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 |
<colbgcolor=#315288> 강화 곤릉 江華 坤陵 Golleung Royal Tomb, Ganghwa | ||
소재지 | <colbgcolor=#fff,#1f2023>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75번지 | |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려시대 | |
수량/면적 | 96,260㎡ | |
지정일 | 1992년 3월 10일 | |
시대 | 고려 고종[1] | |
소유단체 | 산림청 | |
관리단체 | 강화군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2015년 촬영된 곤릉(坤陵)[2] |
1. 개요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원덕태후의 왕릉 곤릉 坤陵 | |
| |
매장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75 |
조성형태 | 단릉(單陵) |
매장자 | 원덕태후 (1239년 5월 사망)[음력] |
조성시기 | 1239년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곤릉(坤陵) 전경[4] |
고려 제24대 국왕 강종의 제2비 원덕태후 유씨가 안장된 왕릉.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하고 있다.
2. 상세
원덕태후는 고종의 어머니로 강종 1년(1212)에 왕비가 되고 연덕궁주에 봉해졌다. 이후 원덕태후로 추존되고 1253년에 정강의 시호가 더해졌다는 고려사 기록이 존재하는데, 정확한 사망 시기가 확인되지 않아 조성 연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학계에서는 1239년(고종 26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후 시간이 흐르고 왕조가 바뀌며 두 번의 전란이 온 국토를 휩쓰는 동안 존재가 잊혀졌다가, 현종 5년(1664년) 강화유수로 재직하던 조복양(趙復陽)[5]이 현종의 명을 받아 보수하였다. 이후 관원들이 해마다 순찰을 돌며 능역을 관리하였고, 고종 4년(1867년) 위치가 확인된 고려왕릉 전체를 일시에 정비하면서 '고려원덕왕후곤릉(高麗元德王后坤陵)'이라 적힌 표석이 세워졌다.
현재의 모습은 1974년 무너진 봉분을 보수한 이래 2004년 발굴조사 및 정비를 거쳐 완성되었다.
1992년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6]
고려 고종의 홍릉, 고려 희종의 석릉, 고려 원종 제1비 순경태후의 가릉과 함께 남한에 남아있는 몇 안 되는 고려왕릉 중 하나이다.
3. 구조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발굴조사 당시 촬영된 곤릉(坤陵)의 능역[7]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
석실 입구와 내부 모습[9] |
석실 바닥에는 길이 30cm의 전돌을 깔아 포장하였으며, 가운데에 4개의 장대석을 조립한 관대를 마련하였다.[12] 입구는 문지방석과 문기둥석을 세워 조성한 다음 커다란 판석 1매를 세워 폐쇄하고 지지석 2개를 괴어 보강하였다.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
표석과 석인상 머리[13] |
그 외에 고종 때 제작된 '고려원덕왕후곤릉(高慮元德王后坤陵)' 표석이 세워져있다.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 |
곤릉에서 출토된 유물들[14] |
4. 정말 진짜 곤릉이 맞는가?
최근 연구에 의하면 현재 곤릉은 비정이 잘못됐다고 추측되기도 한다.이 경우 원덕태후의 곤릉이라고 알려진 무덤은 바로 희종이 묻힌 왕릉인 석릉이라고 본다. 반대로 석릉이라고 알려진 고분이 반대로 원덕태후가 묻힌 진짜 곤릉이라고 본다. 즉, 가까운 거리에 소재한 두 왕릉의 비정이 조선 시대를 거치며 서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정의 근거로는 위계 상으로는 곤릉의 위계가 석릉보다 더 높게 조성되었다고 볼 정황이 있기 때문이다. 곤릉은 규모 면에서나 출토 유물 면에서나 전부 석릉보다 위계가 앞선다.#
[1] 정확한 조성 시기가 확인되지 않는다.[2]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음력] [4]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5] 형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 강화도 내 잔존 고려왕릉 전체의 관리가 이 사람 대부터 시작되었다.[6] 지정 당시 사적 제371호. 현재는 번호를 매기는 것이 문화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다는 이유로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는다.[7]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8] 주산으로부터 내려온 좋은 기운을 능침에 불어넣어 주는 역할을 하는 언덕.[9]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10] 이때 벽면과 천장 전체에 회칠을 하였으나 현재는 흔적만 남아있다.[11] 일반적인 고려왕릉은 12각으로 병풍석을 두른다.[12] 관대 내부에서 전돌 1매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관대 내부 또한 전돌을 깔아 포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3]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14] 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