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kanedatomehiro.jpg | |
| 카네다 토메히로 ([ruby(金田, ruby=かねだ)] [ruby(留広, ruby=とめひろ)] / Masaichi Tomehiro) | |
| 한국명 | 김말홍 |
| 출생 | 1946년 11월 17일 |
| 사망 | 2018년 10월 2일 (향년 71세) |
| 출신지 | 아이치현 나고야시 |
| 국적 | |
| 포지션 |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1968년 드래프트 4위 |
| 소속팀 | 토에이/닛타쿠홈 플라이어즈 (1969~1973) 롯데 오리온즈 (1974~1978)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79~1981) |
| 지도자 | 롯데 오리온즈 2군 투수코치 (1987~1988) |
| 가족 | 형 카네다 마사이치 |
1. 개요
前 일본프로야구 선수.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의 투수로 불리는 카네다 마사이치의 친동생이었으며, NPB에서 투수로 MVP까지 해본 경력이 있다. 일본 국적의 재일교포로 한국명은 김말홍.2. 선수 경력
아이치 고등학교를 졸업 후 아이치가쿠엔 대학에 진학하여 1학년 때 투수로써 7승 4패의 우수한 성적을 남겼으나 대학을 중퇴하였다.[1] 이후 사회인야구팀 닛폰통운 우라와[2]에서 뛰다가 1968년 드래프트 4순위로 토에이 플라이어즈에 입단했다.데뷔 시즌인 1969년부터 선발, 구원을 가리지 않고 뛰며 59시합 등판(리그 최다), 18승 13패, 방어율 3.63으로 신인으로써는 매우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고, 2년차인 1970년엔 24승[3], 246탈삼진을 기록했으나 전부 다 1개 차이로 다승왕, 탈삼진 1위 기록을 놓치기도 했다. 이후로도 주전 투수로써 빼어난 성적을 기록하며 4년차인 1972년엔 20승으로 다승왕을 수상했으나 이듬해인 1973년엔 7승 16패로 심한 부진을 겪었고[4], 시즌 종료 후 친형 카네다 마사이치가 감독으로 있던 롯데 오리온즈에 트레이드된다.
롯데에서의 첫 해인 1974년, 카네다는 16승을 거두어 2번째 다승왕을 수상하며[5] 롯데의 후기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포스트시즌에서도 플레이오프에서 2차전을 승리로 이끌고 우수투수상을 수상하며 4년만의 퍼시픽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그 공로로 그해 퍼시픽리그 MVP를 수상하였고,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일본시리즈에서도 4차전 승리투수가 되는 등 활약하며 양대리그 원년(1950년) 이래 24년만의 2번째 일본시리즈 우승에 공헌했다.
이후로도 주전 선발투수로써 뛰었지만 7승 이상을 거두지 못하는 등 부진한 모습이 이어지다, 1978년 시즌 종료 후 형의 감독 퇴임과 동시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트레이드되었다. 히로시마에선 주로 구원투수로 뛰었고 3년 만인 1981년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통산성적은 434시합 등판, 128승 109패 2세이브, 1317탈삼진, 방어율 3.25이다.
3. 은퇴 이후
은퇴 이후엔 1987~1988년 롯데 오리온즈의 2군 투수코치를 역임한 것 이외엔 일본프로야구계와 떨어져 건강식품 회사를 운영하면서 지내왔으며, 한편으로는 일본 장애인 야구대회 후원, 자선 골프대회 개최 등 사회공헌 활동에 힘쓰기도 했다.2018년 10월 2일, 형 카네다 마사이치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향년 71세. 사망 소식은 타계 9일 후인 2018년 10월 11일 치바 롯데 마린즈 구단에 의해 발표되었다. 그리고 형 가네다 마사이치도 1년 뒤인 2019년 10월 6일 세상을 떠났다.
4. 기타
- 입단 첫해인 1969년, 빼어난 성적을 기록하면서 퍼시픽리그 측 투수로 올스타전에도 출장했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센트럴리그 측 투수로 출장하게 된 카네다 마사이치와 전대미문의 형제 대결을 펼친 바 있다. 1차전 5회 말, 이날 경기에서 퍼시픽리그 측 4번째 투수로 등판한 토메히로를 상대로 마사이치가 대타로 출장했는데, 결과는 2루수 쪽 플라이로 토메히로의 승리. 3차전에서는 형제 모두가 등판하는 광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마사이치는 1969년 시즌 종료 후 은퇴하면서 이해가 현역으로써 마지막으로 출장하는 올스타전이 되었다.
- 형 마사이치만큼이나 타격 성적이 뛰어나기로 유명했다. 통산 107안타 13홈런 45타점[6]에 타율 .217을 기록했는데, 타율로만 따지면 1할대인 형 마사이치보다 더 높은 성적을 기록했고 은퇴 시즌인 1981년엔 4할을 쳤을 정도다, 1972년 9월 22일 대 난카이 호크스 전에서는 무려 만루홈런을 치기도 했는데 이것이 현재까지 퍼시픽리그 최후의 투수가 친 만루홈런이다.[7]
- 제일 윗형 카네다 마사이치 뿐만 아니라, 형 카네다 타카요시(1938년생)와 카네다 호시오(1941년생), 조카 카네이시 아키히토(1960년생)도 프로야구 선수였다. 이들 중 형 마사이치는 일본 프로야구 역대급 선수이며 타카요시와 호시오는 1군 기록 없이 은퇴하였지만, 조카 아키히토는 히로시마, 닛폰햄 등에서 선발, 구원 등으로 활약하며 통산 329시합 72승 60패 80세이브 방어율 3.38을 기록했다. 참고로 토메히로가 1979년 히로시마로 이적함과 동시에 아키히토도 드래프트 번외로 히로시마에 입단하여 데뷔하면서 삼촌과 조카가 한 팀에서 뛰게 되었는데, 아키히토가 입단한 데는 삼촌 마사이치와 토메히로가 히로시마 측에 아키히토를 입단시켜 줄 것을 요청해서 이뤄진 것이라고 한다. 아키히토는 1998년 큰아빠가 뛰던 요미우리에서 은퇴했다.
- 투수 본인이 친 홈런으로 1-0 완봉승을 마사이치와 토메히로 모두 경험했다.
- 1971-72년 2년 연속 퍼시픽리그 최다 피홈런 허용투수였다. 1971년 42개는 야마다 히사시, 이모토 타카시(井本 隆)[9] 와 함께 퍼시픽리그 최고기록이었고 일본 최고기록이었다.[10]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9>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46 | 1947 | 1948 | 1949~1950 | 1951 |
| 히토코토 타쥬 | 시라키 기이치로 | 요시에 에이시로 | 시라키 기이치로 | 요메카와 야스오 | |
| <rowcolor=#fff> 1952 | 1953~1955 | 1956 | 1957 | 1958 | |
| 테라카와 쇼지 | 요메카와 야스오 | 마키노 노보루 | 요메카와 야스오 | 마키노 노보루 | |
| <rowcolor=#fff> 1959~1960 | 1961 | 1962 | 1963 | 1964~1965 | |
| 도바시 마사유키 | 쿠보타 오사무 | 토미나가 타다오 | 도바시 마사유키 | 쿠보타 오사무 | |
| <rowcolor=#fff> 1966 | 1967~1968 | 1969 | 1970 | 1971 | |
| 오자키 유키오 | 모리야스 토시아키 | 타카하시 요시마사 | 모리야스 토시아키 | 카네다 토메히로 | |
| <rowcolor=#fff> 1972 | 1973 | 1974 | 1975~1977 | 1978 | |
| 후지와라 마코토 | 카네다 토메히로 | 와타나베 히데타케 | 타카하시 나오키 | 사에키 카즈시 | |
| <rowcolor=#fff> 1979~1980 | 1981~1982 | 1983 | 1984 | 1985~1987 | |
| 타카하시 나오키 | 타카하시 카즈미 | 쿠도 미키오 | 타나카 유키오 | 츠노 히로시 | |
| <rowcolor=#fff> 1988~1991 | 1992 | 1993~1995 | 1996 | 1997 | |
| 니시자키 유키히로 | 시바타 야스미츠 | 니시자키 유키히로 | 이와모토 츠토무 | 니시자키 유키히로 | |
| <rowcolor=#fff> 1998~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이와모토 츠토무 | 카네무라 사토루 | 이와모토 츠토무 | 카를로스 미라발 | 카네무라 사토루 |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2011 | 2012 | 2013 | |
| 카를로스 미라발 | 카네무라 사토루 | 다르빗슈 유 | 사이토 유키 | 타케다 마사루 | |
| <rowcolor=#fff> 2014 | 2015~2016 | 2017 | 2018 | 2019 | |
| 요시카와 미츠오 | 오타니 쇼헤이 | 아리하라 코헤이 | 브라이언 로드리게스 | 우와사와 나오유키 |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아리하라 코헤이 | 우와사와 나오유키 | 키타야마 코키 | 카토 타카유키 | 이토 히로미 | |
| <rowcolor=#fff> 2025 | |||||
| 카네무라 쇼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 진 바키 한신 / 29승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4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4승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4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4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
[1] 형 카네다 마사이치도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곧바로 막 창단한 코쿠테츠 스왈로즈에 입단하면서 프로에 데뷔했다.[2] 2017~2022년까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감독을 역임한 츠지 하츠히코가 뛴 팀이기도 하다.[3] 20선발승(본인의 처음이자 마지막 20선발승 이상)으로 키타루 마사아키와 공동 선발승 2위를 기록.[4] [5] 퍼시픽리그 사상 첫 20승 미만 다승왕 기록이었다.[6] 형 마사이치는 38홈런 177타점을 기록했으며 홈런 수는 투수 통산 1위이다.[7] 1975년 지명타자 도입 이래 현재까지 퍼시픽리그에서 투수가 타석에 서는 방법은 경기 도중 지명타자가 소멸되는 방법 이외엔 없다. 오타니 쇼헤이 같은 경우는 지명타자까지 겸임하는 투타겸업이라 제외.[8] 조부모 산소가 대구 인근에 있다.[9]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1973~198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1983~1984)에서 뛰었으며 1980년에 42개의 피홈런을 기록했다. 통산 81승 75패 6세이브를 기록했으며 2015년에 췌장암으로 별세했다. 향년 64세.[10] 훗날 일본프로야구 한 시즌 최다 피홈런 최고기록은 히로시마 토요 카프의 이케가야 코지로(池谷公二郎)가 1977년에 48개로 경신했다. 카프에서만 뛰었으며(1974~1985) 통산 103승 84패 10세이브를 기록했다. 훗날 카프(1989~1992)와 요미우리 자이언츠(1998~2001, 2004)에서 코치를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