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05년 PD수첩 관련보도 자료노충국이라는 병사가 복무 중 생긴 복통 증상으로 군병원 검사에서 위궤양으로 진단되었고 만기전역 후인 2005년 민간병원 검사에서 위암 말기로 진단된 후 사망한 사건.
2. 당사자
노충국 예비역 병장의 영정 |
- 노충국(1977년생, 2005년 10월 27일 사망, 향년 28세)
노충국은 입대 전 용인대학교 태권도학과를 다니다가 2003년 입대해 탄약지원사령부 예하 모 탄약창으로 배치되었는데 주된 입대 연령대보다 늦은 나이인 26세에 입대했다. 키 180cm, 몸무게 80kg인 노 병장 자신은 물론이고 그의 주변인 누구도 위암에 걸릴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3. 사건 진행 과정
아래는 관련 기사(1, 2)의 내용을 토대로 한 사건 진행 과정이다.- 2005년 2월 어느날: 전역을 앞둔 노충국 병장은 식사를 하면서 삼키기 힘든 일이 잦아졌으며 복통과 소화불량도 있었다.
- 3월 29일: 국군광주병원에서 진단을 받았으나 위궤양 진단을 받고 1개월치 약을 받음.
- 4월 28일: 노충국 병장이 쓰러지자 2차 진료를 했고 조직검사를 함
- 5월 4일: 조직검사 결과 위궤양 진단.
- 6월 24일: 만기전역
- 7월 7일: 민간병원에서 위암 말기를 진단받음.
- 10월 27일: 사망
사건의 진행 과정을 요약하면 노충국이 위궤양으로 진단되어 약만 먹었다는 것인데 어느 정도였냐면 노충국의 아버지는 KBS 인터뷰에서 "겔포스 같은 것만 타가지고 왔다"는 말을 했을 정도였다.
4. 군병원의 진료기록 조작
KBS 뉴스 9 - 故 노충국 씨 진료 기록 조작사후 진료기록이 위암의 가능성을 미리 알려줬다는 식으로 조작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담당 군의관이었던 이 대위가 단독으로 한 것이었다.
5. 비슷한 사건 당사자
노충국과 비슷한 사건 당사자 3명의 사망 전 사진. 왼쪽 순으로 박상연 병장, 오주현 병장, 김웅민 병장의 전역 후 사진이다. 전역 후 암으로 진단되었고 그로부터 수개월 후 사망했다. |
아래 인물들은 2005년에 일어난 '제2의 노충국 사건'으로 불린 비슷한 사건의 당사자들이다. 군복무 중 암이 있다는 것을 군병원에서 제대로 진단받지 못해 치료 시기를 놓쳐 만기전역 후 암 말기로 진단받은 후 사망한 당사자들인데 대부분 만기전역후한 지 만 1년도 안 되어 사망했다.
- 김웅민: 2003년 6월 입대했고 육군 202연대의 행정병으로 복무 중 소화불량으로 국군벽제병원 내시경 검사에서 위궤양 진단을 받고 한 달 동안 입원치료 후 퇴원했다. 이후에도 소화가 안 되는 증상이 계속되어 전역 직전인 2005년 5월 한 민간병원에서 내시경검사를 받았는데도 이상이 없다고 보았다. 2005년 6월 만기전역한 후에도 소화불량이 계속되어서 서울의 대학병원에서 검사를 받은 결과 위암 말기로 진단받았다. 같은 해 11월 21일 사망했다. 사망 당시 향년 23세.
- 박상연: 육군 제5기갑여단에 배치되었고 2005년 2월 만기전역했는데 전역한 지 한두달 만에 위암 3기 진단을 받았다. 위암 3기 진단 후 위와 비장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를 시작했지만 암세포가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암 4기 진단까지 받았고 암세포가 복막, 직장, 신장, 간, 췌장 꼬리뼈에까지 전이되었다. 이후 보훈병원, 원자력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는 등 투병생활을 했지만 2006년 8월 23일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향년 24세.
- 윤여주: B형 간염 보균으로 3급 현역으로 판정[1]되었고 2002년 2월 입대했다. 제9보병사단에 배치되어 복무 중 구토와 어지러움증 등을 호소했지만 의무대 진료와 군병원에서도 피검사만 받은 정도가 전부였다. 2005년 4월 만기전역한 지 20여일째 되는 날에 간암 말기로 진단되였으며 같은 해 12월 18일 사망했다. 사망 당시 향년 26세. 여담으로 당시 소대장으로 있었던 예비역 중위가 이 문제와 관련된 참회의 글을 국방부 게시판에 올린 것이 기사로 나오기도 했다.
- 오주현: 20세였던 2003년 대학 1학년을 마친 후 휴학했고 같은 해 해군에 입대하였으며 입영신체검사에서 신체와 혈액검사에서도 아무 이상이 없었다.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제주방어사령부에 배치되어 군복무 중이던 2004년 7월 어느 날 복통을 호소했지만 군의관은 장염으로 진단했으며 2005년 3월 29일 만기전역했다. 이후 복학을 준비하던 동안 피곤함을 느끼고 같은 해 5월 복통이 심해 마산삼성병원에서 검사를 받았더니 췌장암 말기로 진단되었으며 삼성서울병원 정밀검사에서도 똑같은 결과였다. 그 해 5월 국가유공자 심사에서 군복무 중 암이 생겼다는 것을 인정받아 같은 해 11월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었고 투병생활을 하다가 2007년 11월 29일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향년 24세.
- 이현찬: 2002년 2급 현역으로 판정되었고 2003년 9월 입대했으며 전투경찰로 차출되어 316전경대에 배치되었다. 2004년 9월 휴가를 나와 왔는데 가족들이 등에 조그마한 혹이 있는 것을 발견해 같은 해 10월 경찰병원에서 혹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다. 경찰병원은 외부병원에 이현찬의 혹에 대해 조직병리검사를 의뢰했는데 '면부조직중괴 수술 후 신경섬유종'이라는 악성종양으로 진단되었다. 같은 해 11월 3일 민간 종합병원으로 이송됐으며 2005년 2월 사망했다. 향년 24세.
- 유튜버 빛빛일기(최모 씨): 노충국 사건이 일어난 지 수 년이 지난 후에 발생한 유사 사건의 당사자. 1급 현역 판정을 받고 2012년 5월 입대 후 헌병으로 배치되었다. 한창 군복무 중이던 2013년 12월에 몸에 이상을 느낌과 동시에 혈변을 보았고 의무대를 거쳐 양주병원으로 옮겨서 몇 달에 걸쳐 군의관 두 명에게 진료를 받았지만 단순한 치질(내치핵)으로 판단했고 약만 받아 먹었다고 한다. 그렇게 별다른 진전 없이 전역 후에도 혈변이 계속되자 병원에 갔고 대장암 4기 판정을 받았으며 7년여간의 투병 끝에 2020년 11월 30일 사망했다. 향년 29세. 군대서 '혈변' 본 병사는 치질약만 처방받았는데, 전역 후 '대장암' 진단을 받았다. 투병생활 중 출신 부대에 관해 생활관에서 석면이 나오고 발암물질의 하나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기도 했다고 한다.
6. 기타
- 2005년 국방부 자료에 의하면 2000년부터 2005년 8월 사이의 군 복무 중 암 발생 환자는 1,639명,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78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건(1996)A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
[1] 단순 간염 보균자는 당사자가 병역판정검사를 받던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이나 이전에도, 이후에도 3급으로 판정된다. 신체등급 3급이 보충역으로 판정되던 1988~1991년 판정기준(1969~1972년생이 주요 적용자)에서는 키, 체중, 질환으로 3급 판정을 받으면 대학 재학 이상이더라도 보충역으로 판정되었다. 1987년까지 중졸~고졸 학력 기준으로 3급은 연도마다 현역으로 판정될 때도 있었고 보충역으로 판정될때 도 있었으며 대학 재학 이상 3급은 현역이었다. 거기에 1980년대에는 현역으로 판정되더라도 보충역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3급 판정자가 아예 현역대상으로 포함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이것은 저출산과 연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