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6298>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2 야자와 코타 · 13 나바타메 츠바사 · 14 카토 타카유키 · 15 키타야마 코키 · 16 타츠 코타 · 17 이토 히로미 · 18 야마사키 사치야 · 19 타마이 타이쇼 20 우에하라 켄타 · 22 스기우라 토시히로 · 24 카네무라 쇼마 · 25 미야니시 나오키 · 26 타나카 세이기 · 28 카와노 류세이 · 29 호소노 하루키 31 시바타 레오 · 32 후지타 류세이 · 34 호리 미즈키 · 35 아사리 타몬 · 37 구린루이양 · 40 후쿠다 스구루 · 41 후쿠타니 코지 · 42 아네우리스 자발라 · 45 드루 버헤이겐 46 쿠로야나기 쿄스케 · 48 사이토 유키야 · 51 이시카와 나오야 · 52 이케다 타카히데 · 55 마츠우라 케이토 59 네모토 하루카 · 62 시미즈 다이키 · 63 야마시로 코타로 · 67 야마모토 타쿠미 · 93 마츠오카 코키 · 94 후쿠시마 렌 · 95 야나가와 타이세이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토 히로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토 히로미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 ||||||||||||||||||||||||||||||||||||||||||||||||||||||||||||||||||||||||||||||||||||||||||||||||||||||||||||||||||||||||||||||||||||||||||||||||||||||||||||||||||||||||||||||||||||||||||||||||||||||||||||||||||||||||||||||||||||||||||||||||||||||||||||||||||||||||||||||||||||||||||||||
2021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202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 진 바키 한신 / 29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4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4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승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1.000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57 | 미소노오 타카오 오사카 / 1.000 | 미소노오 타카오 오사카 / .909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905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800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760 | 모리 코타로 한큐군 / .789 | 히로세 슈이치 도쿄쿄진군 / .778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756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846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778 | 미소노오 타카오 오사카 / .750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722 |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77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833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885 | 후지무라 타카오 오사카 / .806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818 이시카와 카츠히코 나고야 / .818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727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833 | 호리우치 쇼 요미우리 / .778 | 키도 요시노리 요미우리 / .708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690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711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677 | 이토 요시아키 요미우리 / .684 | 코야마 마사아키 한신 / .711 | 야마나카 타츠미 주니치 / .714 | 이시카와 미도리 한신 / .769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야마나카 타츠미 주니치 / .857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889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857 | 시마다 겐타로 타이요 / .700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815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824 | 사카이 카츠지 타이요 / .692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743 | 쿠라타 마코토 요미우리 / .667 |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69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호시노 센이치 주니치 / .773 | 카토 하지메 요미우리 / .789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786 | 스즈키 야스지로 야쿠르트 / .813 | 후지사와 키미야 주니치 / .722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후쿠시 히로아키 히로시마 / .714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769 | 미야코 유지로 주니치 / .762 | 츠다 츠네미 히로시마 / .750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750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727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818 | 카와바타 쥰 히로시마 / .833 | 오노 카즈유키 주니치 / .818 |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769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800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733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739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773 | 키토 마코토 히로시마 / .762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765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800 |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769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762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83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쿠도 키미야스 요미우리 / .706 | 이리키 유사쿠 요미우리 / .765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773 | 이가와 케이 한신 / .800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722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안도 유야 한신 / .688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708 |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778 |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800 |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 .882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쿠보 야스토모 한신 / .737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857 | 스기우치 토시야 요미우리 / .750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800 |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722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마일스 마이콜라스 요미우리 / .813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842 | 야부타 카즈키 히로시마 / .833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682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789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875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684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765 | 아즈마 카츠키 DeNA / .842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833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77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노무라 타케시 마이니치 / .818 | 나카타니 노부오 난카이 / .875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731 | 오오가미 타케토시 난카이 / .704 | 니시무라 사다아키 니시테츠 / .815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무라 타이세이 난카이 / .852 | 우에무라 요시노부 마이니치 / .792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854 | 아키모토 유사쿠 한큐 / .778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905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750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750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826 | 타나카 츠토무 니시테츠 / .680 모리나카 치카라 난카이 / .680 | 조 스탠카 난카이 / .788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하야시 토시히코 난카이 / .850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720 | 이시이 시게오 난카이 / .692 | 무라카미 마사노리 난카이 / .818 |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720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사키 코이치로 킨테츠 / .773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786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750 | 야기사와 소로쿠 롯데 / .875 | 타케무라 카즈요시 한큐 / .75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786 노무라 오사무 닛폰햄 / .786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788 | 이나바 미츠오 한큐 / .739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818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808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733 | 마시바 시게쿠니 닛폰햄 / 1.000''' | 쿠도 미키오 닛폰햄 / .833 | 타카하시 나오키 세이부 / .813 | 이시카와 마사루 롯데 / .789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시모토 요시아키 킨테츠 / .864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727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789 | 궈타이위안 세이부 / .813 | 호시노 노부유키 오릭스 / .714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692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842 |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833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833 | 궈타이위안 세이부 / .722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722 | 호시노 노부유키 오릭스 / .722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750 |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591 | 시노하라 타카유키 다이에 / .93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오노 신고 롯데 / .722 | 타노우에 케이사부로 다이에 / .650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630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870 |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882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941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783 |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941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840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750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750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696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792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773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000 | 키시 타카유키 세이부 / .765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750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750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765 | 마이크 볼싱어 롯데 / .867 | 야마오카 타이스케 오릭스 / .76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78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783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750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727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737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800 |
센트럴 리그는 1973년부터 2012년까지 최고승률이 타이틀 시상 대상에 들어가지 않았고, 퍼시픽 리그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최우수투수' 명칭으로 타이틀을 시상했다. 2013년부턴 양대리그 모두 13승 이상(2020년 한정 10승 이상)을 기록한 투수 중 승률이 제일 높은 투수에게 '승률 제1위 투수'라는 타이틀로 최고승률을 시상하고 있다. 2013년 이전의 최고승률 기준의 경우 센트럴 리그는 규정이닝을 채운 선수 중 가장 승률이 높은 선수를, 퍼시픽 리그는 1985년까진 센트럴 리그와 같은 기준이었으나 1986년부터 13승 이상을 기록한 선수 중 가장 승률이 높은 선수를 최고승률 선수로 규정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2021~2025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2021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타카하시 유키 요미우리 / 투수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내야수 | 로베르트 수아레스 한신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외야수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외야수 | 티아고 비에이라 요미우리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2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애런 윌커슨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니시 유키 한신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이마나가 쇼타 DeNA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주니치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3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내야수 | 오타케 코타로 한신 / 투수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 외야수 |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야마사키 이오리 요미우리 / 투수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 외야수 |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4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라이델 마르티네스 주니치 / 투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내야수 |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내야수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내야수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투수 사노 케이타 DeNA / 외야수 |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치카모토 코지 한신 / 외야수 | 요시무라 코지로 야쿠르트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5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야마사키 이오리 요미우리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존 듀플란티어 한신 / 투수 산드로 파비안 히로시마 / 외야수 |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 외야수 | 사이키 히로토 한신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 ||
이토 히로미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17번}}} | ||||
우라노 히로시 (2014~2020) | → | 이토 히로미 (2021~) | → | 현역 |
}}} ||
| |
<colbgcolor=#006298><colcolor=#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No.17 | |
이토 히로미 伊藤大海 | Hiromi Itoh | |
출생 | 1997년 8월 31일 ([age(1997-08-31)]세) |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 카야베군 시카베정 | |
국적 |
|
학력 | 코마자와대학 부속 토마코마이 고등학교 - 고마자와대학 (중퇴) - 토마코마이 고마자와대학 |
신체 | 176cm | 82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20년 드래프트 1순위 (닛폰햄) |
소속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21~) |
연봉 | 2024 / ¥115,000,000 |
응원가 | 응원가[가사][2] |
1. 개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홋카이도 출생이자 토박이로, 홋카이도 소재 코마자와대학 부속 토마코마이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2학년때 봄 고시엔에서 나가사키현 소재 소세이칸고교를 상대로 완투승을 거뒀다. 이후 도쿄의 코마자와대학에 입학했지만 1학년 때 자퇴한 후 토마코마이 분교에 입학했다. 규정에 따라 1학년 때는 출전할 수 없었지만 2학년부터 리그전에서 6승을 기록하는 등 에이스로 활약했고 3학년 때는 일본 대학 선수 대표로 뽑혀 마무리로서 활약했다.이러한 대학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20년 드래프트에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가 1순위로 지명하게 된다. 닛폰햄이 홋카이도로 이전한 2004년 이후 최초로 지명한 홋카이도 출신 1라운더이다.
2.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2.1. 2021 시즌
데뷔 첫 시즌인 2021 시즌, 팀은 바닥을 기고 있지만 본인은 선발로 낙점받아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데뷔 경기인 3월 31일 세이부전에서 선발등판해 6이닝 4피안타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승리투수가 되지는 못했다. 이후 호투를 계속했음에도 승리를 얻지 못하다 4월 28일 소프트뱅크전에서 6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5경기만에 통산 첫 승리투수가 되었다. 이후 교류전에서 3승 ERA 0.90을 기록하며 2관왕을 차지했고 퍼시픽리그 최우수선수상인 「일본생명상」을 수상했다.
도쿄 올림픽에 의해 시즌이 중단되기 전까지 13선발 7승 4패 81.1이닝[3] 87K[4], ERA 2.42의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성적 부진을 이유로 대표팀에서 자진하차한 요미우리의 스가노 토모유키를 대신하여 2020 도쿄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도쿄 올림픽 이후 첫 선발이었던 8월 20일 라쿠텐전에서 본인 최악이었던 6실점을 하기도 했지만 다음 선발인 8월 29일 세이부전에서는 134구를 던지며 본인 첫 완봉을 기록하기도 했다. 쿠리야마 히데키 감독의 마지막 닛폰햄 경기가 된 지바 롯데와의 정규시즌 최종전에서 7이닝 1실점 승리투수가 되며 시즌 10승을 달성했다.
최종 성적은 23경기(23선발) 146이닝 ERA 2.90 141탈삼진 10승 9패. 전체적으로 폭망한 팀 전력을 끼고 던지는 가운데에서도 기존의 에이스 우와사와 나오유키, 카토 타카유키와 함께 그나마 괜찮은 프론트라인 선발진을 이루었다. 신인왕은 오릭스의 중고신인 미야기 히로야에 내주었지만 대신 퍼시픽리그 신인 특별 표창을 받았다.[5] 이후 연봉도 1,500만엔에서 4,100만엔으로 수직상승하였다.
2.2.2. 2022 시즌
1월 30일에 무증상으로 코로나 양성판정을 받아 춘계 캠프에 지각 합류하기도 했지만 개막 1군에는 문제없이 진입했다. 그러나 BIGBOSS의 방침으로 소프트뱅크와의 개막전에서 중간계투로 출전해 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통산 첫 홀드를 기록했다.이후 4월 2일 오릭스전에서 시즌 첫 선발 등판해 6이닝 2실점으로 호투했지만 패전투수가 되었고, 이후에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5월 13일 소프트뱅크전에서 완봉승을 기록하며 다시 본궤도를 되찾아 7월 2일 오릭스전에서도 완봉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QS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보였다. 특히 소프트뱅크와 오릭스에 강한 모습을 보이며 강팀 킬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소프트뱅크 상대로 7경기 4승 2패 2.79, 오릭스 상대로 3경기 2승 1패 0.82를 기록했다. 전반기 종료 후 올스타에 선발되어 2차전에서 1이닝을 삼자범퇴로 깔끔하게 틀어막기도 하였다.
결국 9월 2일 라쿠텐전에서 시즌 10승째를 올리며 닛폰햄 구단에서 1988년 니시자키 유키히로 이래 34년만에 신인으로써 2년 연속 10승을 올린 선수가 되었다. 이후 BIGBOSS의 방침으로 9월 26일 라쿠텐전에서는 1점 리드 상황에서 마무리로 등판해 개인 첫 세이브를 거두기도 했다. 이후 신조 감독은 내년 이토의 마무리 전환 가능성을 언급하며 논란이 되기도 했다.[6][7]최종 성적은 26경기(23선발) 10승 9패 1홀드 1세이브 ERA 2.95를 기록했다.
2.2.3. 2023 시즌
2023 WBC에서 활약하고 돌아왔더니 개막 일주일이 채 남지 않은 3월 24일이었다. 2군에서 약간의 조정을 거치고나서 개막으로부터 다섯 번째 경기인 롯데전에 시즌 첫 선발 등판을 가졌다. 첫 등판에서는 5이닝 무실점 노디시전으로 마무리했지만 WBC 출전의 영향인지 몰라도 컨디션 난조를 겪으면서 탈탈 털리면서 4월까지 5.82의 방어율을 기록하며 3연패를 겪었다. 키타야마 코키, 스즈키 켄야, 코너 메네즈 등의 선발 자원의 활약으로 신조 츠요시 감독은 더 부진하면 선발 박탈까지 고려하고 있다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다.그래도 선발 박탈의 위기 덕분인지, 5월 2일 세이부전에서 7이닝 1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을 거둔 것을 시작으로 8경기 연속 7이닝 소화로 이닝이터의 역할을 펼치면서 준수한 피칭을 선보였다.
교류전 기간인 6월 17일 주니치전에서 7이닝 3실점으로 승리 투수를 챙기는 한편, 5회초 두 번째 타석에서 프로 데뷔 첫 안타 및 타점까지 신고하였다.
전반기를 5승 5패 3.49로 마무리한 이후, 7월 22일 후반기 첫 등판부터 타구에 직격당한 탓에 오릭스 상대로 5이닝 2피홈런 3실점으로 강판되었다. 이것이 영향이 크게 갔던 모양인지, 29일 오릭스전 홈경기와 8월 5일 소프트뱅크전 홈경기에서 각각 3이닝 5피안타 3볼넷 1K 4실점(3자책), 4⅓이닝 10피안타 1사구 4실점으로 떡실신당해버렸다.
8월 12일, 재회한 소프트뱅크를 상대로 7이닝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를 거둔 이후에 오릭스 원정 8이닝 2실점 완투패, 세이부전 완봉승, 오릭스전 9이닝 완투패로 3경기 연속 완투를 펼치는 활약(?)을 이어나갔다. 하지만 9월 10일 세이부전에서 동료의 실책에 짜증이 나[8] 베이스커버를 게을리하다 2⅓이닝 9피안타 3볼넷 6실점(4자책) 강판으로 업보로 돌아왔다. 타테야마 요시노리 투수 코치가 "맞고 안 맞고의 문제가 아니다. 에러가 나오거나 자신이 제구가 되지 않는 것에 씩씩거리고 있다. 투수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지 않다. 이래선 다음 등판은 정할 수 없다"며 선발 로테이션을 거를 수도 있다고 시사했으나, 18일 소프트뱅크전에 7이닝 1실점 호투를 펼치며 만회하며 3년 연속 규정이닝을 달성했다.
정규시즌 마지막 등판인 9월 25일 라쿠텐전 홈경기에서도 8회까지 1실점 호투로 1:1의 팽팽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와중에 9회에도 마운드에 올랐다. 하지만...선두타자 오카지마 타케로에게 2루타를 얻어맞고 스즈키 다이치에게 사구를 맞히며 흔들리기 시작, 희생번트 이후 병살 유도를 위해 타츠미 료스케를 경원하여 1사 만루가 되었다. 라쿠텐은 은퇴를 선언한 프랜차이즈 스타 아카미나이 긴지를 대타로 내세웠으니, 흔한 기량이 쇠한 은퇴 선수 기용 그 자체인 상황. 그런데 이토는 긴지에게 좌전 적시타를 허용하며 역전을 허용했고 코부카타 히로토에게도 2타점 적시타를 얻어맞고 강판되었다. 구원 등판한 타마이가 무라바야시 이츠키는 처리하였지만, 좌타자인 시마우치 히로아키를 상대하기 위한 좌우놀이로 내보낸 좌완 키타우라가 난타당하면서 이토의 실점을 6점으로 늘리고 본인 주자까지 불러들이며 9회에만 8실점을 기록하는 홈팬들 앞에서 방화쇼 끝에 최악의 형태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정규시즌 기록은 24경기 7승 10패 153⅓이닝 ERA 3.46 WAR 4.3으로, WBC 복귀나 부진한 팀 성적 등으로 인해 세부 스탯에 비하면 클래식 스탯이 아쉽게 찍히긴 했다. 특히 팀 내야진의 수비가 심각한데 FIP는 ERA에 비해 0.3이 낮은 3.16을 기록했다.
2.2.4. 2024 시즌
우와사와 나오유키가 메이저 도전을 선언한 가운데, 신조 츠요시 감독이 2024 시즌 개막전 선발 투수로 공표하였다. 이로써 커리어 첫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게 되었다.신조 감독의 공표대로 3월 29일 개막전이었던 3월 29일 치바 롯데전에 선발 등판해 6이닝 4피안타 9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6월까지 ERA 2.44를 기록하며 팀 내 에이스 역할을 해주고 있다.
7월 14일 소프트뱅크전 7이닝 118구 6피안타 8삼진 0사구 1실점으로 시즌 7승을 거두었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인 7월 21일 치바 롯데전 4.1이닝 82구 8피안타 3볼넷 5실점(4자책)으로 무너졌다. 2.68의 평균자책점도 2.92까지 올랐다. 팀은 타선의 대폭발로 패전은 면했다.
7월 28일 세이부전에서는 타선이 무려 9점을 초반부터 뽑아주어 시즌 8승을 거두었다. 9이닝 94구 2피안타 7삼진 0볼넷 0실점으로 6월 12일 주니치 교류전에서 완봉승 한 이후 6경기 만에 또 완봉승을 거두었다. 평균자책점도 2.92에서 2.68로 떨어졌다.
8월 4일 소프트뱅크전에서 7이닝 3피안타 7삼진 1실점 호투했지만 9회 마무리의 방화로 인해 시즌 9승은 다음을 기약하게 되었다. 현재 평균자책점은 2.60을 기록 중이다.
8월 11일 세이부 전에서 7이닝 7피안타(1피홈런) 5실점(4자책)으로 일찍이 8점을 뽑아준 타선과 팀을 아찔하게 할 뻔했다. 팀은 8-7로 이겨 시즌 9승을 기록했다. 현 평균자책점은 2.74를 기록 중이다.
9월에 들어와서는 3일 소프트뱅크와의 경기에서 7이닝 3실점 승리를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스타트를 끊었다.
10일 세이부와의 경기에서는 10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하였다.
18일 소프트뱅크전에서 무려 135구를 던지며 2경기 연속 완봉승을 따냈다.
26일 라쿠텐과의 경기에서는 1회에 흔들리며 선제점을 내줬지만, 그 이후 위기관리능력을 보여주며 9이닝 1실점이라는 기록으로 3경기 연속 완투와 동시에 본인의 손으로 팀의 6년만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야말로 무쌍모드. 월간 ERA도 1.06을 기록하였다.
단독 다승왕을 확정짓기 위해 시즌 최종전이었던 10월 8일 라쿠텐전에 선발등판해 7이닝 2실점을 기록했으나 팀 타선이 한점도 지원해주지 못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래도 9・10월 성적 4승 1패 ERA 1.32의 호성적으로 월간 투수 MVP를 수상했다.
사실 이는 꽤 논란이 되었던 등판인데 이날 등판으로 인해 10월 12일부터 시작하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에 등판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나오려면 3차전에는 나올 수 있었지만 신조 츠요시 감독은 끝까지 이토를 쓰지 않았는데 이는 이토가 올해 퍼스트 스테이지 상대인 치바 롯데를 상대로는 1승 무패 ERA 3.86을 기록했고, 소프트뱅크를 상대로는 4승 1패 ERA 2.63을 기록할 정도로 롯데를 상대로 좋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팀의 1선발을 가장 중요한 포스트시즌에서 배제하는 선택은 파격적이었고, 이는 그대로 적중하여 이토 없이 롯데를 꺾고 파이널 스테이지에 진출하며 이토를 두번 쓸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신조 감독의 큰그림에도 불구하고 이토는 파이널 스테이지 1차전 소프트뱅크를 상대로 2홈런을 허용하며 5.1이닝 4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결국 팀도 3연패로 탈락하며 이토의 올시즌도 마무리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 14승 5패 176.1이닝 ERA 2.65 161탈삼진으로 아리하라 코헤이와 함께 공동 다승왕, 승률 0,737로 단독 승률왕에 올라 2관왕을 차지하며[9] 팀의 에이스로 군림했고, 카토 타카유키, 야마사키 사치야와 함께 니혼햄의 프런트라인을 책임지며 팀의 돌풍을 이끌었다.
2.2.5. 2025 시즌
4월 1일 홈에서 하는 첫경기에서 소프트뱅크에게 5실점하며 패전투수가 됐다.이후 4월 한달간 5경기(5선발) 3승 1패 37이닝 28피안타(5피홈런) 5볼넷 43삼진 2.92 ERA를 기록 중이다.
삼진 1위로 그의 구위를 실감할 수 있지만 이닝 당 기복을 보이면서 실점하는 경우도 많아 2.92 겉으로 보이는 평균자책점에 비해 워낙 올시즌 심각한 투고타저라 ERA-는 94를 기록 중이다.
이후 팀 내 에이스답게 실점을 허용해도 16경기 선발 등판해 117.2이닝을 소화하여 한 경기 당 평균 7.35이닝을 소화하고 있다.
이닝 소화 능력은 매우 뛰어나 투수진에 힘이 되어주는건 부정할 수 없으며 7월 19일에 전반기 10승에 선착하였다.
8월 3일 오릭스 전에서 6이닝 7피안타 4삼진 1볼넷 1사구 0실점으로 좋은 피칭과 팀의 타선에 힘입어 시즌 11승을 기록했다.
8월 10일 소프트뱅크 전에서 8이닝 111구 4피안타 2볼넷 11삼진 1실점을 기록하고 완투패하였다. 뛰어난 피칭을 보여주었으나 상대 선발 모이넬로의 완벽한 피칭 및 콘도의 2루타 적시타 한방에 한점을 준 것이 뼈아프게 되었다.
8월 24일 에스콘필드에서 열린 모이넬로와의 리턴매치에서 9이닝 129구 7피안타 2볼넷 11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지난번 패배의 아픔을 설욕했다. 비록 노디시전이었지만 팀은 연장 10회말 나라마의 끝내기에 힘입어 1-0 승리를 거두며 소프트뱅크를 반경기차로 추격하게 되었다.
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0 도쿄 올림픽
| |||||||||||||
<rowcolor=#d9bb46>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탈삼진 |
3 | 0 | 5 | 0.00 | 1 | 0 | 2 | 0 | 4 | 0 | 0 | 0 | 2 | 5 |
스가노 토모유키를 대신하여 선발되었고 팀에서도 선발로 뛰었지만 중간계투로만 출전하였다. 최종 성적 5이닝 5탈삼진 무실점으로 일본의 금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했다.
일본의 조별리그 A조의 마지막 경기인 멕시코 전에서 6회에 선발투수 모리시타 마사토를 이어서 등판해 2이닝 동안 삼진 2개를 곁들이며 깔끔하게 타이라 카이마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다. 한국과의 준결승전에서 7회에 이와자키 스구루를 이어서 등판, 2이닝동안 김현수에게 2루타 하나를 허용한 것 외에 깔끔한 피칭을 선보이며 한국 타선을 틀어막았고 8회말에 터진 야마다 테츠토의 3타점 2루타가 결승타가 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미국과의 결승전에서도 7회 등판해 닉 앨런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결국 1이닝 무실점으로 막으며 홀드를 기록했다.
2.3.2.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
<rowcolor=#d9bb46> 경기 | 선발 | 이닝 | 방어율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탈삼진 |
3 | 0 | 2⅓ | 0.00 | 0 | 0 | 2 | 0 | 0 | 0 | 0 | 0 | 0 | 3 |
불펜으로 기용되어 3경기에 출전, 2⅓이닝을 한번의 출루도 허용하지 않고 막아내며 일본의 우승에 공헌했다.
8강 이탈리아전에서는 5회초 2사 1,3루 위기에서 구원등판해 불을 껐고, 결승 미국전에서는 6회를 공 14개로 깔끔하게 삭제했다.
3. 피칭 스타일
정통파 오버핸드 투수로, 최고구속 156km/h(프로에서 기록한 최고구속은 153km/h), 평균구속 140km/h 중후반대의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 스플리터, 체인지업, 투심, 컷패스트볼 등 다양한 구종을 가지고 있다. 히로시마의 모리시타 마사토와 비슷한 스타일로, 크게 좋은 구종은 없지만 작은 체격에도 불구하고 포심의 구위와 제구가 좋고 다양한 구종으로 헛스윙을 유도할 수 있는 선수이다.
또한 가끔씩 팀 선배 타다노 카즈히토의 특기였던 100km/h 이하의 초 슬로우커브, 즉 이퓨스볼을 던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2022년 8월 9일 세이부전에서 야마카와 호타카를 상대로 이퓨스볼을 던졌는데 존을 한참 벗어나는 볼이었다. 평소 장난기 많은 야마카와였지만 기가 차다는 표정을 보여주었다.
프로 입단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밑에 후술할 여담 항목에 2023년 9월 10일 경기를 제외하고는 현재 세이부 상대로 표적선발로 등판하는 리반 모이넬로, 오지마 카즈야랑 같이 세이부 킬러의 모습을 보이고있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 | 경기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WAR |
2021 | 닛폰햄 | 23 | 10 | 9 | 0 | 0 | 146 | 2.90 | 125 | 8 | 53 | 6 | 141 | 1.22 | 117 | 4.5 |
2022 | 26 | 10 | 9 | 1 | 1 | 155⅔ | 2.95 | 140 | 5 | 49 | 5 | 112 | 1.21 | 107 | 4.1 | |
2023 | 24 | 7 | 10 | 0 | 0 | 153⅓ | 3.46 | 147 | 11 | 41 | 8 | 134 | 1.23 | 4.3 | ||
2024 | 26 | 14 | 5 | 0 | 0 | 176⅓ | 2.65 | 150 | 14 | 39 | 3 | 161 | 1.07 | |||
<rowcolor=#000000> NPB 통산 (4시즌) | 99 | 41 | 33 | 1 | 1 | 631⅓ | 2.98 | 562 | 38 | 182 | 22 | 548 | 1.17 |
5. 여담
- 가루빗슈라는 별명이 있다. 손에 로진 가루를 많이 묻혀 투구 시에 가루가 손에서 퍼져나가는 현상이 많이 보이기 때문.
- 소위 에고라 부르는 자의식이 확실한 선수로 대학시절 도쿄의 코마자와 본교에서 토마코마이 분교로 옮긴 이유도 본교의 쌍팔년도식 군기에 참지 못한 것이었다. 그리고 프로에서도 삼진을 잡을 때 세레머니가 매우 큰 편으로 보수적인 일본야구에서 흔치 않은 스타성을 가진 선수이다. 또 다른 예로 2023년 9월 10일 세이부전에서 2⅓이닝 동안 9피안타 3볼넷 6실점(4자책)을 기록하고 경기 후에 SNS에 몇몇 팬들이 욕설과 비난의 글을 남겼는데, 이에 이토는 자신이 받은 악플을 공개하며 "팬분들이 비판할 권리는 있지만 비방, 중상은 완전히 별개라고 생각한다", "선수도 평범한 사람이다, 절대로 용서하지 않겠다"고 글을 남기며 강한 대응을 예고했다.
- 이러한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로 2020 도쿄 올림픽 한일전에서 로진이 너무 많이 흩날리자 김경문 감독이 타자의 시야를 가린다는 이유로 이 점을 지적하기도 하였지만 그 직후 다시 로진을 만지기도 했고 경기 후 이토는 자신의 트위터에 「#追いロジン」이라는 해시태그를 달며 화제가 되었다. 이후 구단에서 굿즈도 나오기도 하는 등 로진은 이토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 머리스타일과 강인한 눈매 덕인지 렌고쿠 쿄쥬로를 연상케하는 외모를 가졌다.
- 낚시를 매우 좋아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그램의 게시물 절반 이상이 낚시를 하는 게시물이다.
- 2023년 12월 15일 일반인 여성과 결혼을 발표하였다.
- 2024년 4월 19일까지 발매되었던 가루비의 과자 「2024 프로 야구 칩스 제 1탄」의 부속 카드에 이토의 신장이 176m로 잘못 표기되는 일이 있어 가루비 측에서 사죄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 이토는 '한순간이라도 키가 크고 싶었는데 그 꿈을 이뤄주셔서 감사하다'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6. 관련 문서
[가사] (前奏)
エースエースエース エースをねらえ!
에-스 에-스 에-스 에-스오 네라에!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를 노려라!
(本編)
駆け抜けろ 緑の海原を GO! 大海羽ばたけ 栄光の空へ
카케누케로 미노리노 우나바라오 고! 히로미 하바타케 에에코오노 소라에
달려가라 초록의 넓은 바다를 고! 히로미 날아라 영광의 하늘로[2] 오카 히로미(1991)의 닛폰햄 시절 응원가를 이어받았다.[3] 팀내 2위, 1위는 82.1이닝을 던진 카토 타카유키[4] 팀내 1위, 23경기 연속 탈삼진 기록[5] 옆동네 센트럴리그도 쿠리바야시 료지가 신인왕을 차지했지만 수준 높은 신인왕 레이스를 펼친 마키 슈고, 오쿠가와 야스노부, 나카노 타쿠무, 사토 테루아키, 이토 마사시에게도 신인 특별상이 수여되었다.[6] 아예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게 현재 닛폰햄의 마무리는 고정된 선수 없이 기타야마 코키, 이시카와 나오야, 호리 미즈키 등의 불펜 선수들이 집단 마무리를 했고 2018년 마스이 히로토시가 이적한 이후로 아키요시 료, 스기우라 토시히로 등의 선수들이 계속해서 땜빵해오고 있는 중이다.[7] 콘도 켄스케의 보상 선수로 온 타나카 세이기가 마무리 투수로 잘 던지고 있어서 이 의견은 어느샌가 사라젔다.[8] 실제로 최근 닛폰햄 야수진은 팀 최다 실책을 기록할 정도로 수비가 좋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9] 완투 5회, 완봉 4회의 기록도 모두 리그 1위이다.
エースエースエース エースをねらえ!
에-스 에-스 에-스 에-스오 네라에!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 에이스를 노려라!
(本編)
駆け抜けろ 緑の海原を GO! 大海羽ばたけ 栄光の空へ
카케누케로 미노리노 우나바라오 고! 히로미 하바타케 에에코오노 소라에
달려가라 초록의 넓은 바다를 고! 히로미 날아라 영광의 하늘로[2] 오카 히로미(1991)의 닛폰햄 시절 응원가를 이어받았다.[3] 팀내 2위, 1위는 82.1이닝을 던진 카토 타카유키[4] 팀내 1위, 23경기 연속 탈삼진 기록[5] 옆동네 센트럴리그도 쿠리바야시 료지가 신인왕을 차지했지만 수준 높은 신인왕 레이스를 펼친 마키 슈고, 오쿠가와 야스노부, 나카노 타쿠무, 사토 테루아키, 이토 마사시에게도 신인 특별상이 수여되었다.[6] 아예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닌게 현재 닛폰햄의 마무리는 고정된 선수 없이 기타야마 코키, 이시카와 나오야, 호리 미즈키 등의 불펜 선수들이 집단 마무리를 했고 2018년 마스이 히로토시가 이적한 이후로 아키요시 료, 스기우라 토시히로 등의 선수들이 계속해서 땜빵해오고 있는 중이다.[7] 콘도 켄스케의 보상 선수로 온 타나카 세이기가 마무리 투수로 잘 던지고 있어서 이 의견은 어느샌가 사라젔다.[8] 실제로 최근 닛폰햄 야수진은 팀 최다 실책을 기록할 정도로 수비가 좋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9] 완투 5회, 완봉 4회의 기록도 모두 리그 1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