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The Wall(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e Wall(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e Wall(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The Wall(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e Wall(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e Wall(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0;border-radius:5px" {{{-2 {{{#!folding [ 데뷔 이전 멤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18%" {{{#ffffff,#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 ||||
1967 | 1968 | 1969 | 1969 | 1970 | |
1971 | 1972 | 1973 | 1975 | 1977 | |
1979 | 1983 | 1987 | 1994 | 2014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Compilations ]
{{{#!folding [ EPs ]
{{{#!folding [ Non-album Singles ]
{{{#!folding [ 관련 문서 ]
}}} ||핑크 플로이드의 역대 스튜디오 앨범 | ||||||||||||||||||||||||||||||||||||||||||||||||||||||||||||||||||||||||||||||||||||||||||||||||||||||||||||||||||||||||||||||||||||||||||||||||||||||||||||||||||||||||||||||||||||||||||||||||||||||||||||||||||||||||||||||||||||||||||||||||||||||||||||||||||||||||||||||||||||||||||||||||||||||||||||||||||||||||||||||||||||||||||||||||||||||||||||||||||||||||||||||||||||||||||||||||||||||||||||||||||||||||||||||||||||||||||||||||||||||||||||||||||||||||||||||||||||||||||||||||||||||||||||||||||||||||||||||||||||||||||||||||||||||||||||||||||||||||||||||||||||||||||||||||||||||||||||||||||||||||||||||||||||||||||
1977년 1월 23일 10집 Animals | → | 1979년 11월 30일 11집 The Wall | → | 1983년 3월 21일 12집 The Final Cut | ||||||||||||||||||||||||||||||||||||||||||||||||||||||||||||||||||||||||||||||||||||||||||||||||||||||||||||||||||||||||||||||||||||||||||||||||||||||||||||||||||||||||||||||||||||||||||||||||||||||||||||||||||||||||||||||||||||||||||||||||||||||||||||||||||||||||||||||||||||||||||||||||||||||||||||||||||||||||||||||||||||||||||||||||||||||||||||||||||||||||||||||||||||||||||||||||||||||||||||||||||||||||||||||||||||||||||||||||||||||||||||||||||||||||||||||||||||||||||||||||||||||||||||||||||||||||||||||||||||||||||||||||||||||||||||||||||||||||||||||||||||||||||||||||||||||||||||||||||||||||||||||||||||||
수상 내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빌보드 앨범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 92위 |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앨범 (1980~1999)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rowcolor=#fff>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The Wall | Hi Infidelity | Asia | Thriller | ||
핑크 플로이드 | REO 스피드왜건 | 아시아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Born in the U.S.A. | Whitney Houston | Slippery When Wet | Faith | Don't Be Cruel |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휘트니 휴스턴 | 본 조비 | 조지 마이클 | 바비 브라운 | |
<rowcolor=#fff>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Rhythm Nation 1814 | Mariah Carey | Ropin' the Wind | The Bodyguard OST | The Sign | |
자넷 잭슨 | 머라이어 캐리 | 가스 브룩스 | 휘트니 휴스턴 & VA | 에이스 오브 베이스 | |
<rowcolor=#fff>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Cracked Rear View | Jagged Little Pill | Spice | Titanic OST | Millennium | |
후티 & 더 블로피쉬 | 앨라니스 모리셋 | 스파이스 걸스 | 제임스 호너 | 백스트리트 보이즈 | |
'''' ← '''' → '''' | }}}}}}}}} |
[include(틀:빌보드 200 1위 음반,
전번_앨범=Bee Gees Greatest,
전번_아티스트=비 지스,
이번_앨범=The Wall,
이번_아티스트=핑크 플로이드,
이번_1위_기간=15주연속,
후번_앨범=Against the World,
후번_아티스트=밥 시거,
)]
}}} ||
The Wall | |
| |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발매 | 1979년 11월 30일 |
녹음 | 1978년 12월 ~ 1979년 11월 |
장르 | 록 오페라,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
재생 시간 | 81:03 |
곡 수 | 26곡 |
프로듀서 | 밥 에즈린, 데이비드 길모어, 제임스 거스리, 로저 워터스 |
스튜디오 | 브리티니아 로우 스튜디오 슈퍼 베어 스튜디오 미라발 스튜디오 CBS 30번가 스튜디오 프로듀서 워크숍 체로키 스튜디오 |
레이블 | 하베스트 레코드 컬럼비아 레코드 |
1. 개요2. 상세3. 앨범 커버4. 평가5. 트랙 리스트
5.1. Side A
6. 참여진7. 여담5.1.1. In the Flesh?5.1.2. The Thin Ice5.1.3.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1)5.1.4. The Happiest Days of Our Lives5.1.5.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5.1.6. Mother
5.2. Side B5.2.1. Goodbye Blue Sky5.2.2. Empty Spaces5.2.3. Young Lust5.2.4. One of My Turns5.2.5. Don't Leave Me Now5.2.6.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3)5.2.7. Goodbye Cruel World
5.3. Side C5.3.1. Hey You5.3.2. Is There Anybody Out There?5.3.3. Nobody Home5.3.4. Vera5.3.5. Bring the Boys Back Home5.3.6. Comfortably Numb
5.4. Side D5.4.1. The Show Must Go On5.4.2. In the Flesh5.4.3. Run Like Hell5.4.4. Waiting for the Worms5.4.5. Stop5.4.6. The Trial5.4.7. Outside the Wall
5.5. 번외1. 개요
핑크 플로이드의 11번째 스튜디오 앨범.2. 상세
'핑크 핑커튼(Pink Pinkerton)'이라는 가상의 가수의 주인공으로 하여 전개되는 록 오페라로, '벽'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대인들의 소통의 부재와 단절, 그로 인한 고립감을 표현했다.Ummagumma에 이은 핑크 플로이드의 두 번째 더블 앨범이다.[1] 영국 차트에서 3위,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15주 동안 1위를 차지하였으며, 약 3,000만장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렸다.[2]
로저 워터스가 혼자서 거의 전부 설계하고 제작한 앨범이다. 그제껏 밴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던 리처드 라이트가 거의 참여하지 않았는데, 워터스와의 프로듀서권을 두고 불화가 일어나면서 워터스가 그를 사실상 해고했기 때문이다.[3]
워터스가 거의 혼자 제작한 앨범이기는 하나, 이 앨범의 하이라이트는 데이비드 길모어와 함께한 Comfortably Numb이다. 이 곡의 기타 솔로는 대중음악사에 있어 가장 위대한 기타 솔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앨범의 또 다른 숨은 공신으로는 프로듀서 밥 에즈린을 꼽을 수 있다. 에즈린은 워터스의 구상을 핑크라는 3인칭 인물으로 구체화했으며, Nobody Home, Stop 등에서 리처드 라이트 대신 피아노를 연주했고, The Trial을 워터스와 함께 작곡했다.[4]
3. 앨범 커버
| | |
<rowcolor=#000000,#000000> 투명 스티커를 제거하지 않은 LP 커버 | 1984년 CD 커버[5] | 2011년 리마스터 커버 |
|
영국 초판 LP 내부 커버 |
1집을 제외한 핑크 플로이드의 모든 앨범은 항상 힙노시스가 커버를 담당했지만, 이 시기 워터스와 힙노시스의 스톰 소거슨의 사이가 틀어지면서, 대신 워터스와 이전부터 친분이 생겼던 스카프에게 커버 제작을 맡긴 것이다.
앨범 커버에 필기체로 쓰인 'Pink Floyd The Wall'은 투명 스티커에 그려진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8] 이는 발전하여 핑크 플로이드의 로고라고 하더라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여러 곳에서 쓰이고 있다.[9]
4. 평가
|
★★★ |
|
★★★★☆ |
|
3.83 / 5.00 |
|
|
|
음반 평점 |
4.9 / 5.0 |
록 오페라를 상징하는 앨범이자 역사상 가장 중요한 콘셉트 앨범 중 하나이다. 1980년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반드시 언급되며,[10] 특히 핑크 플로이드는 물론이요 록 음악 역사상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인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가 수록된 앨범이기도 하다. 이 노래는 핑크 플로이드의 곡 중 유일하게 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올랐다.[11]
해당 앨범은 The Dark Side of the Moon처럼 시대상을 능가하는 새로운 사운드 체계를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앨범이 하나의 영화와 같은 스토리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써 기능하는 사례를 가장 극단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특정한 스토리에 따라 적합한 멜로디가 치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따른 가사와 사운드 구조 역시 높은 응집도를 보여준다. 로저 워터스의 엄청난 음악 연출력을 보여준 앨범으로, 사실상 본 앨범으로부터 스토리텔링 앨범의 전형이 완성되었다고 평가받는다.[12]
5.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5px-10px;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ffffff><tablebgcolor=#ffffff,#ffffff> | }}} | |
{{{#!wiki style="margin:0-10px-5px" {{{#!folding [ Disc 1 ] {{{#!wiki style="margin:-6px-1px-11px" | <rowcolor=#000000,#000000> # | 곡명 | 길이 |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Side A | |||
1 | In the Flesh? | 3:16 | |
2 | The Thin Ice | 2:27 | |
3 |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1) | 3:11 | |
4 | The Happiest Days of Our Lives | 1:46 | |
5 |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 3:59 | |
6 | Mother | 5:32 | |
Side B | |||
7 | Goodbye Blue Sky | 2:45 | |
8 | Empty Spaces | 2:10 | |
9 | Young Lust | 3:25 | |
10 | One of My Turns | 3:41 | |
11 | Don't Leave Me Now | 4:08 | |
12 |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3) | 1:18 | |
13 | Goodbye Cruel World | 1:16 | |
총 재생 시간 - 38:54 |
{{{#!wiki style="margin:0-10px-5px" {{{#!folding [ Disc 2 ] {{{#!wiki style="margin:-6px-1px-11px" | <rowcolor=#000000,#000000> # | 곡명 | 길이 |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Side C | |||
14 | Hey You | 4:40 | |
15 | Is There Anybody Out There? | 2:44 | |
16 | Nobody Home | 3:26 | |
17 | Vera | 1:35 | |
18 | Bring the Boys Back Home | 1:21 | |
19 | Comfortably Numb | 6:23 | |
Side D | |||
20 | The Show Must Go On | 1:36 | |
21 | In the Flesh | 4:15 | |
22 | Run Like Hell | 4:20 | |
23 | Waiting for the Worms | 4:04 | |
24 | Stop | 0:30 | |
25 | The Trial | 5:13 | |
26 | Outside the Wall | 1:41 | |
총 재생 시간 - 41:48 |
{{{#!wiki style="margin:0-10px-5px" {{{#!folding [ Related Tracks ] {{{#!wiki style="margin:-6px-1px-11px" | <rowcolor=#000000,#000000> # | 곡명 | 길이 |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1 | When the Tigers Broke Free | 3:16 | |
2 | What Shall We Do Now? | 3:19 | |
3 | The Last Few Bricks | 3:26 |
5.1. Side A
5.1.1. In the Flesh?
If you wanna find out what's behind these cold eyes
5.1.2. The Thin Ice
With your fear flowing out behind you
5.1.3.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1)
Daddy, what else did you leave for me?
5.1.4. The Happiest Days of Our Lives
When we grew up and went to school
5.1.5.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
We don't need no education
5.1.6. Mother
Ooh baby
5.2. Side B
5.2.1. Goodbye Blue Sky
The flames are all long gone, but the pain lingers on
5.2.2. Empty Spaces
What shall we use to fill the empty spaces
5.2.3. Young Lust
Where are all the good times?
5.2.4. One of My Turns
Day after day, the love turns gray
5.2.5. Don't Leave Me Now
I need you babe
5.2.6.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3)
I have seen the writing on the wall
5.2.7. Goodbye Cruel World
Goodbye, cruel world
5.3. Side C
5.3.1. Hey You
The wall was too high, as you can see
5.3.2. Is There Anybody Out There?
Ah, is there anybody out there?
5.3.3. Nobody Home
When I pick up the phone
5.3.4. Vera
What has become of you?
5.3.5. Bring the Boys Back Home
Bring the boys back home
5.3.6. Comfortably Numb
There is no pain, you are receding
5.4. Side D
5.4.1. The Show Must Go On
Ooh ma, ooh pa
5.4.2. In the Flesh
I've got some bad news for you sunshine
5.4.3. Run Like Hell
With your nerves in tatters as the cockleshell shatters
5.4.4. Waiting for the Worms
Would you like to send our coloured cousins home again,
5.4.5. Stop
But I'm waiting in this cell, because I have to know
5.4.6. The Trial
Showing feelings of an almost human nature
5.4.7. Outside the Wall
after all it's not easy
5.5. 번외
5.5.1. 핑크 플로이드의 곡
5.5.1.1. When the Tigers Broke Free
It was dark all around
5.5.1.2. What Shall We Do Now?
What shall we use to fill the empty spaces
5.5.1.3. The Last Few Bricks
{{{#!wiki style="float: right; margin-right: .5em; margin-top: 1.2em; font-size: .6em"
5.5.2. 기타
5.5.2.1. The Little Boy that Santa Claus Forgot
핑크 플로이드가 아닌 위에서 언급된 Vera Lynn[13]의 노래지만, 영화 핑크 플로이드의 벽에 등장하기에 서술한다.
영화가 처음 시작할 때 흘러나오는 노래이다. 크리스마스날 다른 아이들은 선물을 받고 기뻐하지만, 아버지가 없는 한 남자아이(핑크)는 선물을 받지 못해 슬퍼한다고 노래하고 있다.
6. 참여진
- 로저 워터스 - 보컬,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기타, EMS VCS3 신디사이저, 일렉트릭 기타[14]
- 데이비드 길모어 - 일렉트릭 기타, 보컬, 어쿠스틱 기타
- 닉 메이슨 - 드럼[15]
- 리처드 라이트 - Sequential Prophet 5 신디사이저, 하몬드 오르간[16], 피아노[17],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 밥 에즈린 - 피아노, 리드 오르간, 하몬드 오르간, 신디사이저.
- 프레드 멘델[18] - In The Flesh, In the Flesh?에서 하몬드 오르간
- 제임스 거스리 - 타악기, 음향효과, 신디사이저
- 제프 포카로 - Mother에서 드럼
- 조 포카로 - Bring the Boys Back Home에서 스네어 드럼.
- 리 릿나워 - One of My Turns, Comfortably Numb에서 세컨드 기타.
- 조 디블라시 - Is There Anybody Out There?에서 클래식 기타
- 브루스 존스턴 - 백킹 보컬
- 바비 홀 - Run Like Hell에서 퍼쿠션
- 토니 테닐 - 백킹 보컬
- 조 체메이 - 백킹 보컬
- 존 조이스 - 백킹 보컬
- 스탠 파버 - 백킹 보컬
- 짐 하스 - 백킹 보컬
- 이즐링턴 그린 학교 학생들 -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2)에서 합창
- 마이클 케이멘 - 오케스트라 편곡
- 클레어 토리, 비키 브라운 - The Trial에서 코러스
-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
- 뉴욕 시티 합창단
- 프랭크 마로코 - Outside the Wall에서 콘서티나
- 래리 윌리엄스 - Outside the Wall에서 클라리넷
- 트레버 베이치 - Outside the Wall에서 만돌린
- 해리 워터스[19] - Goodbye Blue Sky에서 어린이 목소리
- 트루디 영 - One of My Turns에서 그루피 목소리
- 크리스 피츠모리스 - 남자 전화 목소리
7. 여담
- 드림 시어터의 키보디스트 조던 루데스가 이 앨범의 작업에 참여했다. 친구 중에 '블루 오션(Blue Ocean)'이라는 예명의 스튜디오 연주자 친구가 Bring the Boys Back Home에 등장하는 마칭 밴드 사운드 녹음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루데스가 초청받았다고 한다. 허나 최종적으로 루데스의 녹음본은 쓰이지 않았다. 루데스 본인도 이에 대해 '밥(프로듀서 밥 에즈린)의 선택이 옳았어요. 제 드럼 실력은 엉망이었거든요.'라고 말했다. 그러나 동시에 '제 마음 속 한켠에는 The Wall에 내 연주가 들어갔더라면, 하는 소망이 여전히 있어요. 진짜 멋있었을 텐데 말이예요.'라며 내심 아쉬워하는 듯한 소감도 내비쳤다. #
- 라디오헤드가 OK Computer를 제작할 때 영향을 많이 받은 앨범이다. The Wall에 사용된 장비를 모두 구해서 앨범 제작에 사용했다고 한다.
- 한국에서는 너무 염세적이고 사회성이 강하다는 이유로 1980년대 후반까지 수록곡 전체가 금지곡이었고, 따라서 앨범이 정식 라이센스로 발매될 수 없었다. 다만 '빽판'으로 불리던 해적판은 시중에 흔히 돌아다녔기 때문에 구해 듣는 것 자체는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1] 다만 Ummagumma는 라이브 앨범 + 스튜디오 앨범의 형식으로 발매되었기에 더블 앨범으로 여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2] 약 4,500만장이 팔린 The Dark Side of the Moon에 이어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중 두 번째로 많이 팔렸다.[3] 이후 라이트는 투어까지 함께하다가 다음 앨범 The Final Cut에서 완전히 빠졌고, 이후 워터스가 탈퇴하면서 재가입하게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핑크 플로이드/역사 항목 참조.[4] 하지만 투어를 시작하는 시점에 에즈린이 투어 관련 기밀사항을 위반하며 워터스와의 사이가 틀어졌고, 이후 에즈린은 모든 핑크 플로이드 공연에 출입금지를 당했다.[5] 아예 글자가 포함된 형태로 인쇄되었다.[6] 영국의 배우이자 폴 매카트니의 연인이었던 제인 애셔와 결혼했다.[7] 영화의 몇몇 소품 또한 그의 작품이다.[8] 다만 이는 초판을 기준으로 그렇지 않은 앨범도 많다.[9] 나중에는 아예 공식에서 Hey Hey Rise Up 앨범 커버에도 쓰였다.[10] 1979년 말에 발매되었으므로, 더 클래시의 London Calling처럼 1970년대가 아닌 1980년대 앨범으로 취급받는다.[11] 다른 나라의 싱글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에서는 2위.[12] 힙합 역사상 가장 중요한 앨범 중 하나인 good kid, m.A.A.d city의 원조격이라고 보아도 될 정도이다.[13] 전설적인 영국 트래디셔널 팝 가수로, 영국의 국민 가수로 꼽힌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큰 인기를 끌었으며 We Will Meet Again이라는 전시 선전가로 유명하다.[14] Another Brick in the Wall (Part 3).[15] Mother 제외.[16] In The Flesh, In the Flesh?, Mother 제외.[17] The Thin Ice, Don't Leave Me Now.[18] 이후 퀸의 Hot Space 투어에서 세션 키보드를 맡았다.[19] 로저 워터스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