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13:09:39

패티 스미스

패티 스미스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패티 스미스
PATTI SMITH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2007년
후보자격 연도 2001년
후보선정 연도 2001년~2007년 }}}}}}}}}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폴 매카트니
발트 3국
디지 길레스피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퀸시 존스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엘튼 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조니 미첼
피에르 불레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에릭 에릭슨
레이 찰스
라비 샹카르
스티비 원더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밥 딜런
아이작 스턴
버트 배커랙
로버트 무그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미리엄 마케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키스 재럿 비비 킹
리게티 죄르지
지우베르투 지우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레드 제플린
발레리 게르기예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소니 롤린스
스티브 라이히
핑크 플로이드
르네 플레밍
피터 가브리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엘 시스테마
비요크
엔니오 모리코네
크로노스 콰르텟
패티 스미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폴 사이먼
요요마
유수 은두르
카이야 사리아호
척 베리
피터 셀라스
에밀루 해리스
에벌린 글레니
맥스 마틴
체칠리아 바르톨리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스팅
웨인 쇼터
메탈리카
아프가니스탄 국립 음악 연구소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안네 소피 무터
플레잉 포 체인지
안나 네트렙코
다이앤 워런
없음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기 팝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밥 딜런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 스톤스 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 제임스 브라운 리틀 리처드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10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비치 보이스 버디 홀리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샘 쿡 머디 워터스 마빈 게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보 디들리
<rowcolor=#fff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오티스 레딩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제리 리 루이스 패츠 도미노
<rowcolor=#fff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라몬즈 프린스 더 클래시 더 후 너바나
<rowcolor=#fff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니 캐시 더 미라클스 에벌리 브라더스 닐 영 마이클 잭슨
<rowcolor=#fff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마돈나 로이 오비슨 존 레논 데이비드 보위 사이먼 앤 가펑클
<rowcolor=#fff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도어즈 밴 모리슨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퍼블릭 에너미 버즈
<rowcolor=#fff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재니스 조플린 패티 스미스 Run-DMC 엘튼 존 더 밴드
<rowcolor=#fff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핑크 플로이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울링 울프 에릭 클랩튼
<rowcolor=#fff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닥터 드레 그레이트풀 데드 팔리아먼트-펑카델릭 에어로스미스 섹스 피스톨즈
<rowcolor=#fff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메탈리카 조니 미첼 티나 터너 필 스펙터 킹크스
<rowcolor=#fff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알 그린 크림 템테이션스 재키 윌슨 더 폴리스
<rowcolor=#fff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프랭크 자파 AC/DC 라디오헤드 행크 윌리엄스 이글스
<rowcolor=#fff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더 셔렐스 비스티 보이즈 스투지스 포 탑스 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더 드리프터즈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미넴 제임스 테일러 블랙 사바스
<rowcolor=#fff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투팍 샤커 그램 파슨스 JAY-Z 야드버즈 카를로스 산타나
<rowcolor=#fff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톰 페티 건즈 앤 로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나인 인치 네일스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슈프림즈 R.E.M. 커티스 메이필드 칼 퍼킨스 토킹 헤즈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칸예 웨스트더 후U2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벡 한센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25를 선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프레디 머큐리 지미 헨드릭스 엘비스 프레슬리 재니스 조플린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폴 매카트니 믹 재거 척 베리 데이비드 보위 패티 스미스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커트 코베인 스티비 닉스 짐 모리슨 조니 미첼 로버트 플랜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오지 오스본 액슬 로즈 밥 딜런 보노 데비 해리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로라 제인 그레이스 조 스트러머 캐슬린 한나 스티븐 타일러 존 본 조비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 ||
<colbgcolor=#000><colcolor=#fff> 패티 스미스
Patti Smith
<nopad> 파일:patti smith.jpg
본명 Patricia Lee Smith
퍼트리샤 리 스미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생 1946년 12월 30일 ([age(1946-12-30)]세)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
직업 싱어송라이터, 시인, 작가
신체 173cm
장르 펑크 록, 아트 펑크, 프로토 펑크
악기 보컬, 기타, 클라리넷
활동 1967년 – 현재
종교 여호와의 증인무종교[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여담4. 앨범 목록
4.1. 정규앨범4.2. 라이브 앨범4.3. 편집4.4. EP

1. 개요

파일:external/izm.co.kr/13020317.jpg
2013년 단독 내한 당시 사진
미국의 펑크 록 뮤지션이자 시인. 재니스 조플린의 바통을 받아 여성 뮤지션계에 한 획을 그은 뮤지션이다. 펑크의 대모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2. 생애

1946년 12월 30일 월요일,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베벌리 스미스는 웨이트리스였고, 아버지 그랜트 스미스는 허니웰 발전소에서 일했다. 유년 시절은 뉴저지 우드버리에서 보냈다. 어렸을 때부터 독서와 글쓰기, 몽상에 빠지기를 좋아하던 소녀는 12살 때 가족과 함께 간 필라델피아 시립미술관으로의 짧은 여행을 통해 ‘예술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품기 시작한다. 멀대 같이 키만 컸던 말라깽이 소녀는 프리다 칼로랭보, 짐 모리슨을 영웅으로 삼았지만 뉴저지 촌구석의 넉넉하지 못한 가정 환경은 ‘예술’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 먼 것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여호와의 증인'의 열렬한 신도로 패티에게 종교적인 교육과 성경 공부를 시켰다. 하지만 패티는 십대 시절에 제도화된 종교를 거부하고 떠나게 되는데, 이는 그것이 너무나 그에게 제한을 가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부분은 노래 'Gloria'의 첫 구절에 나타나 있다. 그 구절은 다음과 같다.
Jesus died for somebodys sins but not mine
예수는 내 죄가 아니라, 그 누군가의 죄를 위해 죽었다네.
부모님의 뜻에 따라 교대에 들어갔지만 1966년 여름이 끝나갈 무렵 풋내기 남자친구와의 관계는 임신으로 이어졌다. 그녀는 이 시련을 오롯이 혼자 감당하기로 하고 이웃의 시선을 피해 낯선 바닷가 마을에서 홀로 아기를 낳았고 아기는 낳자마자 입양을 보내게 된다. 출산 후 패티 스미스는 대학을 자퇴한다. 교과서 만드는 공장에서 최저임금을 받으며 일하던 그녀에게 유일한 꿈은 ‘예술가가 되는 것’뿐이었다. 그리고 1967년 여름, 다니던 공장에서 정리해고 당하자 그녀는 꿈에 그리던 뉴욕행을 결행한다. 예술학교에 다닐 돈도 없었고 직장이나 잠자리를 책임져줄 사람도 없었기에 한동안 돌아다니며 파리도 갔다왔다가 최종적으로는 뉴욕 첼시 아파트에 정착한다. 당시 미국은 히피 열풍으로 가득했고 패티 스미스도 히피와 비트의 영향을 받아 아르튀르 랭보를 위시한 옛 시인들부터 앨런 긴즈버그 같은 비트 시인들까지 다양한 시인들을 탐독하기 시작했다. 이때 예술적 동지인 사진작가 로버트 메이플소프와 만나 동거하게 된다. 잠깐 사귀기도 했으나 메이플소프는 동성애자였기에 헤어졌고 좋은 친구이자 동지로 남게 되었다.

첫 앨범 발표년도에서 알 수 있듯이 동년배 뮤지션들보다 음악 생활을 늦게 시작한 편이다. 그동안 글을 써서 잡지를 내 발표하거나 행위예술이나 연극 배우에 출연하며 살아갔다. 그래도 음악 활동에 대한 의지는 있었기에 버스킹을 하기도 했고 잠깐 블루 오이스터 컬트 리드 싱어로도 고려되기도 했지만 없던 일이 되었다. 대신 블루 오이스터 컬트 멤버랑 사귀는 등 나름대로 친교가 생겨서 서로 앨범 작업에 참여하는 사이가 되었다. 마침내 1974년 스스로 밴드를 결성하기로 하고 지금까지 음악적 동반자 역할을 하는 기타리스트 레니 케이[2]를 만나게 된다. 이후 체코 망명자 출신으로 블론디 초기 멤버였던 베이시스트 이반 크랄과 드러머 제이 디 도허티가 들어오면서 지금까지 활동중인 패티 스미스 그룹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CBGB 등지에 무대에 오르면서 텔레비전 리더인 톰 벌레인을 위시한 토킹 헤즈, 라몬즈, 블론디 같은 뉴욕 펑크 멤버들과 교류하게 된다.

그렇게 1975년 패티 스미스는 아리스타랑 계약 후 앨범 작업에 착수해 Horses라는 첫번째 앨범을 내놓게 된다. 지미 헨드릭스가 소유하고 있던 일렉트릭 레이디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고 벨벳 언더그라운드존 케일이 프로듀서로 참여한 이 앨범은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랭보, 앨런 긴즈버그나 잭 케루악 같은 비트 문학의 낭독시의 영향을 받은 간결하면서도 번뜩이는 로큰롤을 담고 있었고, 발매 즉시 굉장한 찬사를 받았다. 메이플소프가 자연 조명만으로 찍은 화장기 없고 털털한 패티의 사진을 담은 앨범 아트도 굉장한 파급을 불러일으켜 코트니 러브나 크리시 하인즈 같은 여성 로커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했다. 판매량은 30위 정도였지만 이 앨범은 뉴욕 펑크의 시작을 알리는 승전보로 평가받으며 패티 스미스를 펑크의 시인으로 평가받게 만들어 주었다.

Radio Ethiopia 발표 후 1979년 브루스 스프링스틴과 함께 작업한 싱글 Because the Night와 그 싱글이 수록된 Easter가 나오면서 좀 더 많은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한다. 이때 MC5 멤버였던 프레드 스미스[3]를 만나 사귀다가 결혼하게 된다. 결혼 이후로는 미시건으로 이주해 활동을 많이 줄였지만 1988년 Dream of Life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이후 메이플소프가 에이즈로 죽고 남편도 심장마비로 사망하고 남동생도 사망하고 밴드 멤버랑 커트 코베인도 사망하는 악재가 겹치면서 다시 8년을 침묵하게 된다. 아이도 키우느라 본인도 상당히 힘들었던 시기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후 뉴욕에 돌아와 정착하게 된다. 1996년 Gone Again을 발표한 뒤로는 다시 돌아와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중이다.

2023년 P. S 데이스라는 일종의 일기를 담은 책을 냈다. 출판사는 문학동네이다. 출처

2013년 내한 공연을 했으며 이후 2025년 4월 한국에서 본인 전시회가 열리자 내한했다. 이때 잠깐 버스킹 공연을 펼쳤다고.

3. 여담

  • 페미니즘에 비판적인 시선 혹은 회의적인 시선을 보였다. 자신은 페미니즘이라는 사상보다 굶어가는 아이들이 더 걱정된다고 하였다.

4. 앨범 목록

4.1. 정규앨범

  • Horses (1975)
  • Radio Ethiopia (1976)
  • Easter (1978)
  • Wave (1979)
  • Dream of Life (1988)
  • Gone Again (1996)
  • Peace and Noise (1997)
  • Gung Ho (2000)
  • Trampin' (2004)
  • Twelve (2007)
  • Banga (2013)

4.2. 라이브 앨범

  • Trampin'|Live aux Vieilles Charrues (2004)
  • Horses|Horses/Horses (2005)
  • The Coral Sea (with Kevin Shields) (2008)

4.3. 편집

  • The Patti Smith Masters (1996)
  • Land (2002)
  • iTunes Originals – Patti Smith|iTunes Originals (2008)

4.4. EP

  • Hey Joe / Radio Ethiopia (1977)
  • Set Free (1978)

[1] 12/13살에 여호와의 증인을 탈퇴했다. 이후 어떤 종교와도 무관하지만 개인적으론 성경을 계속 공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 "... I studied the bible quite a bit when I was young and continue to study it, independent of any religion, but I still study it." / Kory Grow, "Patti Smith Explains Mixed Feelings About Religion, ‘Noah’ Song", 「롤링 스톤」, 2014.10.15.[2] 이 사람은 개러지 록 컴필레이션 너겟츠 기획자로도 유명하다.[3] "소닉"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했으며 소닉 유스가 이 별명에서 밴드명을 따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