직제
일반구와 자치구의 차이가 있다. 자치구의 경우 자치구청장은 주민 선거에 의한 선출직 공무원이며(기초자치단체장-시장, 군수와 동급), 1~3급(인구 50만 이상은 1급, 10만 이상은 2급, 이하는 3급.) 공무원 대우를 받으며, 행정안전부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한 자치구의 조례를 통해 직제를 개편할 수 있다. 즉, 국이나 과를 몇개씩 두고 이 조직의 역할은 무엇이라는 것을 자치구가 알아서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구는 자치구역(지방자치단체)이 아닌 단순 행정상 구역이기 때문에, 일반구를 두고 있는 특정시의 조례에 구속된다. 일반구의 구청장은 4급 지방공무원이며, 특정시의 조례를 통해 국이 없이 바로 5급 공무원을 앉히는 과로 쪼개지고 업무를 본다. 단, 100만 이상 시의 40만 이상 구의 구청장은 3급으로 보하는 것이 가능하다.2.3. 근무 환경
국민에게 직접적인 종합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청이자, 중앙정부에서 계획한 정책을 직접 수행하는 관청으로서, 행정 최전선에서 위치한 관청이다. 인적 구성은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의 지방공무원들, 그 중에서도 일반행정직 공무원들이 주류로서 활동한다. 주로 대민업무를 수행하다보니, 행정안전부와 도청 그리고 시청 같은 상위 기관을 비롯하여 기획재정부, 문화재청 등의 기타 부처청과는 분위기가 매우 다르다. 중앙 부처들을 비롯한 다른 관공서들은 보안이 철저하고 정갈한 사무적인 분위기가 있지만, 구청은 민간인의 출입이 자유롭고, 그렇게 출입하는 민간인들 중 민원인으로 찾아온 이들의 고성이 끊이지 않는 도떼기시장 같은 분위기다. 업무적으로도 상위 부처들은 업무 범위와 근무 시간이 비교적 잘 지켜지지만, 구청은 개인은 물론이거니와 부서별로도 업무분장이 애매모호한 경우가 매우 많으며, 근무 시간도 수방과 제설 등의 재난업무와 지역 축제 관련 동원 등으로 근무 시간조차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는 경우가 잦다. 그래서 구청 직원들은 다른 관공서의 직원들과 달리, 근무지에서 주거지가 멀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아에 도보 통근이 가능할 정도의 거리에서 거주하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대민업무 최일선에서 종합행정 업무를 하다보니, 얇지만 광범위한 지식과 임기응변 그리고 화술에 능한 공무원들이 많다. 하지만 대민업무로 인한 스트레스로 자살하는 공무원도 많으며, 언론에서 보도가 되는 자살한 공무원들 중 대다수는 구청과 구청의 부속기관인 동사무소의 공무원들이다. 여러모로 꽤나 거칠고, 일정하지 않은 업무 환경을 가지고 있기에 공무원으로서의 업무를 반복적인 업무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서의 유연한 대처가 필요한 업무가 성향에 맞는지 심사숙고하고 입직하는 것이 좋다.2.4. 교통
구청은 상위기관인 시청에 비해 위치의 선정이 자유롭다. 시청은 정치적 압력으로 전혀 원하지 않는 곳[3]에 들어갈 수도 있다. 그러나, 구청은 이런 정치적 압력의 구속을 덜 받기 때문에 입지가 비교적 자유롭다. 그래서 예산이 허용하는 한, 주거지구나 상업지구와 연계되어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구청의 이름을 딴 구청역은 서울 및 경기도의 강남구청역, 강동구청역, 강서구청역, 금천구청역[4], 마포구청역, 양천구청역, 영등포구청역, 부평구청역, 수지구청역[5]. 대구 동구청역[6], 북구청역, 수성구청역, 중구청역. 인천 남동구청역, 서구청역으로 총 15개이다. 부역명으로 구청의 이름을 사용하는 역 또는 구청에 인접한 역까지 합치면 이 숫자는 더 늘어난다. 그리고 대한민국 각지에 철도망이 더욱 확충되면서 이 수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3. 외국의 구청
대만 신베이시 신뎬구공소 |
프랑스 파리시 제9구청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역소 |
4. 관련 문서
[1] 자치구의 경우 District도 사용 가능하다.[2]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구장'(區長, qūzhǎng; 취장, 区長, くちょう; 쿠쵸)이라고 부른다. 특이하게 일본식 한자음으로는 '구장'과 구청(区庁, くちょう; 쿠쵸)의 발음이 같다.[3]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시흥시와 사천시로 지역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정확하게 중간 지점에 시청이 들어가서 주변에 아무 것도 없다. 시청이 입지한 후 주변 지역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지만, 금융위기로 부동산 경기가 어렵다.[4] 본래 해당 역명은 시흥역이었으나, 2008년에 지금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5]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로서는 최초이다.[6] 개통 당시의 역명은 큰고개역이었지만 2017년 3월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