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T(A)-4 "Amtank" |
1. 개요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LVT(A)-4 기동 영상 |
LVT(A)의 A는 Armored를 뜻한다.
2. 제원
<colbgcolor=#808000> LVT(A)-4 "Amtank" | |
제원 | |
개발기관 | 미 육군 병기부 |
개발연도 | 1943년 |
생산 댓수 | 1,890대 |
운용 연도 | 1943년 ~ 1959년 |
운용 국가 | 미국 포함 6개국 |
전장 | 7.98m |
전폭 | 3.25m |
전고 | 3.112m |
전비 중량 | 18.3t |
탑승 인원 | 5명 (조종수, 부조종수, 전차장, 포수, 탄약수) |
엔진 | 컨티넨탈 W670-9A 7기통 가솔린 |
사용 연료 | 가솔린 |
최고 출력 | 250hp |
출력비 | 13.66hp |
현가 장치 | 토션 바 현가장치 |
최고 속도 | 지상 주행: 전진 40km/h, 후진 5km/h 수중 도하: 전진 12km/h, 후진 10km/h |
항속 거리 | 500km |
주무장 | 75mm M2 곡사포 1문 (100발) |
부무장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정 (400발), M1919A4 1정 (3,000발) |
3. 특징
LVT(A)-4 상부 시점 |
특히 LVT(A)-4는 후대의 화력지원 상륙장갑차에 대한 설계 및 사상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훗날 소련의 PT-76이나, BMP-1과 같은 장갑차/경부항전차 등의 설계에 영향 또한 어느정도 주었다.
태평양 전쟁 시기 실전을 치른 LVT(A)-4는 해병대의 주력 전차인 M4A2 셔먼이 상륙하여 전투 준비를 할 동안 일본군을 상대로 75mm M2 곡사포의 강력한 화력을 기반으로 출혈을 강요하는 활약을 하였다.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도 1950년대 6.25 전쟁까지 사용되다 휴전 후 다수의 차량들이 미국의 우방국들에 넘겨져서 1970년대까지 헌역으로 이용되었다.
4. 개발사
시범 기동 중인 미 해병대 소속 LVT(A)-4 |
오픈형 포탑으로 파편에 취약하다는 단점은 있었으나, 애초에 역할 자체가 주력 전투차량이라기보다는 본격적인 전차인 M4 셔먼이 상륙하기 전까지 화력 지원을 맡는 소방수였던 터라 크게 문제되지는 않았다. 육군과 해병대 모두 75mm의 위력에 만족하여 총 1890대가 생산되었다.
5. 형식
5.1. LVT(A)-4
LVT(A)-4 |
도합 1,890대가 생산되어 이 중 1,307대는 미 해병대로, 50대는 인도 제국군 및 영연방군 측으로, 나머지는 세계 각국으로 판매되었다.
5.1.1. 초기형
LVT(A)-4 (Early) |
5.1.2. 후기형
LVT(A)-4 (Late) |
5.2. LVT(A)-5
LVT(A)-5 |
LVT(A)-5 기동 영상 |
도합 269량이 생산되었으며, 미 해병대 소속으로 사용되다 퇴역 이후로는 중화민국 등의 우방국에 판매되었다.
6. 파생형
6.1. 미국
6.1.1. 무장 교체 파생형
6.1.1.1. LVB
LVB |
6.2. 중국
6.2.1. 무장 교체 파생형
6.2.1.1. LVT(A)-4 (94식)
LVT(A)-4 (九四式) |
6.2.1.2. LVT(A)-4 (ZiS-2)
LVT(A)-4 (ZiS-2) |
당장 제26전차사단이 촬영한 사진을 제외하고는 잔존 개체가 얼마나 되는지, 몇대가 개조 되었는지 등에 대해서도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나마 알려져 있는 것은 6.25 전쟁 이후에도 잠시간 사용되었다가 퇴역하였다는 것이다.
1949년, 국공내전이 한창이던 당시, 화이하이 전투에서 중화민국 국군은 M3A3, LVT(A)-4, LVT-4 등의 차량으로 대규모 공세를 진행했다.
그러나, 중화민국 국군은 수륙양용장갑차를 운용하는 것에 미숙했으며, 게다가 미리 만반의 준비를 해두고 있던 중국공농홍군의 반격으로 인해 대다수의 LVT(A)-4와 LVT-4 장갑차 수를 유기하고 후퇴했고, 이때 남겨진 차량들을 홍군이 노획하게 된다.
화이하이 전투에서 얼마 안 지난 시점, 홍군은 국민혁명군의 군기지를 습격해 LVT-4와 LVT(A)-4로 가득 찬 격납고를 발견했으며, 일전의 화이하이 전투에서 노획한 차량들과 군기지에서 약탈한 VLT-4와 LVT(A)-4를 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큰 문제가 있었는데, 다름이 아니라 미제 75mm 곡사포의 포탄의 수량이 매우 적어, 이를 정상적으로 운용하는데에 차질이 빚어졌던 것이다.
기껏 얻은 멀쩡한 장갑차를 이 때문에 다시 유기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기에 중국공농홍군의 상층부에서는 고심끝에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은 57mm ZiS-2 대전차포를 옮겨 달아 사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LVT(A)-4 (ZiS-2)의 주요 개선 사항은 역시 무장이었으며, 기존의 포방패에는 ZiS-2 대전차포의 주퇴복좌기가 들어가지 못하였기에 포방패를 제거하고, 측면에 추가장갑을 용접하여 포탑을 연장시키는 마개조를 통해 이를 성공시켰다.
이렇게 개조된 LVT(A)-4 (ZiS-2)는 중국공농홍군 소속으로 편제되었다가, 얼마 안가 중화인민공화국이 선포되며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으로 재편제되어 사용되었다.
비록 얼마나 개조되었는지에 관하여 수량을 알 수는 없지만, 이 물건의 의의는 중국 최초로 개발된 대전차자주포라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7. 평가
7.1. 장점
- 높은 기동성
M4A1의 구동계를 활용하여 기동성은 셔먼 시리즈와 동일하였다. 이 때문에 거대한 차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기동성을 확보 가능하였다.
- 수륙 양용
알파이자 오메가인 장점으로,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투입 가능하며 상륙작전시 즉각적인 직사화력지원이 가능한 사실상 최고의 장점이였다.
- 뛰어난 주포 내림각
M8 스콧의 포탑을 그대로 유용하였기에 주포 내림각 또한 매우 뛰어났으며, 이는 고각 40도, 저각 -20도라는 엄청난 각도를 통해 높은 차체임에도 내림각이 뛰어났기에 바로 앞에 있는 적들도 타격이 가능하였다.
- 높은 보병지원 화력
75mm 곡사포는 운용이 편리하고, 고폭탄 화력이 매우 뛰어난 편이었기에 벙커나, 땅굴을 부수는 것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부무장인 M2 중기관총이나, 브라우닝 기관총 또한 적 보병을 상대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7.2. 단점
- 거대한 차체
수륙양용을 해야하는 특성상, 차체가 매우 넓고 높은 편에 속했는데. 이 탓에 멀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우선 타격 목표가 되는 불상사를 겪기도 하였다.
- 빈약한 장갑
역시 마찬가지로 수륙양용을 위해 희생할 수 밖에 없던 부분으로, 제일 두꺼운 장갑 수치가 겨우 12mm밖에 되질 않아 사실상 소총탄에도 관통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하였다.
- 느린 포탑 회전 속도
M8 스콧의 포탑을 이용했기에 해당 돌격포의 단점 또한 같이 물려받았는데, 후기형에서는 전기 모터를 탑재하여 해당 단점에서는 벗어날 수 있었다.
7.3. 총평
총평으로는 화력지원형 보병수송차량이라는 개념을 적립한 장갑차라고 볼 수 있다.보병들을 수송하면서 주력인 전차가 올 때까지 화력 지원을 통해 적을 압박한다는 점과, 수송이 간편하다는 점, 그러면서도 장갑의 빈약함으로 인해 장갑차라는 지위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는 점 등, 각종 특징이 현대의 화력지원형 보병수송차량과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전후에는 국공내전, 한국전쟁 등에서도 참전하여, 해병대를 지원하는 활약을 여가없이 보여주었으며, 육군에게는 M4 (105), M7 프리스트 등이 있었다면, 해병대에는 LVT(A)-4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8. 실전
8.1. 대전기
8.1.1. 제2차 세계 대전
8.1.1.1. 태평양 전쟁
8.1.1.1.1. 사이판 전투
사이판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소속 LVT(A)-4 |
8.1.1.1.2. 필리핀 탈환전
레이테 섬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소속 LVT(A)-4 |
8.1.1.1.3. 펠렐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산하 B중대 소속 LVT(A)-4 "17번차" |
8.1.1.1.4. 이오지마 전투
이오지마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산하 A중대 소속 LVT(A)-4 "솔트워터 카우보이" 32번차[2] |
특히, LVT(A)-4들은 넓은 용적을 이용해 부상자들을 빠르게 후송하거나, 혹은 화산재로 무른 땅을 거침없이 헤쳐나가며 셔먼과 같은 후발 차량들이 자리를 잡을 수 있을 때까지 일본군을 상대로 큰 출혈을 강요하였다.
8.1.1.1.5. 오키나와 전투
오키나와 전투 당시의 미 해병대 산하 제1기갑수륙양용대대 A중대 소속 LVT(A)-4 |
결국 오키나와 전투가 승리로 끝나면서 태평양 전쟁이 연합군의 승리로 끝나는데에 공헌하게 되었다.
8.2. 냉전
8.2.1. 국공내전
8.2.1.1. 화이하이 전역
화이하이 전역 직후의 중국공농홍군 노획 중화민국 국군 소속 LVT(A)-4 |
8.2.2. 6.25 전쟁
8.2.2.1.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작전 당시 고양군 행주면 인근의 미 해병대 소속 LVT(A)-4[3] |
인천 상륙작전 당시 미 해병대 소속 LVT(A)-4 운용 영상 |
8.2.2.2. 중공군 1차 공세
중공군 1차 공세 당시의 중국 인민해방육군 산하 제26전차사단 소속 LVT(A)-4 (ZiS-2)[4] |
하지만 제26전차사단의 경우, 유의미한 실전을 겪지 않았으며, 잔존한 LVT(A)-4 (ZiS-2) 모두 제26전차사단이 철수를 결정하며 1952년 4월에 전량 본토로 송환되었다.
8.2.3. 베트남 전쟁
8.2.3.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의 프랑스 극동 원정군단 소속 LVT(A)-4 네임드 차량 "자나르" |
9. 운용국
9.1. 아메리카
9.1.1. 북아메리카
9.1.1.1. 미국
미국 문화유산 박물관 소장 미 해병대 소속 LVT(A)-4 32번차 "솔트워터 카우보이" |
9.2. 유럽
9.2.1. 서유럽
9.2.1.1. 프랑스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LVT(A)-4 "2281133번차" |
9.3. 오세아니아
9.3.1. 오스트랄라시아
9.3.1.1. 호주
호주 기갑 포병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LVT(A)-4[6] |
9.4. 아시아
9.4.1. 동아시아
9.4.1.1. 중화민국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중화민국 해병대 소속 LVT(A)-5 |
이후 1960년대 LVT(A)-5 또한 도입되어 사용되었으며, 70년대에 LVT-6가 새로 도입되면서 완전 퇴역한 것으로 추정된다.
9.4.1.2. 중국
베이징 전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제26전차사단 소속 LVT(A)-4 |
9.4.2. 남아시아
9.4.2.1. 인도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소속 LVT(A)-4 |
현재는 기병전차박물관에 1량이 소장되어 있다.
10. 미디어
10.1. 영화
10.1.1. 애욕과 전장
애욕과 전장에 등장한 미 해병대 소속 LVT(A)-5 "2832번차" |
10.2. 드라마
10.2.1. 더 퍼시픽
더 퍼시픽에서 등장한 미 해병대 소속 LVT(A)-4 |
10.3. 게임
10.3.1. 워 썬더
LVT(A)(4) (ZiS-2) | ✪LVT(A)(4) (ZiS-2) |
해당 파생형의 주포 자체의 성능은 매우 좋은 편이지만, 차체가 매우 커서 은닉하기 어려운데다가 오픈탑에, 포탑 회전이 좌우 최대 25도만 구현되어 있어서 원본과 달리 전방위 회전이 아예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7]
그렇지만 기동성은 매우 뛰어난 편에 속하는데다, 수륙양용이라는 특수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전장 상황에 구애 받지 않고 호수나 바닷가를 건너가 섬과 같은 곳을 선점하기 매우 편리하며, 주포인 57mm ZiS-2는 뛰어난 관통력을 가지고 있다.
LVT(A)(4) (ZiS-2) 계열 파생형은 워 썬더에서 등장하는 냉전 시기에 제작된 전차들 중 배틀 레이팅이 제일 낮다.
LVT(A)(4) |
차체 성능은 미국 정규트리 예비 장비인 LVT와 동일하며, 무장은 M8 스콧과 동일한데, 이 때문에 장거리 저격이 어렵고 쉽게 격파당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여 현실의 사용례와 같이 근거리, 중거리에서 화력지원차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만 M2 중기관총을 부무장으로 사용하고 있기에 저격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해당 기관총으로 무장을 교체해 저격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으며, 수륙양용이므로 전장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전황을 타개 가능하다는 장점 또한 보유하고 있다.
10.3.2. 탄극련
LVT ZiS-2 |
11. 모형
11.1. 프라모델
11.1.1. 드래곤 모델
LVT-(A)4 |
11.1.2. 이탈레리
LVT (A) 4 |
11.2. 브릭
11.2.1. 브릭매니아
AMTANK LVT(A)-4 |
12. 참고 문헌
- LVT 시리즈 잔존 개체 목록
- 위키피디아 영문판 LVT 문서
- 위키피디아 중문판 중국인민해방군 제26전차사단 문서
- Panzerserra LVT(A)-4 프라모델 제작기
- 워 썬더 위키 LVT(A)(4) 문서
- 워 썬더 위키 LVT(A)(4) (ZiS-2) 문서
- 워 썬더 위키 ✪LVT(A)(4) (ZiS-2) 문서
- 위키워리어 LVT(A)-4 ZiS-2 문서
13. 둘러보기
국공내전 시기의 중국공농홍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e2910> 국공내전의 홍군 기갑차량 | |||||
전차 | <colbgcolor=#de2910> 탱켓 | 92식 중장갑차 | ||||
경전차 | L3/35NRA, 아식 구돈반전차NRA, M3A3 스튜어트NRA, M5A1 스튜어트NRA, 97식 전차 치하NRA/L, 97식 전차 치하 개량형NRA/L, 공신호 경전차M, 95식 경전차 하고 | |||||
중형전차 | M4A2NRA/M | |||||
장갑차 | 95식 장갑궤도차 소키, M3A1 스카웃카NRA, LVT(A)-4NRA, LVT(A)-4 (94식)NRA | |||||
자주포 | 대전차 자주포 | LVT(A)-4 (ZiS-2)NRA/M/X, LVT-4 (ZiS-3)NRA/M/X | ||||
자주포 | 94식 75mm 산포 탑재 치하NRA | |||||
※ 윗첨자NRA: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M: 개조한 차량 ※ 윗첨자X: 국공내전 극후반~ 전후에 편제되어 사용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공신호 전차CN, M5A1CN/? | |
중형전차 | T-34-76X, T-34-85, M4A2 (76) WX | ||
중전차 | IS-2CN | ||
화염방사전차 | OT-34CN | ||
장갑차 | BA-64, BTR-40 | ||
자주포 | SU-76M, LVT(A)-4 (ZiS-2)CN | ||
다연장로켓 | 카츄샤 다연장로켓 | ||
차량 |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 ||
모터사이클 | M-72 | ||
노획 차량 |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 ||||
전차 | 경전차 |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 |||
공수전차 | M551 셰리든 | ||||
주력전차 |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 |||
궤도장갑차 |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 ||||
차량 | 소형 |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 |||
트럭 |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 |||
자주박격포 | M125, M106 | ||||
대전차 자주포 |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 ||||
대공 차량 | 자주 대공포 |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태국군의 운용장비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현대 인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인도군 (1947~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M4A1E6C/R, M4A3E4, M4A4R, M4A1E9 (SA50)M/R M4A4 (76)C/R, M4A4 (SA50)M/R, M4A4 (D-56T)M/R | ||||
MBT | 1세대 | 센추리온R, T-54BR, T-55(A/1951년형)R, 59식 전차C/R, | |||
2세대 | T-72A, 비쟈얀타R | ||||
3세대 | T-90S 비쉬마 Mk.(1, 2) · T-90MS 비쉬마 Mk. 3, T-72M1 아제야 Mk.(1, 2), 아준 Mk.(1, 1A) | ||||
경전차 | AMX-13R, PT-76, M3A3 스튜어트R, {조라와르}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BRDM-2, FV701 페렛, 카스피르, 아디트야, 타타 WhAP | |||
궤도장갑차 | BMP-2 사라스, BMP-1R, FV432, 타모르 HAPCM, PRP-3, NAMICA, {FICV}, Sisu NA-201, TOPAS(2A)/FRT TOPAS | ||||
차량 | 소형 | 마힌드라 550, 마힌드라AXE, 미쓰비시 파제로, 마루티 집시, 윈디 505, 타타 사파리, 토요타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티그르 | |||
트럭 | KrAZ-6322, 스와라즈 마츠다, 이스즈 F시리즈, VFJ-LPTA713TC · 스탈리온 Mk.(3/4), 타타 LPTA1615TC/1621 · 프리마 4038S/4938S · 타트라 BEML 시리즈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FV433 애봇R, 2S1, K-9 바즈라-T, {MGS} | |||
자주평사포 | M-46 캐터펄트R | ||||
자주박격포 | CMT | ||||
대전차자주포 | Mk.I 아처R, M36B2C/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2K22M1 퉁구스카, 소스나-R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9K35 스트렐라-10, 9K33 오사, {BMP-2 아카시M} | ||||
다연장로켓 | BM-21, 9A52-2T, 피나카 MBRL Mk.(1, 2, 3)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VFJ 경구난차, 유크티라스 경구난차, CL-70, ARV-2, ARV-3, VT-72B | |||
AEV | AERV, BMP-2 불도저M, OT-62 FV180 C.E.T. | ||||
교량 차량 | 카르틱 ABL, MT-55, T-72 BLT, 살바트라, CEASE | ||||
기타 | 하이드레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일설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의 수륙양용전차의 경우, 대만 섬 상륙에 필수적인 존재이기에 이 물건도 장부 제원과 같은 대다수의 사양이 극비에 부쳐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2] 1945년 2월에서 3월 경 촬영된 사진이며, 해당 단차는 현재 미국 문화유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1950년 9월 20일 촬영된 영상에서 발췌하였다.[4] 1951년 즈음에 촬영된 사진이다. 특히, 사진의 전차병들이 소련제 전차병 헬맷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걸로 국공내전 시기가 아니라 6.25 전쟁 시기에 촬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5] 국공내전 시기 노획되어 개조된 물건이지만, 시기가 시기였던데다가 수리 및 무장 교체까지 8개월이라는 시간이 소모되어 참전 시기를 놓쳤기에 실질적인 최초의 전투는 중공군 1차 공세로 보는 편이 옳다.[6] 원래 코로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개체로, 현재 복원 작업중에 있다.[7] 고증오류가 명백하지만, 워썬더 측에서는 수정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