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8 13:29:10

한화 이글스/2026년/스토브리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화 이글스/2026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화 이글스/선수단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026 시즌별 경기
}}}
<colbgcolor=#fc4e00,#fc4e00> 오프시즌 스토브리그 스프링캠프 시범경기
정규시즌 3~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 개요2. 과제3. 교육리그4. 마무리캠프5. 선수단 변화
5.1. 프런트·코칭 스태프
5.1.1. 영입·보직 변경5.1.2. 퇴단
5.2. 선수 이동
5.2.1. FA
5.2.1.1. FA 대상자 및 신청 여부5.2.1.2. FA 결과
5.2.2. 2026 KBO 신인 드래프트5.2.3. 2026 2차 드래프트5.2.4. 외국인 선수 계약, 아시아쿼터 선수 계약5.2.5. 트레이드5.2.6. 신인 육성선수 영입5.2.7. 자유계약선수 영입5.2.8. 군 입대 및 군 전역(및 소집해제) 현황5.2.9. 은퇴5.2.10. 방출 / 임의 해지5.2.11. 육성 전환
6. 스프링캠프7. 논란 및 사건 사고8. 스토브리그 총평9. 관련 문서

1. 개요

한화 이글스의 2026 시즌 전 진행 상황을 기록한 문서이다.

2. 과제

  • 주전 중견수 발굴
    지난 시즌 개막전 중견수 플로리얼이 웨이버 공시된 관계로 2009년과 2010년 강동우 이후 2011년부터 16년 연속 다른 중견수[1]를 기용할만큼 한화의 고질병으로, 제대로 된 중견수를 발굴하거나, 영입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2010년대 중후반에는 FA로 데려온 이용규로 한동안 짐을 덜어 놓았지만, 2021년 키움으로 이적한 이후 5년 동안 단일 시즌 500이닝 이상 중견수 수비를 소화한 선수는 4명[2][3]이나 되며, 이 중 풀타임 중견수는 터크먼이 유일할 정도로 답이 없는 상태이다. 오죽하면 팀을 떠난지 20년이 다 된 데이비스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다.

    FA는 2021년에 정수빈를 영입을 시도했지만 잔류하면서 실패했고, 박해민박건우를 비롯해 중견수 경험이 있는 나성범까지 중견수 자원이 넉넉했던 2022년 FA 시장에서는 참전 조차 안하고 논란만 일으켰다. 2차 드래프트로 데려온 중견수 자원 중 정진호는 주로 코너 외야만 보다 2년 만에 방출되면서 은퇴했고, 김강민은 고령이기도 했고, 부상과 부진이 겹치며 이적 1년 만에 은퇴했다. 또한, 트레이드로 데려온 이명기는 부상으로 나오지도 못하며 이적 2년 만에 은퇴했고, 이진영은 자리를 잡았지만, 사실상 우익수로 완전 전향했다. 이후에도 번번히 트레이드 시도를 했지만, 타팀에서는 1.5군급 중견수 자원에 김서현, 정우주 등 1라운드급 자원을 원한다는 수락할 수 없는 제시만 나오며 성사되지 않았고, 황성빈도 롯데에서 파토를 내면서 영입하지 못했다. 결국, 2026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오재원을 지명하면서 진상봉 이후 무려 36년 만에 1라운드 외야수 지명을 하는 상황까지 나왔다.

    오재원이 첫 시즌부터 신인상을 수상할 수 있는 정도의 성적으로 단기간에 성장하거나, 기존의 상위 드래프트 자원이 포텐을 터트리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이다. 성적과 워크에식이 우수한 외국인 중견수도 좋지만, 타격에서의 고점이 다른 포지션 용병에 비하면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장기간 한화에 잔류하지 않는 이상 이 문제는 한동안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발전의 토대를 잘 다져놔야 약점을 해결할 수 시발점이 될 것이다.
  • 차기 주전 포수 발굴
    최재훈이 9년 동안 주전 포수로 든든한 안방마님 역할을 해줬고, 지난 시즌 비약적인 타격 지표 상승을 이뤘지만, 노쇠화로 인한 도루 저지와 포일 등 수비에서 커리어 로우를 기록하는 등 이제는 진짜로 차기 주전 포수의 발굴이 필요한 상태이다. 백업 포수인 이재원은 공수 양쪽 지표 모두 좋아졌지만, 큰 차이도 없는 수준으로 2할 초반이라는 멘도사 라인을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시즌 종료 후 플레잉 코치로 보직을 변경함에 따라 허인서가 메인 백업으로 올라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 시즌 3옵션 포수로 경기에 나가기 시작하면서 기회를 받았지만, 1군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여준 수비력과 반대로 2군에서 좋았던 타격 실력을 아직 1군 무대에서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에 이번 시즌에는 공격 부분에서 한 단계 스텝업을 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최재훈의 뒤를 잇는 주전 포수로서 거듭날 것이다. 이외 포수 중에는 지난 시즌 2군에서 4할에 근접한 타격 성적을 보여준 장규현수베로-최원호 감독 시절 백업 포수인 박상언이 가장 가능성이 크지만, 둘 다 수비가 아쉬운 상황이라 성장이 필요하다.

    한편, 11월 20일 강백호와 4년 100억 원 FA 계약을 체결하면서 새로운 포수 자원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김경문 감독이 강백호는 외야수와 1루수로 기용될 생각이라고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22일 인터뷰에서 장규현의 스텝업을 언급하는 등 포수 출전은 급한 상황이 아닌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새로운 마무리 투수 선정
    지난 시즌 초반 주현상의 예상치 못한 부진으로 김서현이 마무리 투수로 낙점받아 33세이브를 올리며 한화 이글스의 대약진을 이뤘다. 그러나, 10월 1일 경기를 기점으로 거짓말처럼 본인은 물론 팀까지 함께 추락했다. 결국, 마무리 투수의 부재로 인한 스노우볼이 매우 크게 굴러졌고, 오랜 이닝 동안 리드만 잡다가 경기 말미에 역전의 위기는 물론 기어이 경기가 터지는 상황이 짧은 기간에 연달아 발생하게 되며 19년 만의 한국시리즈에서 준우승에 그칠 수밖에 없게 된 원인 중의 하나가 됐다. 이어 K-BASEBALL SERIES 대표팀에 발탁됐고, 체코와의 평가전에서 ⅔이닝 1피안타 2사사구 1실점을 기록하면서 체코전 등판 투수들 가운데 유일하게 실점을 허용한 투수라는 불명예 기록을 안게 됐다. 한일전 무실점 피칭으로 괜찮게 마무리했지만, 이미 지난 한국시리즈에서 경험[4]했기에 이 피칭도 신뢰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단, 믿음의 야구를 중요시하는 김경문 감독의 특성상 김서현이 마무리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시즌 초반부터 부진할 시 지난 시즌 김서현이 주현상을 밀쳐낸 것처럼 다른 마무리 투수로 빠르게 바뀔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
  • 백업 3루수
    지난 시즌 주전 3루수 노시환은 팀이 치른 144경기 중 143경기에서 선발 3루수로 출전했다. 시즌 전 문현빈이 백업 3루수로 준비했으나, 타격에서의 포텐이 터지며 주전 좌익수로 포지션을 옮겨 백업 3루수가 사라진 것인데, 체력 안배가 가능했던 다른 포지션 선수들과는 달리 노시환은 거의 모든 수비 이닝을 책임[5]지며 체력 안배 부족에 대한 이야기가 꾸준히 나왔다. 노시환이 이를 견뎌내며 포스트시즌에서까지 타격에서 좋은 활약을 이어간 것은 고무적이지만, 수비에서는 집중력이 현저히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과 노시환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백업 3루수는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자원들 중에선 지난 시즌 내야 유틸리티로 활약한 이도윤, 과거 주 포지션이 3루수였던 김태연 등이 후보군이다

3. 교육리그

2026 미야자키 교육리그
기간 2025년 10월 6일 ~ 10월 27일
장소 일본 미야자키현
규모 총 38명 (28+10명)
교육리그 참가자 명단
볼드체 처리된 선수는 2026 신인
코치진
감독 이대진
코치 정경배 | 박정진 | 박재상 | 쓰루오카
최윤석 | 김남형 | 정우람
트레이닝
파트
김재민 | 안대혁
선수단
투수 강재민 | 권민규 | 김도빈 | 김범준
김승일 | 박부성 | 박재규 | 박준영
배민서 | 엄요셉 | 원종혁 | 윤산흠[6]
이상규 | 정이황 | 한서구
포수 박상언 | 장규현
내야수 김건 | 박정현 | 배승수 | 이승현
정민규 | 최원준 | 한지윤
외야수 유로결 | 유민 | 이민재 | 임종찬
제22회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성적
승률
6 1 7 0.461
한화 이글스 교육리그 일정
제22회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출국 10/6
VS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
7
VS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
8
VS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
9
VS
파일:오이식스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로고.svg
10 11
VS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9:1
패배
5:4
승리
12:0
패배
6:3
승리
우천
노게임
🏠 🚌 🏠 🚌 🚌
12
VS
파일:쿠후 하야테 벤처스 시즈오카 로고.svg
13
VS
파일: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엠블럼.svg
14
VS
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엠블럼.svg
15 16
VS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엠블럼.svg
17
VS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
18
VS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5:2
패배
2:6
패배
2:2
무승부
1:2
패배
2:1
패배
9:5
승리
🏠 🚌 🏠 🚌 🏠 🚌
19
VS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
20 21
VS
독립
리그
22
VS
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원형 엠블럼.svg
23
VS
파일: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로고.svg
24 25
VS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3:6
승리
9:6
승리
우천
노게임
그라
운드
사정
취소
그라
운드
사정
취소
🏠 🚌 🏠 🚌 🏠
26
VS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
27
VS
파일: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엠블럼.svg
입국 스프링캠프 ▶
8:6
승리
1:3
패배
🚌 🚌
범례
선공: 🚌 | 후공: 🏠 | 경기 정보: ##
승리 패배 무승부 우천
취소
그라
운드
사정
취소
미세
먼지
경기
없음

일본 미야자키에서 열리는 제 22회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에 참가한다.[7]

4. 마무리캠프

<colbgcolor=#FC4E00,#FC4E00><colcolor=#fff> 2026 마무리캠프
기간 2025년 11월 5일 ~ 11월 23일
장소 일본 미야자키
규모 총 56명 (17+39명)
한화 이글스 마무리캠프 참가자 명단
볼드체 처리된 선수는 2026 신인
감독 김경문 1명
코치 양승관 양상문 김정민 윤규진 김민호 김남형 김우석 박재상 추승우 정현석 10명
트레이닝 코치 이지풍 김형욱 김연규 엄강현 손호영 강동욱 6명
선수단 <colcolor=#fff> 투수 이상규 강재민 윤산흠 배민서 정이황 김범준 김승일 김도빈 박준영 원종혁
박재규 한서구 황준서 조동욱 권민규 엄요셉 박부성
17명
포수 박상언 허관회 장규현 허인서 4명
내야수 심우준 이도윤 권광민 황영묵 이승현 최원준 배승수
이지성 최유빈 권현규
10명
외야수 김태연 이진영 이원석 임종찬 최인호 유민 이민재 오재원 8명
합계 총 56명

5. 선수단 변화

5.1. 프런트·코칭 스태프

<colcolor=#fff> 2026 시즌 한화 이글스 코칭 스태프 구성
직책 1군 퓨처스 잔류군
감독 김경문 이대진 김성갑
수석코치 양승관
타격코치 김민호 김기태
타격보조코치 정현석
투수코치 양상문 박정진 박승민
불펜코치 윤규진 정우람
수비코치 김우석 최윤석
배터리코치 김정민 쓰루오카 정범모
작전·주루코치 김재걸
외야·주루코치 추승우 고동진

5.1.1. 영입·보직 변경

<colcolor=#fff> 2026 시즌 한화 이글스 코칭 스태프 영입 및 보직 변경
부임 직책 이름 이전 보직
플레잉 코치 이재원 한화 이글스 선수
2군 타격코치 김기태 kt wiz 2군 감독

5.1.2. 퇴단

<colcolor=#ffffff> 2026 시즌 한화 이글스 코칭 스태프 퇴단
기존 직책 이름 비고
2군 타격 총괄코치 정경배 롯데 자이언츠 타격코치 부임
2군 작전·주루코치 박재상 SSG 랜더스 육성군 총괄코치 부임
2군 외야·주루코치 김남형 NC 다이노스 2군 타격코치 부임

5.2. 선수 이동

5.2.1. FA

5.2.1.1. FA 대상자 및 신청 여부
FA 대상자
원소속팀 선수명 포지션 2025 연봉 등급 구분 신청 여부 비고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김범수 투수 1억 4,300만원 B 신규 신청 -
이재원 포수 1억원 B 2차 미신청 플레잉코치 선임
손아섭 외야수 5억원 C 3차 신청 -
5.2.1.2. FA 결과
FA 결과
계약 날짜 선수명 포지션 투타 원소속팀 이적팀 계약 세부 사항 보상선수
2025. 11. 20. 강백호 포수 우투좌타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계약 기간 4년, 총액 최대 100억 원
(연봉 30억 원, 옵션 20억 원)
한승혁

5.2.2.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 KBO 신인 드래프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지명자
순위 지명자 출신학교 포지션 투타 신체조건 계약금 비고
1라운드
전체 3순위
오재원 유신고등학교 외야수 우투좌타 177cm, 76kg 2억 7천만원
2라운드
전체 13순위
강건우 북일고등학교 투수 좌투좌타 191cm, 90kg 1억 3천만원
3라운드
전체 23순위
NC로 지명권 트레이드 손아섭 ↔ 3RD 지명권 + 3억 현금
4라운드
전체 33순위
최유빈 전주고등학교 - 경성대학교 내야수 우투좌타 175cm, 70kg 8천만원
5라운드
전체 43순위
권현규 경북고등학교 내야수 우투우타 180cm, 76kg 7천만원
6라운드
전체 53순위
하동준 라온고등학교 투수 좌투좌타 189cm, 81kg 6천만원
7라운드
전체 63순위
여현승 대구고등학교 투수 우투우타 185cm, 96kg 5천만원
8라운드
전체 73순위
김준수 야탑고등학교 내야수 우투우타 184cm, 77kg 4천만원
9라운드
전체 83순위
이재환 물금고등학교 외야수 우투좌타 176cm, 74kg 4천만원
10라운드
전체 93순위
박주진 대전고등학교 외야수 우투우타 180cm, 88kg 3천만원
11라운드
전체 103순위
황희성 공주고등학교 투수 우투우타 180cm, 78kg 3천만원

5.2.3. 2026 2차 드래프트

2026 2차 드래프트 영입 선수
<rowcolor=#FFFFFF> 라운드 순위 선수명 포지션 투구-타석 원 소속팀 양수금
1라운드 PASS
2라운드
3라운드
2026 2차 드래프트 이적 선수
<rowcolor=#FFFFFF> 라운드 순위 선수명 포지션 투구-타석 신규 소속팀 양도금
1라운드 1 안치홍 내야수 우투우타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4억원
1라운드 2 이태양 투수 우투좌타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4억원
3라운드 10 배동현 투수 우투좌타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억원
4라운드 17 이상혁 외야수 우투좌타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1억원
5라운드 PASS

예상과는 다르게 아무도 지명하지 않았다. 여기에 10팀 중 유일하게 피지명 한도인 4명이 유출되며 11억의 보상금을 챙겼다. 손혁 단장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듯.

5.2.4. 외국인 선수 계약, 아시아쿼터 선수 계약

2026 한화 이글스 외국인 선수
이름 포지션 국적 계약 세부 사항 계약 형태
x수 파일:국기.svg xx만 달러 (계약금 xx만 달러, 연봉 xx만 달러, 인센티브 xx만 달러) 재계약/신규
x수 파일:국기.svg xx만 달러 (계약금 xx만 달러, 연봉 xx만 달러, 인센티브 xx만 달러) 재계약/신규
x수 파일:국기.svg xx만 달러 (계약금 xx만 달러, 연봉 xx만 달러, 인센티브 xx만 달러) 재계약/신규
2026 한화 이글스 아시아 쿼터 선수
이름 포지션 국적 계약 세부 사항 계약 형태
왕옌청 투수 파일:대만 국기.svg 10만 달러 (연봉 10만 달러) 신규

5.2.5. 트레이드

2026 시즌 전 트레이드
날짜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원소속팀 선수 포지션
2023. 00. 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팀 엠블럼.svg

5.2.6. 신인 육성선수 영입

2026 신인 육성선수 영입
선수명 출신학교 포지션 투구-타석 비고
김동휘 외야수 우투좌타 광주진흥고 - 송원대 군필, 졸업 유예
박준영 투수 우사우타 충암고 - 강릉영동대 - 청운대 강릉영동대 재학 시절 졸업 유예
이도훈 외야수 우투우타 장충고 - 사이버한국외국어대
최윤호 외야수 우투좌타 동산고 - 한일장신대 군필, 졸업 유예

5.2.7. 자유계약선수 영입

2026년 자유계약선수 영입
선수명 계약일 원소속팀 포지션 투구-타석 비고
선수명 2025. 00. 00. 파일:팀 엠블럼.png

5.2.8. 군 입대 및 군 전역(및 소집해제) 현황

2026 한화 이글스 군 입대 및 전역 현황
군 입대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포지션 입대일자 전역일자 복무형태
최준서 2024 외야수 2025. 10. 28. 2027. 04. 27. 현역병
군 전역
이름 데뷔년도 이적년도 포지션 입대일자 전역일자 복무형태
남지민 2020 투수 2024. 09. 30. 2026. 06. 29. 사회복무요원
이민준 2023 내야수 2024. 11. 18 2026. 05. 17. 현역병
정은원 2018 내야수 2024. 12. 02 2026. 06. 01. 상무 피닉스 야구단
권현 2024 포수 2024. 12. 09
승지환 2024 투수 2024. 12. 09

5.2.9. 은퇴

2026 시즌 전 은퇴자 명단
날짜 선수명 포지션 비고
xx.xx 투수

5.2.10. 방출 / 임의 해지

2026 시즌 전 방출자 명단
선수명 포지션 일자 비고
박성웅 투수 2025년 10월 9일 육성선수 말소
이성민
민승기
안진 포수
신우재 내야수
김예준
송호정 외야수
장민재 투수 2025년 11월 21일 보류선수 제외
장시환
윤대경
이충호 육성선수 말소
김인환 내야수 보류선수 제외
조한민 육성선수 말소

5.2.11. 육성 전환

2026 시즌 전 육성선수 전환 명단
선수명 포지션 비고
투수 x월 x일

6. 스프링캠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화 이글스/2026년/스프링캠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화 이글스/2026년/스프링캠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화 이글스/2026년/스프링캠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논란 및 사건 사고

8. 스토브리그 총평

9. 관련 문서



[1] 강동우(2009~2010)-김경언(2011)-강동우(2012)-정현석(2013)-피에(2014)-모건(2015)-장민석(2016)-김원석(2017)-이용규(2018)-정근우(2019)-이용규(2020)-유장혁(2021)-터크먼(2022)-노수광(2023)-김강민(2024)-플로리얼(2025)-TBD(2026)[2] 터크먼(2022, 1103⅔이닝), 문현빈(2023, 519이닝), 장진혁(2024, 562⅓이닝), 플로리얼(2025, 537⅓이닝)[3] 기용된 인원이 많을수록, 그만큼 주전 중견수가 없었다는 것이므로 좋은 게 아니다.[4] 3차전 승리 투수 후 4차전 블론 세이브.[5] 1261.1이닝을 소화하며 압도적인 단독 1위이다. 2위는 박해민인데, 전 경기를 출장했음에도 1179이닝에 그치며 80이닝이 넘는 차이를 보였다.[6] 한국시리즈 엔트리 합류로 조기 귀국[7] KBO리그 소속 구단 중에는 삼성과 두산이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