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19:42: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대만

대만 코로나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황/국가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집단감염 사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2023년 이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현황 / 평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대한민국의 법률과 정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단계적 일상회복 / 과학방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경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반응/대한민국 여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분류: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사건 사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em"]]
주요 국가 (2023년 5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fff> 공통
개요
<colbgcolor=#ccc,#222>
경과 / 현황
경과 · 발생 국가 · 전 세계 현황 · 국가별 현황
사회적 영향
대응 아시아(대만, 북한, 인도, 일본, 중국 (본토 (경과), 홍콩),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미얀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이란,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 유럽(영국, 튀르키예, 러시아, 스위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벨기에,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 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 오세아니아(호주, 뉴질랜드) · 아프리카(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기구 · 출입국 현황 · 중국 책임론 · 대중국 소송
반응 아시아인 혐오 · 논란 · 루머
영향 경제 · 교육(등교 관련) · 문화 · 물류 · 시험 · 스포츠 · 종교 · 환경
마스크 착용 의무화 · 코로나 세대 · 코로나 블루 · 코로나 학번 · 완치 이후 · 포스트 코로나 · 단계적 일상회복 · 방역 부조리 및 형평성 문제 · 손실보상 문제 · 사생활 침해 논란 · 코로나 버블 · 물류 대란 · 식량·에너지 대란 · 단백질 식품 대란
사건 사고 군대 · 병원 · 종교 · 기타
의학 정보
질병 SARS-CoV-2(원인 · 전염성 · 예방)
변이 및 변종(Α 알파 · Β 베타 · Γ 감마 · Δ 델타 · Δ+ 델타 플러스 · Ε 엡실론 · Η 에타 · Κ 카파 · Λ 람다 · Μ · Ο 오미크론 · 델타크론 · A.VOI.V2 · AV.1 · Π 파이 · Ω 오메가 · B.1.640.2 · BA.2 · XE · XJ · XL · XM · BA.2.12.1 · BA.2.75 · BA.5)
증상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 털곰팡이증
진단 및 검사(신속항원키트) · 완치 및 후유증
치료 치료제 종류 · 대증요법 · 음압병실 · 인공호흡기 · 에크모
알약(팍스로비드 · 라게브리오) · 주사(렘데시비르 · 악템라주 · 렉키로나주항체 · 이부실드항체) *
백신 종류 · 논란 · 백신 음모론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돌파감염 · 코백스 퍼실리티 · 부스터샷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Ad26.COV2-S(존슨앤드존슨 / 얀센) · Vaxzevria(AZD1222)(아스트라제네카 / 옥스퍼드대) · Comirnaty(BNT162) (화이자 / 바이온테크) · Spikevax(mRNA-1273)(모더나) · Nuvaxovid(NVX-CoV2373)(노바백스) · SKYCovione(GBP510)(SK바이오사이언스) *
그 밖의 정보
인물
단체
인물(T. A. 거브러여수스, 권덕철, 백경란, 앤서니 파우치) · 사망자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의약품청 ·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스포트레브나드조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식품의약품안전처 · 국립보건연구원 · 씨젠 · 셀트리온 · SK바이오사이언스 · 파일:북한 국기.svg 국가비상방역사령부 ·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앤드존슨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 FDA · 화이자 · 모더나 · 파일:중국 국기.svg 국가위생건강위원회 · 국가질병예방공제국 · 파일:일본 국기.svg 후생노동성 · 내각감염증위기관리총괄청 · 파일:영국 국기.svg 아스트라제네카 · MHRA · 파일:대만 국기.svg 위생복리부 · 파일:벨기에 국기.svg 얀센
의료시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선별진료소 · 생활치료센터 ·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콥 K. 재비츠 컨벤션센터 · 매코믹 플레이스 · 파일:중국 국기.svg 훠선산 병원 · 파일:일본 국기.svg 마쿠하리 멧세 · 오다이바 · 파일:영국 국기.svg ExCeL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라 밀라노
기타 마스크 불량 착용 · 마기꾼 · 예스마스크 · 정보감염증 · 포스트 코로나 · 다함께 이겨내요 · 덕분에 챌린지 · 관련 웹사이트 · 엄격성 지수 · 창작물 · 학생 건강상태 자가진단 · 신속항원키트
* 최종 서술 시점 기준 대한민국에서 유통 중인 백신 및 치료제만 표기함.
}}}}}}}}}

1. 개요2. 상세
2.1. 성공한 측면2.2. 1년 4개월만의 첫 대유행과 극복2.3. 오미크론과 제로 코로나 정책, 그러나 실패
3. 백신 수급의 실패
3.1. 대한민국과의 비교
3.1.1. 결론
3.2. 대만 내부의 여론 악화
3.2.1. 중국국민당의 비판3.2.2. 대만 정부의 안일한 현실 인식
3.3. 미국의 백신 전격 지원
3.3.1.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는 주장에 대한 팩트체크3.3.2. 결론 및 정리
3.4. 대만의 외교적 입지 악화3.5. 일본 기증 백신 고령 접종자 사망과 백신 기피
3.5.1. 대만의 한국 백신 접종 사망자 통계 왜곡 논란
4. 2021년 5월~6월 타이베이발 대유행
4.1. 폭증의 원인
4.1.1. 조선일보의 분석
4.2. 당시 벌어진 대만 사회의 혼란상
4.2.1. 계속된 통계 오류4.2.2. 현실화된 의료 붕괴
4.2.2.1. 한국과 비교
4.3. 낙관적인 부분4.4. 진정
5. 2022년 4월~: 오미크론 변이발 3차 대유행
5.1. 현재 대만의 문제점
6. 현황
6.1. 2020년6.2. 2021년6.3. 2022년
6.3.1. 1월6.3.2. 2월6.3.3. 3월6.3.4. 4월6.3.5. 5월6.3.6. 6월6.3.7. 7월
6.4. 2023년

1. 개요

대만코로나 19 현황과 대응에 관한 문서.

대만의 코로나19 유행 마지막 차수 : 3차[1]

2. 상세

2023년 4월 25일 기준[2]
총 확진자 10,239,998
총 사망자 19,005
치명률 0.186%

2.1. 성공한 측면

대만은 2003년 SARS 경험을 통해 재정비한 전염병 통제 관련 시스템 및 법적 기반을 토대로 코로나19 확산 초기 질병의 해외유입 통제, 방역물자 관리, 검역 관리·감독 강화 등 주요 조치의 신속한 시행을 통해 효과적인 방역조치를 전개하였다. 2020년 1월우한 주민의 대만 입국 금지를 시작으로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 중국 전역으로 금지 대상을 확대했으며, 2월에는 단체 여행객의 중국, 홍콩, 마카오 출국 및 양안간 일부 직항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3월 19일부터는 거류증, 외교공무 증명서 및 비즈니스 이행증명서 소지자와 기타 특별 허가자를 제외한 외국인의 대만 입국을 제한하였다. 해외 방문 이력이 있는 내·외 국민에 대해 14일간의 자가격리를 의무화하고, 연락처 및 건강상태 허위기재·누락 등 부정확한 검역통지서 작성의 경우 「전염병 방지법」에 근거해 최고 15만 NTD(한화 약 615만원)의 벌금을 부과하였다.# 대중의존도가 높아진 세계경제로 인해 국제적 지위가 고립된 점도 대만의 방역에 도움을 준 편이다.

이같은 선제적인 방역 성공으로 대만은 200일 넘게 국내 확진자 0명을 기록했었다.# 대유행과 그로 인한 도시봉쇄, 이동제한 및 대규모 공장가동 중단 등의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 성장률 전망도 상향 조정 받고 있으며,# 고용률도 세계 최고를 유지 중이다. 외교적으로도 하나의 중국이 느슨해진 틈을 타서 대만의 위상을 알리는 데 성공하였다. 오드리 탕 대만 IT장관은 확산 초기에 마스크 실명 배급제·마스크 실시간 재고 앱을 정착시켰고, 온·오프라인 소통으로 전 국민의 방역 참여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마스크 실시간 재고 앱은 약국 위치, 보유 수량, 영업 시간, 주소, 전화번호 등 세세한 정보를 알려주는 앱이다. 방역 효과가 커 우리나라에도 도입됐다.#

그외 대만을 다녀갔던 외국인들이 대만 내 진단검사에서는 음성 판정을 받았으나 자국으로 귀국한 이후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가끔씩 나오고 있고, 해외에 입국한 대만인이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도 있었지만 대만은 해당 확진자의 접촉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확진자나 항체 보유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고 밝혔다. 대만 당국은 해당 확진자들이 타국에서 감염되었거나 위양성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3][4]

5월 중순 이후 대만에서 감염자가 급증해 한국 내에서는 대만이 방역 실패했다는 소리[5]가 잠시 나왔지만 한달만에 다시 확진자수가 빠르게 급감했다. 그러나 2022년에는 여타 국가들과 다르지 않게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따라 지역감염이 사상 처음으로 1000명을 돌파하는 대유행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2.2. 1년 4개월만의 첫 대유행과 극복

그러나 2021년 5월 중순부터 지역사회 발생이 계속해서 발생했고, 급기야 감염자가 15일부터는 세자릿수를 넘겨 대만 방역은 위기를 맞이하였다.

2021년 6월 들어서는 사망률이 어지간한 유럽이나 중남미 국가들보다도 높은 3%대에 접어들었으며, 6월 21일에는 치사율이 4%대에 도달하였고, 9월에는 치사율이 5%에 도달하여 '방역 모범국'이라는 성과를 다 무너뜨리고 말았다. 물론 3단계 방역태세 발령의 영향으로 확진자 수를 줄이고, 혼란했던 상황도 수습하는 등 긍정적인 지표가 나오면서 2021년 7월 말 현 시점에서는 한국 입장에서 대만을 '방역 실패국'으로 전락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완화 단계에서 적응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필요한 의약품, 즉 백신이 원활하게 확보되지 않고 있는 실정인지라, 언제든지 '방역 실패국'으로 전락할 가능성은 남았다는 분석도 있었다. 또한 3급 방역대책을 오래 지속한 여파로 내부에서 불만이 나왔다는 것도 불안 요소였다. 하지만 델타 변이의 확산 위험에도 불구하고 2021년 9월에 들어서며 확진자 수는 한자리 수로 급감했다.

2.3. 오미크론과 제로 코로나 정책, 그러나 실패

Taiwan’s success is built on thorough quarantine at the border and contract tracing to quickly find and isolate people who are infected or have been in contact with those who are.
대만의 성공은 국경에서의 철두철미한 검역과 감염자 및 밀접 접촉자의 격리 및 파악을 위한 재빠른 추적으로 이루어졌다.
2022년 3월 15일, 블룸버그 #

세계적인 오미크론 대유행에도 대만은 아직까지 안전지대였었다. 다만 일본, 한국, 뉴질랜드처럼 언제든지 퍼질수 있기에 안심해서는 안되는 단계이다. 일단 2022년까지 봉쇄식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몇 안되는 국가이기도 하다. 더욱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격화되면서 대만도 이대로 물러나면 중국에 먹힐 수도 있다는 위기 의식의 발로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 BBC는 대만의 방역 체계가 잘 작동하고, 디지털 기술이 도입된 확신자 동선 추적이 잘 발휘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분석을 내리기도 했다. # 매일경제에서도 한국과 대만의 코로나 추이를 비교한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 # 3월 15일, 블룸버그 역시 오미크론 유행 우려를 불식시켰다(quash)며 호평했다. #

반면 미국의 잡지사 '더 디플로맷'은 이런 정책 고수가 (외국 유입으로 촉발된) 2021년 대유행의 학습 결과라고 하면서도, 2022년의 감염 패턴은 변화되었으므로 대만의 방역 정책도 바뀌어야 한다는 취지의 분석을 내렸다. #

이러한 방역 성공의 원인으로 국민들의 강력한 방역, 통제 요구가 뒷따랐다는 분석이 나왔다. # 외국인들은 입국 후 10일간 격리를 받는데 그 중에 PCR 검사를 두 차례(기사에서 언급된 구준엽의 경우 4일차와 9일차)를 받는다고 한다. 또한 강한 통제도 유지되고 있으며 가짜뉴스에 대한 처벌도 존재한다.

그러나 위의 찬사들은 4월달이 되면서 완전히 박살이 나고 말았다.

3. 백신 수급의 실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백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만은 백신 확보에 대해서는 다른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심하게 뒤처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원래 대만은 전체 인구의 64%[6] 2021년 말까지 접종시키려고 했다. 그러나 2021년 7월 현재 대만의 인구 대비 백신 확보율은 41.5%로서,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최하위권에 있다. 거기에다가 확보한 백신 중 70% 이상은 AZ 백신에 편중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목표 달성 자체가 사실상 무산되었으며, 추가 계약도 불투명하여 말 그대로 앞이 캄캄하다. 결과적으로 이로 인하여 2020년 12월 말쯤 피치가 예측한 '대만은 2021년 6월경 대다수가 접종받을 것'이라는 예측은 시원하게 빗나갔다.

그리고 2021년 5월 이후, 백신 확보량이 매우 적은 상황에서 대만의 수도권인 타이베이, 신베이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지역감염이 재발하면서 대만 전국에 비상이 걸렸다.

AZ 백신이 중점인 점도 문제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대만의 실확보량 대비 AZ백신 비중이 70% 이상이다. 그 어떤 백신이든 접종을 통해 얻는 이득이 리스크를 상회할 때 접종하는 것이기에, 나라별로 유행 상황, 감염률, 사망률, 그리고 이에 따라 도출된 편익 분석을 바탕으로 접종 대상을 결정한다. 2021년 5월 기준 높은 접종률로 확진자, 사망자가 감소하고 있는 영국이 40세 이하는 AZ 대신 다른 백신을 사용하도록 권고한 반면, 독일이 봉쇄령을 연장하면서 AZ 백신 접종을 전 연령대로 확대한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따라서 대만처럼 비교적 상황이 안정된 국가에서는 매우 드문 혈전 문제를 가지고 있는 AZ백신의 편익이 상당히 낮게 측정될 수밖에 없다.

대만은 외교적인 사정으로 다품종 백신 구입에 실패하였지만, 다른 국가들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백신을 구매한다. AZ 백신에서 혈전 논란이 발생해 일부 국가들이 접종을 중단했듯,[7] 특정 백신을 집중 구매하면 그 백신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기껏 구한 백신을 통째로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 닥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 통계에 따르면 2021년 2월 기준 대만은 전체 인구의 37%만큼의 백신을 확보해, 태국(45%)보다 낮다. 이로 인해 한때 4위에 올랐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는 5월에는 15위로 곤두박질쳤다. 6월에는 회복력 순위가 44위라는 희대의 대폭락을 기록했다.[8]

특히 중국이 8위로 올라섰다는 사실이 대만 입장에서는 치명적인 자존심의 상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델타 변이에 대해 효능이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는 중국산 백신을 접종 중이긴 하지만, 중국의 백신 접종률은 비약적으로 상승했으며 앞으로 더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대만 입장에서는 방역에서까지 중국에 뒤졌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면 가뜩이나 좁은 외교적 운신의 폭이 더 좁아지기에 상당히 심각하게 작용할 수 있는 문제다.

거기에다가 영국 언론 이코노미스트지가 집계한 코로나19 경제정상화지수 집계순위에서도 대만은 50개국 중 49위라는 최하위권 순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9위를 기록했다.

3.1. 대한민국과의 비교

왜 그런지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언론에서 흔히 대만의 사례를 들고 와서 많이 비교하는 한국을 예로 한다.

====# 국가적 위상의 차이 #====
한국은 북한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에서 인정하는 보통국가이며, UN에 정식으로 가입한 국가이기도 하다. 이는 곧 외교적으로 다양한 카드를 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코로나 시국에서의 적극적인 원조를 '대한민국'이라는 명의로 자유롭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주한미군 같이 명분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도 마련되어 있어 코로나 대유행이 일어나 국가비상사태가 터져도 미국 등을 통해 원조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 보통국가이기 때문에 백신 계약에도 (법적인 제약을 제외하고는) 딱히 제약이 없다. 실제로 2021년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주한미군의 안전을 명분으로 한국군 지원용으로 얀센 백신 1,012,800명분(1,012,800도즈)을 지원했다.

반면 대만은 국가로서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미승인국가이다. 하나의 중국 논리에 가로막혀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외교적 선택에도 한계가 있으며, 살아남기 위해서는 결국 중국 밑으로 기어들어가거나 각자도생을 취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국 밑으로 들어가자니 대만의 정체성이 무너지고, 그렇다고 각자도생을 취하자니 경제적, 외교적 타격이 문제가 된다. 대외적으로 중국의 속국 신세이다보니, 백신 계약과 관련해서도 항상 중국의 눈치를 봐야 하는 신세이다.

결국 대만의 방역 정책은 단기적으론 효력이 있었지만, 중국이 존재하는 한 언젠가는 무너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일각에서는 미국에서 국가로 인정하고 있으니 대만도 국가가 아니냐고 주장하는데, 미국 국내법으로만 그러할 뿐이다.[9]

국가적 위상과 관련해서는 뉴질랜드와도 비교할 수 있다. 뉴질랜드 역시 대만 수준으로 봉쇄 정책을 취했지만, 그래도 보통국가이니만큼 백신 계약의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다.
====# 백신 계약 및 수급의 차이 #====
이러한 외교적 위상의 차이는 백신 계약 및 수급의 차이로도 이어졌다.

대한민국은 AZ백신 약 1,900만명 분, 화이자 백신 약 3,300만명 분을 포함해 총 9,900만 명 분의 백신을 확보하였고, 여기에 미국이 공여한 얀센 백신 100만 명 분을 추가하여 총 1억명 분의 백신을 확보하였다. 이 중에서 논란이 가장 많았던 AZ백신의 비중은 2천만 명 분량으로[10] 전체 확보한 백신 대비 겨우 20% 가량이다. 이 중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간접적으로 받는 물량은 1,000만명 분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직계약 물량이라 우선순위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한 종류의 백신에 집중된 계약이 아니라 여러 백신이 고루 계약되었기에 추가 접종 시 교차 접종을 하는 등의 전략을 취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실제로 2021년 6월 말, 코백스 퍼실리티 측의 계약 이행 연기로 인해[11] AZ백신 공급 지연이 현실화되면서, 당국에서는 AZ백신을 1차 접종받은 인원 중 약 161만 명에 대해 화이자를 교차 접종하기로 했지만,[12] 다양한 백신을 확보해 둔 한국은 이렇게 한 백신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종류의 백신으로 커버가 가능하다. AZ백신을 다 썼다면 노바백스/모더나/화이자 등으로 추가 접종을 해도 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국산 백신 개발도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어, 빠르면 2022년 즈음에는 국산 백신을 추가 접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긴급시 백신 스와프를 통해 일단 필요한 물량을 들여온 다음 시차를 주고 다시 그만큼의 백신을 돌려주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실제로 7월 6일 이스라엘과 화이자 백신 70만회분에 대한 스와프를 체결한 바 있다.

반면 대만은 직계약이 사실상 중국에 봉쇄된 상황이라, 미승인국가와 계약이 가능한 업체를 찾거나 코백스 퍼실리티를 경유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 예로 화이자는 중앙정부나 초국가 규제기관(코백스 퍼실리티 등)이 아닌 한 계약을 일절 하지 않는데, 하필 중국 푸싱제약이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계약을 해 선수를 치면서 화이자 백신에 대한 공급권을 중국이 전부 가져가 버렸다. 대만에게는 사실상 세컨더리 보이콧이 된 셈이다. 결국 7월 3일, TSMC와 폭스콘이 중국 푸싱제약의 자회사와 BNT162 500만회분 구매계약을 각각 체결하면서, 대만은 결국 중국에서 유통하는 BNT162 백신을 들여오게 되었다. 결국 자존심은 자존심대로 상처를 입고, 여론은 악화될 대로 악화된 최악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AZ백신은 직계약 분량이 1,000만 도즈(500만 명분)밖에 되지 않으며[13], 현재 대부분의 초도물량은 한국 안동에서 생산된 분량을 코백스를 통해 수입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AZ백신은 이전에도 논란이 많았던지라 대만 국민들의 반발이 염려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추가적인 계약은 하지 못하고 있다.

모더나 백신의 경우는 모더나 자체의 사정부터 딱한 실정인데, 판데믹 이전부터 글로벌 톱3였던 화이자와는 달리 모더나는 스타트업에 가깝다. 미국의 공적 자금 지원조차 받지 않았던 화이자와 달리, 모더나는 특허 패소로 백신 개발에 실패할 뻔한 것을 미국 정부의 막대한 자금 지원을 받아 백신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렇다보니 EU에서 생산한 물량이 일본, 캐나다, 한국 등 계약 국가로 보내지고 있는 화이자 백신과는 달리, 모더나는 해외 유통망이 매우 미미한 실정이라 미국 외 국가에서는 물량 도입이 지연되고 있다. 이런 마당에 모더나 백신 역시 백신 민족주의 등으로 계약 우선순위가 밀리면서, 겨우 250만명 분만 계약하는 데에 그치고 말았다. 절대적으로 봐도 전체 인구의 10.5%에 불과하며, 상대적으로 한국과 비교해 봐도 물량도 적고 계약도 늦다. 한국도 전체 계약물량 대비 2분기 수령 물량이 매우 소량인 점을 감안하면, 역시나 집단 면역까지는 택도 없는 물량이다. 그나마 한국은 8월에 모더나 백신 1,046만회분이 들어온다.

모더나 백신과 관련해서는 백신 생산 면에서도 한국이 나은 실정이다. 모더나 백신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병입 과정을 담당해 생산에 참여하는데, 병입 과정 자체는 투입 기술력에 비해 그리 큰 이익이 되는 공정은 아니다. 하지만 스위스 론자에서 생산된 모더나 원액이 한국으로 직수입되는 것이기에, 미국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유통이 가능하다는 의미가 있다. 현재 미국은 제약사와의 계약으로 동맹국을 도와주고 싶어도 백신 수출에 제한이 걸린 상태이기 때문이다.[14] 여기에서 나아가 아예 모더나 CCO가 한국에 mRNA 원액 생산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만큼, 모더나 한국지사 설립 이후 한국에서도 mRNA 원액 공장이 설립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 AZD1222 수급 능력 #====
그렇다고 이미 계약한 AZ백신이라도 제대로 수입하고 있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기껏 직계약한 물량 중 실제 수령한 분량은 10만 도즈에 불과했다. 이후 백신 수입은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는데, 이는 대만이 AZ백신 직계약분을 태국에서 생산된 분량으로 수입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도 대만이 백신 확보에 소홀히 했음을 짐작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 백신으로 이득을 남겨서는 안되며, 가난한 나라에도 평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이 때문에 각국과 이윤 없이 원가만 취하는 선에서 공급 계약을 맺었으며, 생산 플랜트를 여러 곳에 만들었고, 심지어 제조 공정도 mRNA 백신에 비하면 난이도가 낮은 편이다.

실제로 세계의 약국이라는 인도는 물론, 대한민국, EU, 일본, 미국에서 생산이 이뤄지고 있고, 심지어 멕시코, 태국 같은 중진국에서도 생산이 이뤄지는 상황이다. 영국은 아예 팬데믹 이전 대규모 백신 제조 시설이 없었음에도 단 1년 만에 연 10억 도스 분량의 제조 시설을 갖추는데 성공했고, 코백스에 기부도 하고 있다. TSMC를 비롯하여 세계 유수의 대규모 반도체 제조기업이 밀집한 대만의 제조 역량이 이들에 미치지 못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7월 7일에야 AZ백신 62.6만 도즈가 두 번째 직계약 물량으로 도착했다.
====# 자국산 백신 개발의 지연 #====
이런 실정 때문에 대만 정부는 베트남과 손을 잡고 자국산 백신 개발에 매달리고 있지만, 가장 진도가 빠른 백신이 임상 2a상(MVC-COV1901)으로, 그마저도 언제 끝날지 몰라 계속 종료예상기간이 늘어지고 있다. 처음에는 2021년 3월이었다가 6월로, 그리고 또 9월로 미뤄졌다.[15] 거기에다가 그 백신이 임상에서 실패해도 다른 다양한 백신 후보물질들이 임상중이면 그나마 좀 낫겠지만, 문제는 대만이 현재 개발중인 자국산 백신후보물질이 도합 달랑 2건이며, 1건이 1상 이후 소식이 없고[16], 다른 하나가 앞서 상술한 백신 후보물질이다.

자체 백신은 일단 7월 말부터 공급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임상 2상도 안 끝났다는 것이고, 만약 임상 2상 끝나고 바로 허가한다면 이는 곧 스푸트니크 V와 같은 길을 걷는 꼴이 된다.#

이렇게 방역에 선방한 국가들이 백신 도입 및 개발 속도가 방역 실패국보다 늦어져 집단면역 달성에 오히려 시간이 더 걸리는 현상을 가리켜 "방역의 역설"이라 부른다. 이는 방역 실패국의 경우 대유행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백신밖에 없어 그만큼 백신 개발 및 도입에 더 힘을 쏟기 때문이다. CNN과 NYT가 한국, 일본, 호주 등의 아시아-태평양권 국가가 초기 방역에는 성공했지만 백신 도입에는 늦어졌다고 말한 이유가 이것과 맥락이 있다.[17] 아직까지는 이것을 일반화하기엔 부족하나, 이후에도 이렇다면 결국 방역과 백신 둘 중 하나는 희생되어야 하는 불편한 진실이 된다.[18]

결국 2021년 7월, 대만 식약처는 자국산 백신 후보물질 MVC-CoV1901에 대해 임상 2상 후 긴급사용승인을 내줬다. 일종의 고육지책인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대만 내에서도 백신 전문가들의 비판이 나오고 있다. 또한 가격도 논란인데, 1도즈에 NT$881, 한화로 35,000원에 달한다. 1도즈 당 NT$111인 AZ 백신의 8배, 화이자 백신과 비교하면 2.1배이다. 그래서 중국국민당을 위시한 야권을 중심으로 이 가격이 웬말이냐고 비판이 나오고 있다.#[19]

게다가 2상치고 인원이 많다 한들, 수만 명이 참여하는 3상 임상에 비할 바는 못된다. 팬데믹 하에서 개발되는 백신은 모두 정식으로 승인을 받은 게 아닌, 긴급 승인이기에 3상조차도 완벽하지 않다.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두 백신 모두 각각 3만 명, 4만 명 규모의 3상 임상에서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접종이 시작되고 나자 각각 TTS, 심근염을 유발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3만 명을 대상으로 3상 임상이 거의 완료된 노바백스도 급히 승인하는 나라가 없는 실정이다. 차라리 수 억명이 접종을 받으며 부작용이 알려진 경우에는 대응이 가능하지만, 새로 나온 백신은 그마저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20]

하물며 3만 명을 대상으로 임상한 노바백스에 대한 의구심도 많은 형편인데, 임상 규모가 1/10밖에 안되는 2상 백신을 쓰는 건 더더욱 백신에 대한 불신을 자초하는 길이다.

3.1.1. 결론

결국 정리하자면 대만 정부의 백신 정책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하나의 중국 논리에 가로막혀 직계약이 어려움
  • 화이자 백신은 중국이 다 떼 가면서 원천봉쇄
  • 모더나 백신은 노골적인 백신 민족주의 등으로 도입이 불투명
  • AZ백신을 추가 수급하기에는 대만 국민들의 반발이 우려
  • 노바백스 등 다른 백신을 계약하려 해도 언제 들어올지 불투명
  • 자국산 백신 개발마저 임상환경 등이 너무나도 불리해 계속해서 늘어짐
  • \'방역모범국\'이라는 평가로 자만에 빠져 '미승인국'이라는 현실을 망각한 정치적 잘못
  • 변이를 고려한 '부스터샷'을 위한 양 확보에는 무관심

이 때문에 인구 수에 비해 턱없이 적은 백신 양을 확보하게 되었다. 방역의 최종 목표는 결국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 면역인데, 현 상황에서 대만의 집단 면역은 그저 먼나라 얘기일 뿐이다. 백신 수급이 풀릴 때까지 기다리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지역 감염이 퍼지고 5월 12일 대만 방역당국이 공식적으로 지역사회 감염을 선언함에 따라 결국 대만 정부의 오판이었음이 드러났다.

6월 말 들어 겨우 확산세를 꺾기는 했지만, 백신 확보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사실상 미-중 간 백신 냉전의 최전선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즉 미중 백신 전쟁이라는 고래 싸움에 대만이 새우 등 터진 격이 되어버린 것. 대만 입장에서는 도저히 돌파구가 잘 보이지를 않는 총체적 난국이며, 이 때문에 안 그래도 좁은 대만의 외교적 입지 역시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3.2. 대만 내부의 여론 악화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은 대만의 이러한 백신 실책에 대하여 "솔직히 말해, 미국 측에서 아직 단 한 개의 백신도 우리(대만)에게 팔지 않았다. 방역의 관건은 백신인데..."라고 한탄했다. 영국, 미국은 3월까지 백신 수출을 아예 하지 않았고, 그 후에도 소량에 그쳤다. 물론 여기에는 자국의 심각한 감염/사망 현황, 제약사와의 계약 등 복잡한 상황이 있기에 쉽게 결론내리긴 힘들지만 대만으로서는 아쉬울 수밖에 없다.[21]

차이잉원 총통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200만 도즈가 6월까지, 그리고 대만에서 자체 개발한 백신을 포함하여 8월 말까지 1,000만 도즈가 공급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를 전부 합해도 전체 인구의 25%다. 집단 면역은 택도 없는 실정. 백신 확보 실패로 인해 여론이 계속 악화되자, 정부는 5월 28일부터 지방정부 및 민간이 직접 백신을 조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국민당정치 논리보다 방역이 먼저다라는 슬로건으로 차이잉원 총통 및 내각을 압박하고 있다. 민진당 정권 입장에서는 참으로 골치아픈 상황인데, 거부 시 정치논리를 앞세워 국민을 위험에 빠뜨렸다는 비판을, 수용 시 중국에 굴복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딜레마 상태이기 때문이다. 당연히 중국은 쾌재를 부르며 차이잉원의 하야를 압박하고 있다.# 만약에 여기서 차이잉원이 하야를 한다면 중국의 영향력은 더 강해질 것이다.

결국 보다못한 장야중(張亞中) 쑨원학교[22] 교장은[23] 29일 “독일 바이오엔테크 백신과 중국 시노팜 백신을 각각 500만 회분 들여오겠다”고 밝혔다. 이번 중국 백신은 양안동방문화센터가 기증한 것이다. 민간 차원의 결정이기는 하나, 차이잉원 정부가 대중 강경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에서 중국산 백신을 지원받는 건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중국산 백신을 받아도 문제인 것이, 국민이 백신 접종을 받아들일지가 불투명하다. 2021년 현재 양안관계는 전쟁 직전이라 평가받을 만큼 최악인 상황에서 대만 국민들이 중국산 백신 접종에 동의할지 자체가 문제인 것이다. 당장 홍콩에서도 백신 및 공산당 통제와 연관된 온갖 음모론이 횡행해서 결국 당국이 시노백과 화이자 중 무엇을 맞을지에 대한 백신 선택권을 주었으나, 접종률이 도저히 오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영국의 BBC는 대만의 이러한 상황에 대해 "백신이냐 정치냐"라는 한 문장으로 정리했다. BBC는 대만 정부가 자존심을 버리고 국민안전을 위해 중국의 백신 지원을 수용할 지 여부가 쉽지 않은 정치적 결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반중을 기치로 하는 민진당 정권 입장에서는 중국의 백신 지원은 그게 푸싱제약-바이오엔테크 백신[24]이든, 다른 중국산 백신이든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후 폭스콘 궈타이밍 회장의 제안[25]을 차이잉원 총통이 수용하고, 결국 TSMC와 폭스콘이 중국 푸싱제약과 BNT162 백신 각각 500만회 분의 구매 계약을 체결하면서, 끝내 대만은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였다.

3.2.1. 중국국민당의 비판

2021년 7월 현재 대만 정부의 백신 확보 실책에 대한 비판은 중국국민당이 주로 주도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정리원(鄭麗文) 의원이 선봉장으로 나서고 있다.

6월 28일, 국민당은 "대만 정부는 지금까지 백신 확보에서 한 게 뭐가 있느냐?"고 대만 정부를 질타했다.#

정리원 의원은 당이 개최한 긴급회의에서, 대만에서 5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유행에 대한 차이잉원 정부의 늦은 대응을 질타하며 대만 정부는 백신 확보에 모든 총력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노바백스 및 AZ 백신 위탁생산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을 하고 있거나 할 예정인데, 대만은 한국과 달리 제대로 한 게 없다고 지적했다.[26] 그러면서 이러한 백신 확보 실책의 책임에 있어 차이잉원 총통과 천스중 위생복리부장도 자유롭지 않다고 비판하며, 백신 확보 노력에 있어 한국을 좀 배우라고 질타했다.[27]

또한, 일각에서 제기되는 '일본과 한국은 자국산 백신 개발이 없으며 3상 진입 백신도 없다'는 주장은 가짜 뉴스라고 지적하며 한국과 일본 역시 자국산 백신 개발이 진행중임을 밝혔고, 한국과 일본은 대만 정부처럼 임상 3상도 안 끝난 백신을 쓰려고 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28]

7월 7일, 정리원 의원은 한국-이스라엘 간 화이자 백신 70만 도즈 스와프 체결 및 공급 소식을 들며 대만 정부가 한국으로부터 백신 확보 및 접종 영역에 대해서는 좀 배워야 한다고 비판했다.#

3.2.2. 대만 정부의 안일한 현실 인식

2021년 7월 13일, 차이잉원 총통, 쑤전창 행정원장 등은 "대만은 이미 충분한 수의 백신을 확보했고, 따라서 추가 구매를 할 필요가 없다."고 발언해서 국민당으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이는 대만 행정부가 아직도 현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망언이다. 이 발언을 한 시점에서 대만이 확보한 백신 물량은 외국에서 지원 받은 백신, 아직 2상도 끝나지 않는 자체 개발 백신 공급 예정 물량까지 포함해도 2,100만명 분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거기에다가 자체 개발 백신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와 선호도는 사실상 바닥을 기는 수준이다. 대만 인구가 2,300만명이 넘는 것을 고려하면 충분하다고 말하기는 부족하고, 이걸로는 만약을 대비할 부스터샷은 택도 없다.

심지어 대부분의 물량이 언제 공급될 지는 알 수도 없는 상황이고, 자신들이 제일 꺼리던 상황인 중국 푸싱제약을 통한 화이자 백신 공급이라는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이면서까지 계약했음에도 초도물량 보급 예정일은 2021년 9월 말에서 10월 초로 무려 석 달 가까운 공백기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의심되는 소리를 하고 있으니, 야당인 국민당이 아무 거리낌없이 공격을 해도 딱히 반박할 논리가 없는 상황이다.

결국 욕이란 욕을 대차게 먹은 끝에 대만 정부는 모더나와 협상하여 2022년에 2,000만 도즈를, 2023년에 1,500만 도즈를 공급받기로 합의했다. 문제는 각각 환산하면 1,000만 명분과 750만 명분에 불과하다. 게다가 모더나는 지금도 백신 생산과 관련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터지면서 계약대로 공급이 제대로 될 지조차 불투명하다. 이것을 보면, 한국이 왜 모더나와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는지는 명약관화이다.

3.3. 미국의 백신 전격 지원

대만이 중국에서 백신을 지원받지 않고 백신수급 문제를 타개하는 유일한 방법은 미국에서 지원받는 것이었다. 미국 입장에서는 중국을 계속 압박해야 하기에 어떻게든 대만을 보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물론 이럴 경우 사람 생명보다 패권경쟁이 우선이냐는 비판을 들을 수밖에 없지만, 대만이 중국에 넘어가는 순간 중국은 대만을 발판 삼아 태평양에 진출할 수 있게 되어서,[29] 미국에게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

우선 미국은 6월 상원의원단 방문에서 대만에 75만 도즈의 백신을 지원했는데, 이것은 위에서 서술한 백악관 팩트시트에 따른 분배계획의 일부이다.# 이는 37.5만명, 즉 대만 전체 인구의 약 1.6%으로 대만 입장에서는 여전히 턱없이 부족한 물량이다. [30]

이후 대만 입장에서는 일본의 AZ 백신 지원에 이어 (62만명 분) 다행스럽게도 미국의 대량 지원까지 전격 성사되어, 모더나 백신 250만 도즈(125만명 분)를 지원받았다.# 이는 바이든 대통령이 해외에 보내겠다고 선언한 8천만 도즈 분량의 백신 중 일부다.[31] 또한 2,300만 인구 중 1회 이상 백신 접종자가 인구의 6%에 불과한 대만에 약 5%를 추가로 접종할 수 있는 물량이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의 백신 공여를 두고 미국이 최근 중국의 정치적, 군사적 압박을 받고 있는 대만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했다. 하지만 이 250만 도즈도 백악관 팩트시트상 대만은 코백스를 통한 지원분에 속한다.

3.3.1.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는 주장에 대한 팩트체크

이걸 가지고 네이버 뉴스/댓글을 비롯한 일부 커뮤니티들[32]에서는 "한미정상회담 당시 44조 원의 투자를 미국에 주고 얀센 백신 100만 도즈를 받아온 정부가 아무 것도 안하고 그냥 모더나 250만 도즈를 인도적 지원으로 받아온 대만보다 무능하다"고 주장하는데, 단순히 숫자 차이만 보는 건 굉장히 피상적인 것이다.

다음 문단에서는 이 주장과 관련하여 크게 네 가지 주장에 대한 팩트체크를 하겠다.
=====# 대만은 아무것도 안 하고 250만 도즈를 거저 받아왔다? (X) #=====
정확히는 대만은 사실상 미중 백신 전쟁의 최전선으로 전락한 것이라고 봐야 옳다. 즉, 미중 양국의 백신 전쟁 와중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이리 저리 끌려가는 상황인 것이다. 대만 국민들이 이 사태에 대해 느끼는 피로감 역시 이와 같다.

게다가 대만의 TSMC와 폭스콘 등은 미국에 무려 112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는데, 이렇게 따지면 대만은 112조 원을 주고 125만 명 분의 백신을 받은 셈이며, 단순 비교만 해도 한국에 비해 2.5~3배 가까이 손해를 본 것이다.

심지어 국내 언론도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 편승해서 '미국의 대만 사랑'이라고 호도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얀센 백신을 '인지도가 낮다'고 폄하하기까지 하고 있다. 이건 얀센 백신을 접종하는 주한미군을 욕보이는 짓에 불과하다.[33][34]

참고로 미국이 대만에 모더나 백신을 지원한 이유 중 하나는, 미국 정부의 지원금이 모더나 백신의 개발에 들어갔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모더나에 백신 물량을 요구할 수 있는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이자는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거절하고 오직 자체 자금으로만 개발했기에 미국 정부가 간섭할 명분이 전혀 없다.
=====# 대만이 더 많이 받아 왔으므로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 (X) #=====
이런 주장을 하는 일부 네티즌들은 대만의 '250'과 한국의 '100'이라는 숫자 차이에 상당히 휘둘리는 모습을 보이는데, 한국이 지원 받은 얀센은 1번만 접종하면 끝이기에 100만 도즈는 숫자 그대로 100만 명 분량이지만, 모더나사가 생산한 백신은 2번 씩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250만 도즈=125만 명 분량이다. 사실상 지원받은 물량 자체는 한국과도 별 차이가 없으며, 더군다나 대만도 505만 회분(252만 5천명분) 가량의 모더나 백신 구입에 성공했지만,# 한국 역시 2천만명 분(대만의 8배)의 모더나 백신을 구입을 해뒀으며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계약까지 맺어둔 상황이고, 모더나는 아예 한국지사를 세운 뒤 한국에서 mRNA 백신 원액을 생산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기까지 하다. 오죽하면 2021년 한미정상회담 이후 대만에서 '미국은 한국을 포섭하기 위해 물고기(백신)를 먹이고 낚싯대(위탁생산 및 기술이전생산)까지 내주고 있는데, 대만은 황금더미에 앉은 거지꼴'이라고 비판하는 칼럼까지 나왔겠나.

백신 구입은 물론 구입된 물량이 납품기일에 맞춰 인도되는 것까지 국가 차원에서 일일이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에서. 모더나 백신의 위탁생산은 한국에게 확실히 좋은 상황이다. 비록 모더나 백신의 핵심 기술 이전까지는 좌절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래도 한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다. 한국 내에서 생산한 백신을 한국 내에서 공급받는 것이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보다 훨씬 유통하기 편하기 때문. 그리고 핵심 기술 이전이 좌절된다고 해도, mRNA 백신을 위탁생산하면서 얻은 경험과 기술을 나중에 독자적으로 mRNA 백신 개발을 시도하거나, 다른 mRNA 백신을 생산할 때 써먹을 수 있다. 실제로 2021년 7월 기준 한국에서도 mRNA 백신 개발사[35]가 임상 1/2a상 시작을 목전에 두고 있다.

참고로 모더나가 아시아 지역에 지사를 설립한다고 밝혀진 국가는 한국, 일본, 호주로서, 대만은 말 그대로 관심을 1도 두고 있지 않다. 그리고 모더나는 지사가 있는 국가에만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다. 미국과 대만이 무역협상 재개 후 언급된 의제 중 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여부가 있는데, 모더나는 대만 지사 설립에 관심을 전혀 두고 있지 않으므로 희박해 보인다.[36]

또한 중국의 세컨더리 보이콧과 내부적인 사정 등으로 인해 사실상의 백신 확보에 완전히 실패한 대만과는 달리[37],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백신 지원을 확실히 약속을 받은 5월 21일 시점에서, 21년 4월 24일 기준 9,900만 명 분의 백신을 구입/주문해둔 상태였다. 여기서 100만 명 분량의 얀센 백신을 추가로 지원을 받아서 총 1억 명 분의 백신이 확보되어 아예 백신 확보에 실패한 대만의 125만 명 분량과 직접적인 비교를 하기에는 어림도 없는 수치이며, 변이를 고려한 부스터샷 접종은 더더욱 꿈도 꾸지 못하는 암울한 상황이다. 6월 24일에 질병관리청이 변이 대응을 위해 부스터샷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한 와중에, 대만은 부스터샷과 관련해서는 일절 이야기가 나오지 않고 있다. 백신 확보량 자체가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만이 전 연령에 접종 가능한 모더나 백신 125만 명 분을, 한국은 30세 이상에게만 접종 가능한 얀센 100만 명 분량을 지원 받은 것을 비교하며 두 백신의 접종 대상 연령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들여 30세 이상에게만 얀센을 접종하는 것이지, 미국 FDA는 18세 이상 전연령을 대상으로 얀센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아이슬란드는 전연령을 대상으로 얀센을 접종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조선비즈

다수가 비판하고 있는 백신 실확보 및 실접종 기준으로 봐도 한국이 대만보다 낫다. 대만에 모더나 백신 250만회 분이 도착한 시점은 6월 20일이었는데#, 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은 얀센 백신을 이미 거의 다 접종하였다.(대상자의 96.4%)

차라리 대만이 아닌 아이슬란드를 한국과 비교하면서, 아이슬란드가 한국보다 방역을 잘 했다고 말했다면 합당한 주장이 되었을 것이다.[38] 아이슬란드는 최대한 감염자들을 잡아내기 위해 섣부른 방역 완화를 하지 않았으며, 사망률도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으며 백신 접종률도 한국보다 압도적으로 높다.[39] 반면 한국은 3차 대유행 이후 섣부른 방역 완화를 했다가 4차 대유행까지 겪었다는 비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40]

하지만 대만은 아이슬란드처럼 백신을 적극적으로 확보하지도 않았으며,[41] 2021년 대유행이 터진 이후에도 적극적인 검사정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42] 이 때문에 백신 실확보 및 실접종 관련 비판은 백신 접종 중단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합당한 비판이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대만이 대한민국보다 낫다"는 논리는 합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현실부정을 하는 일부 댓글러들은 아직도 대만이 대한민국보다 낫다고 말하고 있다.
=====# 이재용을 사면하지 않아서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 (X) #=====
7월 12일에 TSMC와 폭스콘이 중국의 푸싱제약과 BNT162 백신 500만회 분의 구매 계약을 각각 체결하자, 일부 누리꾼들은 "한국 정부가 이재용을 사면하지 않아서 한국의 백신 도입이 늦어졌다."고 한국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도 말이 안되는 것이, 푸싱제약은 대만을 포함한 중화권 전역에 대해 BNT162 백신의 독점 판매권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잉원 정부는 중국 기업을 통해 백신을 도입한다는 행위를 절대 용납하지 않았는데, 결국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인 것이다. 즉, 위의 대만 기업들과 푸싱제약 간의 계약 체결은 역설적으로 대만이 자존심을 내팽개치고 백신 계약에 매달려야 할 정도로 핀치에 몰렸다는 뜻이다.

이렇게 구한 백신의 최초 납기일은 2021년 10월 이후로, 무려 석 달 이상의 공백기가 생겼다. 게다가 구입한 백신 양도 충분치가 않다. 중국 국민당은 3,000만 도즈(1,500만 명분) 도입을 주장했지만, 실계약량은 그 3분의 1에 불과했다.[43]

그리고 백신 가격도 다른 국가에 비해 비싼 것으로 알려졋다. 한국을 포함 대부분의 선진국은 1도즈에 약 US$15-20에 샀지만, 대만은 1도즈 당 무려 US$ 34에 구매했다고 한다.

사실 이는 민진당 정부의 자업자득에 가깝다. 화이자와 계약을 못한다고 해도 얀센, 노바백스와 계약할 수 있었기 때문. 하지만 대만 국민의 여론이 화이자와 모더나에 대한 선호도는 매우 높았지만, 얀센과 노바백스, AZ는 10% 미만의 선호도 비율(%)을 보였다는 이유로 이를 신경쓰지 않았고, 결국 이런 선택은 자충수임이 드러났다.
=====# 자체 백신을 더 빨리 개발해서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 (X) #=====
7월 19일, 대만 정부는 임상 3상도 안 들어간 자체개발 백신 MVC-CoV1901에 대해 긴급승인을 했다. 이걸 가지고 일부 누리꾼들은 또다시 한국 정부가 무능하다고 비판하고 있는데, 이것 역시 말도 안 되는 소리이다. 오히려 이는 임상 3상을 패스하고 바로 승인해야 할 정도로 대만의 백신 수급 상황이 나쁘다는 뜻이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대만이 하는 행동의 주체가 한국 정부로 바뀌기만 하면 동일한 행동에 대해 즉시 비난을 가할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애초에 비난을 위한 비난을 하고 있다는 것 이상의 평가를 하기 힘들다. 그나마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 정도가 임상 2상만 끝난 상태에서 3상을 건너뛰고 승인을 내서 사용하는 백신인데, 이를 좋게 평가하는 방역 관련 전문가는 없다. 따라서 대만의 행보는 다급함의 결과라고 평가하는 게 더 타당하다. 그리고 이 같은 행위는 결국 백신에 대한 신뢰도만 더 까먹게 된다.

일부 다른 누리꾼들은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도 2상 끝나고 조건부 승인하지 않았냐며 다를 바가 뭐가 있냐고 비난하는데, 애초에 백신과 치료제를 같은 선상에 두는 것부터가 오류다. 치료제는 특정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약제이다. 따라서 임상실험 대상군은 그 질병에 걸린 '환자' 뿐이고, 치료제를 사용했을 때 환자 위약군과 비교해서 통계적/의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중증으로의 악화를 줄이는지 또는 증세를 완화하는지 등을 보면 된다. 그래서 엄격하게 보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백신보다 조금 더 관대한 편이다.

하지만 백신은 환자가 아니라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고, 그것도 최소 수천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접종하며, 백신의 목적 자체가 차후 질병에 걸렸을 때 경증 수준에 그치는 수준으로 미리 면역력을 부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임상 및 승인심사를 할 때 더 엄격히 따져야 한다.

백신에 대한 임상 3상을 진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 수만 명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임상 3상(General). 대표적으로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모더나, 얀센, 노바백스에서 개발한 백신은 모두 3만~5만명을 대상으로 임상 3상을 시행하고 나서 결과가 나온 뒤에 EMA/MHRA/FDA/WHO 등에서 사용을 승인했다. 국산 백신 사례로는 제넥신(GX-19N[44])이 있다. 여기서 예방률(efficacy)이 50%(미국 FDA 기준)를 넘으면 승인.
  • 수천 명을 대상으로 하는 비교임상 3상(Non-Inferiority). 대표적으로 발네바(vs AZ)의 비교임상 3상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GBP510[45], 셀리드의 AdCLD-CoV19[46], 아이진 컨소시엄의 EG-COVID[47] 등이 있다. 여기서 야생종 및 변이종에 대해 기존의 백신보다 중화항체 역가, 기하평균역가 등이 열등하지 않거나 더 우월함을 증명하면 승인.

만약 한국 식약처도 대만 식약처와 같은 태도를 취한다면, 한국 식약처는 예를 들어 진원생명과학의 GLS-5310을 임상 2a상 끝나고 승인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해당 백신은 항체역가가 1673-3160으로, 대만의 자체개발 백신의 그것의 3-5배로 월등히 우월하기 때문이며, 이는 모더나의 값(야생종 기준 1870)보다 훨씬 높은데 안 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임상 3상이 승인된 SK바이오사이언스의 GBP510은 코로나19 완치자 국제표준혈청의 중화항체가 대비 5~8배 더 많은데, 대개 완치자의 항체역가가 400대이므로 대략 2000-3200로 추정, 역시 대만 자체백신의 값보다 3-5배나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승인 및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임상 3상을 시행해야 백신이 진짜로 효과가 있는지 유효성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데이터가 없으면 아무리 2상에서 좋은 결과가 나왔다 한들 말짱 도루묵이다.#

그런데 MVC-CoV1901의 항체역가는 662이고, 기하평균역가(GMT)는 137이다. 완치자의 수치가 각각 400대, 200대인데 항체역가는 만족하지만 GMT역가는 이에 못 미친다. 심지어 해당 백신은 2021년 여름 현재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델타 변이, 람다 변이 등의 변이종에 대해 효과가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너무 성급하게, 그리고 제대로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승인하는 것에 대해 대만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꽤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대만이 3상도 안 한 백신 사용을 승인한 것은 국민들 대상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모르는 3상을 하겠다는 뜻인데, 이것을 두고 대만 정부가 유능하다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3.3.2. 결론 및 정리

결론적으로, 코로나 백신 관련 객관적인 지표 상 대만은 그 어느 부분에서도 한국과 비교를 할 수준이 되지 않는다.[48] 애초에 대만이 한국이 확보한 수준 정도의 백신이라도 확보하고 있었다면 저만큼의 백신을 지원 받을 수도 없었을 것이다.[49] 미국으로부터 저 수준의 모더나 백신 지원을 받았다는 것부터가 역설적으로 대만의 백신 수급 상황이 한국과 비교도 안 되게 나쁘다는 걸 반증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대만은 여론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화이자 백신은 중국의 세컨더리 보이콧으로 인해 절대로 수급할 수 없기에[50], 대만 정부가 화이자 백신을 직접 계약할 가능성은 말 그대로 제로(0)이다. 만에 하나 민간을 통해 도입한다 해도 중국 푸싱제약을 통해서만 도입이 가능하다.[51]

백신 확보 실패의 책임을 두고 연일 차이잉원 행정부를 규탄하던 대만 여론은 미국의 전격적인 지원에 반색하는 한편, 전체 인구에 맞히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아쉬움을 표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결과적으로 대만은 중국 푸싱제약을 통한 공급이라는 자신들이 제일 꺼리던 상황을 받아들였고, 여론은 여론대로 악화되고, 자존심은 자존심대로 상처를 입고, 가격 또한 덤터기를 쓰는 최악의 결과를 냈다.

대만이 코백스 퍼실리티에 참여할 때 접종 분량을 인구 수의 50%로 신청하고 얀센, 노바백스 백신을 도입했다면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 이렇게 많은 분량을 신청해야 하냐면,[52] 현재 미승인국인 대만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이렇게 해야 다른 국가나 제약사가 코백스 퍼실리티를 명분 삼아서 대만에 백신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만은 기여금을 납부할 당시 인구 수의 10%만 신청했다. 미승인국이라는 현실을 애써 외면하거나 망각한 매우 안이한 태도로 볼 수밖에 없다.

3.4. 대만의 외교적 입지 악화

미국의 백신 지원을 본 중국은 대만의 ADIZ(방공식별구역)에 지속적으로 전투기를 보내며 정치적 압박을 넣기 시작했다. 2021년 6월 15일에는 중국 특유의 물량을 이용해 전투기인 J-16 14대와 J-11 6대, 폭격기인 H-6 4대, KJ-500 조기경보기 2대, Y-8 전자전기 1대, Y-8 대잠기 1대 등 역대 최대 규모인 28대를 #, 6월 23일에는 전투기 14대의 호위를 동반한 항공기 6대를 대만 방공식별구역에 밀어넣으며 #, 이를 요격하러 비상출격하는 대만 공군의 부담이 크게 가중되고 있다.[53] 또한 보통 1년에 1번 정도만 대만해협을 통과하던 미 해군이 요즘 들어서는 한달에 한번 꼴로 대만 해협을 통과하며 위기가 크게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6월 25일, 미국과 대만은 FTA의 전 단계라 불리는 TIFA 협상을 재개했는데, 여기서 미국은 대만에 대만 내 돼지고기 및 소고기 시장의 완전 개방을 요구했다. 이것은 대만 국민들에게 있어 극도로 민감한 사안이다. 2020년 8월, 차이잉원 총통은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이 필요하다는 명분으로 미국산 소고기 및 락토파민 함유 미국산 돼지고기의 수입을 전면 허용했다. 그러자 2020년 11월에 6만명 규모의 대규모 시위가 열렸고, 당시 시위대 구호 중 하나가 "차이잉원 총통은 사퇴하라!" 였을 정도로 매우 비난이 거세었고, 지지율도 폭락했다. 게다가 대한민국 국회에 대응하는 대만 입법원에서는 국회 오물 투척 사건에 비견되는 입법원 돼지 내장 투척 사건이 터지면서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다.

이 문제는 친중성향인 마잉주 총통 시절부터 있었던 오래된 문제다. 당시 마잉주 총통도 미국과의 관계 개선 및 경제 모멘텀 강화를 명분으로 미국산 돼지고기 및 소고기의 수입을 허용했는데, 국민들이 "국민 생명보다 동맹이 더 중요하냐"고 격렬하게 반발하자 결국 철회했다. 미국의 이번 요구가 백신 지원을 빌미로 한 것이라면 대만 입장에서는 매우 골때리는 일이 된다. 삐끗하면 이거 때문에 정권교체까지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

어찌 보면 대만 입장에서는 매우 씁쓸한 역사적 자화상이라 볼 수 있다. 대만은 한때 방역 모범국으로 찬사를 받았다가, 자신들의 방심으로 인해 허점이 만들어지자 이를 코로나19가 파고들어 대유행이 일어났고, '방역 모범국'이라는 성과마저 처참하게 불타 없어졌다. 여기에 백신마저도 부족한 상황이었는데, 미국의 이번 지원으로 대만의 백신 생살여탈권을 미국이 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끝내 화이자 백신을 도입하기 위해 중국 푸싱제약의 자회사와 계약을 맺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했고, 결국 이를 받아들였다.

이렇게 대만은 2021년 미중 백신 전쟁의 최전선으로 전락해 버렸으나 미국과의 군사적 밀착을 강화하는 식으로 외교적 고립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다. 이후 상황은 미국-대만 관계/2020년대 등 문서를 참조할 것.

3.5. 일본 기증 백신 고령 접종자 사망과 백신 기피

6월 15일부터 일본에서 기증받은 AZ 백신의 고령자 대상 접종이 시작된 이후 수 일간 총 세자릿수의 (단순 선후관계상) 접종 후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국은 3월에 코백스를 통해 공급했기에 일본에서 기증받은 백신을 접종한 이후의 문제이다. 그러자 백신 기피 현상이 퍼지고 있다.

대만 빈과일보에 의하면 25일 오전 10시 기준 백신 접종 후 사망자는 169명이다. 연합보는 중부 타이중시와 서부 장화현 등에서 백신 접종을 위해 순서를 기다리던 접종자 대열이 이미 사라졌다고 보도했다. 또한 이전엔 매일 약 15만회분을 접종했으나 최근에는 5만회분 이하로 대폭 감소하는 등 접종 속도가 느려졌다고 밝혔다.#

즉, 안 그래도 백신 확보가 후달리는 상황에서, 델타 변이의 위협이 가중되는 와중에, 백신 기피 현상까지 퍼지니 대만 입장에서는 산 넘어 산, 총체적 난국인 상황이다.

3.5.1. 대만의 한국 백신 접종 사망자 통계 왜곡 논란

6월 18일, 대만 CECC는 정례브리핑에서 75세 이상 AZ백신 접종자 중 사망신고 통계를 발표하며 한국을 비교 대상으로 제시하였다. 당시 CECC가 내세운 통계는 다음과 같다. 값은 6월 17일 기준이다.
구분 사망신고/접종자수 1만명당 사망신고율
한국 37/253297 1.42
대만 20/229566 0.87

이 발표가 진행된 이후, 한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대만이 자국민의 백신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한국의 백신 관련 통계를 조작했다."라는 글이 퍼지기 시작했다. 이를 본 대한민국 누리꾼들은 과연 혐한국가 대만다운 짓이라며 비판했다.

이 논란이 뜨거워지자 연합뉴스(YTN)에서 팩트체크를 실시했다. 팩트체크 결과 YTN은 "대만 정부가 한국 질병관리청의 정확한 통계를 인용하여 발표를 했다."고 결론을 냈다. 다만 YTN은 한국의 경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 받은 75세 이상 고령층의 수가 워낙 적어서 통계적으로 대만과 비교하는 게 유의미한지는 의문이라고 부연 설명했다.#

4. 2021년 5월~6월 타이베이발 대유행

파일:T0705.png
대만의 7일 평균 신규 확진자 그래프. 5월 15일부터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6월 말에 와서야 진정되었다. / 출처: Our World in Data, CECC

2021년 4월까지만 해도 대만에서 발생한 주요 집단감염은 대만 해군의 판시급 고속군수지원함 판시함[54] 집단감염(2020.4.), 타오위안병원발 집단감염(2021.1.) 정도라서, 대만 보건당국은 방역을 잘 했다는 평가가 우세했다.[55]

그러나 2021년 5월 초에 타이베이시 찻집들[56], 이란현 성인오락실 등에서 감염이 퍼지더니, 감염자가 순식간에 100배 폭증했다. 결국 5월 11일 방역대책 2급이 발령되고, 12일 보건당국에서 지역사회 감염을 선언하였다.

5월 15일, 185명(지역사회 180, 해외유입 5)의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대만 사회는 패닉에 빠졌다. 이후 연일 세자릿 수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대유행의 상징적인 숫자인 100명을 넘은 도시가 두 곳(타이베이시, 신베이시)이나 있다. 게다가 그 두 곳 모두 수도 및 수도권이다.

결국 5월 15일에는 수도권에, 19일에는 대만 전국에 방역대책 3급이 발령되었다. 동시에 전국의 유흥시설 및 오락시설[57]의 영업 중지, 모든 학교의 비대면 수업 전환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3급 방역대책에 따라 실내 5인 이상, 실외 10인 이상 사적 집합 금지, 종교활동 중지, 외출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 각종 공공시설과 운동시설이 폐쇄된다. 즉 대한민국의 2.5단계 + 5인이상 집합금지와 맞먹는 강력한 규제책이다. 한국의 최고 거리두기가 수도권 2.5단계+전국 2단계였던 만큼 한국보다도 심각한 전국단위의 준봉쇄령(soft lockdown)이 내려진 것이다.

하지만 전국 3급 방역태세 발령에도 지역사회 감염이 줄지 않자 당국은 26일부터 외출 시 마스크 미착용 경우 경고 없이 즉시 최고 1만5천 대만달러(약 60만원)의 벌금 부과, 음식의 포장 판매만 허용, 결혼 피로연 금지 등의 5대 방역 강화 조치를 추가 공개했다.

대만에는 TSMC 등의 반도체 공장들이 위치한 신주현이 있기 때문에, 이는 대만 경제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TSMC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팀을 짜서 조업에 들어갔다.

만약 2주 연속으로 신규 확진자가 100명 이상일 경우 4단계가 발령되는데, 4단계는 모든 직장과 학교의 운영이 중단되는, 사실상의 총봉쇄(hard lockdown) 조치이다. 대만 당국은 4단계 발령의 조건은 확진자 100명과 더불어 감염경로 미상 50%라고 강조하며 사실상 4단계를 발령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만에 하나 4단계가 발령되면 TSMC도 문 닫아야 되는데, 그렇게 되면 대만 경제는 말 그대로 초토화되며, 차이잉원 총통과 민진당 정권이 맞는 정치적 타격도 막심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의 인구 수를 고려하면, 대만의 일 확진자 400~500명은 한국의 일 확진자 800~1100명과 비슷한 정도의 확산세로 한국의 3차 유행기의 정점 정도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은 1, 2차 대유행을 겪으면서 방역 태세를 가다듬고 3차 대유행을 겪으면서 치료제 공급(셀트리온 렉키로나주)을 통해 병상 여유분을 확보하고, 2월부터 이미 백신 접종을 시작해 2.7%에 달했던 치명률을 0.2~3%대로 떨어트리며 한숨을 돌렸다.#

반면 대만은 첫 유행부터 한국의 3차유행 급의 웨이브가 발생했고, 긴장이 풀려 있던 상태에서 이제 막 유행이 다시 시작된 관계로 백신이나 병상, 검사능력 등의 방역 준비가 아직 제대로 안 된 터라 불안한 편이다.[58] 여기에 확진자 수 역시 한때 대만이 한국을 추월하는 등 여러 지표 기준으로 대만이 한국보다 심각한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6월 말 들어서는 하루 150명 미만으로 확진자 수를 줄이는 데 성공하면서 숨통이 트이게 되었지만, 백신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는 한 유행이 언제든지 재발할 가능성은 남아있다.

그리고 2021년 6월 25~26일에 대만 핑둥현 팡산향에서 델타 변이가 처음으로 확인되었고 심지어 같은 날에 델타 변이의 지역발생도 확인되어 핑둥현 팡산향에 준4급 방역대책이 처음으로 발령되었다. 말이 준4급이지 실제로는 4급 방역대책(hard lockdown)이 발령된 첫 지역이 된 것이다.

4.1. 폭증의 원인

자만심이 대만의 유일한 방어선을 무너뜨리다.
Complacency Let Covid Break Down Taiwan’s Only Line of Defense
안심이 초래한 결과
BBC 기사 #
너무 잘 막았던 것이 독
서울신문 #

대만은 유행 초기 과감한 결단과 기민한 움직임에 행운까지 따라준 덕에 세계에서 가장 방역에 성공한 국가에 등극했다. 이런 성공은 대만이 가장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자만하게 만들었는데, 바로 국경 통제만으로는 전염병을 막을 수 없다는 법칙에 가까운 의학적 사실이다. 대만은 상당히 완화된 국경 통제책만 남기고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방역 대책을 해제했으며 대만은 코로나19로부터 자유로워진 것만 같았다. 하지만 코로나19는 상황만 맞는다면 언제든 다시 유행할 수 있었다. 유행 출현의 원인을 요소별로 따지면 크게 다음과 같다.
====# 대만 국민의 방심 #====
대만은 초반부터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입국금지를 하는 등 봉쇄정책을 중점으로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을 덧붙여 시행했다. 이것은 2021년 초까지만 해도 성과를 거두어, 3월에 있던 해외유입을 중심으로 한 1차 유행을 제외하면 대만은 거의 완전한 일상생활을 누리고 있었다.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도 없었고, 유흥가가 호황을 누리고 대규모 페스티벌이 열렸으며, 6만명 규모의 시위도 열렸다. 물론 200일 넘게 지역 감염 0를 기록했기에 방심해도 이상하지는 않은 상황이긴 했다.

이렇게 대만은 코로나19의 공포에서 완전히 해방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거리두기가 사라진 방심한 모습을 보이던 중, 5월에 찻집(을 빙자한 유흥주점)에서 방역위반으로 인한 집단 감염이 발생했고, 이를 기점으로 지역발생이 폭증했다.

또한 지역사회의 잔존감염이 극소수지만 존재해서 바이러스가 명맥을 이어오고 있었으며. 대만이 완전히 일상을 되찾자 남아있던 불씨가 다시 되살아난 것일 수도 있다. 이전부터 대만에서 입국한 사람들이 확진되거나 항체검사상 양성이 나오는 등 대만에 코로나19 감염이 남아있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대만이 다시 코로나19 감염자 탐색을 시작하자 100배 규모로 확진자가 폭증한 것은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된지 꽤 시간이 경과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특히 5월 16일 발표된 207명의 신규 확진자들 중에는 4월 6일부터 증상을 보인 확진자도 있었다고 한다. 무려 40일 전이다. 즉, 최소한 4월 6일부터 이미 지역사회 감염이 조용히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 대만 정부의 오판 #====
대만 정부의 자만과 허술해진 격리지침은 문제의 시발점이었다. 사실 처음에 찻집 집단감염이 발생했을 때에도 충분히 대처할 기회가 있었다. 그러나 쑤전창 행정원장[59]은 "지난해에 비해 팬데믹을 퇴치할 더 많은 경험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며 "코로나 경보 수준을 높일 필요가 없다"고 자신했다.[60] 하지만 불과 하루만에 경보를 3단계로 올리면서 정부의 신뢰가 흔들렸고, 지역사회 감염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던 골든타임을 3주나 허비하였다.# 총 세 번의 경고징후가 있었지만 이를 모두 외면한 결과인 것이다.
  • 첫 번째 경고징후: 중화항공 조종사 집단 감염
    이런 사태의 전조는 4월 말 중화항공 조종사 집단 감염에서 보였는데, 대만은 항공사가 조종사 소티 확보가 어렵다는 요청을 수리해 민항기 조종사의 경우 겨우 3일간만 격리했고 나머지는 조종사의 재량에 맡기는 최대의 실책을 저지르게 된다. 백신 접종을 마친 사람만 대상으로 했으면 모를까, 백신과는 상관 없이 일률 적용이었다.[61] 이 격리 정책 실책을 가리켜 '3일 의무, 11일 재량'이라고 해서 대만 정치권에서는 일명 3+11이라 부르고 있다.
  • 두 번째 경고징후: 노보텔 감염사례 보고
    또한 대만을 외부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방어하는 보루 역할을 하는 격리호텔은 타오위안 국제공항 옆의 노보텔이었다. 이 호텔은 일부는 격리용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일부는 평소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민간에 개방되었으며 격리 승무원과 민간인이 한 건물에 섞여있었다. 그 결과 노보텔에서 감염 경로가 오리무중인 수십건의 감염이 발생했다. 즉 대만은 스스로 초기 성공 요인이라 자평했던 국경통제에서 허술한 빈틈을 만들었고, 이 빈틈으로 코로나19가 파고든 것이다.
    게다가 지역감염이 발생한 후의 대처도 2020년과는 다르게 매우 늦었다. 2021년 4월 조종사 감염이 호텔 감염과 가족간 감염으로 번졌음에도, 대만 당국은 별다른 조치를 취하거나 대중에 방역에 주의하란 메세지를 충분히 전달하지 않았다. 오히려 대만의 방역 상황은 안정적이며 유행을 극복하고 있다는 자신감에 찬 선전만이 계속되었다.[62]
  • 마지막 경고징후: 유흥시설 감염사례 보고
    그리고 2021년 5월 첫주에 유흥업소발 감염이 보고되었을 때, 대만 방역당국은 이미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으며 당장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직감하지 못했거나, 무시한 채 기존 지침을 유지하였다. 대만이 방역단계를 2단계로 격상한 것은 5월 11일이었고, 이마저도 너무 늦어 3단계 격상은 없다고 자신한지 하루만에 200명에 달하는 확진자를 보고받고 말을 손바닥 뒤집듯 뒤엎어야 했다.[63]

또한 대만은 일상 회복이란 대의 하에 마스크 의무 착용, 출입명부 작성 등 대부분의 방역정책을 해제하여 왔는데, 이로 인해 바이러스가 유입되자 감염세가 급격히 커졌고 무엇보다 접촉자 추적에 상당히 애를 먹게 되었다. 게다가 대만은 신용카드보다는 현금을 더 많이 쓰는데, 이게 역학조사를 애먹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64]

대한민국, 베트남, 호주 등 타 국가들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65] 코로나19는 잠복기가 14일 이상 되는 특이한 사례(최대 90일 이상)가 종종 등장하고[66], 격리시설을 통한 감염이나 격리시설내 환경을 통한 교차감염이 가능한 만큼 입국금지/입국자에 대한 시설격리만으로 코로나19의 유입을 100%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항상 긴장을 늦추지 않고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 경각심을 가졌어야 함에도 대만 당국이나 사회의 대처에 빈틈이 있었던 것이다.

더군다나 대만에서 코로나 확산이 시작되자, 대만은 여타 국가들의 방역 데이터를 전혀 모니터링 하지 않은 게 아닌가 싶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진단 검사 능력을 갖추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전형적인 '전시행정'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현재 대만군이 벌이고 있는 '거리소독'이다.#1 #2

한국에서는 2020년 3월, 대구시에서 신천지발 코로나 확산이 심화되었을 때 각 지자체들이 공무원과 군 병력, 드론, 제독차량들을 동원하여 길거리에 소독제를 살포하는 이른바 '길거리소독' 을 벌인 적이 있다.# 그러나 질병관리청은 군 제독차량을 동원하는 소독에 관해 대다수의 경우 야외가 아닌 실내 밀폐 환경에서 전염되며, 또 이러한 스프레이 소독은 살포범위가 불확실해 소독범위가 떨어지는 데다가 오히려 표면에 묻은 바이러스를 공기중에 퍼뜨려 호흡기를 통한 감염 위험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곧장 중단시켰다.# # 실내건 야외건 감염자가 다녀간 곳에는 소독제를 공기 중에 분무하지 말고 소독제를 묻힌 물수건으로 닦는 것이 정답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대만은 지난 1년간 각국이 코로나19와 싸우며 얻은 귀중한 데이터에는 관심도 기울이지 않았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이런 짓을 2021년 6월 하순에도 계속 하는 것이 확인됐다.#1 #2 #3 대만은 이러한 군을 동원한 무용지물에 가까운 방역을 2020년 3월에도 보여줬다.# 그 때야 한국도 서울과 대구 등지에서 비슷한 방역을 했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경로도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때이니 참작이 가능하지만, 이런 위험한 행동을 1년이 지난 현재까지 지속하고 있다면 확실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 안일했던 백신 정책 #====
문제는, (대만에) 백신이 없다는 겁니다.
The problem is, there are no vaccines.
- 위의 블룸버그 기사 인용

대만 정부는 2021년 말까지 전 국민의 64%가 접종하는 것을 목표로 계획을 짰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백신 수급 계약은 상술한 대로 매우 허술하게 진행했다. 손망실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대만 정부가 목표를 달성하려면 최소 2,000만 명분을 수급했어야 했다.

설령 화이자 백신이 푸싱제약과의 문제로 도입이 어렵다 하더라도, 250만 명분 밖에 계약하지 않은 모더나는 물론, 노바벡스, 스푸트니크 V 등 다른 대안을 찾아보지 않은 것은 다소 안이하게 느껴질 수 있다. 폭넓게 접종 중인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의 기존 백신 외에도 독일의 큐어백, 프랑스의 사노피 등 다른 백신들 역시 임상 막바지에 다다른 상태이다. 그러나 대만 정부는 여전히 2상 진행 중에 불과한 자국산 백신 개발에 집착하고 있다.[67]

이렇게 백신 수급과 접종이 느린 탓에 대만의 방역 상황에서 접종 0순위어야 할 입국/검역 종사자, 격리시설 종사자, 항공승무원, 고위험시설 의료진에 대한 접종이 # 주요국 대비 매우 느렸고, 결국 이들 시설 모두에서 감염이 발생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현되었다.

대만의 코로나19 유행의 시발점으로 항공기 조종사와 격리 호텔발 감염이 꼽힌다. 대만같이 방역에 성공했으며, 백신 수량은 부족한 국가의 경우 외부 바이러스 유입을 막기 위해 최대한 빨리 항공승무원 접종을 해야했음에도 항공승무원의 접종은 4월 12일에야 시행되었으며 그마저도 속도가 느렸다. #[68] 접종 시행이 느렸던 탓에 항공승무원의 면역 형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고, 접종을 받았지만 접종 타이밍이 늦은 탓에 면역 획득을 못하고 가족까지 감염시킨 사례도 있다. # 격리호텔에서도 감염경로 미상의 감염이 속출했으며 이후 지역유행이 번지기 시작하자 의료진의 감염이 잇따르고 대형 병원이 폐쇄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결국 5월 16일, 대만 보건당국은 자부담 백신 접종 프로그램[69]을 일시 중지하기에 이른다. 이 시점에서 우선순위대상자 포함 접종횟수는 약 18만 5천 회이다. 5월 5주차에 코백스를 통해 AZ백신 40만회분이 더 들어왔지만, 아직도 앞이 깜깜하다.

이 가운데 일본이 자국에서 특례승인이 되었으나, 위험성 평가를 위해 사용을 보류중인 AZ 백신을 지원할 의사가 있음을 흘렸다.# 이에 중국 정부는 "내정 간섭"이라며 반발했다.# 참고로 저 사이트에서 # 대만의 지역별 예방 접종 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 무증상자를 찾아내기에 역부족인 검사/감시 정책 #====
"만약 300명의 진단을 통한 확진 사례가 있다면, 지역사회에는 3,000명의 확진자가 있습니다. 다만 그들이 모를 뿐이죠."
- 미국 메이요클리닉 백신연구단장이자 바이러스학자 그레고리 폴랜드, 위의 블룸버그 기사 인용

대만은 검사 수가 매우 적다. 1천명당 검사 횟수가 0.18건으로 비슷한 방역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호주(1.8)나 싱가포르(13.1) 보다도 크게 적은 상황이다.(참고치: 한국 검사자 수는 총누적 기준 인구 1천명당 182.5명[70]. 대만은 총누적으로 해도 1천명당 23.8건이다.)

대만 당국은 과도한 검사는 위양성을 야기하고 의료 자원을 낭비한다는 명분 하에[71] 매우 적은 검사수를 유지해왔다. 이는 다른 나라들이 오히려 검사 수가 충분하지 못한 것과 위음성을 걱정했던 것과는 정반대였으나, 지역확진자가 0일 때는 검사 수가 적어도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이런 검사 정책을 유지한다고 해도 첫째, 완벽하게 바이러스를 차단할 순 없으므로 최소한의 감시태세를 유지해야 했고, 둘째, 유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공격적으로 검사 수를 늘려 무증상 확진자를 탐색해야 했다. 이렇게 이 둘을 수행해야 숨어있는 감염자를 찾아낼 수 있고 유행 가능성을 예방하고 빠른 대처가 가능한 만큼 아쉬운 부분이다.[72]

싱가포르나 홍콩 등 지역사회 감염을 거의 뿌리뽑고 해외 유입 위주로 경계태세를 강화한 나라들은 긴장을 놓지 않고 무증상자나 잡아내지 못한 지역 감염을 색출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폐수 감시와 이주노동자, 유흥가 등의 고위험군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이다. 그럼에도 싱가포르서 또다시 지역사회 유행이 진행되어 5월에 봉쇄령이 내려진 상태이다. 하지만 대만은 유행 감시 태세를 전부 해제했고,[73] 고위험군에 대한 관리에 실패해 유흥업소를 중심으로 감염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대만의 검사역량이 검사 수요에 비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5월 15일에 총 검사 건수 6,539건 중 185명 확진되어서 양성률이 2.8%이다. 게다가 감염 확산의 중심인 불법 유흥업소에선 약 2천명이 검사받아 10% 이상이 양성으로 나왔는데, 이는 검사 대상을 충분히 확대하지 않아 놓친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블룸버그 기사 원문# 이렇게 유행이 나날이 최정점을 갱신중임에도 검사 역량을 늘려두지 않았던 탓에 총 검사 수가 확진자 규모 대비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역량 부족으로 인해, 코로나19 검사방법 중 가장 민감도가 높은 방법인 PCR 검사를 필요한 만큼 하지 못하고 있다. 대만 정부가 확진자 급증에 대응하여 유행 핫스팟 위주로 설치한 검사소들은 전부 PCR이 아니라 신속검사키트를 통해 검사를 한다.# 신속검사키트는 무증상 탐지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위음성으로 확진자를 놓쳐서 유행 차단에 실패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역사회 감염이 대확산되어 유행이 만연한 상황이 아니면 효용가치가 떨어진다는 게 중론이다.[74] 그런데 위양성이 걱정되어서 PCR도 안하겠다던 대만이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정확도가 낮은 신속검사까지 시행하는 것이다. 신속검사소의 양성률이 타이베이시 완화구 한 곳에서만 5월 24일에 1,299명 검사해서 자그마치 8.47%인데 신속검사키트는 무증상자에 대해선 진단률이 매우 떨어지며, 코로나19 환자의 절반 이상이 무증상자라는 걸 고려하면 검사로 확진된 사람 수에 육박하는 무증상자를 놓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

하지만 애초에 코로나 검사 자체를 등한시했던 탓에 검사 역량을 확충하는데 큰 애로가 발생하고 있으며, 심지어 간이검사 키트마저 모자라 신속검사소에서도 몰려오는 사람들을 처리하지 못하고 돌려보내기까지 했다. # 타이베이시에서도 이러한 사태를 보고받은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은 매우 화를 냈다고 한다.#

대만대 교수는 BBC의 취재에서 "병원에서 코로나의 흔한 증상인 발열 환자들조차 적극적인 검사를 중단했다"고 전했다.# 급기야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이 "무증상자는 제발 검사하러 오지 마세요! 검사할 사람 너무 많아 힘듭니다"라고 호소할 정도이다(...).[75]

=====# 대한민국과의 비교 #=====
대한민국에서는 자발적인 의심신고검사 및 임시선별진료소 검사를 합쳐 하루 평균 75,000~100,000건의 검사가 이루어지고, 99% 이상 PCR 검사이며, 이를 토대로 한 1일 확진율은 약 0.5~1%, 주말/공휴일에는 1~2%이다.# 그리고 이와 별개로 각종 의료기관 및 생활치료센터, 요양시설 등에서 진행하는 검사들[76]이 있는데, 해당 검사들까지 모두 합치면 하루 20만~30만 건의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것도 모자라서 한국 보건당국은 일일 검사능력을 최대 50만 건으로 올리기로 했다. 후술하지만 대만에서는 검사 방식이 '표준 검사'와 '쾌속 검사'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대만으로 치면 쾌속검사가 기본이다.

이렇게까지 많은 검사를 시행하는 이유는 무증상자까지 찾아내어 지역사회에 숨어있는 감염 고리를 사전에 찾아 차단하는 것이 코로나19 방역에 매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난 2020년 2~3월의 신천지 집단감염 때 증상 유무에 상관없이 당시 신천지 신도들과 그 접촉자 전원을 대상으로 검사를 돌렸다.

또한, 지금도 역학조사 결과 접촉자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 특정 날짜 및 시간에 특정 장소나 특정 대중교통 수단[77]을 방문했으면 유증상이건 무증상이건 무조건 검사를 받으라고 문자를 날리고, 각 지자체의 코로나19 현황 사이트와 지자체 블로그/SNS계정 등에도 공지하고 있고, 이런 경우라면 검사비는 전액 무료다. 3차 대유행부터는 임시선별진료소를 설치하여 숨은 확진자를 잡아내고 있다. 즉, 포위검사(surrounding testing) 방식인 셈.

이건 한국에서 거주 중인 외국인도 예외가 없다. 특히 이 과정에서 불법체류자가 검사를 받거나 확진되더라도 법적 조치를 보류해 주며, 우선 치료 및 역학조사부터 실시한다. 이는 불법체류자가 숨어서 검사를 받지 않고 지역사회에 코로나19를 전파하는 것보다, 빨리 검사를 받고 조기에 감염 고리를 차단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기 때문이다.

2021년 5월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참가자 2,248명 중 6명에서 코로나19 항체가 발견되었다.# 이 조사결과는 표본 조사를 기반으로 한 단순 추산 확진자 수와, 실제로 방역 당국이 발견한 확진자 수가 거의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국 방역당국이 총력을 기울여 이 잡듯이 검사를 돌린 효과를 확실히 봤다는 뜻이다. 그리고 질병관리청의 확진자 발표 통계를 유심히 보면 알겠지만 약 1/6~1/5이 임시선별검사소에서 나왔다. 임시선별검사소가 의심신고검사와는 별개인 것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정책을 하지 않았을 경우 그만큼의 '숨은 확진자'를 놓칠 수 있었다는 뜻이 된다. 2021년 8월 현재 한국이 분투 중인 4차 대유행에서도 일일 신규 확진자 중 약 1/5, 많으면 1/4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나왔다. 이렇듯 단시간 대량 검사의 중요성은 큰 편이다.

대만의 검사는 현재 선별진료소에서 그 누구나 무료이다.

다만 출국시 다른 나라에서 제출목적으로 받아야 하는 PCR검사비용으로, 표준 검사의 경우 NT$5,000, 한화 약 20만 원이며, 한국처럼 6시간 이내 결과가 나오는 '쾌속검사'의 경우 40%를 추가로 부담해 NT$7,000, 한화 약 283,500원이다. 이건 단순비교만 해도 99,000~140,000 원인 한국보다 2~3배 비싸며, 물가 차이를 고려하면 검사 비용이 자그마치 50~80만 원인 셈으로 6-7배 이상 비싼 것이다. 1인당 평균 GDP를 생각해보면 검사비용이 너무 비싼 편이다.

결국 검사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지적을 받자, 대만 방역당국은 일반검사 비용을 NT$5,000에서 NT$3,500(한화 약 14만원)으로, 쾌속검사는 NT$7,000에서 NT$4,500(한화 약 18만원)으로 낮추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비용이 실질 소득 및 물가 대비 비싼 편이다.

4.1.1. 조선일보의 분석

계란을 한 바구니에 몰빵한 댓가는 참혹했다.
2021년 6월 6일, 조선일보는 대만이 왜 이렇게 속절없이 무너졌는지 분석했다.#

시작부터 '세계적 찬사를 받던 대만의 'T방역'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며, 코로나19 초창기 발빠른 중국발 입국봉쇄로 코로나19를 막아왔던 대만의 방역전선이 허물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3단계 경계태세가 발령되면서 민진당 정권의 지지율도 급락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초창기 '국민영웅'으로 불리며 수도 타이베이의 차기 시장으로 거명됐던 방역지휘관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장관)은 백신 확보 문제로 하루아침에 역적으로 몰리며 야당인 국민당의 경질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만의 백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진 것에 대해 상세히 분석했다. 코로나19 초창기인 2020년 3월 16일, 중국의 푸싱제약은 독일 바이오엔텍의 mRNA 백신 개발에 돈을 대는 조건으로 합작계약을 체결하고, 중국 대륙을 비롯해 홍콩, 마카오, 대만의 판권까지 일찌감치 확보했다. 당시 푸싱 측은 바이오엔텍 측에 8,500만 달러(약 950억 원)의 연구비와 함께 중국 내 임상시험을 주선하고, 이와 별개로 5,000만 달러(약 550억 원) 어치의 바이오엔텍 주식까지 확보했다고 한다. 이는 3월 17일 미국 화이자가 독일 바이오엔텍과 합작계약을 체결하기 하루 전날이다. 결국, 화이자-바이오엔텍 백신의 중화권 판권이 중국 기업으로 넘어가면서, 대만은 졸지에 중국 측에 구걸해 백신을 한 병이라도 얻어와야 하는 처지가 됐다.

또한, 이로 인해 대만은 중국 푸싱제약을 피해 독일 바이오엔테크와의 직접 협상을 통한 우회 확보를 시도했으나, 저 계약 때문에 이마저도 물거품이 되었다. 실제로 중국에 반환되어 중국 당국에 비교적 고분고분한 홍콩과 마카오는 대만과 달리 바이오엔테크 백신을 차질 없이 공급받고 있다.

자연히 대만 정부에 대한 여론은 악화되었고, 아예 민간 차원에서 백신 확보를 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대만 당국은 이에 계속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하루 신규확진자 수가 최고 700명 대까지 치솟으면서 당국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끓어오르는 상황이다.

결국 대만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논란이 발생한 영향으로 대만 야후 온라인 여론조사에서 겨우 2.5%의 선호도를 기록한 AZ 백신의 확보에 사활을 걸게 되었다. 우선 3월 한국의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생산한 AZ 백신 11만 7천회 분을 코백스를 통해 긴급 공수받았다. 5월 19일에는 코백스를 통해 AZ백신 41만 4천회 분도 네덜란드에서 대만 에바항공 편으로 싣고 왔다. 여기에 일본에서 124만 도즈(62만 명분)의 AZ백신을 지원받기로 했다.

결국 대만은 자국 내 백신선호도 여론조사에서 가장 높은 41.6%의 선호도를 기록한 화이자-바이오엔텍 백신 공급이 사실상 차단된 상태에서 AZ 백신이라도 끌어모으는 데 사활을 걸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무려 1000만원 상당의 돈을 내고[78] 백신 접종을 받으러 괌 등으로 가는 상황까지 생기고 있다.

4.2. 당시 벌어진 대만 사회의 혼란상



사실상 대만 내 최초의 대유행이 시작되자 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생겼다.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놀란 시민들이 사재기에 나서면서 마트의 생필품 매대가 동나고 구매 수량이 제한되었다.[79][80] 정부는 대만의 상황은 안정적이라며 물류창고에 산더미같이 쌓인 재고 사진을 공개했으나, 이미 정부가 '방역 상황은 안정적이며 방역대책 격상은 없을 것'이라 자신한지 하루만에 손바닥 뒤집듯 말을 바꾼지라 시민의 불안함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게다가 5월 22일, 대만 국민들의 뚜껑이 열리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723명의 확진자 중에서 전날까지의 통계에 오류가 있어 누락된 400명의 확진자가 새로 산입된 것이었다. 이에 대만 국민들이 방역당국을 가열차게 비판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 이후 6월 6일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수십에서 수백명 단위의 추가 확진자가 산입되는 오류가 발생하면서, 통계시스템이 개판이라고 말해도 할 말이 없을 정도로 아주 총체적 난국이다.

또한, 대만 정부는 방역물자의 비축이 충분하다고 자신했으나, 검사 키트가 부족하여 검사소에 몰린 사람들을 돌려보내는 일이 일어나고, 의료용 N95급의 마스크 재고가 부족하여 병원 의료진들이 마스크를 충분히 지급받지 못하고 있다.[81]

이러한 정부에 대한 증가한 불신이 반영이라도 된 듯, 차이잉원 총통의 지지율도 폭락하여 지난 재선 승리 이후 최초로 50% 미만인 45.7%를 기록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다시 검사수 대비 확진율이 상승하고 있다. 게다가 검사결과가 나오는 데만 최대 9일(!)이 걸린다고 한다. 이 정도면 2020년 팬데믹 초기처럼 한국 등 검사역량이 충분한 국가에 항공으로 검체를 보내고 결과를 통보받는 게 더 빠를 지경이다. 실제로 핀란드가 자국 내 검사 역량이 악화되자 한시적으로 항공으로 검체를 한국에 보내 결과를 받기도 했다.#[82]

대만 내애서 확진자가 300명 넘게 실종되는 등 확진자 관리, 추적에도 난항을 보이고 있다. 병원에서 검사를 받고 귀가 후 연락이 두절되는 것. 기재한 연락처를 알아볼 수 없거나 가짜 신상을 기재한 경우도 많다. 당국은 경찰력을 동원해 추적에 나서면서 일부 연락 두절은 격리로 인한 생계곤란을 우려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이럴 경우 확진자들이 바이러스를 더 퍼뜨릴 수도 있고, 이러면 대만의 팬데믹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SCMP [83]

이 와중에 대만에서 중국 샤먼으로 입국한 대만인 6명이 입국장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이 중 4명은 코로나19 확진판정 받고 격리치료까지 끝난 사람들이었다. 확진자 격리치료 관리도 엉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4.2.1. 계속된 통계 오류

이곳 또는 중화민국 질병관제서에서 오류가 반영된 통계를 게시물을 통해 볼 수 있다.

5월 22일부터 6월 6일까지 16일간 단 하루도 빠짐없이 통계 오류라는 총체적 난국을 보였다. 5월 16일에 발표된 확진자 통계는 그나마 발표 10일 후인 5월 26일부터 추가 산입이 없었다가 5월 28일 산입이 발생한데 이어 31일에도, 심지어 20일이 지난 6월 5일에도 산입이 있었다. 5월 17일자 확진자 통계는 11일이 지난 5월 28일까지도 추가산입이 지속된데다 17일이나 지난 6월 3일에도 산입이 발생하였다. 5월 24일에는 확진자가 급등하기 직전인 5월 14일 발표치에 추가산입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PCR 검사를 실험실에서 진행하면 6시간 내에 결과를 알 수 있다. 즉, 해당 통계 오류가 발생했다는 것은 대만 당국의 통계처리 능력과 관련 행정력, 검사 능력이 바닥을 치고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검사 결과 처리가 느리면 빠른 격리 역시 차질이 발생하므로, 양성인 사람이 본인의 검사 결과를 알지 못하고 활동하다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당초 처음 통계오류가 보고됐을 때는 단순 통계처리 지연으로 1,2일 정도 보고가 지연되는 것인줄 알았지만, 열흘도 더 전의 통계치가 보정되는 일이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 검사역량 부족, 장비 부족, 인력 부족, 통계처리 비효율 등 모든 악조건이 겹쳐버리면서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그마치 9일이나 소모되는 것. 신속한 검사를 통한 추적, 격리가 코로나19 방역의 기본인데 검사 역량을 등한시한 탓에 적체가 너무 심해서 한국의 K-방역처럼 3T 전략(검사, 추적, 치료)을 기동시킬 수 없는 상황이다. 17일 확진자가 27일에야 보정되는 지경인데, 열흘이면 빠르게 격리되어 치료받았으면 이미 다 나아서 격리 해제됐을 시간이다.

이 때 천스중 위생부장이 쓴 단어가 바로 대만에서 핫한 단어로 떠오른 교정회귀(校正回歸)다.[84] 그래서 대만 야후가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천스중 부장의 교정회귀의 설법에 동감할 수 없다고 답한 이가 무려 82%에 달했다. 16.3%만이 동의한다고 답했다.

대만 국민들 반응이 이상할 게 없는 것이, 이러한 확진자 발표 방식은 비교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희한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검사 적체가 있더라도 검사 결과가 나온 당일 기준 합산으로 발표하지, 늦게 나온 검사 결과를 검체 체취 일자 당일에 발표됐던 결과에 다시 합산하는 방식으로 발표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국민들 눈속임을 위해서 이러한 방식을 취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다.

실제로 현지교민 인터뷰에 따르면, 이러한 교정회귀라는 방식에 대한 대만 국민들의 조롱이 계속되었다는 것이다.#

거기에다가 어느 시점부터 아예 완치자 집계를 공식 사이트 및 정례브리핑에서 빼 버렸다.

4.2.2. 현실화된 의료 붕괴

대만의 의료동원 체계는 총 4단계로 나뉜다.[85]
  • 1단계 : 1천여개의 음압병상에서 경중증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환자를 격리한다.
  • 2단계 : 2,400개의 비음압격리병상을 동원한다.[86]
  • 3단계 : 이 단계가 발동될 시 대한민국으로 치면 감염병 전담병원이 지정되며, 해당 병원의 병상과 의료진은 전부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동원된다. 이렇게 3,000개의 코호트 격리 병상을 확보한다.
  • 4단계 : 한국으로 치면 생활치료센터 4천 병상이 동원되며, 모든 확진자의 병원 수용을 포기하고 경증과 무증상자는 시설격리에 들어간다.

생활치료시설은 유행 초기부터 병원의 역할을 분담하여 병상과 가용 자원을 보존하는 것이 주 역할이다. 하지만 마지막인 4단계에서나 생활치료시설을 동원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는 대만 방역당국이 아직 치료중 환자를 총 5천명 아래에서 억제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87] 아직 대규모 입원환자 발생에 대처해본 적이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88] 그러나 이런 식의 동원체계 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대규모의 감염 확산이 발생하면, 대만의 의료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은 급격히 상승한다.

그리고 이런 과부하에 대한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본격적인 유행이 시작된지 사흘만에 몇몇 병원은 병상이 벌써 꽉 찼다.# 대만 당국은 의료체계가 과부하되자 예정된 동원체계보다 빨리 생활치료시설을 동원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으로 치면 조선호텔이나 신라호텔 정도의 위치인 카이사르 파크 호텔을 임시 병원으로 지정했고 은퇴 의료진들을 동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의료진에 대한 백신 접종도 미흡한 상황에서 원내 감염이 본격화되기 시작해 대형병원들이 폐쇄되고 # 한국의 서울대병원에 대응되는 대만 최고의 병원인 대만대병원마저도 확진자가 10여명이나 무더기로 나오자 모든 비응급수술 및 비응급환자 진료를 중단했다.#

당장 제일 시급한 문제는 중환자 병상 확보. 이미 경중증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음압병상이 포화된 상황에서, 중환자병상을 확보하려면 음압병상이 필수이고, 음압병상을 구축하려면 음압발생기 등의 특수장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확진자 폭증으로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를 위시한 수도권에서는 병실난이 가중되어 수도권 환자들을 의료센터급의 지방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는 판이다. 이 와중에도 천스중 위생관리부장은 “의료시스템이 매우 긴장된 상태지만 절대 붕괴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지만, 우밍셴 대만대 의대 병원장은 페이스북에 (대만대)병원에서 받은 확진자 숫자가 이미 수용 능력을 넘어섰다면서 보건당국에 해결책 제시를 요청했다.# 이 말인즉 "대만에서 최고의 병원인 대만대병원마저도 확진자들을 감당할 수 없다"는 뜻으로,[89] 여기서 자칫 조금만 삐끗해도 의료 붕괴가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특히 이번에 퍼지고 있는 코로나19 유형은 일반 코로나19보다 전염력이 75% 이상 더 세고 치사율도 60% 이상 더 높은 알파 변이이다. 그리고 대만은 이번 사태 바로 직전까지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이 거의 전무했던 만큼 뭍밑에서 번진 유행은 훨씬 클 가능성이 높다. 면역 형성이 미흡한 의료진이나 요양시설에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시작하면 뒤늦은 재앙이 불어닥칠 수 있는 상황이다.

결국 6월 이후 일일 10~2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대만보다 상태가 좋은 한국이 1~5명, 심지어 확진자로만 치면 일일 3천 명이 발생하는 영국도 10명 이하의 사망자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면, 대만의 낮은 백신 접종률과 의료 붕괴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사망 후 코로나19로 확진되는 사후확진이 수십 건씩 나오고 급기야 6월 5일에는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의료 붕괴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6월 12일에는 26명의 신규사망자 중 4명이 병원 이송 중 사망했으며, 8명은 사후확진 판정을 받았다. 반수에 가까운 비율인데 의료 붕괴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된 것.

6월 하순에도 사망자가 10~20명 단위로 계속 늘고 있어서 사망률도 급상승하고 있다. 8월 현재 사망률은 무려 5%를 넘은 상황으로, 이는 세계 평균은 물론 어지간한 유럽이나 중남미 국가들보다도 높은 수치다. 전세계 기준으로도 방역 실패 국가로 분류될 위기에 처한 셈이다.

치명률이 이렇게 높은 원인으로는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 1. 검사 역량이 턱없이 부족해 방역 당국이 찾아내지 못한 숨은 확진자가 많은 경우. 이 경우라면, 당국이 공식적으로 발표한 전체 확진자 수를 기준으로 계산할 때 치명률이 과대평가될 수 있다.
  • 2. 의료 붕괴로 인해 치료가 가능한 환자들조차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치료가 가능한 환자들도 사망하는 경우. 이 경우, 상황이 진행될수록 의료체계에 더욱 과부하가 걸려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사망할 수 있다.

둘 중 어느 쪽이던 간에, 현재 대만의 방역 및 의료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현 상황에서 치명률을 낮추고 의료 붕괴를 수습할 유일한 방법은 최소한 고위험군과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빨리 백신을 접종하는 것인 만큼, 백신 접종 속도를 끌어올려 의료 체계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4.2.2.1. 한국과 비교
대만 언론 및 전문가 집단에서는 확진자 대비 치명률이 타국 대비 매우 높은 이유로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들고 있다.
  • 첫째, 공식 확진자 대비 실제 확진자 수는 2배 이상일 수 있다. 무증상자를 제대로 감별해내지 못해, '숨은 확진자'가 아직도 곳곳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전체 확진자 중 1/5가 임시선별검사소에서 나왔다.
  • 둘째, 치료제 투입이 많이 늦다. 한국은 셀트리온에서 개발한 치료제를 임상 2상 후 조건부 승인 등의 수단을 동원해[90] 적재적소에 투입하여 병상회전율을 높였다. 그러나 대만에서는 사용 가능한 치료제 옵션이 많이 없다.
  • 셋째, 고농도 산소발생기를 의료현장에 적재적소에 공급하지 못했다. 의료용 산소 부족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문제인데, 한국은 NF/멕아이씨에스 등 자체 제조 및 공급 기업들이 있어 상황이 좀 낫다.
  • 넷째, 65세 이상 노인 및 만성질환자가 많이 확진되었다. 일반적으로 65세 이상 노인 및 만성질환자는 대조군 대비 코로나19 확진 시 치명률이 높다.
  • 다섯째, 의료 붕괴가 일어났다. 5~6월경 대유행이 터졌을 때 급격한 병상 고갈로 인해 의료붕괴가 일어나, 살릴 수 있는 환자도 제대로 치료받지 못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4.3. 낙관적인 부분

다만, 현재 대만에서 벌어지는 혼란에도 불구하고, 대만 방역당국이 이를 수습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 충분한 방역 자원.
    대만 입장에서 매우 다행스러운 점들은 8억개에 달하는 마스크 재고 등 방역 자원 축적이 충분히 비축 되어있다는 점, 2020년과는 다르게 코로나19에 대한 연구 자료도 많아 방역 정책 재수립도 용이하다는 점, 일상을 유지했기 때문에 방역 강화에 따른 사회 피로가 없다는 점 [91], 주요 국가들의 성장률이 대폭락을 이어가던 2020년을 플러스 성장으로 마무리 했기 때문에 봉쇄에 따른 경제 충격을 덜 걱정해도 된다는 점이 있다. 또한 중국외 국가로서는 사실상 처음으로 코로나 19 대확산을 맞아 사태 초반 방역물자 부족사태에 직면했던 한국과는 달리 WHO 판데믹 선언 이후 1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는 일종의 '방역물품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부족한 방역물자를 구하는데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 백신의 개발 완료
      대만은 다른 전세계국가들과 달리 코로나 확산 시기가 늦어서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고 보급되는 단계에서 코로나 집단 감염이 본격화 되었다. 때문에 대만의 경우 대규모 유행은 이번에 처음이기에 백신이 나온 지금, 이번 유행만 잘 넘기면 얼추 희망이 보인다는 것이다. 2300만 밖에 되지 않는 인구와 탁월한 행정력이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단, 계약 순서상 공급이 뒤로 밀릴 수 있음을 받아들여야 한다. 만약 대만내 백신 보급이 잘 되지 않은 상태에서 코로나 유행이 장기화된다면, 쉽지 않을 것이다.
  • 이미 마련된 대응수칙과 매뉴얼
    판데믹 이후 1년 가까이 지났기 때문에 한국처럼 코로나 초반 중국의 정보 은폐로 코로나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없어 온갖 시행착오와 혼란에 직면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92] 그리고 확산 초기의 한국과 같이 아무런 정보가 없어 무증상 확진자의 전파 가능성과 마스크 착용 기준을 두고 온갖 설왕설래가 오갈 필요없이 자가격리나 방역수칙 등 명백한 대응 메뉴얼이 이미 마련된 상태라 그대로 적용하기만 하면 된다. 때문에 중국 대륙 외부로의 확산을 처음으로 맞아 온갖 혼란 가운데 동맹과 우방국을 해킹하면서까지 코로나 정보를 수집하려던 국가들과 비교해봤을 때 사정이 훨씬 양호하다. # 2021년 4월 이전에 비해선 100배나 늘어나서 대만 사회에 충격을 주었지만 세계적으로 볼 때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에 속하며 아직까지 미국이나 유럽, 인도만큼 극단적으로 확진자가 늘어나지는 않았다. 하다못해 확진자가 80만명에 달한 일본도 서구권 기준으로는 방역에 성공한 국가로 분류되는데 대만이야 말할 것도 없다. [93]
  •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화와 대만 시민들의 적극적인 준수
    유행이 만성화되어 시민들이 무뎌진 타국과 다르게, 코로나 사태 초반기 다른 국가들이 그랬듯이, 대만도 방역단계 격상이 이루어지자 한국으로 치면 홍대나 명동같은 번화가도 텅 비어버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때문에 이번이 첫 유행이며 대만은 축적된 힘이 있고 다른 전세계 국가들과 달리 정부가 사용 가능한 패가 아직 남아있으며(전국봉쇄령 등) 대만 시민들이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지치기는커녕 코로나 위기감에 의해 적극적으로 정부의 지침을 따르고 있는 만큼 확진자 억제에 잘 성공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문제는 대만 방역당국이 네 차례에 걸쳐 3급 방역대책을 연장했는데 벌써부터 불만이 서서히 나오고 있다는 점.

4.4. 진정

6월 하순이 되면서 신규 확진자가 5월 말의 500명 대에서 100명 내외로 줄어들면서, 확산세가 진정되었다. 이는 준봉쇄에 가까운 3단계 방역태세 발령의 결과물인 것이다. #

결국 백신 접종과 함께 방역태세 완화가 이뤄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알려진 것처럼 대만의 백신 상황은 그렇게 낙관적인 전망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한동안 강력한 방역 조치를 취했으며, 백신 접종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도 위기를 진정시킬 수 있었다.

그나마 다행인 건 치명률이 높은 계층만 어떻게든 백신을 접종해도 희생자는 급격히 줄어든다는 걸 한국이 입증했다는 것. 실제로 AZD1222BNT162Ad26.COV2-S든 백신이 들어오는 대로[94] 취약계층이나마 접종을 열심히 해온 한국은 백신접종률이 상당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를 일일 1~5명 수준까지 낮추는데 성공했고, 신규 확진자를 500~600명 수준에서 통제하면서 4월부터 올 거라고 예상되던 4차 대유행을 7월 초까지 늦출 수 있었다.[95][96][97] 그리고 4차 대유행 상황에서도 백신 접종 속도를 올리고, 방역을 잘한다면 충분히 대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 결국 신속한 백신 확보와 접종만이 답인 것이다.

이렇게 한국, 싱가포르의 사례가 보여주듯, 대만 방역당국도 일단 지역감염이 시작된 이상 집단 면역이 형성되기 이전까지 완전한 일상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고, 이미 4%에 다다른 치명률을 획기적으로 낮추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임을 인지하여, 더 이상 치명률이 높아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데 최대의 노력을 경주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이에 성공하여 진정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5. 2022년 4월~: 오미크론 변이발 3차 대유행

결국 대만도 한국, 뉴질랜드, 싱가포르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해 방역대응이 무너진 것에 이어, 오미크론 변이의 마수를 맞닥뜨리기 시작했다. 3월 중순부터 서서히 본토병례(지역발생) 사례가 수십명씩 생기는 등 징조가 보이더니, 4월 초순부터 지역발생이 100여명을 넘는 등 조짐을 보이다가, 급기야 4월 15일 지역발생이 1000명을 넘기는 등 3차 대유행이 발발했다.

대만 CECC는 하루 1500명이상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늘어나는 환자 수에 "올 것이 왔다."며 크게 긴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일 우려되는 것은 3차 접종률이 50%대 중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에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은 확진자 규모가 수만 명에서 최악의 경우 수백만 명이 될 수 있다고 발언했다. 더 이상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에 대해 "그간의 코로나19 청정 상태가 박살이 나면서(crumbles) 대만에서 연일 최고 확진자수를 보고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제로 코로나 정책이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으로 허상이 되어버린 셈이며, 거기에다가 설상가상으로 이미 이 시점에서 방역당국의 통제 노력을 몇몇 도시에서의 동시다발적 유행이 압도해버렸다.(블룸버그)

결국 대만 위생복리부는 4월 14일부로(즉시 효력 발효) 병원 입원이 가능한 코로나19 확진자 조건을 크게 강화하여, 70세 이상이거나, 중등증 이상의 환자, 임신 36주차 이상인 사람, 신장 투석이 필요한 사람 외에는 병원 입원이 불가하고, 격리 호텔/정부시설에서 치료 또는 조건이 될 경우 재택치료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마디로 심각하지 않은 확진자는 이제부터 자가격리하고 버티라는 소리다. 문제는 대만의 3차 백신접종률이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가, 무리하게 제로 코로나를 고수한 탓에 오미크론 유행을 통한 엔데믹 전환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급기야 4월 20일에는 단숨에 2000명대를 넘어 2500명에 육박하는 신규 확진자를 기록했고, 대만에서 방역당국의 비판을 키운 2세 영아의 확진 사례는 결국 4월 19일에 그 2세 환자가 코로나19로 숨져 더더욱 비판이 커졌다.

4월 24일에는 주말 효과가 무색하게 신규 확진자수가 5172명으로 5000명을 돌파했고, 그로부터 단 4일 뒤인 4월 28일에는 11517명으로 10,000명을 돌파했다. 한번 막지 못한 오미크론은 거의 무제한적으로 퍼지는 경향을 이미 한국에서 보여줬고 유일한 해결책인 중국식 봉쇄는 국민들의 피해가 너무 크기 때문에 결국 대만도 한국이나 기타 서방 국가들과 비슷한 전철을 밟을 것으로 보이며 감염자 통제가 문제가 아니라 감염확산에 따른 인명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게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98]

4월 29일, 대만 정부는 자가검사키트 1개당 NT$100[99]으로 판매하며 실명제를 시행하여 1인당 1개월에 5개 구입 가능이라고 공포했다. 문제는 한국에서 1개에 5,000원 하는 자가검사키트와 비교했을 때, 소득 대비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편인데다가, 한국에서는 5월 1일부터 온라인으로도 자가검사키트를 주문할 수 있게 되어 가격이 더 싸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1개월에 5개 구입 제한은 아직도 수급이 원활치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5월 4일에는 28,000명대에 도달하여 3만 명을 눈앞에 두고 있는데 말 그대로 폭주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5월 7일에는 46,000명대를 기록하여 같은 날 한국의 일일 확진자 수를 뛰어넘었다.

5월 10일 신규 확진자수가 50,000명을 넘어섰다.

5월 18일 신규 확진자수가 80,000명을 넘어섰다.

5월 26일 신규 확진자수는 8만명대를 유지중이나, 일일 사망자수가 100명을 넘어섰다.

5월 27일 기어이 신규 확진자수가 90,000명을 넘어섰고, 일일 사망자수도 126명을 기록하는 등 미친듯이 증가하고 있다.

6월 5일 누적 확진자수가 전체 인구 대비 10%를 넘었다.

6월 10일 일일 사망자수가 214명을 기록하여 200명대를 돌파했다. 다음 날인 6월 11일에도 사망자수가 211명을 기록하였다.

6월 19일 누적 사망자수가 5,000명을 돌파했다. 사망자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치사율도 다시금 올라가기 시작했으며, 현재 기준으로 0.16%로 치솟았다.

6월 25일 누적 사망자수가 6,000명을 돌파함과 동시에 치사율이 0.17%를 기록했다.

5.1. 현재 대만의 문제점

요약하자면 지난 2021년 5~6월 2차 대유행 때 대만 국내에서 나왔던 비판인 "5무 정권"의 재림이다. 여기에 제로 코로나를 무리하게 적용하려다 엔데믹 전환에 대한 대비가 미비한 것도 이번 오미크론 변이 유행의 트리거가 되었다.
  1. 화이자 백신의 부족: 3차 대유행을 맞닥뜨린 대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2021년 기업들의 구입 및 기증으로 도입한 화이자 백신은 모두 소모되었고, 도입한 분량 중 7만 도즈는 손망실 및 폐기 처리되었으며, 소아용 화이자 백신은 단 1도즈도 없었다. 미승인국인 대만이 그나마 수월하게 도입할 수 있는 mRNA 백신은 모더나 백신(mRNA-1273) 뿐이지만, 5~11세 소아에 대한 안전성 그리고 선택권이 없는 상황에 대하여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계속 이어지고 있었고, 결국 다시 기업들이 대신 계약을 맺어서 소아용 화이자 백신 773,000도즈를 들여왔다.
  2. 더딘 치료제 도입: 현재 한국, 일본, 미국을 비롯하여 선진국에서 도입하고 있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라게브리오 등에 대한 도입이 지지부진하다.
  3. 자가검사키트용 시약 부족: 3차 대유행의 시작으로 자가검사키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검사 키트에 쓰이는 시약이 부족해지게 되었고, 그 결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도 오르기 시작했다. 현지 편의점에서 1개당 가격이 대략 NT$300이라는 증언이 트위터 등지에서 나오고 있는데, 이는 12,000원으로 현재 한국에서 판매하는 가격인 개당 5,000원의 2.4배에 달한다. 그래서 대만 정부도 부족한 자가검사키트 공급을 어떻게든 해소하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상황이다.
  4. PCR 검사역량 부족: 이미 대만은 2차 대유행을 겪었지만 여전히 PCR 검사역량은 하루 10만건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다. 이 때문에 실질적인 확진자 수가 얼마나 되는지 미지수인 상황이다.

6. 현황

6.1. 2020년

====# 1월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의심 증상을 보인 환자가 보건당국에 신고하지 않아 약 1천만 원 상당의 벌금처분을 받았다. #
  • 대만은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자유여행객이 한 명도 없는 상태이며 단체여행객은 20년 1월 28일까지 전부 중국으로 내보내기로 결정했다. #
  • 대만인과 결혼한 자, 사업상 출장자들과 같이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국 대륙인들의 입국을 중단시켰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대만은 이미 중국 투어 그룹 방문을 중단했으며, 후베이성의 모든 사람들이 대만에 오는 것을 금지했다. 중앙전염병통제센터에 따르면 대부분의 다른 중국본토인들도 인정될 만한 사정이 없는 한 당분간 입국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 중국 비즈니스 출장자들도 입국이 허용되지만 입국 후 2주 동안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동의해야 하며, 후베이성 출신의 배우자들은 같은 시간 동안 집에서 격리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에서 공부하는 중국 학생들 또한 2주 동안 돌아가는 것은 연기해야 한다고 덧붙였으나, 후베이 출신의 학생들은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전혀 돌아 올 수 없다고 했다. #
  • 대만에서 8번째 감염자가 국내 가족 간 확진 전 전염으로 발생한 상황에서 대만 중앙전염병통제센터는 대부분의 중국인 방문 금지조치에 이어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닌 자국민의 중국 방문 자제 경고를 중국 밖으로 치는 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중국 전 지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대만 정부는 일주일 전부터 자국민을 우선하기 위해 의료용 특수마스크의 수출을 금지했고 국내 마스크 재고 부족[100]으로 일반인의 인당 마스크 구매를 3개로 제한하고 있다. # 특히 중국으로 발송되는 우편물도 검열하고 있는데, 여기에 마스크가 발견되면 즉시 압수조치에 들어가며 해당 마스크는 국내 배포용으로 돌리게 된다. 인터넷에 도는 짤방에서는 마스크에 대만 국기인 청천백일만지홍기를 박아넣고 판매해서 중국인들이 사지 못하게 막는다는 말이 있었지만 # 이는 거짓 정보다. 해당 마스크는 사태 이전에도 판매 중이었다.
  • 대만도 전세기를 보내 자국민을 입국시키려고 하지만, 중국이 협조하지 않고 있다. #

====# 2월 #====
  • 2월 2일, 우한시에서 돌아온 대만인 2명이 입국 자료에 가짜 주소 등을 기재해 논란이 되었다. #
  • 2월 4일, 우한시에 체류하던 대만인 500여 명 중 1차로 200여명이 전세기로 대만에 돌아왔다. #
  • 2월 4일부터 편의점에서도 마스크를 판매 금지하였다. #
  • 2월 7일부터 14일 이내 중국 대륙을 방문한 외국인들의 입국을 금지한다. #
  • 대만 보건당국은 2월 6일부로 국제 크루즈선의 대만 입항을 금지했다. #
  • 대만 정부가 2월 10일부로 중국 본토와 대만을 오가는 직항 선박의 운항을 일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
  • 이례적으로 WHO가 대만 전문가를 초청했다. 대신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석하며 형식도 화상회의이다. #
  • 2월 21일, 대만 보건당국이 한국을 여행 제1급 주의 지역으로 지정했다. #
  • 2월 22일, 대만 보건당국에 의해 한국이 여행 제1급 주의 지역에서 제2급 경계 지역으로 격상되었다. # 대만은 현재 3단계로 분류하고 있는데, 3급 경고 지역이 가장 위험한 지역이다.
  • 2월 24일, 대만에서 한국을 중국, 홍콩, 마카오 등과 같은 제3급 경고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대만인의 한국 방문이 제한되고, 대만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모두 14일 자가 격리 조치에 처해질 것으로 보인다. #

====# 3월 #====
  • 3월 3일, 마스크 실명제를 실시했다. 그리고 대만의 39세 IT 장관이 민간 프로그래머와 제작하여 3일 만에 마스크 판매 위치와 재고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마스크 맵' 서비스를 배포했다고 한다. #
  • 중국 후베이성에 남아있던 자국민 470명을 2차 전세기 편으로 데려 오기로 했다고 10일 보도했다. #
  • 유럽, 미국발 입국자들로부터 확진자가 많이 발견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상황과 대만 위생부장을 풍자하는 만평이 등장했다. #
  • 3월 19일 0시부터 모든 외국인의 입국이 금지된다. 단, 영주권이 있거나 외교•사업 등의 꼭 필요한 경우는 허가하에 입국할 수 있다. 대만 국적자도 14일 자가 격리를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
  • 누적 환자가 100명을 넘어서면서 휴지 등 생필품 사재기 현상이 재발하였다.#
  • 코로나19 자가격리자의 무단이탈 방지에 처음으로 전자발찌를 활용한다.#
  • 대만의 코로나 방역의 성공으로 WHO에 대해 대만 가입 관련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지 #

====# 4월 #====
  • 37.5℃를 넘는 발열 증상자의 대중교통 이용이 4월 1일부터 전면 금지된다.#
  •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큰 피해를 본 국가에 마스크 1000만장을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사태가 악화될 경우 노래방과 주점, 클럽 등 유흥시설 출입 등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시행할 방침이다.#
  • 4월 2일, 2월 25일부터 대만에 입국해 당국의 지시를 일체 거부하고 격리기간에 탈주 한 뒤, 핸드폰까지 끄고 대만을 돌아다니던 한국 국적의 화교(화예; 화교이면서 외국 국적을 보유한 사람.) 부부를 타이베이 공항에서 체포했다.#
  • 4월 10일, 대만 보건당국이 대만 전역의 룸살롱과 카바레에 대해 무기한 영업정지 조치를 내렸다고 대만 언론이 보도했다.# 이는 룸살롱 종업원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그 종업원은 근무지가 1곳이 아닌 최소 3곳이었으며 게다가 주요 근무지는 정재계 거물들이 많이 드나들었던 곳이었기 때문.
  • 4월 11일, 대만 프로야구 리그를 개막하였고 세계 프로야구리그 중 최초로 정규시즌에 돌입하였다. 무관중 개막이고 관중 대신 마네킹 응원단을 배치했다. 애초 3월14일 개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두차례 연기됐다.#
  • 4월 18일. 대만 해군의 순항훈련 함대인 둔무(敦睦) 함대에서 2명의 실습 생도와 부사관 1명 등 총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21명까지 추가 확진이 발생하였다.#
  • 앞서 대만 해군에서 발생한 집단감염 사건에서 확진자 20여명의 동선과 겹치는 시민의 수가 20만명인 것으로 드러나 대만 보건 당국이 비상에 걸렸다. 이 사태로 대만 국방장관이 사퇴했다.
  • 4월 22일, 차이잉원 총통이 해군 함정에서의 코로나19 집단 발병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고 자유시보 등이 보도했다.#
  • 천우신조로, 다행히 군함에서의 집단감염 사태는 어느 정도 안정되었다.
  • 4월 24일, 대만에서 자가격리 위반 한국인 부부가 벌금 1천만원을 납부하였다.#

====# 5월 #====
  • 5월 8일, 개막 한달만에 대만 프로야구 리그에서 1000명 이하로 관중 입장을 제한적으로 허용했으며 세계 프로야구리그 중 최초로 관중입장을 허용하였다.# 일주일 뒤인 15일부터 관중 수를 1000명에서 2배인 2000명으로 늘렸다.#
  • 대만 정부는 6월부터 마스크 구매제한과 수출금지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 6월 #====
  • 대만이 외국 기업인 입국때 적용되는 격리기간을 대폭 단축키로 했다.#
  • 대만은 6월 22일부터 뉴질랜드·호주·베트남·태국 등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낮은 11개 국가와 지역의 상용목적 입국자를 받아들인다고 발표했고,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중저로 판단되는 한국·일본·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4개국의 비즈니스 목적 입국도 허용한다고 덧붙였다.#
  • 22일. 한국 등 15개국의 기업인들의 대만 입국이 허용됐다.#
  • 24일. 대만측은 홍콩인들의 입국도 허용했다.#
  • 대만으로 유학한 일본인 유학생이 일본으로 돌아와서 무증상 감염 판정 받았다.#

====# 7월 #====
  • 대만에서 환승한 외국인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자 긴장감에 휩싸였다.#
  • 7월에 한국, 일본 등 유학생들도 입국을 허용했다.#
  • 코로나19로 인해 대만 최초의 위안부 기념관이 폐관 위기를 겪고 있다.#
  • 미국이 대만 비자 업무를 다시 시작했다.#
  • 7월 15일. 충북 제천시는 대만 화롄현에서 코로나19 방역 물품과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같은 날, 중앙 전염병 지휘센터(CECC)에서는 모든 대만 입국자들을 상대로 입국 즉시 코로나19 검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너무 일찍 검사를 할 경우 잠복기에 해당되 음성으로 잘못 판정될 수 있으므로 증상 발생 2일 전부터 발생 후 7-9일 사이에 검사를 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
  • 7월 22일, CECC는 지역 감염이 증가하여 상황이 악화 중인 홍콩과 호주를 코로나 19 중위험 지역에서 제외하였다.#
====# 8월 #====
  • 감기 환자가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8월 6일, 대만에서 체류하던 일본 국적의 남성이 일본 귀국 후 확진 판정을 받아 대만 내의 접촉자 71명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 8월 12일부터 필리핀에서 오는 모든 방문객을 자택이나 호텔이 아닌 정부가 운영하는 시설에서 격리한다.#
  • 8월 12일, 지역 감염이 증가 중인 베트남이 코로나 19 저위험 지역에서 중위험 지역으로 내려갔다. #
  • 8월 21일, 장화현에서 6개월동안 자가격리 중인 무증상자 100명 이상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이 사실을 중앙 전염병 통제센터(CECC)에 통보하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났다. # 또한 이와 더불어서, 미국에서 입국한 10대 대만인 1명이 무증상 입국 후 자가격리 중에 장화현의 요구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후 확진 판정을 받았고, 이는 대만에서 자가격리 중 무증상 감염의 첫 번째 사례라고 한다.
  • 8월 26일, 대만에서 거주하다 필리핀으로 귀국한 필리핀인이 자국에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 8월 27일, 국립타이완대학이 중앙전염병통제센터의 지원으로 6월 11일부터 8월 12일까지 장화현 거주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고위험군(완치 환자, 밀접 접촉자, 자가격리자 및 보건복지 관련 근무자를 포함한다)을 포함하여 4,841명에 대해 항체 검사를 시행한 결과 4명으로부터 항체가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대략 인구 1만 명당 8.3명의 코로나19 확진율에 대응된다.##

====# 9월 #====
  • 9월 1일부터 공항 입경자를 대상으로 타액을 활용한 코로나19 검사법을 사용한다.#
  • 중국산 마스크의 '공적 마스크' 둔갑 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공적 마스크에 '메이드 인 타이완'(Made in Taiwan)을 표시하기로 했다#
  • 9월 9일, 지역감염이 줄어들면서 지난 2주간 소수의 산발적 감염사례만 발생한 베트남이 코로나19 저위험 지역으로 올라갔으며 지역감염이 감소세에 있는 홍콩이 중위험 지역에 추가되었다.#
  • 프랑스 상원이 9월 9일 개최한 코로나19 대응평가를 위한 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한국 다음 순서로 참석했다.
  • 한국관광공사는 대만 여행사 이지플라이, 대만 항공사 타이거에어와 공동으로 제주 상공을 여행하는 항공편 체험상품인 제주 가상출국여행 얼리버드 프로모션 상품이 출시 4분 만에 모두 팔렸다고 밝혔다.#
  • 9월 22일, 차이잉원 대만 총통이 미국 타임지가 선정하는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에 선정되어 표지 인물로 등장했다.#
  • 대만 관광객 140명이 비행기로 제주 상공을 도는 행사에 참가했다.#
  • 9월 28일, 천스중 대만 위생복리부 장관이 중국산 백신은 사지 않겠다고 밝혔다.#
  • 9월 30일, 중국에 입국한 대만인 1명이 시설격리 후 검사에서 무증상 감염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10월 12일부터 중국에 입국하는 모든 대만인들에 출국 72시간 이전에 검사를 받고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증명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기로 했다.# 그러나 대만은 해당 확진자의 접촉자를 전수조사했지만 확진자나 항체 보유자는 한 명도 없었다고 발표했다.#
  • 9월 30일, 지역 감염이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는 호주가 코로나 19 중위험 지역에 등록되었다.#

====# 10월 #====
  • 홍콩의 영리 비영리기구 컨소시엄인 딥날리지그룹(DKG)이 252개 국가 및 지역을 대상으로 평가해 최근 발표한 코로나19 안전도 순위에서, 대만은 총점 694.55점으로 세계 15위를 기록했다.##
  • 10월 13일, IMF가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0.0%로 예상했다. 39개 선진경제권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
  • 10월 21일, 신규 확진자가 감소세에 있는 한국이 코로나19 중위험 지역에 다시 포함되었다.#
  • 10월 28일, 대만 방역당국은 이날 3명의 해외유입 사례가 확인되었다고 발표했으며, 접촉자는 총 39명이라고 밝혔다.
  • 지난 11일 대만이 중국 장쑤성에서 귀국한 기업인 1명에 대해 내린 코로나19 양성 판정이 그 기업인이 아닌 프랑스인의 것으로 검사한 결과 나온 것임이 밝혀지면서 망신을 당했다. 정작 중국 당국이 대상 기업인이 있던 업체에 대한 소독과 2천 명에 달하는 직원과 밀접 접촉자들에 대한 핵산 검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모두 음성이었다. 그리고 그 프랑스인은 대만에서 격리하는 동안 증상이 나타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 10월 29일, 블룸버그통신은 대만이 지난 4월12일 확진자 발생을 마지막으로 200일간 누적 확진자 550명, 사망자 7명이라는 이전 기록에서 단 한명도 추가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 11월 #====
  •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 페이스북에서 대만을 지지하는 메시지를 차단했다가 대만 네티즌들의 역공을 받았다. #
  • 12월부터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의무화를 가진다.# ## 적발시 벌금 15,000 대만 달러이다.
  • 11월 24일, 블룸버그 통신이 발표한 코로나19 회복 순위에서 대만이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빠르게 출입국을 통제했으며, 마스크 재고 및 확진자 동선을 알려주는 앱도 도입됐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았다. 또 대만에서 200일 넘게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다만 백신 공급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다는 점이 약점으로 지적됐다. 대만은 백신 접근성 항목에서 0점을 받았다.#
  • 11월 25일, CECC는 2주간 200건 이상의 지역 감염 사례가 보고된 몽골코로나19 중위험 지역에서 제외하였다. 싱가포르캄보디아는 기준을 만족하여 중위험 지역에서 저위험 지역으로 올라갔다. 남은 코로나19 중위험 지역은 홍콩호주 두 곳이다.#
  • 11월 27일, 해외 유입 사례에서 14명의 확진자가 보고 되었다. 13명은 인도네시아인이며 1명은 미국에서 입국한 대만인이다.#

====# 12월 #====
  • 12월 2일, 2주간 700여건에 달하는 지역 감염 사례가 보고된 홍콩코로나19 중위험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현재 남은 코로나19 중위험 지역은 호주 1곳이다.#
  • 12월 10일, ADB가 발표한 2020년 아시아 역내 경제전망 보충에서 대만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지난 9월의 0.8%에서 1.7%로 0.9%포인트 상향됐다. #
  • 12월 12일, 성공적인 방역과 코로나 특수 등으로 인해 대만의 경제성장률이 29년만에 중국을 추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1#2
  • 12월 16일, 대만인 1만4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혈액 검사에서 11명이 코로나19 항체 양성 반응을 보였다. 다만 대만 보건 당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만 전체의 코로나19 감염 규모를 추정하는 데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 12월 18일, 차이잉원 총통의 지지율이 7월 15~18일 여론조사와 비교했을 때 45%에서 35%로 10%p 폭락,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의 반사이익과, 대만의 코로나19 대응으로 벌었던 지지율을 모두 까먹고 말았다. 이러한 지지율 폭락 이유는 미국산 돼지고기 수입 문제 및 코로나19로 인한 경제불황 때문으로, 대만의 경제 특성상 경제성장의 과실이 거의 다 하청기업 몫으로 돌아가고 노동자 및 국민/자영업자들에게 배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 12월 19일, 영국의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가 올해 코로나를 잘 극복한 나라로 뉴질랜드와 대만을 꼽았다. 대만은 뉴질랜드보다 더 뛰어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코로나 사망자는 7명뿐이었고, 올해 플러스 성장을 이뤄내면서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나라가 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끊임없는 협박에 물러서지 않는 용기도 보여줬다”고도 했다.#1#2
  • 12월 22일, 255일(약 8개월)만에 지역감염이 1명 발생했다. 확진자는 먼저 확진판정을 받은 뉴질랜드 조종사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해당 감염자와 접촉한 167명을 전수조사하는 중이다. 한편 접촉한 뉴질랜드 조종사가 접촉자와 방문 장소등을 상세히 말하지 않아 감염병법을 위반했을 수 있다고 밝혔다. #
  • 28일부터 영국발 우편을 중단한다.#
  • 30일, 영국에서 귀국한 대만 국적의 10대 소년에게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VOC-202012/01이 확인됐다.# 중화권에서는 홍콩에 이어 2번째다. 이에 대만 보건당국은 검역과 국경 통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1월 1일부터 대만으로 외국인들의 입국을 막는다고 밝혔다.#
  • 지역감염이 급증 중인 태국부탄이 코로나 19 중위험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 31일.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의 476만 도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천만 도스, 현재 협상 중인 백신 제조업체의 500만 도스 등을 2021년 3월부터 공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사람 수로 환산하면 988만 명으로 대만 전체 인구(2,380만명)의 41.5% 정도이다.

6.2. 2021년

====# 1월 #====
  • 의료진이 처음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
  • 1일에 남아공발 바이러스가 에스와티니인 의해 유입되었다.#
  •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대만이 외국인들에게 인기 정착지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로 국제 이동이 통제된 가운데도 최근 1년 사이 대만에서 거주 허가를 받은 외국인이 2019년 말 기준보다 7000여 명 늘어났다. 대만이 코로나 방역에 성공한데다 경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대만 보건당국은 최근 발생한 연쇄 감염의 진원지인 해당 병원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이로 인해 엄청난 비판을 받았고,[102] 1월 18일 천스중 대만 보건부 장관이 언론 취재에 응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병원 이름을 공개했는데 그 병원은 바로 타오위안 병원이었다.
  • 20일, 지역감염이 증가양상을 보이는 싱가포르가 저위험 지역에서 중위험 지역으로 재분류되었다.#
  • 22일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90대 남성이 최근 신베이시에 있는 린커우 창궁 병원에 치통 치료를 위해 방문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 25일, 업데이트 된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 순위에서 대만이 한달 전보다 2계단 하락한 4위를 기록했다.#
  • 27일, 대만측이 독일에 코로나19 백신 공급을 요청했다. 문제는 독일도 고질적인 백신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 28일, 로이터 통신이 로위 연구소가 발표한 자료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대만은 코로나19 대응 점수에서 86.4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1#2
  • 29일, 타오위안 병원 집단 감염에서 2명이 더 확진되었다. 이들은 기존 확진자와의 접촉이 없는 상태여서, 감염경로 불명으로 지정되었다.#
  • 29일, 대만의 지난해 경제 성장률이 2.98%를 기록하면서 30년만에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앞섰다. 우페이쉬안 주계총처 전문위원은 “코로나19 방역 성공 덕분에 생산·제조 및 소비가 계속돼 지난해 성장 폭이 커졌다”고 말했다.#
  • 30일, 지난 2020년 5월 이후 8개월 만에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1명 발생하였다. 천스중 대만 보건부 장관은 이 사망자가 80대 여성으로 사후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병원 집단 감염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같은 날, 타오위안 병원 집단 감염에서 4명이 더 확진되어, 타오위안 병원 집단 감염 관련 확진자 수가 19명으로 늘어났다.#
====# 2월 #====
  • 4일. 70대 영국인이 코로나19로 사망하였는데, 뒤늦게 VOC-202012/01로 인해 첫 사망자로 밝혀졌다.#
  • 9일, 모더나와 mRNA-1273 백신 500만 도즈(250만 명분) 계약을 했다. 대만 전체 인구의 10.5%이다. 공급은 2021년 중반기에 개시된다.#
  • 대만이 화이자 백신 BNT162 500만 도즈 구매를 추진했지만 계약 체결 직전 계약이 파토났다. AFP통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천스중(陳時中) 대만 위생복리부 부장(장관)은 17일(현지시간) 라디오 인터뷰에서 바이오엔테크(독일 회사)와 백신 500만 회분 구매계약을 추진했지만 "협상의 마지막 단계"에서 체결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천 부장은 "바이오엔테크가 내부 견해차와 국제적 백신 공급상황을 들며 협상절차를 중단했다"라면서 "우리는 정치적 압력이 있었다고 믿었다"라고 말했다.
    • 이에 따라 2021년 2월 기준 대만 정부가 확보한 백신의 총량은 코백스 퍼실리티 공급분을 포함 988만 명분이며 이는 전체 인구의 41.5%로서 집단면역 달성에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 집단면역 달성을 위해서는 전체 인구의 70~80%가 접종해야하기 때문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이번에 파토가 난 화이자 백신을 어찌저찌 다시 계약이 극적으로 타결되어 공급하더라도 앞의 언급한 분량[103]을 다 합쳐봐야 대만 전체 인구의 52%로서, 집단면역 달성에 턱없이 부족한 것은 매한가지다. 설상가상으로 기확보한 양 중에서 코백스 물량 제외 시 2/3, 코백스 포함 시 3/4가 65세 이상에 대한 효능 논란이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편중된 상황이다.#
    • 이렇게 된 이유는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중국 상하이에 본사가 있는 푸싱제약과 계약을 체결할 때, 중화권 전역의 화이자 백신 생산 및 공급 권한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화권이란, 중국, 홍콩, 마카오, 그리고 대만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중국은 "대만의 코로나19 백신 구매를 방해한 적 없다"고 밝혔다.# 결국 대만 내 현지 언론에서 계약이 파토난 화이자 백신 500만 도즈 분량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코백스 퍼실리티참여 를 거론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104]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0만 도즈(10만 명분)를 한국 SK바이오사이언스가 생산하여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대만에 공급한다. 대만이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할당받은 분량은 476만 도즈인데, 초도물량 20만 도즈를 제외한 456만 도즈는 하반기에 공급된다.#
  • 21일. 브라질에서 온 변이 바이러스 3건 발견되었다.^
  • 블룸버그 통신이 집계한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서 대만은 7위를 기록해, 지난 집계 대비 3계단 떨어졌다. 8위 대한민국과는 0.1점 차이다. 순위 하락의 주요 이유는 고질적인 백신 확보량 부족이다.#

====# 3월 #====
  • 3월 3일,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 AZD1222 백신 11만 7천 도즈를 받았다.
  • 3월 초, 10번째 사망자가 발생해 잠정 치명률이 1%를 넘겼다.
  • 3월 4일, 코벡스 퍼실리티에서 AZ 백신이 첫 도착했다. 한국 안동에서 생산한 물량이다. #
  • 대만측이 팔라우와 4월초부터 트래블 버블을 시행할 예정이다.#
  • 3월 18일 8명의 해외유입 확진자가 발생, 도합 998명을 기록하여 누적 1000명이 임박했다.
  • 3월 19일, 6명의 해외유입 확진자가 발생, 누적확진자 1000명을 넘었다. 이로써 봉쇄조치로 성공을 거두었다고 알려진 대만, 베트남, 뉴질랜드 모두 확진자수가 네자릿수를 기록했다.
  • 3월 22일, 한국에서 공급받은 AZ 백신의 접종을 시작했다. 대만의 첫 백신 접종 시작이다. AZ 백신의 안전성을 어필하기 위해 쑤전창 행정원장과 천스중 대만 위생복리부장이 병원에서 AZ를 접종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249068|#]]
====# 4월 #====
  • 4월 19일까지 대만의 백신 접종률은 0.14%를 기록했다. 현재까지 공급된 물량은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들어온 20만 도즈밖에 없다.
  • 미국 국무부가 대만 여행 경보 등급을 3단계인 여행 재고(RECONSIDER TRAVEL) 등급으로 정정했다.
  • 대만에서 백신 접종 후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 사례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하필이면 대만에서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백신이 AZ백신밖에 없는 탓에 논란이 뜨거울 것으로 보인다.#
  • 대만의 중화항공에서 5일동안 조종사 5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게다가 그 조종사 중 한 명의 아들(1090번)과 호주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아버지, 그리고 1091번 환자 이렇게 셋이 이슬람 모스크의 예배에 참석한 이후 확진되었는데 그 예배에는 400여명이 참석했고, 설상가상으로 2월달부터 명부 실명제를 종료한 탓에 행적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어 다시 비상이 걸렸다.#
  • 급기야 타오위안시 노인교육시설에서 2명의 감염자가 발견되었고, 다음날에는 감염경로 불명자까지 1명 나왔다.
  • 4월 30일, 공항 인근의 격리 호텔에서 근무하는 호텔 직원 3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되었다.#
====# 5월 #====
  • 양즈량(楊志良) 전 위생서장은 4월 하순부터 발생하고 있는 지역사회 확진자 연쇄발생 사태가 지난 1월 북부 타오위안 병원발 코로나19 확산 때보다 훨씬 심각하다면서 "이것이 바로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양즈량 전 위생서장의 우려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 2일간의 무급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 5월 11일 처음으로 해외유입보다 지역발생이 더 많이 발생했고, 또다시 감염경로불명 사례가 출현했다. 이에 대만 방역당국은 코로나19 국내유행경보를 2단계로 상향했다. 또한 지역사회 감염이 나오자 6월 8일까지 500명 이상의 모든 야외 활동과 100명 이상의 내부 활동은 취소한다.#
  • 5월 12일, 보건당국은 북동부 이란현 뤄둥 지역의 한 성인 오락장에서 일하던 30대 여성이 전날 확진됐다고 밝혔다. 그의 직장동료 3명과 오락장 고객 30대 남성 등 4명도 확진 판정을 받았다. 또 지난 7일부터 증상을 보인 남성 1명도 확진됐으며 밀접접촉자 115명도 자가격리 조치됐으며, 10일 확진된 항공사 조종사 40대 남성의 가족인 40대 여성이 11일 확진됐다. 이와 관련해 천스중 대만 위생부장(장관)은 "코로나19 상황은 이미 지역사회 감염으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 5월 12일, 지역발생이 16명이 보고되었다. 이전의 최다기록은 1주일에 11명이었다. 본격적으로 지역발생이 시작된 것이다. 이로 인해 기껏 되살아나기 시작한 반도체 산업이 다시금 부진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대만 가권지수가 장중 8% 가까이 폭락하는 공황상태를 보였다가, 12일 장 마감 때 4%대 폭락으로 마감되었다. 그 정도로 대만 사회가 느낀 충격이 컸다는 의미이다.#
  • 5월 12일, 대만 방역당국은 확진자 방문장소 리스트를 공지하면서 "해당 장소들 중 한 곳이라도 방문한 사람은 14일간 능동확인(self-health monitoring)을 하고, 증상이 발현되면 검사를 받으라"고 공지했다. 하지만 능동확인 지침에서 보듯이 유증상자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무증상 감염 탐지는 여전히 뒷전인 상황이다. 게다가 명시적으로 자가격리를 하라는 지침도 안 나온 상태이고, 더 큰 문제는 비싼 검사비.
  • 5월 13일, 대만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전날 나온 찻집의 확진 여성과 지룽의 확진 여성이 각각 대만 서부의 장화, 윈린, 자이, 남부의 타이난, 가오슝 등의 도교 사원을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마디로 전국을 다 누비고 다닌 것.#
  • 5월 13일, 대만 당국은 타이베이시 완화구 주민에 문자로 "4월 15일 이후에 고위험장소 방문 후 발열, 호흡기증상, 설사, 후각/미각 이상의 증상을 앓고 있다면 지정된 진료소에서 검사를 받으시오."라고 공지했다. 여전히 무증상 감염 탐지는 뒷전인 상황.#
  • 5월 13일, 지역발생이 13명이 보고되었다. 이 중 9명은 1203번 확진자와의 접촉감염이며, 4명은 타이베이시 완화구 찻집들에서 발생했다. 여기서 찻집은 말이 찻집이지, 실제로는 성인유흥시설과 다를 바가 없다. 1203번 확진자 접촉으로 확진된 9명 중 44%인 4명이 무증상 감염이어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 5월 14일, 지역발생이 29명이 보고되었다. 16명은 타이베이시 완화구 찻집들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이다. 5명은 1203번 확진자 접촉감염(라이온스클럽 관련)이고, 1명은 이란현 성인오락실 집단감염 관련 확진자이다. 7명은 조사중이다. 4명이 무증상 감염이고, 25명이 유증상자이다. 같은 날 차이잉원 총통은 대만에서 자체 개발하고 있는 백신이 7월 말쯤 공급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해당 백신(MVC-CoV1901)은 임상 2상도 안 끝났다. 러시아 스푸트니크 V처럼 임상 2상 끝내고 바로 허가하는 것을 고려 중인 것인데, 대만이 임상 3상 하기엔 너무나도 불리한 환경이라 정치적 수사로 추정된다.#[105] 이에 타이베이시는 유흥업소, 공공시설을 무기한 중단한다.#
  • 5월 15일, 지역발생 180명과 해외유입 5명이 보고되었다. 전날에 비해 지역발생이 6배로 폭증했고, 180명 중 70% 이상인 132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가 없다. 덩달아 검사자수 대비 확진율도 폭등했는데, 타이베이시 완화구에서만 확진율이 3~10%로 폭증했다.# 이에 따라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는 방역대책을 5월 28일까지 3단계로 격상시키기로 했고, 나머지 지역은 2단계가 유지된다.
  • 게다가 지난 2003년 사스 유행 때 코호트 격리되어 큰 피해를 입었던 허핑병원에서 확진자 2명이 발생해 의료진 22명이 격리 조치되었다. 허핑 병원 입장에서는 사스 때의 악몽의 재림인 것이다.
  • 당국은 8억개의 마스크를 비축하고 있는 등 대비가 되어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대만 곳곳에서 패닉바이가 늘고 있는 등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 5월 16일, 패닉바이가 폭증하자 대만 경제부는 주요 유통업체에 연락하여 휴지, 라면, 쌀, 통조림의 4개 품목에 대해 1인당 2개씩의 구매 제한을 걸어줄 것을 요청했다.#
  • 5월 16일 당국은 지역발생 206명, 해외발생 1명이 보고되었다고 밝힘에 따라 다시 한번 최대치를 경신하였다. 이들은 4월 6일부터 5월 15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
  • 확진자 폭증에 5월 17일 하루 동안 대만 입법원이 폐쇄 및 방역조치가 시행될 예정이며, 5월 18일부터 입법원 업무가 재개된다.
  • 검사 수요가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 몰린 상황이다. 대만 방역당국은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 검사소를 5곳 더 늘렸다.
  • 싱가포르가 대만발 입국을 금지했다.#
  • 대만 방역당국은 그간 대만 위생복리부 질병관리서가 전임하던 역학조사를 각 지방정부에 위임하기로 했다. 이 와중에 중국은 대만의 5월 지역발생 폭증이 "중국산 백신을 거부한 결과"라는 막말을 하며 중국산 백신 도입을 압박하고 있다.#
  • 5월 17일, 33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 발생 333명, 해외유입 2명으로 사흘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들은 5월 5일부터 16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이날 발표된 지역별 신규 확진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한편, 대만 가권지수는 또다시 3% 폭락했다.
  • 한편 이와는 별개로 5월 들어 지속된 더위와 56년만의 최악의 가뭄으로 인한 물 배급제 시행, 발전소의 잇따른 고장으로 13일과 17일 일부 지역에 정전이 일어나면서, 차이잉원 현 행정부와 민진당에 대한 민심이 악화되고 있다. 반면 신베이시 시장 허우유이와 타이베이 시장 커원저는 2차 확산 과정에서 적극적인 대처에 나섬에 따라 상대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 대만 당국이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환자의 급증에 따라 국경을 다시 봉쇄했다.#
  • 5월 18일, 24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 발생 240명, 해외유입 5명이다. 이들은 5월 5일부터 18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이날 발표된 지역별 신규 확진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또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확진율은 5월 17일 데이터 기준 3.81%로 폭등했다.[106]
  • 대만 전국의 모든 유치원 및 학교 수업이 5월 28일까지 비대면으로 전환됐다.#
  • 5월 18일, 대만 가권지수는 충격에서 회복하면서 5.16%나 급등하였고, 이로 인해 역사상 증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마감하였다. 그간 폭락한 것에 대한 반발매수로 보인다.#
  • 5월 18일, 로이터 통신발로 대만이 백신 확보를 위해 외교관들을 동원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특히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해외에 백신을 지원한다는 발표를 하자, 이를 지원받기 위한 조율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원분량이 겨우 2천만 도즈(1천만 명분)이고 여러 국가에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일시적 지원을 받는 것과 계약을 통한 안정적 공급량 확보는 대만 입장에서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 대만의 중증치료전문의인 황쉬안 박사는 "타이완이 '공포의 J자형 곡선' 상에 있다"고 우려했다. 'J자형 곡선'은 감염 초기 봉쇄 조치 등으로 감염자가 줄었다가 잠복기를 거쳐 다시 폭증하는 형세를 말하는데, 이 잠복기 동안 산발적인 감염자가 나오거나 환자가 아예 나오지 않아 '설령 환자가 발생해도 통제할 수 있다'고 믿게 된다는 것이다. 이어서 잠복기를 '폭풍우가 오기 전 평온한 단계'로 비유했는데, 잠복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이후 4~6주 사이에 감염자 수가 비약적으로 증가한다고 분석했고, 시민들의 공포감도 그만큼 확산한다고 말했다.#
  • 한편 코로나가 확산됨에 따라 확진자 수를 놓고 도박이 벌어져 타이난 시장이 강도 높게 비판하였다. #
  • 5월 19일, 27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은 267명, 해외유입은 8명이다. 이들은 4월 30일부터 5월 19일 사이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18일 조금 줄었다 싶더니 다시 하루 확진자가 증가했다. 지역별 감염 상황은 다음과 같다.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 이어 이번에는 장화현에서 확진자가 늘고 있고, 가오슝시도 심상찮다. 점점 감염 확산이 남하하는 양상인 것.#
  • 5월 19일, 항공편을 거쳐 한국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생산한 AZ백신 40만 도즈가 대만에 도착했다. 총 20만 명 분량.
  • 결국 대만 방역당국은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만 발령했던 3급 방역대책을 대만 전국에 발령했다.
  • 5월 20일, 29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은 286명, 해외유입은 9명이다. 이들은 5월 1일부터 20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지역별로 발표된 확진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6일 연속 1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남은 8일마저도 100명 이상 발생하면 4급 방역대책 즉 락다운이 발령될 확률이 매우 높다. 이 중 101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병원과 정부기관에서 확진자가 다발하기 시작했다. 타이베이 룽민 총의원과 타이베이의학대학 부설병원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대만대병원에서도 직원 10명이 무더기로 확진됐다. 이에 따라 해당 병원들에서는 모든 수술 및 긴급하지 않은 일반 환자의 진료가 중단됐다. 허핑 병원에서도 지난 13일 2명의 확진자가 나온 데 이어 5명이 추가로 확진되었다. 거기에다가 타이베이 지방법원과 심계부(회계감사), 노동부 노동기금운용국 등 주요 정부 기관과 완화지역의 장기요양시설 등에서도 확진이 이어졌다.
  • 병원에서의 확진자 다발로 대만 내부에서는 병원발 집단감염이 일어나는 것이 아닌가 우려하고 있는데, 최악의 경우 의료 붕괴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 대만은 확진자 폭증과 국경 봉쇄를 이유로 도쿄 올림픽 야구 세계 최종 예선전 개최권을 반납했다. 또 개최지가 변경되더라도 백신 접종이 어려운 등의 이유로 대만 선수단의 대회 참가 여부가 불투명하다. #
  • 급기야 총통부 내에서도 코로나19가 침투했다.# 차이잉원 총통과 밀접 접촉자 등 25명에 대한 코로나19 핵산 검사를 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한편 이로 인해 사상 처음으로 주주총회가 무더기로 연기되었다.
  • 5월 21일, 31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은 312명, 해외유입 3명이다. 이들은 5월 8일부터 21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지역별 감염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 중 97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7일 연속으로 100명 이상이 나왔으며, 남은 7일마저도 100명 이상 나오면 락다운 발령 가능성이 높다.
  • 5월 21일, 백악관 젠 사키 대변인은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지원에 대하여 "어떻게 공평하게(equitably) 할 것인가, 세계에서 가장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곳에 도달하도록 보장할 것인가, 공정(fair)하면서 지역적 균형을 이루는 방법으로 할 것인가" 등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준대로라면 대만도 기준에 잘 맞지 않아 지원받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 대만 내부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재택근무 도입을 두고 일선 직장 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왜냐면 대만에서는 재택근무=근무태만으로 인식해서 기업들이 근무 형태 변화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영국 가디언지는 “일부 기업은 재택근무를 하라는 정부의 주문에 완강히 저항했고, 3등급 경계가 적용된 첫 날에도 여전히 상당수의 근로자들이 출근했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를 주저할 경우 직장발 집단감염 가능성 상승이라는 골때리는 딜레마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 대만 방역당국은 각 직할시 및 현에 2021년 5월 21일부터 100만 장의 마스크와 방역보호복을 배분하기로 했다.#
  • 5월 22일, 723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321, 해외유입 2,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400명이다. 5월 22일 기준 역대 최다 규모이며, 먼저 323명은 이들은 5월 10일부터 22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통계오류 수정으로 산입된 400명은 5월 7일부터 20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지역별로 발표된 감염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국각지에 코로나가 퍼지거나 침투한 양상이다.# 이들 중 276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또한 사망자가 2명 발생했으며, 70대 남성 및 80대 남성으로 두 사람 모두 확진판정 받기 전 숨졌다.
  • 한편 대만 SNS에서는 대만 당국이 통계오류를 정정하면서 사용한 교정회귀(校正回歸)라는 표현을 비꼬면서, 당국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 5월 23일, 460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87, 해외유입 3,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170명이다. 사망자는 6명이 발생했다. 지역별로 파악된 감염자 현황은 다음과 같다. 136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처음 290명은 5월 6일부터 22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으며, 새로이 산입된 170명은 4월 25일부터 5월 22일 사이에 증상을 보여 검사를 받았다.
  • 급기야 TSMC에서도 1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코로나가 전방위로 침투하고 있다.
  • 5월 24일, 대만이 끝내 세계보건기구 총회에 옵서버 자격으로 참석하는 것에 실패했다.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은 중국을 언급하며 "전문 국제보건기구로서 WHO는 모든 인류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봉사해야 하며 특정 회원국의 정치적 이익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스티브 솔로몬 WHO 법무담당관은 지난주 "WHO가 대만의 코로나19 기술 전문가들과 협력하고 있지만 WHO 회의 참석 여부는 회원국들의 몫"이라고 선을 그었다.#
  • 5월 24일, 59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사회 334명, 해외유입 5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256명이다. 사망자는 6명이 발생했다. 206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 이 와중에 대만 전국적으로 확진자 300명 이상이 실종되어 경찰이 추적을 시작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들은 잘못된 주소나 전화번호를 제출했거나, 아니면 글씨체가 제대로 읽을 수 없었다. 당국은 격리에 따른 생계곤란을 우려하여 연락을 두절한 것으로 보인다 말했다. ##
  • 범람연맹에 속해 있는 중국국민당의 홍슈주 전 총재는 "가능한 한 빨리 중국산 백신을 도입해야 한다"며 "지금 이 순간 생명이 위태롭게 하는 진짜 적은 본토가 아니라 바이러스임을 차이잉원 총통 정부에 말씀드리고 싶다"라고 말했다. 대만의 제약업계에서도 중국산 백신 도입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박이 커지고 있다.#
  • 5월 25일, 544명이 확진되었다. 지역사회 281명, 해외유입 2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261명이다. 사망자는 6명이 발생했다. 197명이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다.
  • 그 와중에 중국 측은 푸싱제약을 통해 계속해서 대만에 백신 제공을 제안하고 있다.#
  • 결국 그간 블룸버그의 포스트 코로나 회복력 순위에서 높은 순위를 보였던 대만은, 5위에서 15위로 곤두박질쳤다. 5위 자리는 대신 한국이 가져갔다.##[107]
  • 코로나 상황이 악화 되면서 안전을 이유로 대만은 최종적으로 도쿄 올림픽 야구 최종예선 출전을 기권했다.# 코로나19 판데믹 속에서 세계 최초로 프로야구 정규리그를 오픈하며 자국의 방역 성공을 자축했던 대만이, 세계인의 축제 올림픽에 기권하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있다.
  • 5월 26일, 63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304명, 해외유입 2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331명이다.[108] 사망자는 11명이 발생했다. 사상 처음으로 두자릿수의 신규 사망자가 발생했다. 215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 5월 27일, 671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401명, 해외유입 4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266명이다. 엿새 연속 통계오류 개정이 되었으며, 사망자는 13명이 발생했다. 262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점점 감염경로 미상 확진 사례의 비중이 상승하고 있다. 그전까지 30%대 초반이었던 경로미상 확진자의 비중이 40%에 육박할 정도로 상승했다. 최악의 경우 50%를 넘길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대만 정부가 정한 4단계 발령 기준에 드는 것도 아주 가능성이 없는 게 아니다.#
    • 같은 날 차이잉원 총통은 중국의 백신 세컨더리 보이콧 조치 때문에 화이자를 구해올 수 없었다고 공식 석상에서 발표했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 외교부의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소위 총통이라는 표현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는 중국의 지역 지도자 중 한 명일 뿐"의 발언과 동시에 대만이 방역외교를 통해 대만정명(臺灣正名) 운동을 추진한다면 사지로 내몰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 대만 방역당국은 모더나 백신의 초도물량 15만 도즈가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아직 대만에서는 모더나 백신의 긴급사용승인이 되지 않았다는 것으로, 특례사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본이 특례승인했으나 접종을 당분간 보류한 AZ백신의 일부를 대만에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5월 28일, 557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97명, 해외유입 2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258명이다. 사망자는 19명이 발생했고, 다시 총누적 치명률이 1%를 넘겼다. 254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감염경로 미상의 확진자 비중이 46%에 육박했다.
  • 5월 29일, 493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320명, 해외유입 7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166명이다. 사망자는 21명이 발생했다. 290명이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 감염경로 미상의 확진자 비중이 59%를 기록했다.
  •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이 4단계 발령 대비 예비훈련을 시행했다.
  • 5월 30일, 35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66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89명이다. 주말 효과로 확진자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5월 30일, 한국의 연합뉴스는 대만 현지의 상황을 정리한 기사를 보도했다.#
    • 5월 18일부터 29일까지 87명이 코로나19로 사망했다. 특히, 기저질환이 없는 36세 남성이 검사를 받고 확진된 지 하루 만에 숨지는 경우도 있었다.
    • 사망자 가운데 수십 명이 사망후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자가격리 중 사망하는 사례도 늘어 의료 붕괴 위기 상황이다.
    • 타이베이시는 30일 도시봉쇄 단계의 교통 통제와 민생물자 배급 등의 4급 방역 경계 조치를 시뮬레이션한다.
    • 폭스콘의 창업자 궈타이밍은 독일 바이오엔테크의 백신 500만회 분을 구매해 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109]
    • 대만 연합보는 29일 오후 4시 30분 기준으로 코로나 백신 누적 접종자는 37만 8,227명으로, 전국 접종률은 1.90%라고 전했다.
  • 보다 못한 대만의 일부 교육기관이 자체적으로 중국 시노팜 백신 BBIBP-CorV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 5월 31일, 351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74명, 해외유입 4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이 산입된 73명이다. 주말 효과로 확진자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5월 31일, 대만 방역당국은 확보한 백신 분량이 해외수입을 통한 것은 2,000만 도즈, 자국 개발 백신은 1,000만 도즈라고 밝혔다. 문제는 자국산 백신은 임상 3상도 안 했다는 것으로, 안 그래도 백신에 대한 신뢰도가 30%대로 바닥을 치고 있는 대만이라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해외 계약분량도 2,000만 도즈면 1,000만 명분으로서 대만 인구의 반에도 못 미친다.[110] 결국 차이잉원 총통은 7월 말에 자국산 백신 공급 가능이라고 말했던 것을 8월 말로 바꿨다(...).
====# 6월 #====
  • 6월 1일, 332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67명, 해외유입 5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새로 산입된 65명이다. 사망자는 13명이 발생했다. 이 와중에 이란현 난아오의 대만 시민들 2명이 확진자 모녀의 집에 들이닥쳐 인격모독 및 협박을 일삼다가 대만 경찰에 의해 연행되었다.#
  • 6월 1일(한국시간), 미국 언론 CNBC는 방역만으로는 더 이상 대처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대만에서 60대 확진자가 의료진들에 흉기를 휘둘러 간호사 3명이 부상을 입었다.
  • 일본이 대만에 AZ 백신 124만회분(62만 명분)을 제공하기로 했다.#
  • 6월 5일, 511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476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산입된 35명이다. 사망자는 38명이 발생했다. 일일 사망자 최고치를 경신했다. 치사율이 무려 2%를 넘었으며, 이는 한국보다 0.7% 가량 더 높다.
  • 대만 먀오리현 소재 반도체 패키징 기업 킹 위안 일렉트로닉스의 기숙사에서 67명의 집단 감염이 발생해 비상이 걸렸다. 방역당국은 해당 회사에서 근무하는 7천여명의 직원들에 대해 전수검사에 들어갔고, 작업장은 48시간 동안 셧다운 조치되었다.#
  • 6월 6일, 343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335명, 그리고 통계오류 수정으로 산입된 8명이다. 사망자는 36명이 발생했다. 주말 효과로 일시적으로 확진자 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3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오는 바람에 치사율이 세계 평균(2.15%)을 상회하는 2.30%까지 치솟았다.
  • 대만 경제부 부장과 차장이 확진자와의 밀접 접촉으로 인해 14일간 자가격리되었다.
  • 코로나19 유행 규모가 도저히 줄어들지 않자, 대만 방역당국은 3급 방역대책 기간을 3주 더 연장했다.#
  • 6월 7일, 214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11명, 해외유입 3명이다. 사망자는 26명이 발생했다. 주말 효과로 일시적으로 확진자 수가 감소하였다. 치사율은 2.49%까지 치솟았다. 또한, 이 날부터 당국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통계 오류 정정 수치를 발표하지 않는다.
  • 6월 8일, 219명이 확진되었다. 모두 지역발생이다. 사망자는 22명이 발생했으며, 치사율은 2.63%까지 올라갔다. 또한 킹 위안 일렉트로닉스 집단감염의 규모가 182명으로 증가했다.
  • 6월 9일, 킹 위안 일렉트로닉스 집단감염의 규모가 238명으로 증가했다. 거기에다가 설상가상으로 애플의 공급업체인 폭스콘은 물론, 칩 패키징 업체인 그레이트텍 등 여러 반도체 공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대만 경제에 매우 지대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 6월 9일, 27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74명, 해외유입 1명이다. 사망자는 22명이 발생했으며, 줄어드나 싶더니 또다시 늘었다. 치사율은 2.78%로 폭증했다.
  • 대만 과학기술부에서 반도체산업 종사자 29만 명한테 백신을 우선 접종하기로 했다.#
  • 대만의 국민 밴드 오월천이 6월 9일 타이베이시 및 신베이시 병원에 인공호흡기 66대를 기부했다.
  • 6월 10일, 266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63명, 해외유입 3명이다. 사망자는 28명이 발생했다. 치사율은 2.95%로 상승했다.
  • 6월 10일, 대만 입법원에서 열린 코로나19 백신 접종 문제와 관련한 대정부 질의에서, 쑤전창 행정원장은 1차 접종이 언제까지 끝날 수 있을 것 같냐는 질문에 "10월 말까지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했고, 2차 접종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른다"는 입장을 밝혀 국민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 6월 11일, 287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86명, 해외유입 1명이다. 사망자는 24명이 발생했다. 잠정치사율은 3%를 넘었다.
  • 3급 방역대책이 계속되고 있지만 확산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으면서 국민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다. 결국 차이잉원 총통은 코로나19 확산세를 잡지 못한 것에 대해 대국민 담화를 하여 사과했다.#
  • 6월 12일, 251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250명, 해외유입 1명이다. 사망자는 26명이 발생했다. 특히, 4명은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에 사망했으며, 8명은 사후 확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의료 붕괴가 더 이상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된 것이다.
  • 장야중 쑨원학교 교장 등 중국국민당 소속 인사들이 차이잉원 총통, 쑤전창 행정원장,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을 "감염병의 정치화"를 이유로 검찰에 고발했다. 중국국민당은 '중국 푸싱제약이 독일 바이오엔테크의 BNT162 백신 3,000만 회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민주진보당이 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차이잉원 총통이 중국의 방해로 화이자 백신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대만 국민들을 속이는 것이라고 정치 공세를 폈다. 5월 이후 대만에서의 코로나19 대확산세를 감안하면, 국민당의 이 같은 주장은 나름 설득력이 있다.#
  • 6월 13일, 175명이 확진되었다. 지역발생 174명, 해외유입 1명이다. 사망자는 26명이 발생했다. 치명률은 3.38%까지 상승했다.
  • 결국 대만 방역당국은 지방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코로나19 백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조건부 허가를 했다. 이에 훙하이정밀공업의 궈타이밍 회장이 푸싱제약과 조율해서 자체적으로 화이자 백신을 도입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를 위해 대만 식품약물관리서[111]가 전문가 회의를 거쳐 화이자 백신의 긴급 사용을 조건부 승인했다. 만약 궈타이밍의 백신 자체 도입이 성사되면, 대만은 중국에서 생산한 화이자 백신을 도입하는 것이 되는데, 이게 민진당 정권 입장에서는 엄청 아니꼬운 일이 된다. 왜냐면 민진당 정권은 반중을 기치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 대만이 태국에 "AZ 백신의 수출을 막는 것이 아니냐"며 불만을 표했다. 이에 대해 태국 정부는 대만의 주장을 부정했다.#
  • 쑤이런 전 대만 국가위생연구원 전염병연구소 소장은 “2021년 초까지 대만의 코로나19 통제는 매우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백신이 필요 없거나 더 나은 백신을 기다릴 시간이 더 많다고 생각했다”며 “이는 중대한 실수였다”고 지적했다.#[112][113]
  • 6월 16일 대만 중앙전염병통제센터(CECC)[114] 정례브리핑 후 기자회견에서 몇몇 기자들이 한국의 '노쇼백신' 접종 예약 등 백신 손실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과 백신 현황 정보 공개 등을 설명하며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할 생각이 있느냐, 한국의 방역 정책 중 일부라도 대만도 벤치마킹을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등을 묻자,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이 확실하게 대답하지 못하고 장황하게 설명하여 욕을 거하게 먹었다(...).
  • 이 와중에 대만에서 백신 수급 부족의 극심함으로 중국이나 미국 등으로 원정 백신 접종을 위해 출국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6월 16일 기준 중국에서 백신을 접종받은 대만인은 62,000명에 육박한다. #
  • 6월 14일에 185명, 6월 15일에 132명, 6월 16일에 167명, 6월 17일에 175명, 6월 18일에 188명이 확진되었다.
  • 6월 18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정부가 TSMC와 폭스콘이 백신 구입 협상을 직접 할 수 있도록 했다. 궈타이밍 폭스콘 회장이 차이잉원 총통에 중국(중화인민공화국) 회사를 에이전트로 삼아 화이자 백신(푸싱제약-바이오엔테크 백신 즉 코미나티주)을 확보해 기증하겠다고 제안, 이를 총통이 전격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물론, 중국의 의도는 당연히 양안통일에 반대하는 대만 국민들의 여론을 조금이라도 호의적으로 돌리려는 속셈이지만, 대만으로서도 방법이 없는 게 현실이다. 국민이나 정부나 자존심을 지키자니 거절하는 게 맞지만, 이대로 방치하면 대만 전체가 헬파이어가 되는 게 자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 6월 20일 시사저널 보도에 따르면, 대만이 중국-미국 양국의 백신 전장으로 전락했다고 내부에서 한탄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 또한 6월 10일에 대만의 대표 방송사 중 하나인 TVBS가 실시한 만 20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벌인 차이잉원 총통 지지도 여론조사에서 차이 총통의 지지율은 38%를 기록했는데 사상 처음으로 40%가 무너지고 말았다. 주요 이유는 지지부진한 백신 접종. 이에 대해 시사저널은 표면적인 이유는 백신 확보의 미흡이지만, 실제로는 "그동안 '방역 모범국'을 자랑하면서 방심한 탓에 방역이 해이해졌고, 자만에 빠져 코로나19 검사를 적게 한 것이 결정적"이라고 밝혔다.#
    • 또한 일본과 미국이 백신을 일부 지원하자, 대만 정부는 "독재국가에 맞서 민주주의와 자유를 지키는 대만을 비슷한 생각을 가진 국가들이 지지해 주었다"며 감사를 표했으나, 대만인들이 느끼는 감정은 전혀 달랐다고 한다. 폭스콘에 근무하는 한 직장인은 당시 시사저널 취재진에 "방역 모범국으로 손꼽히던 대만이 어떻게 다른 나라들의 백신외교 전장(戰場)으로 전락했는지 자존심이 상한다"고 불만을 표했었다. 거기에다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반도체산업 유관단지의 집단감염 확산으로 인한 조업 중단이 발생하면서 경제에 타격을 주었고, 또한 대만 야구 국가대표팀이 도쿄올림픽 참가를 포기해 대만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 한편 같은 날 미국은 대만에게 모더나 접종 1회분인 250만 도스를 지원했다.#
  • 빈과일보에 의하면 6월 15일부터 일본이 대만에 기증한 AZ백신 접종이 7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시작된 이후 엿새만에 70여명 가까운 수의 사망자가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더 이상한 것은 코백스를 통해 받은 한국산 AZ 백신은 접종 시 심대한 부작용이라고 해봐야 혈전증 1명으로 그마저도 치료해서 사망자가 없었다는 점이다. 일단 대만 보건당국은 49명에 대해서는 인과성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으나, 접종 후 사망 사례가 속출하자 75세 이상 연령층에서 접종 의향도가 감소하고 있다. 사실 한국에서도 백신 접종이 여타 연령보다 사망할 확률이 훨 높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먼저 이루어졌기에 언론들이 '백신 맞고 사망'이라는 타이틀로 마치 사망원인과 백신 접종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듯이 보도해 한때 백신 접종 의향이 크게 감소하는 일도 있었다. 때문에 적어도 일본에게서 지원 받은 AZ가 사망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여지는 적어 보인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AZ 백신 접종자가 1200만 명이 넘으며 이 중 접종 후 사망신고는 110여명이다.
  • 대만 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일본이 지원한 AZ를 접종 받은 대만인 67명이 6일 동안 돌연사한 것과 관련에 20일 하루에만 18명이 숨졌고 그중 15명이 75세 이상이라고 밝혔다. 대만 방역 당국은 유족들의 동의를 구해 사망자를 부검하고 인과성을 찾는 등 대만인들을 안심시키고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중이지만 불안에 떠는 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115]
  • 6월 20일 기준 대만은 총 485만회분 백신을 확보했다. 이번 6월에만 398만회분을 확보했으나 전체 인구를 감안하면 턱없이 적은 수치다. 대만 인구가 2380만명이므로 약 5,000만, 부스터샷을 고려하면 7,000~9,000만 도즈의 확보를 해야 어느 정도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6월 21일, 추가로 75명이 확진되었고, 20명이 추가로 사망했다. 잠정 치사율은 결국 마의 4%를 넘고 말았다.
  • 미국이 대만에 250만 도즈 (125만명 분)을 지원한 것과 관련해 중국은 미국의 이러한 결정이 실제 대만의 상황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닌 정치적인 결정이라고 평가절하했다. #
  • 대만 방역 당국이 중화민국군 6군단 예하 제33화생방지원단을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방면 여러 역들을 방역하는데 투입시켰다. # [116]
  • 6월 22일, 중국 국민당은 공식 트위터에 '세계로부터의 백신 기부는 고맙지만 차이잉원 행정부가 제대로 방역을 했다면 (사망자가 대거 발생하는) 이런 일도 없었을 것'이라는 요지의 트윗을 게재했다.#
  • 6월 23일, 리투아니아가 대만에 AZ 백신 1만명 분량을 지원했다. 같은 날 대만의 코로나19 사망자가 600명에 육박했다.
  • 결국 대만 방역당국은 3급 방역대책 기간을 7월 12일까지로 또 연장했다. 같은 날, TWICE쯔위가 지난 6월 14일에 대만에 인공호흡기 50대를 기부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 대만에서 백신 접종 속도가 이전에는 일 15만회 정도였으나 75세 이상 접종자 중 접종 후 사망 사례 신고가 속출하면서 접종 속도가 일 5만회 정도로 1/3 토막났다.
  • 6월 26일, 델타 변이가 대만 남동부 핑둥현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6명 중 1명은 국내 발생이다. 대만 당국은 초긴장한 상태. 이에 따라 핑둥현 팡산향에 대해 준4급 방역대책이 발령되었다. 결국 시민의 외출을 금지하는 봉쇄령이 발령된 것이다. #
  • 대만이 6월 17일 브리핑에서 75세 이상 접종자 중 사망신고 사례 통계를 거짓으로 발표했음이 뒤늦게 밝혀졌다.
  • 고질적인 백신 부족에 시달리자, 대만 반도체 기업 중 일부는 괌으로 백신 접종 여행을 보내기로 했다.# 그러나 다녀온 이후 격리비용이 자부담인 데다가 여론이 상당히 안 좋아 결국 철회했다.
  • 6월 28일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서 대만은 무려 29계단 폭락44위를 기록했다. 이날 블룸버그 발표에 따르면 상위 10개국 중 동아시아 국가는 한국(68.6점)과 중국(69.9점)밖에 없었으며 한국은 9위 영국과는 0.1점 차이에 불과했다.#
  • 같은 날, 전날 오후 9시경 길거리에서 쓰러져 숨진 58세 아일랜드인이 코로나19 사후확진 판정을 받았다.#
  • 대만 지방정부들이 방역당국이 시행하는 역학조사 시스템이 불편하고 쓸모없다(inconvenient and useless)고 비판했다.#
  • 해외에서 귀국한 자국민들의 격리지침 위반이 속출하고 있다. #
====# 7월 #====
  • 6월에 중국 국민당 입법위원 정리원 의원이 '우리는 노바백스 백신이 필요하다'며 대만 정부를 비판했는데, 워낙에 여론이 악화되자 대만 정부는 코백스를 통해 노바백스 백신 일정량을 받기로 했다.
  • 영국 언론 이코노미스트의 코로나19 시대 경제 정상화지수 집계 순위에서 대만이 43.7점으로 집계대상 50개국 중 49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한국에 이어 19위를, 한국은 18위, 미국은 20위, 일본은 30위를 기록했다. 홍콩은 96.3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 7월 2일, 타이베이시에 있는 Huannan 시장에서 일하는 상인 41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새로운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 이제는 일상에서까지 코로나19가 퍼진 것이다.#
  • TSMC와 폭스콘이 중국 푸싱제약의 자회사와 BNT162 백신 500만회분 구매계약을 각각 체결했다. 초기계약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체결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게다가 납기일은 별도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언제 들어올지 모른다(...).#[117]
  • 대만의 한 방역지정호텔에서 화재가 발생해 4명이 사망하고 22명이 부상당했다.
  • 급기야 코로나가 끝내 TSMC까지 침투했다. TSMC는 직원 3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발표하며 접촉한 직원 수백명에 대한 PCR 검사 및 향후 1주일 내에 신속검사를 여러번 실시하기로 했다.#
  • 차이잉원 총통이 "대만 정부는 현재 모더나 백신 3,000만 도즈(1,500만 명분) 구매를 추진 중에 있다"고 발언했다가 누리꾼들과 전문가들로부터 역풍을 맞았다. 전문가들은 "민간기업(TSMC 및 폭스콘)은 7주만에 계약을 체결했는데, 대만 정부는 7개월동안 도대체 뭘 했냐"고 비판했으며, 누리꾼들은 "그거 도대체 언제 체결되고 언제 들어오느냐, 또 말뿐이냐"고 비판했다. 현재 대만의 백신 접종률은 1차 접종 17.02%, 완료 0.37%이다.[118] 7월 13일에는 "대만은 현재 충분한 수의 백신을 확보했으며, 따라서 추가 구매의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발언해 국민당으로부터 뭇매를 제대로 맞았다.[119]
    • 모더나는 기업 자체가 가진 백신 공급 여력이 다른 대형 제약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빈약하기에 대만이 지금 당장 계약을 완료해도 2021년 내에 대만에 대규모로 공급될 거라는 장담을 하기 힘들다. 당장 2020년 12월 31일에 계약을 완료한 한국도 7월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모더나 백신 공급이 시작됐고[120], 올림픽 때문에 한국보다 빠르게 백신 계약을 완료한 일본조차 모더나 백신 공급이 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모더나 백신을 계약 완료도 아니고 추진 중이라고 얘기하면서 국민들에게 안심하라고 하는 것은 기만적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 이에 비해 한국은 1억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지만, 부스터샷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2022년에 추가 구입할 mRNA 백신 5,000만회 분에 대한 선급금 예산을 반영했다.[121] 기확보한 mRNA 백신이 5,300만명분(화이자 3,300만+모더나 2,000만)임을 고려해보면 5,000만 명의 인구에 1인당 3회 접종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 7월 16일, 슬로바키아측이 대만에 코로나19 백신 1만회분을 보냈다.#
  • 대만 방역당국은 7월 26일에 3급 방역대책을 종료시키는 것을 계획중이다. 문제는 아직 백신 수급이 원활치 않다는 점.
  • 중국 푸싱제약이 대만 TSMC 및 폭스콘과 계약을 맺으면서 무려 4배나 가격을 덤터기 씌운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대만 자유시보에 따르면 화이자 백신의 1회분 가격은 평균 8달러 정도이다.[122] 그런데 푸싱제약이 대만의 TSMC 등에 판매한 가격은 1회 분당 평균 최대 35달러였다. 매번 하나의 중국을 외쳤지만, 돈 앞에는 상전이 없다고, 정작 장사를 할 때는 그런 정신은 갖다버린 것이다.[123]#[124]
  • 결국 백신 부족에 시달리자, 대만 식약처는 임상 3상도 안 들어간 자체개발 백신 MVC-CoV1901에 대해 승인을 결정했다. 그런데 국민당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긴급사용승인이 나기 전에 이미 자체개발 백신 생산에 들어간 상태였고, 그렇게 생산한 54만 도즈 중에서 82%가 기준에 미달, 단 8만8천도즈만 기준을 만족해서 사실상 대부분을 쓸 수 없음이 드러났다. 이에 대해 국민당 정리원 입법위원은 차이잉원 정부에 이 같은 사태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다.##
  • 7월 20일, 치사율이 결국 마의 5%에 도달했다.
  • 대만의 불교재단인 츠지(慈濟)자선사업기금회가 중국 푸싱제약과 화이자 백신 500만회 분 구매계약을 맺었다.#
  • 7월 25일 확진자 13명, 7월 26일 확진자 11명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안정화되었다. #
  • 대유행이 잠잠해지자 나우루와 트래블버블을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
  •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 7월 집계에서 대만은 4계단 상승한 40위를 기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9위를 기록해 여전히 격차가 매우 벌어진 상태.

====# 8월 #====
  • 8월, 중국국민당 정리원 입법위원은 대만의 MVC-COV1901 승인 과정에서 식약처가 해당 백신이 WHO나 미국 FDA에서 승인하지 않은 방식인 '면역 브릿지(immune bridging)' 방식을 사용했음에도 승인했다며 대만 국민들이 이렇게 부실한 백신에 대해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냐고 비판했다. 그녀의 주장은 자체백신에 대한 대만 식약처의 승인 과정이 사실상 개판이라고 말해도 할 말이 없었을 정도로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 8월 8일 국내 확진자 4명, 8월 9일 국내 확진자 4명, 8월 10일 국내 확진자 3명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안정화되었다.
  • 8월 12일, 백신 예약 시스템이 꼬여서 원래 예약이 되지 않아야 할 사람들이 1,500명 이상 예약이 되는 사태가 발생해 대만 위생복리부가 뭇매를 맞았다. 이는 백신 예약에서 1차 접종 및 2차 접종을 따로따로 받아서 발생한 사태이다. 게다가 접종예약을 받는 의료기관들 중 몇몇이 제6군~제8군 대상자를 실수로 제1군~제3군 대상자로 산입하는 실수를 저질러 총체적 난국이 되었다.#
  • 8월 19일, 국내 확진자 1명으로 사태가 터진 후 최저기록이다.
  • 8월 23일, 대만 전역에서 가오돤 백신의 접종이 개시되었다. 이날 오전에 차이잉원 대만 총통은 대만대 의학원 체육관에 마련된 접종소에서 가오돤 백신을 맞았다.# 총통까지 나서서 국산 백신의 안정성을 강조하지만, 임상 3상도 거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많은 우려를 사고있다. #
  • 8월 26일, 가오돤 백신의 접종을 개시한지 단 3일만에 최소 3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중국 매체들은 이때다 하고 대만을 비난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 8월 26일 발표된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 7월 집계에서 대만은 1계단 하락한 41위를 기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24위를 기록해 7월 보다는 격차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출처

====# 9월 #====
  • 9월 2일, TSMC, 홍하이 등의 기업이 중국 푸싱제약에서 구매해 정부에 기증한 BNT162 백신 첫 물량 93만회 분이 도착하였다. 당초 10월부터 반입이라고 알려졌으나 반입 일정이 한달 당겨졌다.
  • 9월 20일, 신규 확진자 6명을 기록했다. #

====# 10월 #====
  • 10월 28일, 1차 접종률 70%를 돌파했다.

====# 12월 #====
  • 12월 22일 블룸버그의 집계에 의하면 대만은 26위를 기록했다. 지난 2021년 5월부터 중국에 역전당한 이래 처음으로 다시 중국보다 위에 있게 된 것이다. 최저값은 10월에 기록한 47위이다. 다만 점수는 64.6점으로 중국의 64.2점(28위)과 0.4점, 일본의 64.5점(27위)와 0.1점 차이였다.
  • 28일에 대만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1명 발생했다. 확진 당시에는 해외 유입(境外移入(경외이입))으로 분류됐으나, 1월 3일에 본토 확진(本土病例(본토병례))으로 수정됐다. 1월 3일 대만 기사(대만중국어)[125]
  • 30일에 대만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2명 발생했다. 확진 당시에는 해외 유입(境外移入(경외이입))으로 분류됐으나, 1명은 1월 3일에 본토 확진(本土病例(본토병례))으로 수정됐다. 1월 3일 대만 기사(대만중국어)[126]

6.3. 2022년

6.3.1. 1월

  • 1월 중후반부터 오미크론 변이의 유입으로 본토증례 즉 지역발생 확진자 수가 꾸준히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1월 4일부터 다시 지역발생 확진자가 생긴 이후 1월 22일에는 82명의 지역발생이 신규로 발생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 1월 블룸버그의 집계에서 69.1점을 기록해 한국과 점수동률을 이루었으며 순위도 8위로 급상승했다. 2021년 겪었던 백신 부족 사태가 시간이 지나며 해결된 것을 반영한 것이다. 순위상으로는 한국이 대만에 이어 9위. 다만 한국과 동점을 받았다는 점에서 추후 대만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유행을 폭증시킬 경우, 추후 점수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127] #

6.3.2. 2월

  • 2월 4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수가 516명을 기록하였다. 또한 이날 처음으로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중 중증으로 악화된 사례(70대 여성, 미접종)가 보고되었다.#
  • 2월 7일, 춘절 연휴 이후 첫 평일인데도 지역확진자는 2명으로 줄어들었고 해외입국 확진자는 47명이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 다시 지역확진자가 두자릿수로 상승했다.
  • 2월 24일, 신규 확진자 수 80명, 신규 사망자 0명을 기록했다. 9일 연속으로 사망자가 0명이다.
  • 2월 24일자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 순위(Covid Resilience Ranking)에서 61.1점으로 무려 8점이나 뭉텅이로 잘려나가 30위로 추락했다. # 게다가 점수 지표가 2차 대유행 이후 처음으로 'Worse'에 진입했다. 다만 해당 순위가 이전의 확진자 수 위주의 배점에서 봉쇄 완화, 여행 개방에 가점을 주는 방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순위 하락은 2022년 2월까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한 결과다. 오미크론 확산 이후 기존의 K-방역 요소를 포기하고 QR인증까지 중단한 대한민국과 비교되는 부분. 다만, 비교되는 한국 역시 9위에서 21위로 동반 폭락했는데, 한국은 아직까지 블룸버그가 선정한 팬데믹 MVP 그룹[128]에 들고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대만은 한때 47위까지 추락했었기에 MVP에서 진작에 탈락한 것이다. 뉴질랜드도 30위권까지 떨어진 바가 있어서 MVP에서 탈락하는 등 블룸버그의 회복력 순위 기준으로 이전에 '방역모범국'으로 인식되었던 국가들이 줄줄이 나가 떨어져버렸다. 블룸버그 순위가 '방역정책' 평가가 아닌 '일상회복' 평가이므로 방역을 논하는 것은 별 의미는 없다.

6.3.3. 3월

  • 3월 16일, 20일 째 일일 코로나 사망자 0명을 유지하고 있다. #
  • 3월 27일, 31일 째 일일 코로나 사망자 0명을 유지하고 있다. 감염자 수는 207명인데, 역외 입국자를 제외하고 대만 역내에서 무려(?) 87명이 나왔다. # 하지만 상황에 따라 3차 대유행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시기라 할 수 있다.
  • 3월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는 한국보다 1단계 높은 27위를 기록했다. 차이는 0.4점.

6.3.4. 4월

  • 1일 오미크론 변이가 유입된 이후 처음으로 本土病例(본토병례)가 3자리수인 104명이다. 대만 기사
  • 2일 本土病例(본토병례)가 160명 나왔다.대만 기사
  • 오미크론 변이BA.2가 결합한 혼종 변이인 'XE'가 영국과 대만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영국에 따르면 XE 변이의 '그룹 증가율 우위'는 BA.2보다 약 10% 더 높다.# 만약 XE 변이 또는 BA.2가 대만의 코로나19 유행에서 우위를 점하는 경우, 다시 3차 대유행이 엄청난 규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 5일, 신규 지역발생(本土病例(본토병례))이 2021년 5~6월 2차 유행 이후 처음으로 216명으로 200명을 넘어섰다.한국 기사, 대만 기사
  • 6일, 신규 지역발생이 281명을 기록했으며, 해외유입을 포함 시 358명으로 2021년 5~6월 2차 유행 이후 처음으로 300명을 넘어섰다.
  • 4.8일 지역감염 384명이다. 학원에서의 지역감염으로 6개교가 전면/부분 휴교에 들어갔다. 학생 누적감염자수 또한 10000명을 넘었다. #
  • 10일. 51일만에 코로나 사망자가 보고되었다.
  • 14일, 대만 CECC가 병원 입원 기준 등을 크게 강화했다.#
    • 병원 입원 가능 기준 :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할 경우. - 70세 이상, (나이 관계 없이) 중등증 이상, 임신 36주차(9개월) 이상, 신장투석 대상자
    • 격리 시설 및 격리 호텔에서 치료 : 70세 미만 무증상 또는 경증, 임신 36주차 미만
    • 재택 치료 : 허가된 도시 및 군 지역에 한하여, 65세 미만이고투신장투석 대상자가 아니거나 임신한 사람이 아닐 경우, 조건에 맞을 때 재택치료를 받을 수 있다.
    • 격리 시설 및 격리 호텔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1실에 2인을 수용한다.
  • 15일. 처음으로 지역발생이 1000명을 넘으면서 3차 대유행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지역발생 1209명이다.
  • 대만 TVBS에서 지난 3월 16일 코로나19 소식을 보도할 때 대한민국 국기의 태극을 코로나19 바이러스 모양으로 바꾼 것을 배경으로 하여 보도하는 혐한적 추태를 보인 게 재조명되었다.#
    • 결국 이게 알려지자 한국 누리꾼들은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으며 국민일보, 서울신문, 뉴시스, 조선일보, JTBC 등의 제도권 언론들 역시 일제히 보도했다. 거기에다가 대만 빈과일보에서도 이 사태를 보도하기에 이른다.#조선일보#대만빈과일보 대만 내부에서도 이 사실이 알려졌고, 빈과일보 보도에 의하면 누리꾼들은 "누가 대체 이딴 생각을 해 냈냐", "당신들 미쳤습니까?", "이게 해외에까지 알려진 건 참으로 창피한 일이다", "정신적으로 퇴보한 TV 방송국", "한 나라의 국기를 이렇게 만드는 건 정말 무능하다" 등의 비판을 했다.
    • 4월 19일, TVBS는 공식 사이트에 공지사항의 형태로 사과문을 올렸다.#뉴시스#국민일보
  • 정리원 중국 국민당 입법위원의 조사에 따르면, 17일 대만 방역당국은 5~11세 소아에 대하여 28일 간격으로 성인 접종량의 1/2를 접종하는 방식으로 모더나 백신(mRNA-1273)의 긴급사용승인을 결정했다. 그런데 대만에서는 2021년 하반기에 기업들의 구입 및 기증으로 도입한 화이자 백신이 거의 다 소진되었고, 들여온 분량 중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손망실된 것만 7만 회분에 달한다. 이에 따라 대만에서는 5~11세 소아가 접종받을 수 있는 백신이 모더나 백신밖에 없어, 많은 학부모들이 선택권이 없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한국의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에서 9세 이하 소아 인구의 1/2(약 188만 명)가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적이 있다면서, 3차 대유행이 발발한 대만도 그 길을 걷지 않는다고 말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은 4월 19일에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만약 지금 방역기준을 계속 유지한다면, 타이베이시 전체가 몇 주면 마비될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 26일, 本土病例(본토병례)가 6295명이고, 境外移入(경외이입)은 44명이다.대만 기사
  • 커원저 타이베이시장은 4월 25일 시의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대로라면 연말까지 대만에서 400만 명의 확진자와 4만여명의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고 예측했다.
  • 4월 28일, 신규 지역발생(本土病例; 본토병례)이 10,000명을 넘기면서 쇼크를 안겼다.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은 이 추세로 간다면 5월 5일 신규 확진자는 37,000여명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 결국 블룸버그의 코로나19 대응 및 일상회복 순위에서 32위를 기록해 5계단 내려갔다. 한국은 대만보다 확진자 규모 등이 큼에도 불구하고 19위로 상승했다. 한국과 대만 양국의 엔데믹 진입 여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30일 신규 확진자수는 15,149명으로 本土病例(본토병례)가 15,033명이고, 사망자는 3명이다.

6.3.5. 5월

  • 1일, 신규 확진자수는 17,085명으로 주말효과가 무색하게 계속 오르고 있으며, 本土病例(본토병례)는 16,936명, 사망자는 3명이다.
  • 대만에서 신속검사키트 관련하여 비리 의혹이 터졌다. 내용인즉, 대만 정부가 NT$16.5억(한화 708억 원)을 들여서 신속검사키트 발주를 했는데, 해당 업체는 자본금이 NT$200만(한화 8400만 원)에 불과한 영세업체인 데다가 하필이면 식당업으로 등록되어 있는 업체라 비리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 10일 신규 확진자 중 本土病例(본토병례)는 50,780명이고, 境外移入(경외이입)은 48명이고, 사망자는 12명이다.대만 기사
  • 2022년 세계보건총회에서도 대만은 옵서버 자격으로서의 초청장을 받지 못해 끝내 참여가 좌절되었다.
  • 13일 신규 확진자 수 중 本土病例(본토병례)는 64,792명이고, 境外移入(경외이입)은 39명이고, 사망자는 41명이다.대만 기사
  • 대만 내부에서 오락가락하는 방역정책 때문에 의료계의 혼란과 국민들의 비판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CECC에서는 3차 대유행이 시작되자 3+4(3일 격리, 4일 능동관찰[129]) 정책을 채택하기로 했으나, 확진자 수가 폭증하자 다시 10+7(10일 격리, 7일 능동관찰) 정책으로 선회하기로 하는 등 일관성이 없는 상황이다.
  • 14일, 허우유이 신베이시장이 신베이시 연합병원 선별진료소에서 검사 결과 97.04%의 양성률을 보였다고 발표했다.#
  • 15일, 대만 지룽시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2살 남자아이가 42.4℃의 초고열로 병원 응급실로 이송을 시도했으나 5곳의 병원에서 연속으로 입원을 거부당해 끝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태가 발생했다. 이는 3차 대유행이 맹위를 떨치는 대만의 의료붕괴로 인한 절망적인 사태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 당시 그의 부모는 먼저 위생복리부 지룽병원으로 갔지만 중증소아환자를 위한 병상이 없었고, 이에 해당 병원은 지룽 창겅병원에 전원 여부를 질의했다. 해당 병원에서는 중증소아환자병상 입원을 위하여 위생복리부 타이베이병원으로 전원할 것을 권고했는데, 이 사태를 알게 된 지룽시청과, 그것이 보고된 위생복리부까지 총동원되어 타이베이 싼총(三總)병원, 대만대병원, 마제(馬偕)병원에 이 환자를 위한 중증소아환자병상이 있는지 알아보는 등 백방으로 살펴보았지만 이미 병상이 다 찬 상황이었다. 그러다가 가까스로 타이베이 룽쭝(榮總) 병원에서 입원할 수 있다고 연락이 닿아 급히 이송되었지만, 남아는 입원 및 산소공급을 위한 삽관 직후 초고열로 인한 쇼크로 끝내 목숨을 잃었다.
    • 이 사태가 보도된 후, 대만 야후에서는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만 무려 1,582개 이상에 달하는 등, 대만 누리꾼들의 방역당국에 대한 가열찬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중국국민당 소속의 정리원 입법위원은 이 사태와 관련하여 "천스중 위생복리부장을 비롯해 차이잉원 정부는 전체 확보병상 중 50% 이상의 여유가 있다고 말했는데, 그게 다 거짓말이었냐? 약속한 병상은 어디로 갔느냐?"며 작심 비판을 했다.
  • 19일 신규 확진자 수 중 本土病例(본토병례)는 90,331명이고, 境外移入(경외이입)은 47명이고, 사망자는 59명이다.대만 기사, 한국 기사(연합뉴스) 이날 처음으로 하루 확진자 수가 9만명을 돌파하였다.
  • 20일, 신규 확진자는 8만5761명 누적 확진자는 총 115만6291명을 기록했으며 49명이 추가로 숨져 누적 총 사망자는 1284명을 기록하였다. #
  • 22일,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위드코로나 정책과 관련해 대만 현지의 반응들도 크게 엇갈리는 상황이라고 한다. 대만 현지인들은 감염자수는 늘어나고 있는데 대만 당국의 '눈 가리고 아웅'식 통제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반면 정작 의료진들은 당국의 지침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내 신규 감염자가 급증한 건 당국의 코로나19 방역 정책 기조가 바뀐 탓인데 대만은 그간 중국과 함께 강경한 봉쇄 조치를 취하고 있었으나, '제로코로나'에 따른 경제적 대가가 크다고 판단해, '위드코로나'로 선회했지만 그 결과 확진자 수가 폭증해버리게 되어서 이런 반응들이 나오게 된 것이라고 한다. 딜레마에 빠진 대만...위드코로나 과연 정답인가
  • 25일, 대만에서 1세 아이가 코로나19로 숨졌다.#
  • 26일,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서 대만은 역대 최저점인 57.4점을 기록, 지난달 대비 무려 19계단 폭락한 51위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썼다. 게다가 바로 밑 52위는 중국으로, 양안 두 세력이 쌍으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한때 방역 모범국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대만이지만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폭주하자 엔데믹(풍토병화) 대비에 소홀했던 그 말로는 처참하기 그지없었다. 반대로 한국은 역대 최고점인 79.1점으로 13계단 상승한 6위를 기록해, 한국과 대만 간 순위 격차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 27일, 신규 확진자는 9만4855명 누적 확진자는 총 173만5067명을 기록했으며 사망자는 126명이 추가로 발생하여 누적 총 178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특히 이날 발생한 하루 확진자 수는 대만에서 코로나가 유행한 이후 발생한 최대 규모의 하루 확진자 수였다. #
    • 5월 27일 까지 대만의 코로나 확진자 현황은 전날 감염자는 8만1907명, 25일 8만9389명, 24일 8만2363명, 23일 6만6283명, 22일 7만9441명, 21일 8만4639명, 20일 8만5761명, 19일 9만378명, 18일 8만5356명, 17일 6만5833명, 16일 6만1754명, 15일 6만8769명, 14일 6만4041명, 13일 6만5011명, 12일 6만6446명, 11일 5만7266명, 10일 5만828명, 9일 4만304명, 8일 4만4361명, 7일 4만6536명, 6일 3만6213명, 5일 3만106명, 4일 2만8487명, 3일 2만3139명, 2일 1만7858명, 1일 1만7085명, 4월30일 1만5149명, 29일 1만2313명, 28일 1만1517명 순이다. #

6.3.6. 6월

  •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의 코로나19 회복력 순위에서 대만은 또다시 역대 최저점인 54점을 기록, 중국에 역전당했다. 반대로 한국은 1위(80.9점)를 기록했다.#

6.3.7. 7월

  • 14일 대만 보험업계가 단기 이익에 눈이 멀어 섣부른 의사 결정을 내렸다가 된서리를 맞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 청정국’으로 불리던 시기에 정부 방역만 믿고 저가(低價)형 코로나 바이러스 보장 보험을 공격적으로 판매했는데, 올 들어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이다. 즉, 코로나 확진자 수가 치솟자 대만의 12개 보험사가 지난 2년간 판매한 1200만건에 달하는 ‘코로나 보장 보험’들이 시한폭탄으로 되돌아온 셈이다. 해당 보험들은 보통 30~50달러(약 3만9000~6만5000원) 정도를 한 차례 내면 1년 이내에 코로나에 걸릴 경우 적게는 340달러(약 44만4000원)에서 많게는 3400달러(약 444만원)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들이었다고 한다. 정부 방역만 믿었던 대만 보험사들, 쪽박차겠네

6.4. 2023년

  • 4월 17일, 대중교통 이용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었다.#


[1] 실질 환자 수(총확진자 - 완치자 - 사망자)의 변화에 따른 분석이다.[2] 대만 위생복리부 질병관리서 공식 사이트 에서 대만 시간으로 매일 오후 2시에 발표하며, 대만판 기준 한국 시간으로 오후 3시~3시 30분경에 게시글이 올라온다. 대만 야후 코로나19 실시간 상황 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3] 영어 위키백과와 대만 질본 보도자료 참고#[4] 후술되겠지만, 대만 국내에서는 자국의 검사에 대해 불신하는 여론이 많은 편이다. 물론 국내 상황이 정말 심각한데 검사의 부정확성과 적은 검사로 방역 성공국인 것처럼 대외에 포장하는 것은 중국, 북한과 같이 매우 폐쇄적인 국가가 아닌 이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2020년 대만의 방역 성공을 위장이라고 평가절하하는 것은 과도한 논리의 비약이다. 그러나 2021년 들어 방역망에 구멍이 생겼다는 징후가 분명히 있었음에도, 검사를 소극적으로 진행한 대만 당국의 행태는 2020년의 방역 성공으로 인한 자만심과 동시에 방역 성공국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한 욕망의 결과가 아니었나 하는 의심을 하기에 충분했다. 그렇기에 그러한 의심을 피력하는 의견이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합리적으로 보인다. 물론 계속해서 발생하는 통계오류가 이런 의심과 의견을 부채질할 가능성을 부인하기는 어렵다.[5] 이 주장의 허점은 대만이 결정적으로 방역에 있어서 실패 했다는 소리를 들은 건 사망자수 억제에 실패 했기 때문이라는 점을 간과했다는 것이다. 한국의 신천지발 첫 대유행은 물론이고 첫 유행부터 확진자 관리가 엉망이라고 욕 먹은 일본 조차 4개월만에 치사율 5%를 찍는 상황에 직면한 적은 없다. 50명도 안 되던 사망자가 4개월만에 800명을 넘겼는데, 방역 실패라는 비판이 나오지 않는 것이 그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일 것이다. 한국이 첫 유행 이후 대처로 해외 언론에서까지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것은 확진자 억제와 함께 사망자도 최소화 했기 때문이었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1차 대유행과 대만의 2차 대유행 때의 상황을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6] 한국: 70%[7] 특히 덴마크, 노르웨이 등의 국가는 AZ백신의 접종을 영구 중단했다. 그리고 체코, 리투아니아, 라트비아는 이 AZ 물량을 구입하겠다고 나섰다.[8] 대한민국도 6월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국가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조한 백신 접종률 때문에 5위에서 10위로 하락하긴 했지만, 한달 만에 29계단이나 폭락한 대만에 비할 바는 아니다.[9] 국내법으로 치면 남극영국등 7국가가 갈라먹고 있는 영토가 된다. 비슷한 예로 북한이 점거중인 지역은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이라는 반국가단체가 강탈한 지역이지만, 국제 사회에서는 북한을 외국으로 본다.[10] 대한민국코백스 퍼실리티에서 들어오는 물량 중 일부(총 50~200만명 분으로 추정)를 화이자 백신으로 할당받았다. 따라서 실제로는 1,800~1,950만명 분이 AZ백신 물량이다.[11] 계약 위반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코백스 퍼실리티의 특성 때문에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12] 백신 교차 접종에 대해서는 불안감을 표명하는 여론이 있음은 사실이지만,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13] 코백스 퍼실리티는 238만 명분 계약[14] 현재 미국은 직접 수출/공여가 막혀 백신 스왑, 코벡스 공여, 자국 군인 보호 명목, 자국 내에서 허가하지 않은 아스트라제네카 지원 등 우회적인 방식으로 백신을 지원 중이다.[15] 이리 된 이유는 임상 2a상 대상자를 3,700명으로 지나치게 높게 잡았기 때문이다. 대개 임상 2상의 경우에는 150~500명인 경우가 많으며, 많아봐야 1,000명 정도이다. 사실상 임상 3상을 임상 2a상으로 떼운 것으로 보이는데 이 선택은 위험한 선택이다.[16] 결국 그 백신후보물질은 사실상 실패하고 말았다. 그 백신후보물질의 중화항체 역가는 겨우 110[17] 일본의 경우 일일 확진자와 전체 확진자 모두 한국보다 많기에, 한국인들 입장에서는 일본이 방역 성공국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이 선뜻 동의하기 어렵지만, 다른 국가들의 확산세가 워낙에 심각하기에 일본 정도면 방역에 선방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18] 백신 개발에 필요한 것 중 하나는 대규모 확진자 발생이고, 그러려면 방역에 실패해야 한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각 국가들의 백신 신뢰도이다.# 12만에서 최대 15만까지 유럽 최다 사상자를 낸 영국은 역설적으로 백신이 코로나 19 극복에 준 이점을 체감했기에 무려 83%의 인원이 안전하다 여기고 있으며, 안티백서의 천국이라는 미국도 63%의 인원이 백신의 안전하다 여기고 있다. 반면 비교적 방역에 성공적이었던 대만, 한국, 홍콩은 30%대에 불과하다.[19] 참고로 한국의 경우 이르면 7월께 SK바이오사이언스의 백신 GBP510이 임상 3상에 진입할 예정이다. 셀리드의 백신은 9월쯤 얀센 백신과의 비교임상 3상으로 진행 계획이다.[20] 가령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매우 드문 희귀 혈전증은 초기 치사율이 20%가 넘었으나, 대응이 알려졌기 때문에 이제는 10%에 불과하다.[21] 그렇다고 해도 노바백스, 존슨앤존슨과 협상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치명적인 실수이다.[22] 친중 성향의 학교로 국민당원 양성을 전담한다.#[23] 총통 선거에 국민당 후보로 출마하겠다고 밝힌 인물임을 감안하면 사정을 감안해도 왜 하필 중국산 백신을 들여오려는지 그 저의를 어렴풋이 파악해 볼 수 있다.#[24] BNT162, 우리가 흔히 "화이자 백신"이라 부르는 그것이다.[25] 중국 회사를 에이전트로 하여 BNT162 백신 500만 도즈를 구입 및 대만 중앙정부 및 보건당국에 기증. 이후 중국 푸싱제약의 자회사와 가계약 체결을 했다.[26] 다른 문단에서 수없이 얘기하지만, 대만 정부는 방역모범국이라는 자만에 취해 자신들이 미승인국이라는 냉혹한 현실을 애써 외면하거나 망각했다. 그리고 다른 제약사들과의 백신 구매 협상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다가 결국 백신 부족이라는 현실을 맞이한 것이다.[27] 심지어 이스라엘전국민의 접종역학 정보를 실시간으로 화이자에 넘기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걸어 가면서까지 화이자 백신을 적극적으로 계약했고, 그 결과 다른 국가들에 비해 수월하게 백신을 조달할 수 있었다. 기업에 꼭 필요한 임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겠다는데 이를 마다할 회사가 어디 있겠나?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랬다가는 민감한 정보를 떠먹여준다는 매우 극도로 논란이 많은 사안이 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28] 한국도 초기에 물량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들었으나, 백신 물량 자체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대만과 비교할 수 없다. 그리고 한국도 결국 인구 수의 약 2배 정도에 해당하는 백신 물량을 확보했고, 그래서 부스터샷도 고려할 수 있다. 일본은 인구 수 이상의 백신 물량을 확보하긴 했으나, 부스터샷을 접종하기에는 약간 모자라다.[29] 이렇게 되면 반중 국가인 필리핀과 베트남, ANZAC도 위험해진다.[30] 여담이지만 군용기인 C-17 수송기를 타고 대만으로 향한 이들 대표단은 대만으로 향하기 전에 한국을 방문했다. 이들 대표단은 대한민국 오산 공군기지를 들려 C-17로 갈아타기 전에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면담을 한뒤, 김부겸 총리와 오찬을 가졌다. #조선일보[31] 미국은 한국에 100만 명 분량을 지원했고, 멕시코에도 130만 명 분량의 얀센 백신을 지원했다.[32] 네이버 뉴스를 필두로 민주당계 정당 정부에 대한 반감이 강한 보수 성향 커뮤니티들이 주를 이룬다.[33] 한국 언론이 자사의 주요 고객들의 입맛에 맞게 기사를 만들어내는 행태를 보이는 것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며, 코로나 기간에도 그러한 악명이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님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그 영향으로 여론조사에서 언론의 코로나19 관련 보도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국민들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34] 한국 언론의 자극성 기사는 백신 수급 시작 이후 더 심해졌는데, 백신이 타 국가에 비해 부족하다 정도면 될 것을 굳이 OECD 최하위라는 표현까지 하고 있다. 사실 OECD는 선진국 클럽이 절대 아니며 개발도상국도 많이 가입되어 있다. 그리고 자극적인 예시로 드는 나라들은 비용 및 수급 문제로 대부분 성능 자체가 의심되는 중국산 시노팜 접종이 주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저 나라들이 잘못한 것도 한국이 잘한 것도 아니지만 필요이상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행위일 뿐이다.[35] 아이진 컨소시엄; EG-COVID[36] 이는 대만 내에 mRNA 백신 제조 인프라가 매우 빈약한 것도 한몫한다.[37] 그 2상도 못한 자국산 백신 후보물질을 빼면 인구 수의 50%도 안된다.[38] 다만 아이슬란드가 인구 30만명이라는 점에서 합당한 비교가 가능한가라는 목소리도 있다.[39] 2021년 7월 12일 기준 1차 이상 접종률 88%, 한국은 1차 이상 접종률 30%대.[40] 여기에 대해서는 무작정 한국 정부를 탓하기는 어렵다. 자세한 내용은 사회적 거리두기/논란 및 문제점 문서를 참고.[41] 그 결과가 중국 푸싱제약에서 화이자 백신을 도입하는 굴욕을 겪은 것이다.[42] 반대로 아이슬란드는 적극적인 검사정책을 시행했다.[43] 이에 대해서는 국민당의 주장이 합리적이다. 대만은 확보한 코로나 백신 물량이 매우 부족하며, 개발 중인 자국산 코로나 백신이 실패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44] 인도네시아 2/3상, 2021년 하반기, 3만명(1만+2만)[45] vs 아스트라제네카의 AZD1222. 2021년 8월 10일 승인.[46] vs 얀센의 Ad26.COV2-S, 2021년 9월 예정.[47] vs 화이자/모더나의 BNT162 또는 mRNA-1273, 2021년 하반기 2b/3상 예정.[48] 백신 물량의 경우 한국은 인구 수의 약 2배, 대만은 2상도 완료하지 못한 그 백신 후보물질을 빼면 인구 수의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49] 최소한 백신 물량을 인구 수의 70% 분량을 확보했다면 다른 나라에게 크게 휘둘리지도 않았다. 그러나 부스터 샷까지 고려한다면 최소한 인구 수의 120-140%는 확보해야 한다.[50] 이론적으로 미국이 코백스를 통해 대만에 화이자 백신을 지원하거나 다른 나라가 화이자 백신을 공여할 경우 도입할 수는 있지만 가능성이 극히 드물며 직계약의 경우 중국 푸싱제약이 대만의 화이자 백신 유통권을 쥐어잡고 있어서 대만은 화이자 백신을 사실상 도입할 수 없다. 대만 정부는 오직 독일 바이오엔테크 본사를 통해서만 도입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이 계약의 존재 때문에 대만의 이러한 입장은 사실상 헛된 소망일 뿐이다.[51] 미국이 코백스를 통해 대만에 화이자 백신을 지원하거나 다른 나라가 화이자 백신을 대만에 공여할 확률도 극히 드물다.[52] 코백스 퍼실리티는 모든 국가한테 인구 대비 20%의 물량을 골고루 배분하고, 그 이후에 각 국가들이 추가 기부금을 낸 만큼 추가 백신 물량을 공급하는 방식이다.[53] 참고로 J-16과 J-11은 러시아의 Su-27Su-30과 비슷한 관계의 미들-하이급 전투기로, 이 경우 대만은 로우급인 징궈미라주 2000 혹은 하이급인 F-16으로 대항하는 선택지가 있다.[54] 판시함은 대만에서 자체 건조한 해군 함정 중 가장 큰 해군함으로, 1만톤급의 고속군수지원함이다. 현재 판시급 고속군수지원함은 단 1척이 건조되었다.[55] 위 그래프에서 2020년 4월 19일 즈음에 스파이크가 있는데 그게 판시함 집단감염이다.[56] 말이 찻집이지 실은 유흥주점이다.[57] 룸살롱, 카바레, 가라오케, 주점, 클럽, 볼링장, 당구장, 실내골프연습장, 전자오락장 등[58] 실제로 2021년 6월 현재 한국에서는 500~700명 대의 확진자가 매일 발생하고 있지만, 치료제 공급 등으로 병상회전율이 높아져 격리해제도 그만큼 되고 있는 상황이며, 고위험군 백신 접종 등으로 치명률이 낮아지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1.5/2단계로 유지해도 훨씬 여유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사망자도 다시 1명대로 줄어들어 한달 내 치사율도 0.5% 이하로 줄어들고 있다. 델타 변이로 인한 4차 대유행이 온 지금도 고위험군에 대한 접종은 거의 완료되어서 중증 환자, 사망자의 수를 대폭 줄였으며(3차 대유행 당시 중증치료병상이 부족해 비상이 걸렸었다.) 확진자 수 만큼은 아니지만 그 과반수 이상의 완치자가 계속 나오기 때문에 타 국가처럼 봉쇄, 통금 조치 없이 유지를 하고 있는 것 이다. 물론 풍선효과 및 방역 피로감으로 인한 저항으로 집단감염 우려가 있지만 타 국가 사례처럼 무작정 봉쇄를 해도 결국 구멍을 통해 방역이 뚫릴 수밖에 없다.[59]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에 해당한다.[60] 차라리 방역 조치를 더 강화하고 '우리는 코로나 19 대유행을 무조건 막아내야 합니다. 이번 방역 조치 강화로 코로나 유행의 불씨를 뿌리뽑겠습니다. 국민들은 방역 조치에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말했으면 상황은 180도 달라져 있었을 것이다.[61] 다른 대부분의 나라들은 항공승무원은 격리예외로 인정하지만 코로나19 완전 박멸이란 목표를 포기했기 때문이다. 대만은 해외유입을 통제해서 국내 감염을 제로로 유지하는 게 목표였던 만큼 항공승무원의 중요도가 차원이 다르다.[62] 반대로 아이슬란드는 방역 상황에 대한 자만이나 섣부른 방역 완화가 아닌 적절한 조치를 취했으며 이는 아이슬란드가 코로나 19 대유행을 막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63] 사실 진작에 3단계 격상을 했어야 했다.[64] 강력한 봉쇄령으로 지역사회 감염 극복에 성공한 호주의 경우, 지역사회 감염 제로를 기록하자 마스크 착용 의무화는 해제하였지만 감염 추적을 위한 qr코드 체크인과 개인 위생 준수 당부는 유지하였다.#[65] 한국에서도 14일 자가격리 후 확진되는 사례가 상당히 있었다. 14일의 자가격리 기간동안 3차례의 PCR 검사를 받는데도 제한적이나마 영국, 남아공 변이가 유입됐고, 점차 세를 넓혀가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14일 격리, 3회 pcr을 전부 거친 입국자가 사실 감염자여서 대규모 지역사회 유행이 촉발되었다. 호주 역시 초강력 봉쇄로 지역사회 감염을 막은 줄 일았으나 격리시설을 통해 바이러스가 재유입되었다.[66] 그래서 마스크를 쓰고 사회적 거리두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백신을 맞아야한다.[67] 임상 2상까지는 비교적 쉽게 성공하지만 3상에서 엎어지는 경우가 50%가 넘기 때문에 아직 갈길이 먼 상황이다. 당장 3번째 mRNA 백신으로 기대되었던 큐어백의 CVnCoV 백신이 3상에서 47%의 예방률을 기록하는 처참한 성적을 보이며 사실상 실패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게다가 큐어백도 항체양전율(형성율)은 매우 높았다. 대만에서 자체적으로 백신을 개발한 제약사가 2상에서 항체양전율이 높았다는 이유로 긴급승인신청을 했는데, 이 백신이 큐어백처럼 실패를 하지 않는다는 보장을 할 수가 없다. 최소한 비교임상 3상을 해서 기존 백신과 비교했을 때 항체역가 등의 효과가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야한다. 심지어 이제는 변이가 계속되면서 기존의 백신들도 점차 효과가 내려가는 추세인데 대만의 백신은 최초 코로나에 대한 백신일 가능성이 높아 설상가상인 상황이 되었다.[68] 역시 백신 접종이 늦은 편에 속하는 한국도 4월 19일 승무원 접종을 시행한 것과 비교하면 중요도를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늦었다 할 수 있다.[69] 우선순위대상자가 아니어도 접종할 수 있는 것으로, 접종비용은 자부담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일명 '노쇼 백신' 접종이라 볼 수 있다. 단, 우리나라는 노쇼 백신 접종 역시 무료다.[70] 한국에서 발표하는 의심신고 검사 수는 중복을 모두 제거한 수치이다. 즉 의심신고 검사수와 검사자 수는 같다. 여기서 임시선별검사 건수 등은 제외했다.[71] 참고로 일본이 2020년 중하반기까지 매우 비슷한 말을 했었다. 그 결과도 동일해서, 국내 검사에서 음성반응을 받은 출국자들이 해외에 나가선 양성반응을 받아 격리되거나, 확산으로 인해 문제점이 대두되기 전까지 코로나에 대단히 안전한 국가로 알려져왔다.[72] 반면 2020년 초 신천지발 코로나 사태를 맞이하여 사실상 중국 바로 다음으로 팬데믹을 경험하게 된 대한민국의 경우, 기존에 몇 천 건에 불과하던 검사 능력을 몇 일 만에 10만건 이상까지 늘려서 최대한 많은 감염자를 찾아내고자 노력하였다.[73] 애초에 고위험군에 대한 백신 접종이 완료되지 못하면 유행 감시 태세를 전부 해제하면 안된다. 이거는 대만 정부가 치명적인 잘못을 한 것이다.[74] 유럽 및 미국에서 한국산 신속검사키트가 사용허가된 이유도 지역사회감염 대확산으로 유행이 만연해 당시의 PCR 검사역량에 과부하가 걸려서 신속검사키트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75] 이렇게 되면 대만의 방역 체계가 수준 미달이라고 인증하는 꼴이다.[76] 경과관찰중검사, 격리해제검사, 취합검사, 지자체 일제검사, 신규 입원/입소 검사 등[77] 예: 시내버스/시외버스/KTX 등의 특정 편수[78] 얀센 백신을 접종받으러 괌에 갈 경우 약 200만원[79] NT$2,500(한화 약 10만원) 정도로 구매금액 제한을 거는 마트도 있다.[80] 참고로 한국에서도 신천지 집단감염을 전후로 일시적인 생필품 구입 증가가 있었지만 곧 안정되었다.[81] 참고치 - 한국: KF94급 마스크 재고 2020년 10월 기준 약 7억 6천만장.[82] 당연히 이거는 핀란드가 잘한 행동이다. 자국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다른 국가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범유행을 억제하려고 했기 때문이다.[83] 이런 현상은 한국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많이 일어난 현상이다. 다만 다른 나라들은 이런 실종자 몇 명은 신경쓸 필요도 없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됐고, 한국은 적극적인 행정력 개입과 생계 보장(4인가족 기준 2주 격리시 130만원 가량을 지급했다. 1인가구더라도 40~50여만원을 지급했다. 물론 이와 별개로 긴급 구호 식료품 등도 지자체에서 지원했다.)을 통해 극복했다.[84] 참고로 그는 라이온스클럽 집단 감염 때 사람과 사람 사이에 연결이 있었다고 말해서 웃음을 줬다. 왜냐면 그의 말은 곧 검열삭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85] 참고치: 한국의 경우 현재 생활치료센터 6,820병상, 감염병전담병원 8,527병상, 준중환자병상 426병상, 중환자병상 782병상이다. 모든 감염병전담병원 및 중환자병상은 음압처리되어 있다. 추가동원에 나설 경우 즉각 두 배 이상 수용병상을 늘릴 수 있다.#[86] 이 단계까지는 모든 환자가 독실에 격리된다.[87] 입퇴원을 고려하면 대만이 200명대 확진자를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총 치료중 환자가 그 언저리에서 유지될 것이다. 무증상, 경증자가 대부분이고 무증상/경증은 10일~2주면 퇴원시킬 수 있기 때문. 단, 하루 확진자가 400~500, 800~1000 또는 그 이상으로 폭증한다면, 못 버틸 가능성이 높다.[88] 생활치료센터를 가장 먼저 도입한 한국은 대구 유행에서 지역의료가 붕괴 직전까지 간 것을 교훈삼아 환자 spike가 발생하면 즉각 대규모로 센터를 동원하고, 평시에도 일정규모 이상 센터를 유지한다.[89] 한국으로 치면 "서울대병원/국립중앙의료원이 확진자를 감당하기 어렵다"라는 뜻이다.[90] 이것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임을 증명해야 가능한 것이다.[91] 거리두기를 거듭하고 방역수칙을 강화할수록 국민들의 피로도는 높아진다. 현재 한국이 4차 대유행에서 방역에 애를 먹는 이유도 거리두기로 인한 국민들의 피로감이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으로 보면 대만은 3급 방역대책을 네 차례 연장하자 벌써부터 불만이 나왔는데,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에서 이 정도인 대한민국이 이례적인 것이다. 즉, 혹시 모를 장기화되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피로내성 차이가 있는 것.[92] 다만 이는 방역에 있어서 그렇다는 것이지 일반 시민들은 공황에 빠졌다.[93] 하지만 대만은 21년 6월 말 까지도, 한국에서는 작년 초에 진작에 효과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져 중단한 길거리 소독제 분사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다른 국가의 방역을 참고할 생각을 하지 않은 게 아닌지 의심이 드는 상황이다.[94] 실제로 AZD1222, BNT162, Ad26.COV2-S는 실제 예방 효과가 증명되었다.[95] 물론 한국 정부가 섣불리 방역 완화를 시도했다가 4차 대유행이 닥쳤다는 비판도 있지만, 4차 웨이브 자체는 전세계적인 델타 변이의 유행 때문에 언젠가는 닥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다만 그 시기가 언제냐의 문제였을 뿐이다.[96] 그러나 백신을 좀 더 빨리, 그리고 더 많이 도입했으면 그나마 나았을 것이다.. 그리고 3차 대유행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2~2.5단계를 계속 적용해서 신규 확진자를 200~350명 수준으로 줄였으면 4차 웨이브가 와도 일일 신규 확진자가 1500~1650명대가 아닌 750~950명으로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문제는 그럴 경우 또 자영업자들의 반발이 거세진다는 것으로, 참으로 딜레마가 아닐 수가 없다. 자영업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이 최대한 짧은 것을 원한다. 왜냐면 생계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유행 규모가 더 커지면 그것도 문제가 된다.[97] 4차 대유행 시기를 4월에서 7월 초로 늦추면서 그 사이에 고위험군 백신 접종을 1차 이상 할 수 있었다.[98] 한국의 경우 오미크론을 잡는 데 실패한 후 요양병원 등 노약자들의 피해가 엄청나게 컸기 때문에 선택적인 엔데믹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한국은 초창기의 방역과 중후반기의 백신 접종과 높은 부스터샷 접종률에 힘입어 주요국 중에서 치사율을 독감 수준으로 떨어트려 엔데믹 진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었다.[99] 한화 약 4,300원[100] 어느 정도냐면 마스크 물량부족으로 인해 대만의 한 마스크 제조공장 인근에 마스크를 직접 구입하기 위한 사람들이 장사진을 이루었을 정도다.[101] The CECC reported that cluster infections in South Korea continued to rise and local coronavirus cases were on an upward trend. Furthermore, the status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country has not met the criteria for the CECC's medium-risk category for over two weeks. Therefore, South Korea is removed from the CECC's list of medium-risk countries/regions, effective immediately.[102] 몇 년 전 우리나라가 2015년 메르스 유행 시기에 집단감염이 발생한 병원 이름을 공개하지 않아서 비판을 받은 것과 비슷하다.[103] 코백스 퍼실리티 476만 도즈,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 도즈, 모더나 500만 도즈[104] 이미 한국, 일본, 캐나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들이 참여하고 있다.[105] 대만보다 백신 개발이 좀 더 빠른 한국의 경우, 김강립 식약처장에 따르면 백신 개발 속도가 빠른 기업들이 7월에 임상3상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106] 17일 데이터에 따르면 17일 의심신고 15,603명, 확진 335명, 결과 음성 8,306명이다. 따라서 아직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검사 중) 사람 수는 6,962명으로 확진율은 335÷(15603-6962)×100=3.81%이다.[107] 블룸버그 통신의 포스트 코로나 회복력 순위는 코로나 방역 성공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다. 하지만 이전 조사와 비교해 순위가 1,2계단도 아니고 10계단이나 곤두박질 쳤다는 점에서 최근 대만의 코로나 방역에 큰 문제가 있다는 걸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자료라고 볼 수 있다.[108] 이것으로 통계오류 개정이 5번째다. 심지어 새로 산입되는 숫자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109] 그러나 독일 바이오엔테크는 전술했듯이 중국 푸싱제약과 백신개발비를 받는 대신 중화권에 대한 BNT162 백신 유통권 전권을 넘기는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구입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110] 한국은 현재 약 1억명 분의 백신을 확보한 상황이다.[111] 대한민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응하는 대만의 정부부처.[112] 한국도 비슷한 실수를 했지만 주권국가고 이미 유럽과 미국이 백신접종을 본격적으로 하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라도 어느 정도 가져올 수 있었다는 것과, 아예 아무것도 안하던 대만과 달리 마스크 착용 등 그나마 방역수칙이 어느 정도는 지켜진 게 그나마 치명타를 피했다.[113] 한국은 이후 3~6월에 화이자 백신 350만명분도 가져왔으며 4차 대유행 이전에 고위험군에게 코로나 백신을 1차 접종 이상을 시행해 4차 대유행 때 치명률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114] 한국의 질병관리청에 대응하는 대만의 방역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 정부부처. 대만 위생복리부 위생관리서에 대응한다.[115] 만약에 백신 불신 현상이 계속 지속될 경우 백신 인센티브, 중증 이상반응, 사망 발생 시 과감하게 인과성이 있든 없이 무조건 보상해서라도 백신 접종률을 끌어 올려야한다.[116] 대만 내 코로나 확산이 시작된 이후 재차 투입된 대만군은 이렇게 소독제를 분무하는 것 말고도 길거리에 제독차량을 투입해 소독제를 살포하는 중인데 이러한 방역은 보여주는 효과는 확실히 있을지 모르지만 실효성은 전혀 없어 한국에서는 2020년 3월말을 기점으로 중단한 상태다.[117] 10월 이후에 들어오는 것으로 결정했다.[118] 1차 접종률에 비해서 유독 접종 완료율이 낮은 건 대만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백신이 AZD1222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AZD1222는 1,2차의 접종 권장 간격이 12주 정도라 상당히 긴 편이다.[119] 애초에 차이잉원 정부는 백신 확보에 적극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국민당의 공격에 반박할 자격이 전혀 없는 상황이다.[120] 2분기에 모더나 백신이 들어오기는 했지만, 그 물량이 매우 적다.[121] 물론 기술이전이 적용된 노바백스 백신으로도 부스터샷을 시행할 수 있다. 노바백스 백신은 이전부터 오랫동안 사용되는 방식인 재조합백신이기 때문이다. 다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산시키고 더 많은 물량을 더 빨리 들여오게 하기 위해서 2022년에 mRNA 백신을 추가 구입하기로 했다.[122] 초기에 한국, 일본, 미국, 영국 등 다른 선진국들이 계약을 맺었을 때는 1도즈당 15~20불이었다. 당시에는 생산능력이 지금처럼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123] 푸싱제약은 중국 내 생산권 및 중화권에 대한 독점 공급권을 확보하는 대가로 바이오엔테크에 약 1억 3,500만 달러를 지급했다. 그리고 이번에 대만에 백신을 비싸게 팔아서 바이오엔테크에 지급한 돈을 한번에 전부 회수할 수 있게 된 것이다.[124] 대만이 얀센, 노바백스 백신을 계약했다면 이런 일은 없었다.[125] 1번째 단락이 그 내용이다.[126] 1번째 단락이 그 내용이다.[127] 한 달 뒤 이 예상은 반대로 실현되었다. 대만이 아닌 대한민국에서 확진자가 폭증했는데, 문제는 그 반대로 대만이 점수가 더 많이 잘려나가 오히려 순위가 더 폭락하는 괴이한 사태가 발생했다.[128] 블룸버그에 따르면, MVP의 요건은 분석 대상인 53개국 중 26위 밖으로 순위가 떨어진 적이 없는 것이다.[129] 4일차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외출 가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