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0:46:08

톰 웨이츠

톰 웨이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로큰롤 명예의 전당 로고.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톰 웨이츠
TOM WAITS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11년
후보자격 연도 1999년
후보선정 연도 2011년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칸예 웨스트더 후U2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벡 한센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2회 수상

}}} ||
<colbgcolor=#000><colcolor=#fff> 톰 웨이츠
Tom Waits
파일:uxDkURjzHnaglIH2YRWUMJjoDx.jpg
본명 Thomas Alan Waits
토머스 앨런 웨이츠
출생 1949년 12월 7일 ([age(1949-12-07)]세)
미국 캘리포니아포모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0cm
장르 블루스, 익스페리멘탈 록, 재즈, 포크
직업 싱어송라이터, 배우
배우자 캐슬린 브레넌 (1980년 결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디스코그래피4. 필모그래피5. 여담

1. 개요

톰 웨이츠의 음악을 모른다면, 당신은 인생에서 많은 부분을 잃고 사는 것이다.
영화 감독 짐 자머시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이다. 캘리포니아 주 포모나 출신. 1973년 앨범 Closing Time으로 데뷔하였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유행한 블루스재즈를 기초로 한 악곡과 특유의 쉰 가성, 특기인 피아노에 의한 음유시인 이미지로 많은 인기를 모았다. 1980년대 이후로는 독창성을 더욱 가미해 ‘루트 음악’에 기인하면서도 전위적인 사운드 때문에 화제몰이를 했다.

2. 생애

1949년 12월 7일, 캘리포니아 포모나에서 태어났다. 무난한 유년기를 보내다가 1959년에 부모님이 이혼하여, 두 누이와 어머니와 함께 샌디에이고로 이주. 샌디에이고에 살면서 이웃집에서 피아노를 배웠고, 깁슨 기타로 기타 연주도 연습했다. 그리고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나폴레옹 피자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밥 딜런의 노래를 밥먹듯이 듣고 히피의 아버지라 불리는 작가 잭 케루악과 비트 세대 작가들의 작품에 심취하였는데, 이는 이후 그의 작품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역마의 기질이 다분했던 그는 열여덟살 때부터 맘 맞는 친구와 캘리포니아 주에서 애리조나 주까지 히치하이킹을 하고는 하면서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녔다. 그리고 1971년, 근처에 있는 트루버도어라는 유명한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다가 프랭크 자파의 매니저였던 허브 코언의 눈에 띄어 데뷔를 한다. 이 이후로 트루버도어 클럽은 브루스 스프링스틴, 레너드 코헨, 빌리 조엘, 밴 모리슨, 건스 앤 로지스, , 라디오헤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콜드플레이, 데미안 라이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뮤지션과 밴드들이 데뷔 공연 및 신보 쇼케이스 무대로 서기 위해 불나방처럼 모여드는 핫플레이스이자 등용문으로 자리매김한다.
파일:800-tom-waits_guitar_la_1.jpg
1972년의 톰 웨이츠
1973년에 데뷔 앨범 'Closing Time'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Ol' 55"가 수록되어 있었는데, 이 곡은 레이블 동료인 이글스가 On the Border 앨범에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이후 록 음악의 최부흥기였던 70년대 중반기 때 'The Heart of Saturday Night'(1974), 'Nighthawks at the Diner'(1975), 'Small Change'(1976), 'Foreign Affairs'(1977), 'Blue Valentine'(1978)을 연달아 발매하며 비평적 찬사와 충성스러운 컬트적인 팬들을 확보했다. 이 시기는 웨이츠가 가장 다작한 시기였으며, 비전을 가진 작곡가로서 명성을 확립했다.

하지만 허브 코언과의 불평등한 계약 때문에 웨이츠에게 오는 수익이 몇 푼 없었기에 계속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었다. 계약서에는 모든 곡의 저작권을 코언이 소유하고 있던 레코드사 비자레/스트레이트와 저작권사인 피프티 플로어에 양도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웨이츠에게는 자신의 곡과 앨범 판매 수익에 대한 어떠한 권리도 없었다. 그러니 그가 일곱 장의 앨범을 발표하고, 수많은 투어를 해도 빈털터리가 될 수밖에. 물론 웨이츠는 뒤늦게야 불평등한 계약을 깨닫고, 1980년작 앨범 'Heartattack and Vine'은 광고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는 데 합의했다. 하지만 이 앨범은 코언과의 마지막 작업이었으니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꼴이다. 지금까지도 초기 앨범 7장의 음원 수익들을 웨이츠는 한푼도 받을 수 없다고 한다. 때문에 초기작들은 아직도 리마스터가 안 되고 있다. 1990년대 초반에 나온 CD가 전부. 그러다가 합의가 되었는지 2018년 3월 23일에 초기작 리마스터가 발매 된다.

1976년 여름, LA 실버레이크에서 트루버도어 근처에 있는 트로피카나 모텔로 거처를 옮긴다.트로피카나 모텔로 거처를 옮긴 웨이츠는 시카고의 무명가수였던 리키 리 존스와 만나 많고 탈도 많았던 3년간의 연애를 하지만, 1979년, 존스가 [Rickie Lee Jones]로 그래미 신인상을 받는 등 메이저 가수로서 입지를 한껏 굳힌 반면에 웨이츠는 좋지 않은 투어의 성적과 출연할 수 있던 영화가 무산되는 등 인생 최악의 슬럼프를 겪으면서 둘은 이별하게 된다. 서른 두 살의 웨이츠는 이별 후 1980년, 허브 코언과의 관계를 청산하고 뉴욕으로 건너가 인생의 제2막을 준비한다.
파일:tom-waits-live-1981-billboard-bw-1548.webp
1981년의 톰 웨이츠
80년대가 시작되고 나서, 웨이츠의 음악은 전위적인 색채가 점점 강해지기 시작했다. 1983년에는 아일랜드 레코드와 새로운 음반 계약을 맺고 앨범 'Swordfishtrombones'를 발매했다. 이 앨범은 커리어의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새로운 세대의 리스너를 확보하게 했다. 새로운 악기를 실험하고, 목소리의 변화를 주며, 독특한 녹음 기법을 시도하고, 발견된 소리와 기이한 질감을 활용했다. 웨이츠의 트레이드마크인 이야기 중심의 피아노 앙상블은 인상적인 음향 풍경으로 변모했다. 1980년대에 음악이 화려하고 커지던 시점에서, 그는 "로파이" 원시주의를 선택했고, 새로운 미학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세대의 아티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대담한 실험의 시기는 9집 'Rain Dogs'(1985)와 10집 'Frank's Wild Years'(1987)로 이어졌다. 'Rain Dogs'는 지금까지 톰 웨이츠 최고의 명반으로 꼽히고 있으며, 또 'Franks Wild Years'로 연극계에도 데뷔하는 등 엄청난 활동량을 보였다. 이에 상업적인 성공도 뒤따라오면서 그의 인생에는 드디어 광명이 찾아왔다. 그다음으로는 호평을 받은 1987년 투어[1]의 영화와 첫 라이브 앨범 'Big Time'(1988),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얼터너티브 앨범상[2]을 수상한 걸작 'Bone Machine'(1992)으로 큰 찬사를 받았다. 이 시기에 영화 <다운 바이 로>, <커피와 담배>, <숏 컷> 등에 출연하면서 배우로써의 커리어도 탄탄히 쌓는다.

1999년, 펑크 록으로 유명한 레이블 Anti/Epitaph와 계약을 맺고 13집 'Mule Variations'을 발표해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다. 미국 전통 음악과 실험적인 사운드에 대한 그의 애정이 어우러진 이 앨범은 그의 커리어에서 가장 뛰어난 명반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백만 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영국에서는 9위에 올랐고, 미국 차트에서는 커리어 사상 가장 높은 순위(30위)에 진입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컨템포러리 포크 앨범상을 수상했다.

살짝은 그로테스크한 음악 때문에 국내에선 인지도가 별로 높지 않지만, 닐 영, 폴 매카트니같은 거목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살아있는 전설로 평가받고 있다. 2001년에는 ASCAP 팝뮤직상에서 공로상을 수상, 2006년 미국 음악 잡지 페이스트 선정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싱어송라이터 100인 중 4위로 꼽히기도 했다. # 참고로 1위는 밥 딜런, 2위는 닐 영, 3위는 브루스 스프링스틴이 선정됐다. 놀라운 것은 5위가 폴 매카트니, 그리고 5위 아래에는 키스 리처드, 믹 재거, 브라이언 윌슨, 루 리드, 지미 페이지, 데이비드 보위, 스티비 원더, 로저 워터스, 데이비드 길모어, 조니 미첼 등 2006년 당시에 생존해 있던 이 레전드들을 가벼이 제칠 정도의 영향력 있는 인물임을 증명한다.

2011년에는 역사적인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엄청난 다작을 하던 사람이 2004년작 이후로부터는 뜸해지더니, 2011년 7년만에 17집 'Bad As Me'를 발매해 또 한번 팬들을 열광의 도가니로 몰았다. 발매되자마자 비평적으로 큰 호평을 받았고,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얼터너티브 음악 앨범 부문 후보에 올랐다. 또한 미국에서 빌보드 차트 6위에 오르며 톰 웨이츠 커리어 사상 최초로 빌보드 탑 텐에 진입한 앨범이 되었다.

3. 디스코그래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톰 웨이츠/디스코그래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톰 웨이츠/디스코그래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톰 웨이츠/디스코그래피#|]][[톰 웨이츠/디스코그래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필모그래피

<rowcolor=#ffffff> 연도 제목 배역 감독 비고
1978 챔피언
Paradise Alley
멈블즈
Mumbles
실베스터 스탤론 배우 데뷔작
1981 늑대 인간의 습격
Wolfen
드렁큰 바 주인
Drunken Bar Owner
마이클 워들리 크레딧 없음
1982 마음의 저편
One from the Heart
트럼펫 연주자
Trumpet player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음악 감독도 담당
아카데미 음악상 후보
1983 아웃사이더
The Outsiders
벅 메릴
Buck Merrill
럼블 피쉬
Rumble Fish
베니
Benny
1984 신의 아들
The Stone Boy
카니발에서 석화된 남자
Petrified man at carnival
크리스토퍼 케인 크레딧 없음
커튼 클럽
The Cotton Club
어빙 스타크
Irving Stark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1986 다운 바이 로
Down by Law

Zach
짐 자머시 주연
1987 엉겅퀴 꽃
Ironweed
루디
Rudy
헥터 바벤코
1988 기름진 호수
Greasy Lake
내레이터
Narrator
데미안 해리스
캔디 마운틴
Candy Mountain
알 실크
Al Silk
로버트 프랭크
루디 부를리처
주연
빅 타임
Big Time
크리스 블럼 다큐멘터리
주연, 각본가
1989 비어스킨: 언 어반 페어리테일
Bearskin: An Urban Fairytale
실바
Silva
에두아르도 게드스
끝없는 추적자
Cold Feet
케니
Kenny
로버트 돈헴
미스테리 트레인
Mystery Train
라디오 DJ
Radio D.J.
짐 자머시 목소리 출연
1990 불륜의 방랑아
The Two Jakes
사복 경찰관
Plainclothes Policeman
잭 니콜슨 크레딧 없음
1991 엣 플레이 인 더 필즈 오브 더 로드
At Play in the Fields of the Lord
울프
Wolf
헥터 바벤코
피셔 킹
The Fisher King
장애인 베테랑
Disabled Veteran
테리 길리엄 크레딧 없음
퀸가의 친구들
Queens Logic
몬테
Monte
스티븐 래쉬
지상의 밤
Night on Earth
미출연 짐 자머시 음악 감독
1992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Bram Stoker's Dracula
R. M. 렌필드
R. M. Renfield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1993 숏 컷
Short Cuts
얼 피것
Earl Piggot
로버트 올트먼
1999 미스테리 맨
Mystery Men
닥 헬러
Doc Heller
킨카 우셔
2001 라스트 캐슬
The Last Castle
미출연 로드 루리 음악 감독[3]
2003 커피와 담배
Coffee and Cigarettes
본인 짐 자머시 Somewhere in California 편
2005 도미노
Domino
방랑자
Wanderer
토니 스콧
호랑이와 눈
La tigre e la neve
본인 로베르토 베니니
2006 리스트커터스 : 러브 스토리
Wristcutters: A Love Story
넬러
Kneller
고랜 더킥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미스터 닉
Mr. Nick
테리 길리엄
2010 일라이
The Book of Eli
엔지니어
Engineer
휴스 형제
2011 트윅스트
Twixt
내레이터
Narrator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더 몬스터 오브 닉스
The Monster of Nix
버질
Virgil
로스토 단편영화
2012 세븐 싸이코패스
Seven Psychopaths
재커라이어 릭비
Zachariah Rigby
마틴 맥도나
2013 심슨 가족
The Simpsons
로이드
Lloyd
마크 커크랜드 목소리 출연
Homer Goes to Prep School 편
2018 카우보이의 노래
The Ballad of Buster Scruggs
시굴자
Prospector
코엔 형제 All Gold Canyon 편
미스터 스마일
The Old Man & the Gun
월러
Waller
데이빗 로워리
2019 데드 돈 다이
The Dead Don't Die
허밋 밥
Hermit Bob
짐 자머시
2021 리코리쉬 피자
Licorice Pizza
렉스 블라우
Rex Blau
폴 토머스 앤더슨
2022 엡센스 오브 에덴
The Absence of Eden
헌리
Hunley
마르코 페레고
2025 와일드우드
Wildwood
스털링 폭스
Sterling Fox
트레비스 나이트 목소리 출연
파더, 마더, 시스터, 브라더
Father, Mother, Sister, Brother
짐 자머시
미정 와일드 호스 나인
Wild Horse Nine
마틴 맥도나

5. 여담

  • 기인답게, 어머니가 만삭 상태로 산부인과로 가던 중 진통이 너무 심해서 택시 뒷좌석에서 자신을 낳았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녔다는 루머가 있었다. 하지만 산부인과 기록을 열람한 어느 팬에 의해 구라로 판명.
  • 웨이츠는 자신이 목소리 하나로 평가를 받는 것에 대해 못마땅하다. 그런데 한번은 어린 아이가 팬레터에 그의 목소리를 폭죽과 같다고 표현한 적이 있었는데 그는 그 표현이 맘에 들었는지 당장에 "바로 그거야! 내 노래 들어 줘서 고마워."라고 답장을 보낸 적이 있다. 사실 초창기만 해도 꽤 부드러운 편이었지만, 중후기 아방가르드 경향이 강해지면서 거친 목소리로 확 바뀌었다.
  • 짐 자머시와 절친한 사이다. 1980년대 초 장미셸 바스키아가 주최한 파티에서 처음으로 만났으며, 두 사람 모두 화려한 예술계 사람들 사이에서 어색함과 수줍음을 느꼈기에 파티는 포기하고 대신 바를 돌아다녔다. 이 둘은 금세 친해졌고, 비슷한 취향을 공유했다고 한다. 자머시는 후일 인터뷰에서 "톰과 저는 비슷한 미적 감각을 가지고 있어요. 야망 없는 사람들, 중요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죠"라고 말했다.
  • 스칼렛 요한슨은 톰 웨이츠의 열정적인 팬으로 유명한데, 그녀의 가수로써의 데뷔 앨범 [Anywhere I Lay My Head] 은 톰 웨이츠 트리뷰트 앨범이며, 전곡이 웨이츠의 커버 곡이다.
  • 한국에서는 박찬욱과 이무영이 톰 웨이츠 팬으로 유명하다. 박찬욱은 아예 웨이츠 찬양글을 하나 썼을 정도며, 박쥐 영어 제목도 Black Wings라고 지으려고 했다. 2017년 박찬욱은 인터뷰에서 "특히 톰 웨이츠를 좋아한다. 우연히 마주친 적이 있은데 떨려서 인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후회된다”고 털어 놓기도 했다.
  • 리바이스, 도리토스로 유명한 제과회사 프리토레이, 아우디, 오펠 등 기업들의 광고에서 그의 목소리를 무단으로 도용한 것들에 대해 전부 소송을 걸어 인실좆을 거나하게 맥인 적이 있다. 자신의 초기 앨범들에 대한 저작권 행세를 전혀 할 수 없었던 것이 그가 저작권법에 민감한 이유가 됐다.
  • 애처가로 유명한데, 부인이자 음악적 파트너인 캐슬린 브레넌과는 연말 파티에서 단 한 번 보고,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원 프롬 더 하트>의 음악 작업을 하면서 눈이 맞아 연애한 지 4개월 만인 1980년 8월에 결혼에 골인했다. 결혼허가증, 주례, 결혼사진, 꽃까지 포함한 예식비용이 단돈 49달러에 24시간 서비스였던 원스톱 결혼 서비스를 통해 한 결혼이라 매우매우 조촐한 결혼식이었다고... 부인 만나기 전엔 포크 가수인 리키 리 존스하고 사귀었으나 헤어졌다.
  • 애가 생기고 난 뒤, 학부모 면담을 하러 갔는데 담임 선생님은 그를 못 알아보고 오히려 노동자들이 그를 알아봤다고 한다.
  • 톰 웨이츠 하면 흔히 떠올리는 이미지 중 하나가 술과 담배이지만, 1980년작인 Heartattack and Vine을 작업할 때에 담배를 끊었고 90년대 초부터는 술도 끊었다 한다.
  • 톰 웨이츠에 대한 참고문헌으로는 아래 도서가 국내본으로는 유일하다. 이 책에 더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많이 담겨 있다.
    • 신주현 지음, <톰 웨이츠- 고독을 탐닉한 목소리>, 살림, 2011#
    • Tom waits - grapefruit moon 번역#
  • 음악 평론가 피에로 스카루피는 톰 웨이츠에 대해 "20세기 가장 위대하고 독특한 음악 천재 중 한 명"이라고 평했다. #

[1] 롤링 스톤 잡지에서 "올해의 투어"로 선정됐다.[2] 이 때 보인 반응이 아스트랄한데, "웬 얼터너티브냐"면서 팔짝 뛰었다.[3] 제리 골드스미스와 함께 음악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