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어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슬라브어군 |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 ||
서슬라브어군 |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 |||
남슬라브어군 | 동부 남슬라브어군 |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 ||
서부 남슬라브어군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 |
폴란드어 Język polski polski · polszczyzna Polish language | ||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 굴절어 | |
어순 | 주어-동사-목적어 (SVO) | |
서자방향 | 좌횡서 | |
문자 | 로마자 | |
점자 | 폴란드어 점자 | |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 [[폴란드| ]][[틀:국기| ]][[틀:국기| ]] [[리투아니아| ]][[틀:국기| ]][[틀:국기| ]] [[벨라루스| ]][[틀:국기| ]][[틀:국기|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
원어민 | 약 4,000만 명 | |
계통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레흐어 폴란드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 PL |
ISO 639-2 | POL | |
ISO 639-3 | POL | |
글로톨로그 | poli1260 |
[clearfix]
1. 개요
폴란드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조[1] |
Namuwiki, drzewo wiedzy, które wspólnie rośniemy.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폴란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레흐어(Języki lechickie)에 속하는 개별언어이자 폴란드의 공용어이다. 사용인구는 3900~4500만 명으로 추산한다. 폴란드에서 주로 사용되며 독일,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체코, 슬로바키아에 소수 사용자가 있다.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같은 서슬라브어군에 속한 체코어나 슬로바키아어와 어느 정도 유사하지만 차이점도 꽤 있다. 일단 표기법이 다르고, 거짓짝 단어들도 많다.[2]
폴란드인이 듣는 체코어는 마치 아이들이 혀 짧은 소리로 이야기하는 것 같아서 폴란드인들은 종종 체코인들을 농담거리로 삼는 반면, 체코인들에게 폴란드어는 다소 강하고 공격적인 억양으로 들린다고 한다.
폴란드어는 폴란드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여 폴란드 인구 97%가 모어로 사용한다. 폴란드 밖에서도 리투아니아 동남부에서도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사용하고 미국에도 화자 60만 명이 있다. 총 화자 수 4400만여 명으로 러시아어에 이어 2번째로 많이 쓰이는 슬라브어이다.[3] 러시아, 카자흐스탄, 독일, 영국, 우크라이나 서부와 캐나다에도 일부 화자가 있다.
최초로 폴란드어로 작성된 문서는 1136년 교황 인노첸시오 2세가 그니에즈노(Gniezno)의 대주교에게 보낸 대칙서에 있는 명단 목록, 기록된 가장 오랜 문장은 1270년 작성된 문서의 인용문을 번역한 주석이다.
화자 수로만 따지고 보면 러시아어에 밀리지만 예로부터 러시아어에 의외로 많은 영향을 끼친 언어이기도 하다.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폴란드어를 잘 들어보면 같은 슬라브어파이되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러시아어와 매우 흡사하다. 그러나 정작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단어는 많지 않은데, 러시아가 폴란드를 침략하고 점령하던 시절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중세 노르만족의 브리튼 섬 침략으로 라틴계 단어들이 많이 형성된 영어와는 꽤 다르다.[4] 폴란드어의 억양은 러시아어보다 서쪽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어와 더 비슷하게 들린다고 한다. 폴란드어에는 라틴어, 독일어, 체코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에서 차용한 낱말이 매우 많고,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등에서 차용한 외래어 낱말도 소수 있다. 심지어 접경지지만 슬라브어파가 아니라 발트어파에 속하는 리투아니아어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이 두 언어도 들어보면 비슷하게 들린다.
2. 음소
2.1. 자음
양순 | 순치 | 치경 | 권설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colbgcolor=#fff,#1f2023> 비 | m | n | ɲ̟ | |||||||||||
파열 | p | b | t | d | k | g | ||||||||
파찰 | t͡s | d͡z | t͡ʂ | d͡ʐ | t͡ɕ | d͡ʑ | ||||||||
마찰 | f | v | s | z | ʂ | ʐ | ɕ | ʑ | x | |||||
접근 | j | |||||||||||||
접근(설측) | l | |||||||||||||
전동 | r | |||||||||||||
연구개(양순) | ||||||||||||||
무 | 유 | |||||||||||||
접근 | w |
2.2. 모음
전설 | 중설 | 후설 | ||||
U | R | U | R | U | R | |
<colbgcolor=#fff,#1f2023> 고 | i | ɨ | u | |||
중저 | ɛ·ɛ̃ | ɔ·ɔ̃ | ||||
저 | ä |
3. 문자
폴란드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데, 폴란드어에 맞게 약간 변형되었다. 전체적으로 자음 36개[5], 모음 7개가 사용된다. 이 중 Ł과 ł은 잘못 보면 L(l)로 오해하기 십상. 예를 들어 폴란드 해변 도시들 코워브제크(Kołobrzeg)를 콜로브제크에서 심하면 콜로브르제그로 오기되는 경우가 있다. ł은 /w/ 발음이고 오히려 폴란드어의 w는 독일어와 같은 /v/ 발음이다. 또 폴란드어에서는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오는 유성음이 독일어나 러시아어와 비슷하게 무성음화된다.한국에서 이를 무시하여 폴란드 중부에 위치한 도시 우치(Łódź)도 로즈나 로지, 우지 따위로 잘못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또 국내에 수입된 폴란드 맥주 웜자(Łomża)는 아예 '롬자'로 수입되었다. 20세기 작곡가인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Witold Lutosławski)의 표기도 2000년이 될 때까지도 한국의 많은 음악 관련 서적에서 루토슬라프스키라고 잘못 나오곤 했는데, 요즘은 제대로 표기되는 추세이다. 폴란드의 홀로코스트를 다룬 만화 쥐와 영화 피아니스트에서도 폴란드의 화폐 즈워티가 즐로티로 표기되었다.
한편 폴란드계 미국인 프레데릭 제프스키(Frederic Rzewski)도 마르크앙드레 아믈랭의 음반이 1999년 발매되어서야 이름이 알려졌는데, 위와 같은 정확한 표기가 정착되기 이전에는 하필 미국인이어서 "Rz" 독법을 몰라 '르제프스키'라고 오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소녀의 기도로 알려진 바다르체프스카(Bądarzewska)는 봉다제프스카로 표기함이 옳다. 현대인물이라고 예외는 없어서 현역 사이클 선수인 다비트 고젝(Dawid Godziek)도 '데이빗 가지옉' 내지는 '다위드 가지크' 같은 식으로 불리는 경우가 잦다.
골치 아플 정도로 많은 복자음 표기가 특징적이다. 사실 다른 슬라브어파 언어(러시아어, 체코어 등)에도 폴란드어에서 복자음으로 표기되는 음운들은 흔히 있지만 라틴 알파벳보다 글자수가 더 많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거나(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 háček, accent 등 각종 기호를 동원해 한 글자로 갈음하는 경우가(체코어 등) 보통이다. 가령 체코어에서는 폴란드어 sz, cz에 해당하는 발음을 š, č로 적고, 우크라이나어에선 폴란드어 szcz에 해당하는 발음을 한 글자인 щ로 적는다.
폴란드어의 복자음 사용을 이용한 유머.[6]
게슈타포: 이름과 성.(Name und Vorname?)
프라네크: 그제고시 브젱치시치키에비치(Grzegorz Brzęczyszczykiewicz)입니다.[7][8]
게슈타포: (당황)
프라네크: ...브젱치시치키에비치.
게슈타포: (프라네크를 째려봄)
프라네크: ...그제고시.
게슈타포: Gsh... GshEe... Kshh ...hmhmm... Gzie...ggdeg... Gsiek...psshk..psh... GGggZIIEEE...
프라네크: ...브젱치시치키에비치.
게슈타포: 입 닥쳐!!!(MAUL HALTEN!!!)
게슈타포: 으으으으... 한스! 흠, 한스?
한스: 예?(Jawohl?)
게슈타포: 당장 타자기로 그거 받아 적어.(Schreib das sofort auf der Maschine.)
한스: 이름과 성.
프라네크: 그제고시 브젱치시치키에비치입니다.
한스: 뭐?(WIE??)
한스: ą...z...c...ky, c. 헤헤...
한스: 출신지는?(Geboren?)
프라네크: 웽코워디 군 흐숑시치제보시체(Chrząszczyżewoszyce, powiat Łękołody)[9]입니다.
프라네크: 그제고시 브젱치시치키에비치(Grzegorz Brzęczyszczykiewicz)입니다.[7][8]
게슈타포: (당황)
프라네크: ...브젱치시치키에비치.
게슈타포: (프라네크를 째려봄)
프라네크: ...그제고시.
게슈타포: Gsh... GshEe... Kshh ...hmhmm... Gzie...ggdeg... Gsiek...psshk..psh... GGggZIIEEE...
프라네크: ...브젱치시치키에비치.
게슈타포: 입 닥쳐!!!(MAUL HALTEN!!!)
게슈타포: 으으으으... 한스! 흠, 한스?
한스: 예?(Jawohl?)
게슈타포: 당장 타자기로 그거 받아 적어.(Schreib das sofort auf der Maschine.)
한스: 이름과 성.
프라네크: 그제고시 브젱치시치키에비치입니다.
한스: 뭐?(WIE??)
한스: ą...z...c...ky, c. 헤헤...
한스: 출신지는?(Geboren?)
프라네크: 웽코워디 군 흐숑시치제보시체(Chrząszczyżewoszyce, powiat Łękołody)[9]입니다.
이 때문에 폴란드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이에 크게 고통받는다. 심지어 폴란드인들조차 잘못 읽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른 슬라브어에서 한 글자로 쓰는 글자들도 sz, cz처럼 합자로 적는 것은 물론, v 발음을 획수가 더 많은 w로 적기 때문에 안 그래도 많은 자음이 배로 많아 보인다. 가령 폴란드 동부에 '슈체브제신'이라는 도시가 있는데[10] 러시아어 표기는 Щебжешин(셰브제신)으로 8글자지만 폴란드어로는 Szczebrzeszyn(슈체브제신)으로 무려 13글자다. 폴란드어의 절반은 s와 z라는 유머가 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사실 폴란드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알파벳들은 모음자이다. 이는 대부분의 로마자권이 해당되는 사항. 다만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을 보면 n, z, r, s, w 순으로 z, s, w가 유난히 많이 쓰이긴 한다.# 특히 z는 폴란드어에서는 출현빈도가 5%에 달하는데, 다른 언어에서 z의 출현 빈도는 체코어나 독일어에서는 1%, 스페인어에서는 0.4%, 프랑스어에서는 0.3%, 그리고 영어에서는 0.07%에 불과하다.
러시아어 | 폴란드어 | 음운 |
Ж | Ż, Rz[11] | /ʐ/ |
Ш | Sz | /ʂ/ |
Х | Ch | /x/ |
예시 하나를 들면 다음과 같다.
표기 | 음절 분석 | 발음(IPA) | 한글 표기 | 의미 |
Rzeczpospolita | Rzecz-po-spo-li-ta | /ʐɛt͡ʂ.pɔˈspɔ.lʲi.ta/ | 제치포스폴리타 | 폴란드 공화국[12] |
이 외에 삼중합자 drz가 있는데, d-rz로 끊어읽는다. 예를 들어 'Drzeć(찢다)'는 '드르제치'가 아니라 '드제치'처럼 발음한다.[13] 그리고 p, t, k 등이 러시아어와 달리 거센소리에 가깝다. 이는 1990년대 이후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서 나타나는 경향이고, 인민공화국 이전 시대를 보냈던 세대들은 된소리에 가깝게 소리냈다. 지역적으로는 서부 지역 사람들이 거센소리에 가깝게 발음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유성음의 경우 그 위치에 따라 발음이 무성음화된다. Rz를 예로 들어보면, 모음 앞과 (어중에서) 뒤에 유성음이 딸려나올 경우에는 /ʐ/ 음가를 그대로 가지지만 어말에 오거나 (어중에서) 뒤나 앞에 무성음이 딸려나올 경우 무성음인 /ʂ/로 발음된다. 이건 친척뻘인 러시아어도 마찬가지. 다만 러시아어는 앞에 무성음이 오는 건 신경쓰지 않는다.
표기 | 발음 | 한글 표기 | 의미 |
Grzegorz | /ˈɡʐɛɡɔʂ/ | 그제고시 | 남성 이름[14] |
Łóżko | /ˈwuʂkɔ/ | 우시코 | 침대 |
Grzmot | /ɡʐmɔt/ | 그지모트 | 천둥 |
Przemyśl | /ˈpʂɛmɨɕl/ | 프셰미실 | 폴란드 남부에 위치한 도시 이름 |
그리고 ch와 h, rz와 ż/sz, u와 ó처럼 같은 발음을 다르게 표기하는 경우가 몇 개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어원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중 가장 많이 보이는 rz에 해당되는 발음은 여타 슬라브어에선 r로 나타나나 폴란드어에선 유독 다른 소리가 난다. 다만 체코어에서는 폴란드어 rz와 슬라브어 r을 동시에 발음하는 듯한 괴악한 발음인 ř로 나타날 때가 많다. 가령 폴란드어 rząd(줄, row)은 체코어에선 řada로, 나머지 슬라브어에선 rad(슬로바키아어), ред / red(세르비아어), ряд / rjad(러시아어) 등으로 나타난다. ó의 경우 원래 옛 슬라브어에서 "o"로 발음하다 현대에 발음이 "u"로 바뀐 것을 표시하는 건데, 체코어에서도 동일한 발음 변화가 일어나서 이 발음을 "ů"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나의"라는 뜻인 "mój"의 경우 고대 슬라브어 "mojь"에서 나왔으며, 러시아어(moj), 세르비아어(moj) 등에서는 '모이'라고 하지만 슬로바키아어(môj)에서는 '무오이'라고 하고, 체코어(můj)와 폴란드어에서는 '무이'라고 한다. ch/h의 경우 외래어에서는 h, 고유어 낱말에서는 ch가 더 많이 쓰이는 편이다.
음운에서는 타 슬라브어와 달리 비모음이 존재한다.[15] Ą ą의 경우는 [ɔ̃](옹), Ę ę은 [ɛ̃](엥)으로 발음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Ą ą이 비모음이 아닌 [ɔn](언), [ɔm](엄)으로 조음되기도 하며 Ę과 ę의 경우도 [ɛn](엔), [ɛm](엠)으로 조음된다. 이런 경우는 주로 Ą과 ą이나 Ę과 ę 뒤에 마찰음이 아닌 파열음이나 파찰음이 오는 경우다.[16] 가령 Dąbrowski 같은 이름의 경우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동브로프스키'이지만 실제 발음은 [dɔmˈbrɔfskʲi](돔브로프스키)에 가까우며 Oglądając 같은 단어의 경우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오글롱다용츠'이지만 실제 발음은 [ɔɡlɔnˈdajɔnts](오글론다욘츠)에 가깝다. 반대로 Wałęsa [vaˈwɛ̃sa]와 같이 비모음이 조음되지만 바웬사처럼 비음으로 표기가 굳어진 경우도 있다. 또한 Ę가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비음성을 상실하여 [ɛ](에)로 조음하는데 이것을 비모음화를 적용시켜서 [ɛ̃](엥)으로 발음하면 폴란드인 입장에서는 어색하게 느낄 수도 있다. 폴란드어 화자들 사이에서는 상당히 우스꽝스러운 말투로 취급되는지 상당히 재미있어 한다고 한다. 그리고 Ę나 Ą가 L이나 Ł 뒤에 오면 비음이 발음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wziąłem [ˈvʑɔ.wɛm](브져웸)이나 [wzięłam](브졔왐)이 그렇다.
인터넷에선 Ę를 E나 EN으로 쓰기도 하고 Ą은 ON으로 쓰기도 하며, 다른 확장문자들도 그냥 씹어버리고 기본형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니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웹사이트 등을 사용할 때에 주의하자. 번역기를 돌릴 경우 좋지 않은 번역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아울러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항상 어말(語末)에서 2번째의 음절에 악센트가 있다. 음운은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와 상당히 비슷한 편이다.
3.1. 기본 문자
라틴 문자 (대문자/소문자) | 명칭 | 발음 |
A a | 아 (a) | /ä/ |
Ą ą | 옹 (ą) | /ɔ̃/, /ɔn/, /ɔm/, /ɔ/ |
B b | 베 (be) | /b/, /p/ |
C c | 체 (ce) | /t͡s/ |
Ć ć | 체 (cie) | /t͡ɕ/ |
D d | 데 (de) | /d/, /t/ |
E e | 에 (e) | /ɛ/ |
Ę ę | 엥 (ę) | /ɛ̃/, /ɛn/, /ɛm/, /ɛ/ |
F f | 에프 (ef) | /f/ |
G g | 기에 (gie) | /g/, /k/ |
H h | 하 (ha) | /x/ |
I i | 이 (i) | /i/, /ʲ/ |
J j | 요트 (jot) | /j/ |
K k | 카 (ka) | /k/ |
L l | 엘 (el) | /l/ |
Ł ł | 에우 (eł) | /w/ |
M m | 엠 (em) | /m/ |
N n | 엔 (en) | /n/ |
Ń ń | 엔 (eń) | /ɲ̟/ |
O o | 오 (o) | /ɔ/ |
Ó ó | 우 (ó) | /u/ |
P p | 페 (pe) | /p/ |
R r | 에르 (er) | /r/ |
S s | 에스 (es) | /s/ |
Ś ś | 에시 (eś) | /ɕ/ |
T t | 테 (te) | /t/ |
U u | 우 (u) | /u/ |
W w | 부 (vu) | /v/, /f/ |
Y y | 이그레크 (igrek) | /ɨ/, /ɘ/ |
Z z | 제트 (zet) | /z/, /s/ |
Ź ź | 제트 (ziet) | /ʑ/, /ɕ/ |
Ż ż | 제트 (żet) | /ʐ/, /ʂ/ |
공간 제약으로 Ż에 다이어크리틱을 쓰지 못할땐 'Ƶ' 로도 쓴다.
3.2. 다중 문자
이 외에도 이중합자, 삼중합자가 존재한다. 라틴 문자 (대문자/소문자) | 발음 |
Ch ch | /x/ |
Chi chi | /xʲ/ |
Ci ci Cj cj | /t͡ɕ/ |
Cz cz | /t͡ʂ/ |
Dz dz | /d͡z/, /t͡s/ |
Dzi dzi | /d͡ʑ/ |
Dź dź | /d͡ʑ/, /t͡ɕ/ |
Dż dż | /d͡ʐ/, /t͡ʂ/ |
Gi gi | /ɡʲ/ |
Hi hi | /xʲ/ |
Ki ki | /kʲ/ |
Ni ni Nj nj | /ɲ̟/ |
Rz rz | /ʐ/, /ʂ/ |
Si si Sj sj | /ɕ/ |
Sz sz | /ʂ/ |
Zi zi Zj zj | /ʑ/ |
참고: "ć, ń, ś, ź" 이 네 글자는 모음 앞에서 보통 ci, ni, si, zi[17]의 형태로 쓰인다. 예로, 폴란드어로 '독립'을 뜻하는 'niepodległość'의 조격 형태(-ą)의 경우 'niepodległością'처럼 쓰인다. ć, ń, ś, ź는 어두 모음 앞에서는 항상 ci, ni, si, zi로 쓰고 ń으로 시작하는 어두자음군은 없기에 ń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없다.
4. 문법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어/문법 문서 참고하십시오.슬라브어답게 인도유럽어의 굴절을 잘 보존하고 있는 편으로, 격은 7개이며 성은 3개이다.[18] 동사도 인칭과 시제에 따라 활용된다. 폴란드어는 굴절적(屈折的) 성격이 강한 언어이므로 명사에는 남성, 여성, 중성의 3성(性), 단수와 복수의 2수(數), 6가지 격(格)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활동체외 비활동체의 구별이 있고, 남성명사 활동체의 경우에는 인간형(人間形)과 비인간형(非人間形)을 구별한다. 폴란드어 실력은 격변화에 달려 있다고 보면 되니, 격변화를 열심히 연습하도록. 어순을 바꿈으로써 문장의 분위기를 미묘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격변화가 매우 다양하여 라틴어 뺨칠 정도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더 많았다고 한다. 이제는 좀 줄었다. 실제로 인도유럽어족의 변천사를 보면 대부분 언어가 격 변화, 동사 활용 등에서 갈수록 간단해진다.
동사형에는 체, 태, 법, 시제, 인칭, 수의 문법 범주가 있어 매우 풍부한 규칙이 만들어지는데, 다른 말로 하면 폴란드어 공부하는 사람들 다 죽으라는 이야기다. -ł 분사(分詞)에 의해서 성(性)과 인간형을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통사론에서의 특징적인 것은 피동형동사(수동의 분사)가 서술어로 쓰이는 표현방법이다. 또한 어순에서는 라틴어의 영향을 받아 형용사는 명사 뒤에 놓인다. 그러나 이것이 항상 정립된 것은 아니라고 봐도 좋다. 영어에서는 SVOC의 어순으로 정해지나, 폴란드어에는 '격'이 있으며, 이 격에 따라 문장 중의 단어의 상호관계가 정해진다.
의문문을 만들고 싶다면 문장 앞에 의문사를 붙이고 물음표를 붙이면 된다. 의문사는 기본적으로 판정의문문을 만드는 czy가 있고, co(무엇), kiedy(언제), dlaczego(왜), ile(어느 정도, 얼마), jak(어떻게), gdzie(어디), kto(누구) 등이 있다.
연장자에게는 경어를 써야 한다. 연장자에게는 3인칭인 pan(판, 남성), pani(파니, 여성)를 이름 앞에 붙여서 불러야 하며, 좀 더 친밀해지면 2인칭인 ty(티, 너)를 붙인다. pan과 pani는 신분과 계급 등 조직에서 직함 앞에 붙이기도 하며, 가족이나 친척, 친구 사이에서는 쓰지 않는다. 참고로 폴란드 중세 귀족 공화정 시절에는 ty는 큰 죄를 지어 형장에 끌려가는 사람에게나 붙이는 거였다고 한다. pan과 pani, ty의 중간쯤 해당되는 관계에서는 wy(비, 그대·당신)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귀족들 사이에서는 '친애하는 귀족 양반' 또는 'Towarzysz(토바지시, 동무)'가 널리 사용되었다.
폴란드 내에서 쓰이는 방언은 매우 다양하다. 일단 폴란드 수도인 바르샤바 등에서 널리 쓰이는 표준어 이외에도 각 지역 방언이 여러 개 존재하는데, 그 중 폴란드 북부의 카슈브어의 경우는 폴란드인들도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다르다. 쉽게 말해서 함경도 사람이 제주도 사람과 이야기한다고 보면 된다.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지? 실제로도 종종 폴란드 방언으로 분류되는 카슈브어는 역사적으로 별개의 언어라고 한다.[19]
카슈브 방언의 북쪽에는 또 스워빈 방언이라고 있다. 이것 역시 서로 상당히 다르다. 포모제 방언도 존재하며, 폴란드 남서쪽으로 내려가면 실롱스크어도 존재한다. 대폴란드 지방에서 쓰는 대폴란드 방언, 소폴란드에서 쓰는 소폴란드 방언, 마조비아 지방에서 쓰는 마조비아어 등이 존재한다. 앞의 방언들 중에서 스워빈 방언은 제2차 세계 대전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소멸했다. 카슈브 방언과 스워빈 방언 등은 슬라브인의 이주 때 폴란드인들보다 더 북쪽의 포모제에 정착한 슬라브인들이 사용한 포모제 슬라브어의 후계언어로 묶인다.
5.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문서 참고하십시오.6.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에서 가르치고 있다. 또한 단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에서도 교양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 폴란드어 사전은 네이버 사전, 다음 사전에도 수록되었다. 그리고 적지만, 폴란드어 책이 일부 발행되어 있다. 유료 인터넷 강의로도 배울 수 있다. 폴란드어는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 하나이다.한국 내에서도 예전에는 한국외대 폴란드어과에서 유럽언어기준에 맞춘 폴란드어 시험이 실시되었지만, 지금은 실시되고 있지 않으며, 시험 실시를 위해서는 일정 기준 인원을 충족해야 실시할 수 있다. 폴란드 국가 공인 기관 하에 치르는 공인된 언어 시험이기 때문에, 해당 기관의 공인 시험 감독관이 직접 감독해야 하기 때문이다.
ECK교육에서 폴란드어 강좌와 책을 출판했으며 폴란드어 OPI 책과 강좌도 만들었다. 민간 취업 연수인 신한GYC에서 취업 목적의 폴란드어를 학습할 수도 있다.
듀오링고에서도 폴란드어를 배울 수 있으나 영어로 배워야 한다.
7. 구사자
- 개비 가브레스키 - 미국
- 김평일 - 북한
-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 리투아니아
- 레오 베인하커르 - 네덜란드
- 로자 룩셈부르크 - 독일
- 루카스 포돌스키 - 독일
- 매들린 올브라이트 - 미국
- 미로슬라프 클로제 - 독일
- 미할 스파소프 아슈미노프 - 불가리아[20]
- 뱌체슬라프 멘진스키 - 러시아/소련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러시아/소련
- 브와디스와프 슈피겔만 - 미국
- 블라디미르 레닌 - 러시아/소련
- 빌헬름 호젠펠트 - 독일
- 사샤 - 벨라루스
- 스타니슬라프 틸리히 - 독일[21]
- 잉그리다 시모니테 - 리투아니아[22]
- 조지프 콘래드 - 영국
-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 미국
- 최성은 - 한국[23]
- 크리스토퍼 힐 - 미국
- 티머시 스나이더[24] - 미국
- 하인리히 슐리만 - 독일
7.1.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폴란드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폴란드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 등재. 하프나 쿼터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8. 기본 회화
안녕하세요! (아침/낮 인사) | Dzień Dobry! 지엔 도브리! |
안녕하세요! (저녁인사) | Dobry wieczór! 도브리 비에추르! |
안녕히 가세요. 잘 자. 안녕히 주무세요. (밤에, 헤어질 때) | Dobranoc! 도브라노츠! |
안녕히 가세요. | Do widzenia. 도 비제니아. |
안녕히 계세요. 다음에 만나요. | Do zobaczenia. 도 조바체니아. |
안녕! (격식에 얽매이지 않은 인사) | Cześć! 체시치! |
안녕! (당분간 헤어질 때) | Na razie! 나 라지에! |
내일 보자. 내일 만납시다. | Do jutra! 도 유트라! |
안녕하십니까? (안부를 물을 때) | Jak się Pan(Pani) ma? 야크 시에 판(파니) 마? |
안녕. 어떻게 지내니? | Jak się masz? 야크 시에 마시? |
예. | Tak. 타크. |
아니요. | Nie. 니에. |
만나서 반갑습니다. | Bardzo mi miło. 바르조 미 미워. |
여러분 안녕하세요. | Część, Kochani. 체시치 코하니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Jak się Pan(Pani) nazywa? 야크 시에 판(파니) 나지바? |
네 이름은 뭐니? | Jak się nazywasz? 야크 시에 나지바시? / Jak masz na imię? 야크 마시 나 이미에? |
내 이름은 ... | Nazywam się ... 나지밤 시에 ... |
당신은 어디에서 오셨습니까? | Skąd Pan(Pani) przyjechał? 스콘트 판 프시예하우? |
나는 한국에서 왔습니다. | Przyjechałem(여자의 경우 Przyjechałam) z Korei. 프시예하웸(프시예하왐) 스 코레이. |
나는 한국 남자(한국 여자)입니다. | Jestem Koreańczykiem(Koreanką). 예스템 코레안치키엠(코레안콩). |
나는 남자 대학생(여자 대학생)입니다. | Jestem studentem(studentką). 예스템 스투덴템(스투덴트콩). |
별일 없니? | Co słychać? 초 스위하치? |
무슨 일이십니까? | Co się stało? 초 시에 스타워? |
기분이 어떻습니까? | Jak się Pan(Pani) czuje? 야크 시에 판(파니) 추예? |
기분이 어때? | Jak się czujesz? 야크 시에 추예시? |
도와주세요. | Pomóż. 포무시. |
매우 감사합니다. | Dziękuję bardzo. 지엥쿠예 바르조. |
천만에요. | Nie ma za co 니에 마 자 초. / Proszę bardzo. 프로셰 바르조. |
정말로요. | Na Pewno. 나 페브노. |
실례합니다. | Przepraszam Pana. 프셰프라샴 파나. |
죄송합니다. | Przepraszam. 프셰프라샴. |
괜찮습니다. | Nic nie szkodzi. 니츠 니에 시코지. |
나는 폴란드어를 할 줄 모릅니다. | Nie mówię po polsku. 니에 무비에 포 폴스쿠. |
당신은 영어를 할 줄 아세요? | Czy mówi pan(i) po angielsku? 치 무비 판(파니) 포 앙기엘스쿠? |
영어를 조금 합니다. | Mówię trochę po angielsku. 무비에 트로헤 포 앙기엘스쿠. |
여기 한국어 하시는 분 계십니까? | Czy ktoś tu mówi po koreańsku? 치 크토시 투 무비 포 코레안스쿠? |
그것은 무슨 뜻입니까? | Co to znaczy? 초 토 즈나치? |
다시 한번 말해주시겠어요? | Słucham? 스우함? |
천천히 말해주세요. | Proszę mówić wolniej. 프로셰 무비치 볼니에이. |
기꺼이. | z przyjemnością. 즈 프시옘노시치옹. |
알아들으십니까? | Rozumie Pan(i)? 로주미에 판(파니)? |
전부 알아듣습니다. | Rozumiem wszystko. 로주미엠 프시스트코. |
거의 전부 이해합니다. | Rozumiem prawie wszystko. 로주미엠 프라비에 프시스트코. |
전혀 알아듣지 못하겠습니다. | Nic nie rozumiem. 니츠 니에 로주미엠. |
유감스럽게도, 전부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 Niestety, nie wszystko rozumiem. 니에스테티, 니에 프시스트코 로주미엠. |
그것을 폴란드어로 무엇이라고 합니까? | Jak powiedzieć to po polsku? 야크 포비에지에치 토 포 폴스쿠? |
제대로 말하고 있습니까? | Czy mówię dobrze? 치 무비에 도브제? |
그것을 좀 글로 적어주실래요? | Mógłby mi Pan(i) to napisać? 무구비 미 판(파니) 토 나피사치? |
나는 압니다. | Ja wiem. 야 비엠. |
나는 모릅니다. | Nie wiem. 니에 비엠. |
왜? | Dlaczego? 들라체고? |
뭐? | Co? 초? |
누구? | Kto? 크토? |
언제? | Kiedy? 키에디? |
어떻게? | Jak? 야크? |
얼마나 오래? | Jak długo? 야크 드우고? |
얼만큼? | Ile? 일레? |
얼마입니까? | Ile kosztuje? 일레 코시투예? |
얼마나 멉니까? | Jak daleko? 야크 달레코? |
어디에 ...이 있습니까? | Gdzie jest ...? 그지에 예스트 ...? |
이것은 무엇입니까? | Co to jest? 초 토 예스트? |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 Kto to jest? 크토 토 예스트? |
바르샤바에서 인사드립니다. | Pozdrowienia z Warszawy. 포즈드로비에니아 즈 바르샤비. |
성공을 빕니다. | Powodzenia. 포보제니아. |
행운을 빕니다. | Życzę Panu szczęścia. 지체 파누 시쳉시치아. |
맘껏 즐기세요. | Baw się dobrze. 바프 시에 도브제. |
좋은 여행되세요. | Szczęśliwej drogi. 시쳉실리베이 드로기. |
축하합니다. | Gratuluję. 그라툴루예 |
생일 축하합니다. | Wszystkiego najlepszego z okazji urodzin! 프시스트키에고 나일렙셰고 즈 오카지 우로진. |
메리 크리스마스. | Wesołych Świąt. 베소위흐 시비옹트.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Szczęśliwego Nowego Roku. 시쳉실리베고 노베고 로쿠. |
휴가 잘 보내세요. | Dobrego urlopu życzę. 도브레고 우를로푸 지체. |
쾌유를 빕니다. | Życzenia rychłego powrotu do zdrowia. 지체니아 리흐웨고 포브로투 도 즈드로비아. |
감사합니다. 당신도요. | Dziękuję. Wzajemnie. 지엥쿠예. 브자옘니에. |
건배! 건강을 위하여! | Na zdrowie! 나 즈드로비에! |
누구세요? | Kto mówi? 크토 무비? |
잠깐만 기다리세요. | Proszę zaczekać. 프로셰 자체카치. |
시계가 있습니까? | Czy masz zegarek? 치 마쉬 제가레크? |
몇 시입니까? | Która godzina? 크투라 고지나? |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 Jaki jest dzisiejszy dzień tygodnia? 야키 예스트 지시에이시 지엔 티고드니아? |
오늘이 며칠입니까? | Którego dzisiaj? 크투레고 지시아이? |
죄송합니다. 모르겠는데요. | Przepraszam. Nie wiem. 프셰프라샴. 니에 비엠. |
당신은 지금 어디에서 살아요? | Gdzie pan teraz mieszka? 그지에 판 테라스 미에시카? |
나는 크라쿠프에서 살고 있어요. | Mieszkam w krakowie. 미에시캄 프 크라코비에. |
이 장소 이름이 무엇입니까? | Jak nazywa się to miejsce? 야크 나지바 시에 토 미에이스체? |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 Gdzie teraz jesteśmy? 그지에 테라스 예스테시미? |
오늘의 날씨는 어떻습니까? | Jaka jest dziś pogoda? 야카 예스트 지시 포고다?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 Kocham cię. 코함 치에. |
나는 아파요. | Jestem chory. 예스템 호리. |
나는 지금은 좀 나아졌어요. | Czuję się teraz lepiej. 추예 시에 테라스 레피에이. |
여기가 아픈가요? | Czy boli tutaj? 치 볼리 투타이? |
이러면 아픈가요? | Czy to boli? 치 토 볼리? |
많이? / 조금? | Bardzo? 바르조? / Trochę? 트로헤? |
누우세요. | Proszę się położyć. 프로셰 시에 포워지치. |
입을 벌리세요. | Proszę otworzyć usta. 프로셰 오트포지치 우스타. |
혀를 내밀어 보세요. | Proszę pokazać język. 프로셰 포카자치 옝지크. |
무엇을 원하세요? | Co dla Pana? 초 들라 파나? |
잠시만 시간을 좀 주시겠어요? | Proszę dać nam czas. 프로셰 다치 남 차스. |
어디 가세요? (걸어갈 때) | Gdzie Pan idzie? 그지에 판 이지에? |
어디 가세요? (교통수단을 타고 갈 때) | Gdzie Pan jedzie? 그지에 판 예지에? |
당신은 혼자 사세요? | Czy pan mieszka sam? 치 판 미에시카 삼? |
우리 어디에서 만날까요? | Gdzie się spotkamy? 그지에 시에 스포트카미? |
몇 시까지 제가 가야 하나요? | O której godzinie przyjdę? 오 크투레이 고지니에 프시이데? |
당신은 몇 시에 돌아가야 하나요? | O której Pan musi wrócić? 오 크투레이 판 무시 브루치치? |
제가 당신을 집까지 바래다 줄까요? | Czy mogę Panią odprowadzić do domu? 치 모게 파니옹 오트프로바지치 도 도무? |
9. 들어보기
직접 들어보고 싶으면 각종 음악플레이어나 동영상 플레이어에 이 url을 긁어서 붙여넣고 재생해볼 것. 이것은 planeta fm warszawa (플라네타 fm 바르샤바)라는 라디오 채널이다.http://planetamp3-01.eurozet.pl:8400
폴란드 공영 라디오 채널 (1~4) 채널 플레이어
http://player.polskieradio.pl/
폴란드 국가 -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Jeszcze Polska nie zginęła)
Wikitongues의 폴란드어 기록.
올라 루드니츠카가 말하는 폴란드어
아마도 한국에겐 가장 익숙할 폴란드 민요〈SZŁA DZIEWECZKA〉. 우리나라에서는 "아가씨들아" 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그 노래다.
전 세계적으로 전설적인 민중 가요 중 하나인 바르샤바 시민 <Warszawianka>
폴란드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의 "폴란드 가곡집(Op. 74)"에 실린 가곡 17곡. 쇼팽이 일생 동안 작곡한 가곡 19개 중 훨씬 나중에 발견된 두 곡을 제외한 '폴란드어 가곡'을 모아 쇼팽 사후 출판한 것이다. 19세기 유럽의 가곡은 대체로 독일어(게르만어파)로 쓰인 사례(Lied라고 부른다)가 가장 잘 알려져 있고 프랑스어로 쓰인 "멜로디(mélodie)" 등 로망스어군으로 작곡된 사례도 많지만, 3대 유럽어 중 나머지인 슬라브어파 언어로 쓰인 가곡들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편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쇼팽의 가곡들은 작곡가의 명성 덕분에 슬라브어 계열의 대표적인 가곡으로 남아 있다.
겨울왕국의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 폴란드어 더빙판 <Pierwszy raz jak sięga pamięć>
겨울왕국의 <Let It Go> 폴란드어 더빙판 <Mam tę moc>
지금까지 그다지 빠르지 않은 템포의 곡을 들었다면 이번엔 좀 빠른 곡을 들어보자.
Brathanki라는 가수가 부른 w kinie w lublinie 라는 곡이다. 사랑을 갈구하는 내용이다.
Spiżowi Mocni - Na Pełnym
폴란드의 유명 EDM 악곡
디아블로 3 오리지널의 폴란드어 시네마틱 모음
크지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중
10. 폴란드어 지명
이 지역들은 과거 폴란드-리투아니아나 폴란드 제2공화국의 강역에 속했었던 지역들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의 영토가 된 지역들은 항목 참고.괄호 안의 명칭은 1945년까지 쓰였던 독일어 명칭이다.
폴란드어 | 발음 | 현재 표기 |
리투아니아 Litwa | ||
Wilno | 빌노 | 빌뉴스 |
Kowno | 코브노[26] | 카우나스 |
Kłajpeda | 크와이페다 | 클라이페다 |
Troki | 트로키 | 트라카이 |
Szawle | 샤블레 | 셰울레이 |
Ponary | 포나리 | 파네이라이 |
Połąga | 포웡가 | 팔랑가 |
Poniewież | 포니에비에츠 | 파네베지스 |
Mariampol | 마리암폴 | 마리얌폴레 |
Olita | 올리타 | 알리투스 |
Gorżdy | 고르즈디 | 가르그주다이 |
에스토니아 Estonia | ||
Dorpat | 도르파트[27] | 타르투 |
Parnawa | 파르나바 | 패르누 |
라트비아 Łotwa | ||
Lipawa | 리파바 | 리에파야 |
Dyneburg Dźwinów Dźwińsk | 디네부르크 지비누프 지빈스크 | 다우가우필스 |
Jełgawa | 예우가바 | 옐가바 |
Jakubów | 야쿠부프 | 예캅필스 |
Kieś | 키에시 | 체시스 |
Bowsk | 보스크 | 바우스카 |
Krasław | 크라스와프 | 크라슬라바 |
Oknista | 오크니스타 | 아크니스테 |
벨라루스 Białoruś | ||
Mohylew | 모힐레프 | 마힐료우 |
Brześć | 브제시치 | 브레스트 |
Nowogródek | 노보그루데크 | 나바흐루다크 |
Witebsk | 비텝스크 | 비쳅스크 |
Mozyrz | 모지시 | 마지르 |
Grodno | 그로드노 | 흐로드나 |
Wołożyn | 보워진 | 발로진 |
Słonim | 스워님 | 슬로님 |
Słuck | 스우츠크 | 슬루츠크 |
Baranowicze | 바라노비체 | 바라나비치 |
Turów | 투루프 | 투라우 |
Połock | 포워츠크 | 폴라츠크 |
Mołodeczno | 모워데치노 | 말라제치나 |
우크라이나 Ukraina | ||
Kijów | 키유프 | 키이우 |
Czernihów | 체르니후프 | 체르니히우 |
Lwów | 르부프 | 르비우 |
Żytomierz | 지토미에시 | 지토미르 |
Biała Cerkiew | 비아와체르키에프 | 빌라체르크바 |
Tarnopol | 타르노폴[28] | 테르노필 |
Iwano-Frankiwsk | 이바노프란키프스크[29] | 이바노프란키우스크 |
Kamieniec Podolski | 카미에니에츠포돌스키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
Połtawa | 포우타바 | 폴타바 |
Mohylów Podolski | 모힐루프포돌스키 | 모힐리우포딜스키 |
Równe | 루브네 | 리우네 |
러시아 Rosja | ||
Smoleńsk | 스몰렌스크 | 스몰렌스크 |
Królewiec | 크룰레비에츠 | 칼리닌그라드(쾨니히스베르크) |
Wystruć | 비스트루치 | 체르냐홉스크(인슈터부르크) |
Nowy Dwór Pruski | 노비도부르프루스키 | 구리옙스크(노이하우젠) |
Stołupiany | 스토우피아니 | 네스테로프(슈탈루푀넨) |
Jędrzychowo | 옝지호보 | 슬랍스크(하인리히슈발데) |
Frydląd | 프리들롱트 | 프라브딘스크(프리틀란트) |
Pruska Iława | 프루스카이와바 | 바그라티오놉스크(프로이시슈아일라우) |
Piława | 피와바 | 발티스크(필라우) |
Tapiawa Tapiewo | 타피아바 타피에보 | 그바르데이스크(타피아우) |
[1] 한국어 해석: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2] 예를 들어 '찾다'라는 뜻의 폴란드어인 szukać(슈카치)와 발음이 비슷한 체코어 šukat(슈카트)는 욕설로 사용된다.[3] 우크라이나의 인구가 폴란드보다 많긴 하지만, 우크라이나어는 우크라이나 국내에 러시아어 화자가 30%를 차지하는 관계로 화자 수로는 3위에 그친다.[4] 다만 폴란드어의 비아위스토크 방언은 폴란드어의 다른 방언에 비해 러시아어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편이다. 냉전 시절에는 소련과의 접경지대였고 현재도 러시아어권인 벨라루스와의 접경지대이며 그로 인해 현재까지도 폴란드 내에서도 러시아 색채가 강한 곳이기 때문이다.[5] 슬라브어파 자체가 자음이 많은 편이다. 러시아어도 Ń, Ź 정도를 제외하면 아래 자음들을 전부 가지고 있다. 다만 폴란드어의 경우 이중합자가 포함된 로마자 표기법을 쓰다보니 글자도 길고 뭐가 많아 보이는 편이다.[6] 이 영상은 1969년 폴란드 코미디 영화인 <내가 어떻게 2차 세계 대전을 촉발시켰는가(Jak rozpętałem drugą wojnę światową)>의 한 장면이다. 원래 흑백이었던 것에 색을 입혔다. 재미있게도 폴란드어 위키백과에 이 사람의 문서가 존재한다. (폴란드어)[7] '프라네크'라는 대본의 표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명은 프라네크 돌라스(Franek Dolas)이며 이등병이기 때문에 신분 노출을 막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가명이다. 이후 대답하는 지역 이름까지 포함하여 실존하는 이름은 '그제고시'(영어식으로는 그레고리{Gregory}) 단 하나뿐이고 나머지는 다 가짜이다. 기차에서 자다가 독일군이 있는 곳까지 가버려서 수용소로 끌려갔는데, 오만 사고를 치며 탈출해 지금 있는 저곳도 난장판으로 만든 상태였다. 결국 막판에 폴란드군인 걸 들키지만 잔꾀를 발휘해 유고슬라비아로 탈출한다. 눈앞에서 신나게 춤추는데도 그냥 돌아가버리는 독일군들이 압권이었다.[8] 영상에서 대사를 들어보면 도중에 발음 몇 개가 씹혀서 제고ㅅ 브젱츠ㅅ치켸비ㅊ 정도로 들리는데, 폴란드어를 위시한 슬라브 계열 언어의 공통된 특징 중 하나가 강세 없는 모음의 쇠퇴/축약이다.[9] 물론 이 지명 역시 실재하지 않는 가짜 이름이다.[10] 이 도시 이름이 발음하기 괴악하다 보니 얀 브제흐바(Jan Brzechwa, 1898–1966)가 일부러 발음하기 어렵게 지은 시 "딱정벌레(Chrząszcz)"에 이 도시가 등장한다. 이 시의 첫 구절은 "W Szczebrzeszynie chrząszcz brzmi w trzcinie(슈체브제신에는 갈대 속 딱정벌레 소리가 들린다)." 시 전문.[11] rz는 실제로 r의 연음 짝 취급이다.[12] 폴란드어로 '사물'을 의미하는 rzecz(제치)와 '공동의'를 의미하는 형용사 pospolity(포스폴리티)의 합성어. 라틴어 Res publica와 그 의미가 같다. 폴란드계 공화국(현재의 폴란드와 과거 폴란드 역사상 존재했던 공화국)에만 rzeczpospolita라고 하며 일반적인 의미의 공화국은 republika라고 한다. Republika Korei가 그 예시다.[13] 현 폴란드 대통령 안제이 두다의 이름에도 들어있다.[14] 영어로 쓰면 그레고리(Gregory)가 되고 러시아어로 쓰면 그리고리(Григорий)가 된다.[15] 원래 다른 슬라브어에도 비모음이 존재했다. 슬라브조어(Proto-Slavic language)부터 비모음이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 소멸하여 폴란드어를 비롯한 몇몇 레흐어에만 남아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의 경우 작은 유스(Little Yus, Ѧ ѧ)와 큰 유스(Big Yus, Ѫ ѫ)라는 알파벳이 존재했다. 발음은 각각 폴란드어의 Ą과 Ę에 대응한다.[16] 다시 말해 변이음이 있다.[17] 후행하는 모음이 i인 경우 각각 cj, nj, sj, zj로 쓴다.[18] 러시아어도 폴란드어처럼 격이 7개까지 있는 경우도 있지만, 러시아어에서 호격은 일부 명사에서만 쓰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이지 않는다.[19]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을 보면, 같은 성씨를 카슈브어로는 콜야이체크(Koljaiczek)로 표기하고 폴란드어로는 골야체크(Goljaczek)라고 표기하는 장면이 나온다.[20] 어머니가 폴란드인이다. 그리고 불가리아어, 영어, 한국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독일어 등을 구사할 줄 안다.#[21]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22] 출처는 영어 위키백과[23]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 교수이자 번역가. 한국에서 활동 중인 번역가 중 폴란드어 직역을 하는 정말 몇 안 되는 번역가다.# 주요 역작으로 시엔키비치의 쿠오 바디스와 곰브로비치의 코스모스 등이 있다. 최 교수가 번역을 시작하기 전에 한국어로 나온 폴란드 작가들의 역작들은 모두 프랑스어나 러시아어, 일본어 등으로 번역된 것을 중역한 것들이었다.[24] 미국의 역사학자로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를 할 줄 알고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러시아어, 벨라루스어도 읽을 줄 안다.#1#2[25] 아버지가 폴란드계 미국인이라서 어느 정도는 구사할 줄 안다. 발음은 본인 스스로도 별로라고 말하지만, 진짜 폴란드인인 아내의 외조부와 별 문제없이 대화할 정도는 된다.[26] 러시아어명이기도 하다.[27] 독일어, 스웨덴어명이기도 하다.[28] 독일어명이기도 하다.[29] 독일어명이기도 하며 옛 명칭은 Stanisławów(스타니스와부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