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732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732F> 이집트 | 카이로 · 기자 · 알렉산드리아 · 데숙 · 카프르엘셰이크 · 만수라 · 탄타 · 시빈엘콤 · 반하 · 아시유트 · 퀴나 · 룩소르 | |
모로코 | 탕헤르 · 우지다 · 페스 · 라바트 · 메크네스 · 카사블랑카 · 마라케시 · 아가디르 · 엘아이운 | ||
튀니지 | 튀니스 · 타바르카 · 비제르트 · 베자 · 카이로우안 · 수스 · 마흐디야 · 스팍스 · 토주르 · 가베스 | ||
세네갈 | 티바완 · 티에스 · 다카르 · 디우르벨 | ||
카메룬 | 야운데 · 두알라 · 응가운데레 · 응간하 | ||
리비아 | 트리폴리 · 데르나 · 벵가지 | ||
수단 | 하르툼 · 북하르툼 · 옴두르만 | ||
니제르 | 아가데즈 · 니아메 | ||
나이지리아 | 아부자 · 라고스 | ||
말리 | 바마코 · 팀북투 |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 · 메디나 · 메카 · 바하 · 압하 · 지잔 · 타부크 · 나즈란 · 담맘 · 부라이다 · 하일 · 사카카 · 아라르 · 호푸프 | ||
팔레스타인 | 가자 · 나블루스 · 라말라 · 아리하 · 예루살렘 · 베이트 울라 · 사이르 · 알칼릴 · 칼킬리야 · 툴카름 · 제닌 · 칸유니스 · 할훌 | ||
레바논 | 베이루트 · 트리폴리 | ||
시리아 | 다마스쿠스 · 알레포 · 라타키아 · 홈스 | ||
이라크 | 바그다드 · 모술 · 바스라 | ||
요르단 | 암만 · 카라크 · 마안 · 살트 · 자르카 · 마프라크 · 이르비드 | ||
예멘 | 사나 · 아덴 · 타림 | ||
오만 | 무스카트 · 소하르 · 도파르 · 니즈와 | ||
아랍에미리트 | 아부다비 · 두바이 · 샤르자 · 라스 알카이마 · 아지만 | ||
이란 | 테헤란 · 이스파한 · 쉬라즈 · 카샨 · 타브리즈 | ||
튀르키예 | 앙카라 · 이스탄불 · 카이세리 · 이즈미르 · 에디르네 · 부르사 · 메르신 · 가지안테프 · 샨르우르파 | ||
북키프로스 | 파마구스타 · 레프코샤 · 키레니아 | ||
러시아 | 카잔 · 그로즈니 |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부하라 | ||
그 외 국가 | 사라예보 · 티라나 · 그라나다 · 실베스 · 누악쇼트 · 리브르빌 · 반줄 · 와가두구 · 은자메나 · 코나크리 · 프리타운 · 비사우 · 파라마리보 · 지부티 · 모가디슈 · 캄팔라 · 마푸투 · 모로니 · 쿠웨이트 · 마나마 · 도하 · 바쿠 · 알마티 · 비슈케크 · 두샨베 · 아시가바트 · 카불 · 이슬라마바드 · 다카 · 말레 · 마라위 · 반다르스리브가완 · 쿠알라룸푸르 · 자카르타 | }}}}}}}}} |
키레니아 Κερύνεια Girne | |||||
width=100% | width=80% | ||||
<rowcolor=#ffffff> 시기 | 문장 | ||||
<colbgcolor=#DC143C> 국가 | <colbgcolor=#fff,#191919>
| ||||
주 | 키레니아 구 | ||||
면적 | 643.9㎢ | ||||
인구 | 96,663명[A] | ||||
인구 밀도 | 870명/㎢[A] | ||||
시간대 | UTC+2 | ||||
1. 개요
키레니아는 키프로스 북부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다. 키레니아는 북키프로스의 관광 수도로 불리는 문화 및 경제 중심지이다.법률상으로는 키프로스의 영토(행정 구역상으로는 키레니아 구)이지만 1974년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이후부터는 사실상 북키프로스의 실질적인 지배 상태(행정 구역상으로는 기르네 구)에 있어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 인구가 많은 편이다.
2. 역사
키레니아를 언급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1,125~1,100년 대인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람세스 3세의 기록에서이다. 전설에 따르면 아르카디아 출신 케페우스가 아카이아의 여러 마을에서 많은 정착민을 데리고 키프로스의 북쪽 해안에 도착해 세운 마을이다. 또한 헤라클레스의 12가지 과업에 등장하는 케리네이아의 암사슴의 고향이기도 하다.키레니아는 초창기 부터 소아시아 해안과의 근접성 덕분에 상업과 해상 무역에서 엄청난 이점을 누렸다. 키레니아는 사모스, 코스, 로도스, 키레나이카, 소아시아의 해안 도시 등과 긴밀한 해상 관계를 맺고 있었다. 기원 전 323년 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후 키레니아는 안티고노스 왕조와 동맹을 맺은 라피토스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로마인들이 키프로스를 점령하자 키레니아는 로마의 점령 하에 있었다.
로마 제국이 동과 서로 분열되면서 395년 키레니아는 비잔틴 제국의 황제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러나 키프로스가 영국의 국왕 리처드 1세가 차지하였다. 그는 성전 기사단에 키프로스를 팔았고, 그 이후 기 드 뤼지냥에게 팔았다. 키프로스 왕국의 통치 하에 키레니아는 키프로스 북부의 행정 및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키프로스의 왕은 성을 확장하고, 도시 주변에 벽과 탑을 쌓고, 요새를 항구까지 확장했다. 1489년, 키프로스는 베네치아의 지배 를 받게 되었습니다. 베네치아인들은 화약과 대포 사용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키레니아 성을 개조했다. 1505년에는 아나톨리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염병으로 마을 인구의 4분의 1이 사망했다. 그 후 1571년 키레니아는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183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이 인구의 52%를 차지했습니다. 영국이 섬을 통치한 지 3년이 지난 1881년에는 마을의 무슬림과 기독교도가 거의 비슷해졌다. 그 후 키프로스의 무슬림들이 아나톨리아로 계속 이주하자 그 비율은 계속 낮아져서 1960년이 되면 터키계 키프로스인은 20%에 도달했다.
1878년, 영국과 오스만 정부 간의 비밀 협정에 따라 키프로스는 지중해 동부의 군사 기지로서 영국에 양도되었다. 이 후 키레니아의 온화한 기후, 그림 같은 항구, 수많은 고고학 유적지, 바다와 산, 초목이 어우러진 탁 트인 전망, 현대적인 편의 시설이 곧 많은 여행객을 끌어들였고, 관광을 통해 키레니아의 경제가 발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더 많은 호텔이 건설되었고 수많은 영국인들이 키레니아에 정착하였다.
1960년 키프로스는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그러나 1963년과 1964년 사이 키프로스 섬의 그리스계 주민과 터키계 주민 사이에 발발한 민족 간의 갈등은 키레니아의 번영에 종막을 알렸다. 1974년 7월 20일 터키가 키프로스를 침공하자 키레니아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대부분은 남쪽으로 도망쳤다. 그 후 키프로스의 다른 지역에서 이주한 터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에서 온 이민자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고 그 결과 이 도시의 현재 민족 구성은 주로 터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이 되었다.
3. 관광
▲ 키레니아 성 |
- 키레니아 성 (Girne Kalesi) : 16세기에 베네치아인들이 십자군 요새 위에 건설한 성으로 현재 기원전 4세기의 그리스 상선 의 잔해가 전시되어있는 난파선 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 세인트 힐라리온 성 (Saint Hilarion Kalesi) : 이 성은 4세기에 팔레스타인과 키프로스에서 활동했던 성 힐라리온 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1세기 비잔틴 제국 시기 만들어진 이 성은 키프로스 왕국 국왕들의 여름 별장으로 쓰였다.
- 벨라파이스 수도원 (Bellapais Manastırı) : 13세기 가톨릭 사제들이 세운 수도원으로 해발 220m의 고도에 위치하여 키레니아와 지중해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현재 수도원은 폐허가 되었고 안에는 레스토랑과 카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