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2:03:57

2026 KBO 신인 드래프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BO 신인 드래프트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신인 드래프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2. 지명 방식
2.1. 달라지는 점
3. 지명 전 정보4. 지명 결과
4.1. 평가4.2. 에피소드
5. 지명 이후 평가

1. 개요

2025년에 시행하는 2026년 KBO 신인 드래프트.

2. 지명 방식

1라운드부터 11라운드까지 진행되며, 모든 라운드마다 전년도(2023 시즌) 최종 순위의 최하위부터 역순으로 지명한다.

각 팀은 11명의 선수를 지명할 수 있다. 단, 드래프트 이전에 트레이드로 타팀의 지명권을 양도받은 경우 11명보다 많은 선수를 지명할 수도 있다.

지명을 원치 않는 팀의 경우 해당 라운드의 지명권을 패스 할 수도 있다.

2.1. 달라지는 점

3. 지명 전 정보

  • 전년도 드래프트에서 상위 지명 유력 후보였던 서울컨벤션고 우완 김상호와 유신고 우완 최찬우가 부상으로 유급하면서 이번 드래프트에 참가한다.
  • 얼리 드래프트 대상자로는 2023년도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였던 성균관대 포수 박지완, 2023년도 BIC 0.412상 수상자였던 고려대 내야수 진현제, 곽현희 SSG 랜더스 1군 트레이닝 코치의 아들인 동국대 우완 투수 곽민승, 배우 유태웅의 아들인 고려대 우완 투수 유재동 등 4년제 대학교의 2학년 선수들이 다수 이름을 올릴 전망이다. 물론 얼리 드래프트 참가 여부는 전적으로 선수의 선택인 만큼, 당해 선수 본인의 성적이나 컨디션에 따라서 불참할수도 있으므로 명단 또한 충분히 바뀔 수 있다.[4]
  • 2023년에 창단한 상동고 야구부가 2025년도부터 3학년 선수들을 보유하게 되면서 이번 드래프트부터 새로 참가한다.
  • 아직 이르지만 덕수고의 외야수 오시후가 벌써부터 최대어로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

4. 지명 결과

  • ※표시는 지명권 포기나 대학 진학으로 인한 지명권 소멸 등으로 지명팀에 입단하지 않은 선수.
  • 볼드표시는 스탯티즈 기준 통산 WAR이 2 이상을 기록한 선수.
<colbgcolor=#f5f5f5,#050505> RD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키움 한화 삼성 롯데 KIA 두산 SSG NC KT LG
1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2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3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4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5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6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7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8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9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10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11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이름
(학교명
포지션)

4.1. 평가

4.2. 에피소드

5. 지명 이후 평가



[1] 2024년부터 최강야구에 출연 중이며, 함께 출연 중인 대학야구 선수들 중 유일하게 2026년도 드래프트 참가 대상자다.[2] 박문순과 한기찬은 임상우와 함께 최강야구 트라이아웃에도 지원했으나 최종 합격에는 실패했다.[3] 당초 고려대 소속으로 얼리 드래프트 참가가 유력했으나, 얼리 드래프트에서 미지명된다면 또 졸업반까지 2년을 기다려야 하는 만큼 2년제 전문대에 재입학해서 기회를 1년 빨리 잡으려는 심산으로 보인다.[4] 실제로 전년도 드래프트에서 얼리 지명이 유력히 거론되었던 연세대 투수 강민구는 자신이 직접 얼리로 나오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5] 중학교 시절 전국구 에이스 투수였는데, 북일고가 전국 단위로 신입생을 모집하는데다가 좋은 대우를 보장하면서 대구를 떠나게 됐다고 한다. 1차 지명 폐지 때문에 북일고 진학을 택했다는 설이 있지만 설일 뿐이다.(수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녔던 심준석이 덕수고 진학을 택했을 때와 비슷한 사례다.)[6] 강릉영동대 졸업 후 사이버한국외국어대에 신입생으로 입학했다.[7] 동강대에서 편입했으며, 송원대 편입 후 잠시 투수로 전향하기도 했지만 다시 내야수로 복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