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혹한기 훈련 이병 사망사건 | ||
<colbgcolor=#000><colcolor=#fff> 발생일 | 2023년 1월 12일 6시 54분경 | |
발생 위치 | 강원도 태백시 육군 제36보병사단 제107보병여단 | |
원인 | 해부학적 불명 | |
인명 피해 | 사망 | 1명 |
[clearfix]
1. 개요
"이등병이라 그런 말 못 해"…야외 텐트서 숨진 채 발견 | 2023.1.16. SBS 8뉴스 |
2023년 1월 12일 오전 6시 54분경, 강원도 태백시의 육군 제36보병사단 예하부대에서 혹한기 적응을 위한 내한 훈련[1] 에 참여한 최민서# 이등병[2]이 연병장 내 텐트에서 사망한 채 발견된 사건. #
2. 사망원인 등 추진경과
2023년 1월 16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최 일병에 대한 부검 결과를 '사인 불명'[3]으로 결론을 내렸다. 국과수 부검감정서에 따르면 '사인으로 인정할 만한 소견을 보지 못하는 바 불명'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저온이 변사자 사망에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사후 해부학적으로 규명이 어려운 심장이나 뇌의 기능적 이상 등의 내적 원인에 의해 사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유가족은 숨진 아들과 같이 잔 동기와 면담한 결과, 아들이 선임으로부터 가혹행위를 당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으며, 부검 과정을 참관한 결과 최 일병의 시신에 외상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건강했던 아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황망하게 떠나니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이 아니었나 의심이 된다고 밝혔다.
이에 군 당국은 최 일병이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무증상에 가까웠고, 대대장 면담을 통해 건강하다고 판단해 훈련에 참여하게 했다고 밝혔다.#
또한, 경찰은 사건이 발생한 지난 2023년 1월 12일의 강원도 태백시 실외 최저 기온은 영하 5도, 최 일병이 잠을 잤던 텐트의 최저 기온은 영하 2.5도였고, 저체온증으로 사망한 흔적은 없었다고 밝혔다.#
결국 2023년 4월 6일, 군사경찰과 민간경찰은 첫 1차 소견과 마찬가지로 사인을 '사인 불명'으로 최종 결론 내렸다. 군 당국은 사망자의 사인과 내한 훈련과의 연관성이 불명확하다고 판단했고, 경찰도 동사로 확정짓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
사망한 최 일병은 2022년 11월에 입대하였고, 2023년 1월 자대배치 받은직후 코로나19에 확진되어 일주일간 격리됐다. 격리된 지 이틀만에 혹한기 적응을 위한 야외훈련에 참여했고, 야외텐트에서 잠을 자던중 숨진채 발견됐다.
2023년 1월 13일, 육군 보통전공사상심사위원회는 최 일병의 사망을 교육훈련 중 사망으로 판단해 순직으로 결정하였고, 이에따라 계급이 이등병에서 일병으로 1계급 추서되었다.#
2023년 1월 16일, 최 일병의 고향인 대구명복공원에서 오전에 화장을 마치고, 오후 2시께 안장식을 엄수하고, 대전현충원 충혼당 개인단에 안치됐다. #
2023년 4월 6일, 육군 군사경찰과 민간 경찰은 사망원인을 수사한 결과 '사인 불명'으로 최종 결론을 내리고, 수사를 종결하기로 하였다.
군사경찰과 경찰은 대대장과 중대장의 관리 부실 책임을 인정했으나, 최 일병의 사망에 이른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형사 입건할 사안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대신 군 당국은 이들에 대해 소속 사단 내에서 자체 징계를 내리기로 했다.
유족들은 최초 관리부실 책임자들의 처분에 반발했으나, 사망 원인에 대한 조사가 끝난 후 군의 잘못이 없어서가 아니라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뜻으로 부대 지휘관들을 선처해 달라고 부대에 요청했다.
2023년 6월 2일, 부대에서는 최민서 일병 추모비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추모비는 사단 내 병사들의 면회장소이기도 한 '백호 용사의 집' 앞에 세워졌다. 병사들을 위한 상징적인 공간에 추모비를 세운 이유는 작곡가가 되고 싶었던 꿈 많았던 최 일병의 안타까운 희생을 잊지않고 기리겠다는 뜻으로 고인에 대한 추모와 유족들을 위해 최선을 다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1월 21일, 국가보훈부 보훈심사위원회는 국민의 생명, 재산보호와 직접 관련있는 직무수행 및 교육훈련을 수행 하다가 사망한 경우 인정되는 순직-2형을 인정하여 최 일병을 순직으로 심의ㆍ의결하였고, 국가유공자로 인정됐다.#
2024년 1월 12일, 부대에서는 최 일병 순직 1주기를 맞아 안타까운 희생을 잊지않고 추모하기 위해 추모공연, 추모영상 시청, 헌화 및 분향, 조총 및 묵념 등 정성껏 준비한 추모행사를 거행하며 넋을 위로했고, 이후에도 유가족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 반응
3.1. 대한민국 정부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방부에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벌어진 사안인 만큼 철저하게 원인을 조사해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긴급 지시했다.#4.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안학수 하사 월북 조작 사건(1966)A Na Nk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1985)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1996)A F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