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교통 시설 | ||
도로 | 분류 | 자동차전용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 |
등급 |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
시설물 | 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 ||
기타 |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 ||
철도 | 분류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 |
형태 | 지하철 · 고가철도 | ||
시설물 | 역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 ||
항만 | 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 ||
공항 |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 ||
기타 | 운하, 갑문 | ||
공간 시설 |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 |||
유통·공급 시설 | |||
유통·생산 | 공장 · 물류 터미널 | ||
공급 | 수도 |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 |
전기 |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 ||
방송·통신 |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 ||
시장 | 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 ||
유류 | 주유소 | ||
공공·문화 체육 시설 | |||
공공 기관 | 중앙관청 및 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 ||
교육 | 유치원 · 학교 · 학원 | ||
문화 |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 ||
체육 | 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 ||
복지 |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노치원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 ||
방재 시설 | |||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보 · 댐 · 빗물펌프장 · 저류지 | |||
보건 위생 시설 | |||
의료 | 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 ||
결혼 | 결혼식장 | ||
장례 |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 ||
기타 | 도축장 | ||
환경 기초 시설 | |||
하수도 | 하수 처리장 · 정화조 | ||
폐기물 처리 | 매립지 · 소각장 | ||
기타 | 폐차장 | }}}}}}}}} |
1. 개요
우편취급국(郵便取扱局)은 우정사업본부에서 위탁하는, 순수한 우편 업무만 취급하는 간이 우체국이다. 업무시간은 평일 아침 09시에서 오후 18시까지이다.대부분 인구 밀집 지역의 아파트 단지, 빌딩 등 건물 외부에 있으면 우편취급국, 소규모의 대학교 내부, 병원 내부, 공업단지, 법원, 공항 등 건물 내부에 있으면 우편출장소라고 부른다. 보통 우편 수요가 있는 사각 지역에 많이 설치되어 있다. 별정우체국보다 세우기 쉽기 때문에, 새마을금고나 신용협동조합에서 수익 사업으로 우편취급국을 운영하는 경우도 많다.
2014년 7월에 우정사업본부가 우편 이용률 하락에 따른 운영 적자를 이유로, 구조조정 과정에서 대학교 캠퍼스 내 상당수 우체국들을 폐국하고 우편취급국으로 전환하였다. 당초 2020년까지 대학교 우체국을 모두 폐국할 예정이었으나, 대학 내 우편 수요는 상당히 많은 편이기 때문에 우편취급국 전환 후 현상 유지 중이다. 대학교 내 우편취급국은 그 특성상 해당 대학생활협동조합에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도 있다.
이 곳의 직원은 당연히 공무원이 아니다. 인원이 휴가 등으로 부족할 때는 총괄국에서 파견하기도 하지만. 또한 한 번 허가를 받으면 거의 무제한 갱신이 가능한 별정우체국과 달리, 3년마다 허가를 갱신해야 한다.
우체국보다 등급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념우표 등이 발매되는 경우 우편취급국보다 가까운 총괄우체국에 가는 편이 우표 입수에 훨씬 수월하다. 그리고 우체국에 가면 우표지도 하나씩 비치되어 있기도 하고. 물론 적당히 오래된 우표 중 유통 중인 것, 일반국에 없는 우표 등을 입수하려면 한번 쯤 들러 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한동안 '우편취급소'가 정식 명칭이었지만, 2008년 5월 6일에 '우편취급국'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우편취급소'라고 더 많이 불리고 있다.
우편취급국에서는 금융업무[1][2]와 팩스업무[3]를 볼 수 없다.(우체국창구업무의 위탁에 관한 법률 제3조, 같은 법 시행령 제10조 제2호) 정식 우체국이나 별정우체국과 달리 기본적으로 금융 업무는 취급하지 않지만, 새마을금고나 신협이 운영하는 우편취급국에서는 금융 업무도 볼 수 있다. 물론 우체국예금보험이 아닌 해당 조합이나 금고의 상호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전에 대학교 캠퍼스 내 우체국이었다가 전환된 곳들은 우체국 ATM을 설치하고 있는 곳들도 있다.[4] 서울망원동우편취급국 등 스마트 ATM이 설치된 일부 우편취급국에서는 창구 업무도 볼 수 있다.
2. 관련 문서
[1] 단, 일부 취급국에서는 ATM이 비치되어 있다. 보험 업무는 국장이나 직원이 우체국보험 FC 자격(개인사업자)으로 취급하기도 한다.[2] 이것 때문에 우체국의 체계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금융 업무를 보기 위해 우편국에 찾아오고, 직원들은 이곳은 우편국이며 금융 업무는 우체국에 가야 한다며 우체국으로 인계하는 경우도 잦다. 이런 광경은 이제 막 성인이 된 대학생들이 주 고객인 대학교 내 우편취급국에서 특히 자주 볼 수 있다.[3] 일부 취급국에 한하여 가능한 곳도 있다.[4] 물론 금융업무를 보지 않으므로 해당 ATM이 우편취급국의 소유는 아니다. 통장을 찍어 보면 알겠지만, 대개 해당 소재 지역의 총괄우체국 관할로 나오거나 점외ATM으로 찍힌다. 근처에 있는 우체국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