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 202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75를 선정했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스티비 원더 | 아레사 프랭클린 | 마이클 잭슨 | 비욘세 | 휘트니 휴스턴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제임스 브라운 | 프린스 | 머라이어 캐리 | 알 켈리 | 마빈 게이 | |
*11위부터 링크 참조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2011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Top 50' 순위를 정했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아레사 프랭클린 | 마이클 잭슨 | 스티비 원더 | 마빈 게이 | 프린스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휘트니 휴스턴 | 루서 밴드로스 | 커티스 메이필드 | 아이즐리 브라더스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다이애나 로스 | 머라이어 캐리 | 비욘세 | 제임스 브라운 | 샘 쿡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퀸시 존스 | 글래디스 나이트 | 샤카 칸 | 패티 라벨 | R. 켈리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라이오넬 리치 | 맥스웰 | 로린 힐 | 갬블 앤 허프 | 레이 찰스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어셔 | 디안젤로 | 디안젤로 | 질 스콧 | 알리야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팀발랜드 | 애쉬포드 앤 심슨 | 자넷 잭슨 | 샤데이 | 프랭키 비벌리 앤 메이즈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앨리샤 키스 | 티나 마리 | 도니 해서웨이 | 뉴 에디션 | 에타 제임스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아니타 베이커 | 에리카 바두 | 테디 펜더그래스 | TLC | 리한나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어스 윈드 앤 파이어 | 토니 브랙스턴 | 보이즈 투 멘 | 배리 화이트 | 베이비페이스 | |
출처 | }}}}}}}}} |
<colbgcolor=#fff,#fff><colcolor=#000,#000> 디안젤로 D'Angelo | |
| |
본명 | 마이클 유진 아처 Michael Eugene Archer |
출생 | 1974년 2월 11일 |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먼드 | |
사망 | 2025년 10월 14일 (향년 51세)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
국적 |
|
직업 |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프로듀서 |
장르 | 네오 소울, 펑크, 힙합 소울, R&B, 프로그레시브 소울 |
악기 | 보컬, 기타, 건반 악기, 피아노 |
데뷔 | 1995년, 정규 앨범 'Brown Sugar' |
활동 | 1991년 ~ 2025년 |
자녀 | 3명 |
링크 | , 크기=22)] |
1. 개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음악 프로듀서.2. 커리어
디안젤로는 1990년대 초 버지니아주 리치몬드 출신들로 모인 음악 그룹 Michael Archer and Precise를 결성한다. 이들은 1991년 뉴욕 할렘에 있는 Apollo Theater에서 열린 음악 경연대회에 참가하며 주목을 받는다. 마이클은 18세 때 학교를 자퇴하고 그룹과 함께 뉴욕으로 이사를 간다. 음악 커리어를 키우기 위해서였다. 그룹은 소울 커버곡과 자신들이 만든 오리지널을 적당히 분배하여 레파토리를 짰다. 디안젤로는 틈틈히 작곡을 해서 기술을 익혀 나갔다.1991년 그의 데모 테이프가 EMI의 눈에 띄어 계약하게 된다. 이후 1994년 RnB 그룹 Black Men United와 함께 작곡한 U Will Know가 빌보드 핫 100에서 28위를 기록하며 괜찮은 성적을 거둔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참여진을 자랑한다. 브라이언 맥나이트, 어셔, 알 켈리, Boyz II Men 등. 디안젤로의 형제 중 Luther Archer는 이 곡의 가사 작업으로 참여했다.
1995년 7월 Brown Sugar로 정식 데뷔한다.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최고 22위를 기록하여 꽤나 히트했다. 또한 앨범의 수록 싱글 Lady가 빌보드 핫 100에서 10위를 차지하여 매우 좋은 성적을 기록한다. 결과적으로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플래티넘 인증[1]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앨범 투어 이후 에리카 바두, 로린 힐과 같은 네오 소울 거장들과 간간이 협업하며 다음 앨범의 발매까지 조용히 지냈다. 나중에 디안젤로는 이 기간을 창작 슬럼프였었다고 회고했다. 이 기간에 그는 마빈 게이와 Tammi Terrell의 듀엣송 Your Precious Love을 에리카 바두와 함께 커버한다. 이 노래는 High School High라는 1996년의 영화에서 사운드 트랙으로 쓰인다. 그는 또한 프린스의 노래 She's Always in My Hair를 커버하고 이 노래는 영화 스크림2(1997)의 사운드 트랙으로 쓰였다.
2000년 두 번째 앨범 Voodoo를 발매한다.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1위로 데뷔하여 전작보다도 성공적인 기록을 거둔다. 비평적으로도 전작을 능가하는데, 네오 소울 장르의 클래식으로 불리며 제 4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R&B 앨범 상을 타고 피치포크는 이 앨범에 무려 만점을 주었다.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481위에 등재되었으며 2020년에는 무려 28위로 순위가 올랐다.
하지만 Voodoo 활동 이후 자신이 섹스 심벌로 소비되는 것[2]에 대해 큰 회의감을 느낀 디안젤로는 대중의 눈을 피해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후로 절친의 자살로 알콜 중독을 겪고 마약에도 손을 댔으며, 2005년에는 마리화나, 불법 무기 소지와 음주 운전으로 체포 당했다. 이때 큰 사고가 나 죽을 뻔하기까지 했다. 이후 쭉 소식을 보이지 않다 2012년 스웨덴을 시작으로 투어를 돈다.
2014년 12월 갑작스럽게 세 번째 앨범 Black Messiah를 발매했다. 14년만의 앨범인만큼 팬들은 엄청나게 열광했고 비평가들도 마찬가지였다. 이 앨범은 메타크리틱에서 95점을 기록하고 제 58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다시 한 번 최우수 R&B 앨범상을 타간다.
2019년 비디오 게임 레드 데드 리뎀션 2 사운드트랙에 Unshaken이라는 곡으로 참여했다.
2024년 영화 더 북 오브 클리어런스 사운드트랙에 “I Want You Forever”이라는 곡으로 JAY-Z와 함께 참여했다. 2025년 그가 사망하면서 유작이 되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과 개인적인 방황으로 인해 전형적인 과작의 성향을 보이는 뮤지션이다. 그 오랜 시간동안 활동하면서 단 3장의 정규앨범만을 발매했고, 그렇다고 EP를 많이 발매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음반을 낸다고 해놓고 수차례 연기만하는 희망고문을 하는 타입의 뮤지션도 아니다. 그럼에도 그의 팬들과 평론가들의 그의 앨범을 그렇게 기다리는 것은 여태까지 내놓은 3장의 앨범이 모두 대단한 완성도를 보유한 앨범들이기 때문이다. 내놓는 결과물마다 워낙 탁월하니 여전히 골수 팬들이 남아있는 것. 이 팬중에서는 디안젤로의 영향을 받고 음악을 해온 뮤지션들도 굉장히 많다.
3. 사망
2025년 10월 14일에 사망 소식이 전해졌다. 사망 원인은 췌장암으로 향년 51세로 생을 마감하였다. 2025년 들어서 앨범 준비에 열중하는 중이라는 소식을 전하며 팬들의 기대가 한껏 높아진 상태에서 들려온 부고인지라 팬들의 안타까움이 큰 상황이다.4. 디스코그래피
디안젤로 디스코그래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집 | 2집 | 3집 |
[[Brown Sugar(D'Angelo)| | [[Voodoo(음반)| | [[Black Messiah| | |
Brown Sugar (1995) | Voodoo (2000) | Black Messiah (2014) | }}} |
굵은 글씨로 쓰인 곡들은 싱글 컷 된 곡들이다.
4.1. Brown Sugar
1. Brown Sugar 4:222. Alright 5:13
3. Jonz in My Bonz 5:56
4. Me and Those Dreamin' Eyes of Mine 4:46
5. Sh*t, Damn, Motherf*cker 5:14
6. Smooth 4:19
7. Cruisin' 6:24
8. When We Get By 5:44
9. Lady 5:46
10. Higher 5:28
1995년 7월 3일 발매
4.2. Voodoo
1. Playa Playa 7:072. Devil's Pie 5:21
3. Left & Right (feat. Method Man & Redman) 4:46
4. The Line 5:15
5. Send It On 5:57
6. Chicken Grease 4:36
7. One Mo'Gin 6:15
8. The Root 6:33
9. Spanish Joint 5:44
10. Feel Like Makin' Love 6:22
11. Greatdayndamornin' / Booty 7:35
12. Untitled (How Does It Feel) 7:10
13. Africa 6:13
2000년 1월 25일 발매
4.3. Black Messiah
1. Ain't That Easy 4:492. 1000 Deaths 5:49
3. The Charade 3:20
4. Sugah Daddy 5:02
5. Really Love 5:44
6. Back to the Future (Part I) 5:22
7. Till It's Done (Tutu) 3:51
8. Prayer 4:32
9. Betray My Heart 5:55
10. The Door 3:08
11. Back to the Future (Part II) 2:24
12. Another Life 5:58
2014년 12월 15일 발매
[1] 100만장 이상 판매[2] Voodoo의 수록곡 중 최고 히트를 기록한 Untitled (How Does It Feel)의 뮤직비디오에서는 디안젤로가 옷을 입지 않은 상태로 노래를 부른다. 성적인 의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인의 주장에 따르면 할머니의 요리솜씨를 몸으로 표현한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