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5:19:43

윤상혁(야구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E1A17><tablebgcolor=#1E1A17> 파일:성남 맥파이스 로고.png성남 맥파이스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F142A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 1 김동우 · 16 임민수 · 17 차순우 · 18 김연우 · 19 정태승
· 21 정현준 · 26 박승수 · 28 이준기 · 31 김건모
· 38 유동관 · 50 김민우 · 51 박윤철 · 54 강민수
· 56 황태인 · 57 변상우 · 61 지윤 · 99 김동규 · # 김유신
포수 25 최다인 · 44 최현빈 · 52 김태훈
내야수 5 이시맥 · 7 최혁재 · 13 김윤범 · 14 구본석
· 32 신일호 · 55 노승환 · # 박성민
외야수 0 최현성 · 10 나용훈 · 24 정진기
· 33 엄태호 · 37 임상현 · # 국해성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형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백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엄강현'''
}}}}}}}}}}}}}}}

파일:윤상혁_최강야구.jpg
<colbgcolor=#1e1a17><colcolor=#fff> 성남 맥파이스 No.35
윤상혁
Yoon Sang Hyuk
출생 1999년 11월 19일 ([age(1999-11-19)]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한밭중 - 공주고 - 중앙대
병역 산업기능요원 소집해제
신체 182cm, 82kg
포지션 외야수[1]
투타 우투좌타
소속팀 성남 맥파이스 (2025~)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MBTI ENTJ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독립 리그 시절
3. 최강야구 출연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앙대학교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공주고 시절 미지명을 받으며 중앙대로 진학했고, 1학년을 마친 후 빠른 입대를 택해 산업기능요원으로 병역을 마치고 복학했다. 하지만 졸업을 앞두고 실시됐던 2025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또 미지명되며 프로 입단을 위해서는 졸업 유예나 육성선수 입단을 택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2.2. 독립 리그 시절

졸업 후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의 참가팀인 성남 맥파이스에 입단했다. 졸업 유예 후 드래프트에 재도전하는 대신, 독립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며 육성선수로 프로 진출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3. 최강야구 출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11171><colcolor=#fff> 투수 11 이대은 · 19 신재영 · 20 선성권 · 21 송승준
28 강민구 · 40 니퍼트 · 45 이용헌 · 47 유희관
포수 12 박재욱 · 27 이홍구 · 53 고대한
내야수 1 유태웅 · 4 서동욱 · 5 문교원 · 8 정근우
10 이대호 · 16 정성훈 · 52 임상우
외야수 ''' 2 최수현 · 15 국해성 · 24 김문호 · 29 이택근
33 박용택 · 35 윤상혁 · 37 정의윤'''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오세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 김선우
}}}}}}}}} ||
파일:윤상혁_최강야구_2024.jpg
최강 몬스터즈 No.35

2023 시즌 중앙대 2연전에서 중앙대 소속 4번 타자로 출전했으며 이때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호수비로 지우는 등의 활약으로 눈도장을 찍었고, 동년 대학야구 올스타전에도 선발로 출장했다. 이후 최강 몬스터즈 첫 외야수 지원을 받은 2024 시즌 트라이아웃에 지원했으며, 국해성과 함께 최종 합격자가 되어 최강 몬스터즈에 합류했다. 이때 같은 대학 동료인 고대한도 포수 포지션 최종 합격자가 되어 몬스터즈에서도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서울고 2차전 우익수로 선발 출장했지만 타격에서 보여주지는 못했다. 다만 마지막 9회말 2아웃 상황에서 다이빙 캐치로 니퍼트의 세이브를 지켰다. 아웃시킨 후 김성근 감독에게 ‘라이트 수비 좀 한다’는 칭찬을 들었다. #

대덕대전에서 오랜만에 대타로 등판해 안타를 쳤다.

2025년부터는 독립구단 성남 맥파이스에 입단하며 독립리그와 최강야구를 병행하게 됨에 따라, 연천 미라클에서도 활동하는 최수현선성권연천 미라클과의 경기에서는 최강 몬스터즈 대신 연천 소속으로 출장했던 선례처럼 최강 몬스터즈 소속이 아닌 성남 맥파이스 소속으로 출장해 상대팀으로 조우할 가능성도 있다.[2]

4. 플레이 스타일

좋은 신체조건에서[3] 나오는 한 방이 있는 유형이다. 컨택도 나쁘지 않다보니 중앙대 야구부에서도 중심타선에서 활동 중이다.

고등학교까지 포수였다가 외야수로 전향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비 또한 나쁘지 않다. 포수 출신이라는 게 어디 안가는지 어깨도 좋을 뿐더러 타구 판단 능력도 빠른 편.

5. 여담

  • 대학 1학년을 마치고 일찌감치 산업기능요원으로 병역을 이행한 군필 선수다.[4] 더불어 대학 시절 빨리 병역을 해결했기 때문에 상무 입대 관련 리스크가 적다는 점이 각 구단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는 있다.[5]
  • 원 포지션은 포수였으나 대학 2학년으로 복학한 뒤 외야수로 전향했다.[6]
  • 롤모델로 코디 벨린저를 꼽았다. 내셔널리그 MVP도 타고, 무엇보다 자신만의 스윙을 가지고 있다는 게 부럽다고 한다. 등번호인 35번도 코디 벨린저의 번호라고 한다. #
  • 또 한 명의 롤모델 선수는 김하성이다. 같은 포지션이 아님에도 좋아하는 이유는 김하성 선수의 최선을 다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 1999년생인데 19학번이다. 윤상혁이 최강 몬스터즈에 입단하기 전에 있었던 중앙대 동문 황영묵이 같은 1999년생이지만 18학번으로 입학했던 것을 볼 때[7] 중간에 유급을 했거나 학교를 늦게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공식 사이트의 선수 정보를 보면 중학교 1학년 때부터 표시되어 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어디에도 유급 사항은 없다.
  • 24시즌 최강 몬스터즈 영건즈들 중 최수현, 선성권을 제외하고 대학생 영건즈들 중 제일 맏형이다. 그래서인지 더그아웃에서 문교원, 강민구처럼 자신과 같은 대학생 동생들을 챙겨주는 모습이 종종 카메라에 잡히기도 한다.
  • 본인피셜 별명이 '중앙대 주원'이라고 한다. #

6. 둘러보기

윤상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11171><colcolor=#fff> 투수 11 이대은 · 19 신재영 · 20 선성권 · 21 송승준
28 강민구 · 40 니퍼트 · 45 이용헌 · 47 유희관
포수 12 박재욱 · 27 이홍구 · 53 고대한
내야수 1 유태웅 · 4 서동욱 · 5 문교원 · 8 정근우
10 이대호 · 16 정성훈 · 52 임상우
외야수 ''' 2 최수현 · 15 국해성 · 24 김문호 · 29 이택근
33 박용택 · 35 윤상혁 · 37 정의윤'''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오세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 김선우
}}}}}}}}} ||

[1] 제일 자신 있는 건 우익수라고 한다.[2] 2025년도 트라이아웃에서 외야수를 추가로 모집하는 이유 또한 윤상혁의 이탈을 대비하기 위함으로 볼 수 있다.[3] 여담으로 MBC 예능 대학체전에 출연하여 경기 도중 상의 탈의를 한 적이 있었는데 몸이 상당히 근육질이다.[4] 일반적으로 대학교 야구선수 같은 경우에는 군입대를 미루면서 프로에 도전하기 때문에 졸업하고 입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최강야구 트라이아웃에서도 이전부터 야구를 계속 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다가 이번 트라이아웃에 도전했었다고 밝혔기에 정황상 야구를 계속 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 등으로 군 문제를 먼저 해결했을 가능성이 높았고 본인이 인터뷰에서 인정했다. #[5] 상무 야구단은 27세를 초과하면 지원할 수 없다. 같은 이유로 대졸 선수가 기피되는 이유 또한 상무 입대 연령 제한 문제가 큰데, 윤상혁은 대학 시절 이미 군대를 다녀왔기 때문에 상무 입대 관련 리스크가 없다.[6] 이후 더그아웃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를 밝혔는데 허리 디스크도 있었고, 무엇보다 짦은 시간에 공을 빼서 송구하는 게 어렵다보니 공을 더 멀리 던질 수 있는 외야수로 전향했다고 밝혔다.[7] 다만 황영묵은 대학 1학년을 마치고 중퇴해 대학에서 같이 뛴 적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