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2:50:59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인도-파키스탄 전쟁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배경 카슈미르 분쟁 · 인도-파키스탄 관계
전쟁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방글라데시 독립전쟁)
제한전 카길 전쟁 ·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기타 인도군 · 파키스탄군 · 인도의 핵개발 · 파키스탄의 핵개발
}}}}}}}}} ||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파키스탄 관계 관련 문서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역사 무굴 제국 ·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 · 인도 제국
사건사고 뭄바이 연쇄 테러 · 인도 분단 · 인도-파키스탄 전쟁(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 카길 전쟁) ·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 카슈미르 총기 난사 테러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외교 인도-파키스탄 관계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관계 ·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관계 · 중국-인도-파키스탄 관계 · 영연방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제1차 인도 파키스탄 전쟁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한글)
Indo-Pakistani War of 1947–1948 (영문)
१९४७ का भारत-पाक युद्ध(힌디어)
پاک بھارت جنگ 1947(우르두어)
파일:Pakistani_soldiers_during_the_1947–1948_war.jpg1947년 12월 5일, 잠무 카슈미르 지방 스리나가르 비행장에 착륙한 인도군
인도-파키스탄 전쟁의 일부
1947년 10월 22일 ~ 1949년 1월 5일
장소
카슈미르
원인
카슈미르 지역에 대한 영유권 분쟁
교전 국가 및 세력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인도 자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 자치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잠무 카슈미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령 카슈미르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잠무 카슈미르}}}{{{#!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파키스탄 자치령|{{{#!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키스탄 자치령}}}{{{#!if 출력 != null
}}}}}}]]

무슬림 민병대
지휘관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루이 마운트배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루이 마운트배튼}}}{{{#!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자와할랄 네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와할랄 네루}}}{{{#!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무함마드 알리 진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무함마드 알리 진나}}}{{{#!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리쿠아트 알리 칸
병력
-명 -명
결과
UN의 개입과 정전
영향
카슈미르 지역의 영유권 분할
피해규모
인도 육군 1,103명 사망
카슈미르 지역군 1,990명 사망 및 실종
인도 공군 32명 사망
3,154명 부상
인명 피해 총 6,279명
6000명 사망
14,000명 이하 부상
1. 개요2. 배경3. 경과4. 결과5. 둘러보기

1. 개요

1947년 10월 22일부터 1949년 1월 5일까지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생한 인도 자치령파키스탄 자치령 간의 전쟁.

2. 배경

공식적으로 확전된 10월 이전부터 이미 카슈미르를 두고 인도와 파키스탄 정부 사이에서는 갈등이 있어왔고, 이는 2차 대전 이후 인도의 독립과 종교 갈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었다(인도 자치령, 파키스탄 자치령, 인도 제국 문서와 함께 읽는 것도 좋다).

잠무 카슈미르는 1815년 전에는 아프가니스탄의 에미르가 지배하는 영토와 소국이 통치하는 영토를 합쳐서 총 22개의 국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무굴 제국의 힘이 약화되자 카슈미르 일대는 시크 제국의 지배 하로 들어갔다. 그러나 펀자브 일대의 영유권 다툼으로 영국 동인도 회사와 시크 제국은 전쟁을 한다. 이 전쟁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가 승리하여 카슈미르를 획득하였다. 그러나 카슈미르가 오지에 위치하고 또한 시크 제국이 배상금을 지불하려고 들지 않자 영국은 잠무를 다스리던 굴라브 싱에게 카슈미르를 75만 루피를 받고 팔아버린다. 이는 잠무 카슈미르 왕국으로 이어졌고 인도 제국이 망할 때까지 번왕국인 지속되었다. 이로인해 힌두교도가 다수인 잠무와 무슬림이 다수인 카슈미르가 합쳐졌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기나긴 영국의 지배가 끝나고 인도 제국의 독립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정치세력이 독립된 무슬림의 국가 수립을 요구하면서, 인도 제국은 힌두교를 비롯한 비무슬림 진영과 이슬람교 진영 간의 갈등에 휘말리게 되었다. 두고 인도 내의 종교 분쟁이 심화되기 시작하였고, 다이렉트 액션 데이가 터지면서 종교간의 갈등은 폭력사태로 번졌다.

결국 이를 보다 못한 영국은 인도 제국을 분할하기로 하여 동벵골 지역과 인도 제국 서북부를 분리하여 1947년 8월 14일에 무슬림 국가인 파키스탄 자치령을 세웠고, 나머지 지역에는 8월 15일에 비무슬림 국가인 인도 자치령을 세웠다. 이로 인해 인도 제국은 인도파키스탄이라는 2개 국가로 갈라지게 되었다.

한편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 당시인 1947년에는 독립된 인도 번왕국 중 하나인 도그라 왕조의 영토였다. 이 당시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으로 편입되거나, 독립을 유지할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런데 카슈미르 지역은 거주 주민이 대부분이 무슬림이었고, 통치자인 왕 하리 싱은 힌두교도였다. 하리 싱은 처음에 카슈미르 지역의 독립을 유지하려고 했다.

잠무 카슈미르 왕국은 무슬림 인구가 90% 이상인 카슈미르와 힌두교도가 60% 이상인 잠무, 그리고 무슬림과 티베트 불교도가 비등비등한 라다크로 나뉘어 있었다. 한편 셰이크 압둘라가 이끄는 잠무 카슈미르 민족회의는 세속주의를 지지해서 이슬람주의가 다수인 파키스탄과 합병을 싫어했다. 그래서 세속주의자들이 많은 인도 국민회의와 동맹을 맺었다. 이를 불편하게 여긴 하리 싱은 셰이크 압둘라를 감옥에 투옥하였다. 파키스탄은 카슈미르를 자국의 영토로 병합하길 원했고 이를 위해 굴마르 작전을 시행하였다. 파키스탄 독립 6일 뒤인 8월 20일 각각 1,000명으로 이루어진 파슈툰족으로 구성된 라슈카르(부족 민병대)가 훈련을 받은 뒤 파키스탄이 제공하는 트럭을 파고 카슈미르로 갔다. 그 와중에 푼치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푼치는 잠무 카슈미르 왕국의 자치 공국으로 무슬림이 다수였다. 푼치의 무슬림들은 영국이 인도를 다스리던 시절부터 영국령 인도의 펀자브에 흡수되기 위해 시위를 벌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벌어지자 푼치와 미르푸르 지역의 6만명 무슬림은 인도제국군에 입대하였고 전쟁이 끝난 뒤 돌아왔다. 6만명 무슬림들은 세금 납부 거부 투쟁을 벌이자 하리 싱은 이들의 무장을 해제하려고 했다. 이에 푼치의 무슬림들이 반발하자 하리 싱은 유혈 진압을 하였다. 이에 1947년 10월 3일 라왈핀디에 모인 무슬림 회의 지도자들은 아자드 카슈미르 정부를 선포하였다. 또한 길기트에서도 문제가 발생했다.

길기트는 1935년부터 영국은 이 지역을 잠무 카슈미르 왕국으로부터 60년 간 임차하여 직접 통치하고 있었고, 영국 장교들이 주둔했다. 그러나 영국이 물러가자 잠무 카슈미르 왕국의 마하라자인 하리 싱은 간사라 싱을 길기트의 총독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무슬림이 다수인 길기트 스카우트를 지휘하고 있던 영국군 소령인 윌리엄 알렉산더 브라운은 간사라 싱에게 길기트는 무슬림이 다수이니 파키스탄에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간사라 싱이 이를 거부하자 윌리엄 알렉산더 브라운 소령은 간사라 싱 총독을 전복시킬 쿠데타를 계획하였다. 윌리엄 알렉산더 브라운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간사라 싱을 구금하고 이 지역의 통제권을 파키스탄에 넘겼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하리 싱은 인도에 편입할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이미 그는 8월 11일 친파키스탄 총리인 찬드라 카크를 해임하고 친인도인 자낙 싱을 총리로 임명하였다. 이를 본 파키스탄의 초대 총리인 리아콰트 알리 칸은 카슈미르에 개입을 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먼저 잠무 카슈미르 왕국에 휘발유, 설탕, 소금의 공급을 중단하고 열차 운행을 중단시켰다. 그리고 서부 펀자브에 군기지를 세워서 카슈미르로 탄약과 물자를 보내기 시작했다. 이렇게 분위기가 무르익자 무슬림 대다수가 폭동을 일으켰다. 이에 하리 싱은 인도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하였다.[1] 당시 인도 총리인 자와할랄 네루는 셰이크 압둘라의 석방을 요구함과 동시에 잠무 카슈미르 왕국이 인도에 병합될 것을 강권하였다. 이에 하리 싱은 그 조건을 받아들였고 결국 카슈미르에 인도군이 진입하였다.

그 과정에서 과거 잠무 카슈미르의 수도였던 잠무에서는 6만에 달하는 무슬림 주민들이 학살당하였다. 이후 파키스탄 역시 이슬람계 주민들의 보호를 명분으로 개입하며 10월 22일에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의 전쟁으로 번졌다. 다만 파키스탄은 정규군을 파견하지 않고 파슈툰 등 부족 중심의 민병대를 파견했는데, 이는 명목상으로 파키스탄 정부는 인도와의 평화 통일을 지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실상은 파키스탄 장성들이 전략을 짜고 파키스탄 장교들이 일선의 지휘를 맡는 등 사실상 정규군이 개입한 상태였고, 인도 역시 처음에는 카슈미르 번왕국 군대를 지원하는데 그치다가 스리나가르라다크 지역이 위협을 받자 정규군을 대거 투입하였다.

3. 경과

1947년 10월 22일 아자드카슈미르의 주도인 무자파라바드를 파키스탄이 지원하는 파슈툰족 민병대가 공격함으로서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 무자파라바드에 주둔한 하리 싱의 군대는 순식간에 패배하였다. 소수의 민병대에게 다수의 정규군이 패배한 이유는 파슈툰족 민병대 중에는 변장한 파키스탄 현역 군인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자파라바드를 제압한 민병대는 바로 스리나가르로 가기 보다는 도시에 남아있는 주민들을 상대로 약탈 및 범죄를 저질렀다. 이들이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 사이 인도군은 드완 란짓 라이 중령의 지휘 하에 군대와 장비를 스리나가르로 공수하였다. 약탈이 끝난 파슈툰족 민병대들은 스리나가르를 공격했지만 이미 방어가 단단해지 스리나가르를 점령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결국 후퇴하였다. 그러자 인도군은 이들을 잽싸게 추격해 우리와 바라물라를 탈환하였다.

한편 반란이 일어났던 푼치에도 파슈툰족 민병대가 개입하기 시작했다. 파슈툰족 민병대와 푼치의 퇴역군인들은 푼치를 포위하였다. 이에 인도군은 드완 란짓 라이 중령에게 푼치의 구원을 명했다. 이에 드완 란짓 라이 중령이 이끄는 인도군은 푼치로 갔지만 포위를 해제하는 데 실패하였다. 한편 1947년 11월 25일 카슈미르 지역군은 파키스탄의 파보 기병대의 도움으로 미르푸르를 점령하였다. 미르푸르에 살고 있던 20,000명의 비무슬림이 사망했으며, 추가로 2,500명이 납치되는 학살이 벌어졌다.[2]

카슈미르 지역군은 장가르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장가르는 푼치와 미르푸르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했다. 그래서 푼치와 미르푸르에 있는 파슈툰족 민병대와 카슈미르 지역군에 무기와 물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장가르를 점령하는 것이 필수였다. 이들이 장가르를 점령하자 인도군은 이 지역을 탈환하기 위해 반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 시점에서 파키스탄은 노골적으로 이들을 지원하기 시작했고 이에 더 많은 인도군이 투입되면서 전선이 안정화되기 시작했다.

한편 길기트를 성공적으로 점령한 카슈미르 지역군은 라다크의 중심도시인 를 점령하기 위해 카길을 점령한 다음 스카르두로 향했다. 스카르두에는 소수의 인도군 밖에 없었다. 스카르두를 점령하기 위해 카슈미르 지역군은 스카르두를 포위하였다. 이에 셰르 융 타파 준장은 본부에 구원군을 요청하였지만 스카르두로 향하는 길목이 험해서 인도군은 구원을 해주지 못했다. 1948년 8월 14일 탄약마저 떨어지자 6개월 같은 농성을 끝으로 인도군은 항복하였다. 그리고 스카르두는 현재까지도 길기트 발티스탄의 일부가 되었다. 스카르두를 점령한 카슈미르 지역군은 레로 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레까지 향하는 길목은 높고 험해서 이들은 게릴라에 시달렸다. 그 사이 인도군은 항공편으로 무기와 군대를 보내 방어를 강화하였다. 험한 지형과 고산병에 시달려 지친 카슈미르 지역군은 레에 도착하기는 커녕 카길에서 멈추었고 이를 놓치지 않고 인도군은 바로 카슈미르 지역군을 공격하였다. 이에 놀란 카슈미르 지역군은 스카르두로 철수하였다.

한편 전쟁이 길어지자 인도군은 더 많은 물자와 병력을 카슈미르로 보내기 시작했다. 이에 1년 넘게 포위된 푼치의 포위가 풀렸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파키스탄은 정규군을 더 보내려고 했지만 UN이 개입하기 시작했다. 사실 인도와 파키스탄 서로 더 이상 전쟁을 이어나가는 것을 별로 선호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들은 UN의 중재안을 받아들였다.

4. 결과

중재안의 결과 파키스탄은 정규군과 비정규군을 모두 카슈미르에서 철군시켜야 했고 인도는 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병력을 카슈미르에 주둔시킬 수 있었다. 그 후 카슈미르의 주민들의 의사에 따라서 주민투표를 실시하여야 했지만 비무장화에 대한 의견 차이로 주민투표는 실시되지 않았고 휴전선은 사실상 양국의 국경이 되었다.

전쟁에서 인도군은 총 1,104명이 사망하고 3,154명이 부상당했으며, 파키스탄군은 약 6,000명이 사망하고 14,000명이 부상당했다.

양측의 전쟁은 교착 상태로 끝이났지만 인도가 카슈미르, 잠무, 라다크를 포함한 잠무 카슈미르 왕국의 영토 3분의 2를 장악해서 인도의 승리라는 의견이 다수이다. 이는 파키스탄도 동의하는 바로 사실상 전쟁이 패전으로 끝이 나자 이에 분노한 육군 장교들은 악바르 칸 장군을 중심으로 쿠데타를 일으켜 리아콰트 알리 칸 총리를 쫓아내려고 했지만 실패하였다.

5. 둘러보기

<nopad> {{{#!wiki style="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60%, #cc000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px; letter-spacing: -.2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 주요 사건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colbgcolor=#000><width=1%>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봉쇄 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샌프란시스코 조약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다뉴브 작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폴란드 계엄령 · 악의 제국 연설 · 그레나다 침공 ·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 관련 문서 ]
||<-2><tablewidth=100%><width=1000><bgcolor=#000> 국제 기구 ||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
파일:인도 국장.svg 인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46a38>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47 ~ 1949,
<colbgcolor=#fff,#191919>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고아 해방
,196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중인전쟁
,196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6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67년 인도-중국 국경 분쟁
,196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1971,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카길 전쟁
,1999,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인도-방글라데시 국경분쟁
,1999,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17,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2019,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0,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2022,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202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파키스탄 국장.svg 파키스탄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411C> 전쟁·분쟁 교전국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47 ~ 1949,
<colbgcolor=#fff,#191919>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제1차 중동전쟁
,1948,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발루치스탄 분쟁
,1948 ,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스탄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
,196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1971,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1971-1972).svg 방글라데시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 ~ 1989,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 아프가니스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국민동맹(SNA)
카길 전쟁
,1999,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테러와의 전쟁
,2001 ~ ,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예멘 내전
,2015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혁명위원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19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2019,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1년 아프가니스탄 내전
,2021,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2024년 이란-파키스탄 분쟁
,2024,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4년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분쟁
,2024,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202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5년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분쟁
,2025,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



[1] 사실상 이때 카슈미르의 인도령 편입을 승인한 셈이다.[2] 사건이 벌어진 11월 25일은 현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미르푸르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