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할시(valstspilsēta) | |||||
리가★ Rīga | ||||||
다우가우필스 Daugavpils | 옐가바 Jelgava | 유르말라 Jūrmala | ||||
리에파야 Liepāja | 레제크네 Rēzekne | 벤츠필스 Ventspils | ||||
지방 자치체(novads) | ||||||
아이스크라우클레군 Aizkraukles novads | 알룩스네군 Alūksnes novads | 아우구슈다우가바군 Augšdaugavas novad | 아다지군 Ādažu novads | 발비군 Balvu novads | 바우스카군 Bauskas novads | |
체시스군 Cēsu novads | 디엔빗쿠르제메군 Dienvidkurzemes novads | 도벨레군 Dobeles novads | 굴베네군 Gulbenes novads | 옐가바군 Jelgavas novads | 예캅필스군 Jēkabpils novads | |
크라슬라바군 Krāslavas novads | 쿨디가군 Kuldīgas novads | 체카바군 Ķekavas novads | 림바지군 Limbažu novads | 리바니군 Līvānu novads | 루자군 Ludzas novads | |
마도나군 Madonas novads | 마루페군 Mārupes novads | 오그레군 Ogres novads | 올라이네군 Olaines novads | 프레일리군 Preiļu novads | 레제크네군 Rēzeknes novads | |
로파지군 Ropažu novads | 살라스필스군 Salaspils novads | 살두스군 Saldus novads | 사울크라스티군 Saulkrastu novads | 시굴다군 Siguldas novads | 스밀테네군 Smiltenes novads | |
탈시군 Talsu novads | 투쿰스군 Tukuma novads | 발카군 Valkas novads | 발미에라군 Valmieras novads | 벤츠필스군 Ventspils novads | 바라클랴니군 Varakļānu novads | |
| }}}}}}}}} |
유럽 문화 수도 | |||||
{{{#!wiki style="word-break: norma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owcolor=#fdcb0b,#fdcb0b>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트비아의 직할시 리에파야 Liepāja | |||||||
{{{#!wiki style="margin: -16px -10px" | | | |||||
<rowcolor=#fff> 깃발 | 문장 | }}} | |||||
<colbgcolor=#9e3039><colcolor=#FFFFFF> 국가 |
| ||||||
지역 | 쿠르제메 | ||||||
면적 | 68.02km2 | ||||||
인구 | 67,088명[A] | ||||||
인구밀도 | 990명/km2[A] | ||||||
기후 | Cfb | ||||||
시간대 | UTC+02:00 |
1. 개요
리에파야는 라트비아 서해안에 위치한 도시이자 발트해와 접한 항구도시이다. 발트 연안 지역이 워낙 독일인들의 영향이 강했던지라 1920년까지는 독일어 명칭인 "리바우"가 널리 쓰였다. 러시아어 명칭인 "리예파야"라 표기되기도 한다.리가, 다우가우필스에 이어서 라트비아에서 3번째로 큰 도시이다.
2. 역사
리에파야는 1263년 튜튼 기사단이 세운 리바우(Libau)에서 시작하였다. 리바우는 모래를 뜻하는 리보니아어인 Liiv에서 유래하였다. 15세기에는 암스테르담에서 모스크바까지 이어지는 무역로로가 리바우를 통과하면서 발전하였다. 이 시기 리에파야는 주로 한자동맹 도시들과의 교역을 통해 발전하였고, 발트해 연안 항로의 일부로 기능했다.본격적으로 도시가 된 것은 1625년에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이 리에파야에 마그데부르크 권리를 부여하면서 였다. 당시 쿠를란트-젬갈렌은 리에파야를 중심으로 세력을 넓혔고 카리브해에 식민지를 건설하기도 했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가 프로이센 왕국, 합스부르크 제국, 러시아 제국에 의해 분할되었을 때에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절 리에파야는 군사적 중요성보다 무역 중심지로 기능하였고 발트 독일인 귀족 및 상공업자들이 도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1857년, 제국 칙령으로 리에파야로 가는 새로운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중부 러시아 무역의 상당 부분이 리에파야를 통과하게 되었다.[3] 이 도시는 발트해에 있는 러시아 제국의 주요 항구이자 인기 있는 휴양지가 되었다. 그러나 독일과 사이가 좋아지지 않자 알렉산드르 3세의 명령으로 리에파야는 요새화되고 군항이 들어섰다. 1912년에는 러시아 최초의 수상 비행장 중 하나가 리에파야에 건설되기도 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독일 순양함 SMS 마그데부르크가 리에파야를 포격한 뒤 기뢰를 매설하였다. 1915년 5월 7일 독일은 리에파야를 점령하였으며 이를 기념하는 기념비가 건립되기도 했다.[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자 리에파야의 독일계 주민들은 독일로 편입되려고 했다. 이들은 라트비아 정부와 시시각각 충돌을 하였으며 1919년 4월 16일 리예파야에서 독일인들이 조직한 쿠데타가 일어났다. 그래서 그해 5월 영국 순양함 전대가 라트비아 독립을 지원하기 위해 리에파야로 가기도 했다. 1941년, 나치 독일이 소련에 대한 전쟁인 바르바로사 작전을 시행하자 독일의 북부 집단군은 리에파야를 점령하였다. 나치와 라트비아 협력자들은 7,000명의 유대인 시민들을 학살하였다. 전 후 살아남은 유대인은 30명도 되지 않았다. 전쟁 중에 독일 해군의 잠수함 승무원들은 리에파야에서 어뢰 훈련을 받았다.
소련 시기 리에파야는 완전한 군사기지로 전환되었고 외국인의 출입이 금지되는 비밀도시로 지정되었다. 도시의 3분의 1이 소련 해군 기지로 사용되었고, 병력은 2만 6천 명이 주둔하였다. 소련 붕괴 후 라트비아가 독립하자 리에파야는 군사 도시에서 현대적인 항구도시로 변모하였다. 상업 항구는 1991년 재개항하였고 1994년에는 마지막 러시아군이 리에파야를 떠났다.
3. 경제
리에파야는 라트비아에서 금속 가공 및 기계 제조 산업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 구 소련 시절에는 군수용으로 썼지만 독립 후에는 금속 구조물, 선박 부품, 산업용 장비, 정밀기계 등을 생산하고 있다. 1997년 설립된 리에파야 자유경제구역으로 기업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대규모 물류 인프라를 조성하였다. 리에파야 항구는 라트비아 3대 항구 중 하나이다.4. 교통
라트비아 서해안에 위치해 있고 항구도시에 속해 있다. 라트비아의 항구도시이기 때문에 발트해의 다른 국가들과 항로가 존재한다.5. 관광
▲ 그레이트 앰버 콘서트홀 |
- 성 니콜라스 해군 대성당 (Sv. Nikolaja Jūras katedrāle) : 17세기 러시아 전통 교회 양식으로 지어졌어진 성당으로 리에파야 근교에 있는 카로스타에 주둔한 러시아 해군을 위해 지었다. 초석은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를 포함한 여러 고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놓여졌다. 대성당은 1903년 완공되었다. 소련 시절에는 오락실 겸 휴양실로 개조되었으나 라트비아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는 라트비아 정교회 교회로 쓰이고 있다.
- 카로스타 (Karosta) : 발트해에 위치한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해군기지로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었다. 특히 카로스타에 위치한 군사 감옥은 실제로 갇힐 수 있는 감옥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다. 또한 해안 방어시설 및 벙커들은 바닷물에 침식되어서 독특한 풍경을 형성하였다.
- 그레이트 앰버 콘서트홀 (Koncertzāle "Lielais Dzintars") : 2015년 8월 12일 준공된 콘서트홀로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폴커 기엔케가 설계하였다. 건물은 기울어진 유리 외관으로 둘러싸인 원뿔 모양의 구조이다.
6. 매체
- 스트라이크 위치스: '리바우'라는 독일어 명칭으로 언급되었다. 다만 파푸아뉴기니의 도시 라바울도 모티브가 되었다. 일례로 히메우타 CD에 실린 리바우 항공대는 실존 일본 군가인 라바울 해군항공대를 리메이크 한 것인데 원본 가사의 카미카제스러움이 빠지고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7. 출신 인물
-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라트비아의 농구 선수
- 카를 베베르: 러시아의 외교관이자 초대 주한러시아공사.
8. 자매 도시
9.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 |
<colbgcolor=#9e3039><colcolor=#fff> 라트비아어 | Liepāja |
리투아니아어 | Liepoja (리에포야) |
독일어 | Libau (리바우) |
폴란드어 | Lipawa (리파바) |
러시아어 | Лиепая (리예파야)[5] Либава (리바바)[6] Либау (리바우)[7] |
이디시어 | ליבאַװע (리바베) |
리보니아어 | Līepõ (리에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