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efe01><tablebgcolor=#fefe01> | 한신 타이거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군 감독 | 22 후지카와 큐지 | |||||
| 1군 | 74 후지모토 아츠시 (종합코치) · 88 안도 유야 (투수 치프코치) · 73 카네무라 사토루 (투수코치) 86 와다 유타카 (1, 2군 타격 순회 코디네이터) · 83 코야노 에이이치 (타격 치프코치) · 71 우에모토 히로키 (타격코치) 70 타나카 슈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87 노무라 카츠노리 (배터리코치) · 93 카타야마 다이키 (불펜코치·BC) · 96 츠츠이 소 (외야수비·주루 치프코치) | ||||||
| 2군 | 78 히라타 카츠오 (2군 감독) · 90 쿠보타 토모유키 (투수 치프코치) · 72 에구사 히로타카 (투수코치) · 89 와타나베 료 (투수코치) 91 키타가와 히로토시 (타격 치프코치) · 77 소요기 에이신 (타격코치) · 81 바바 토시후미 (수비주루 치프코치) 75 야마자키 노리하루 (내야수비·주루코치) · 76 쿠도 타카히토 (외야 수비·주루코치) · 84 히다카 츠요시 (배터리코치) · 79 슌스케 (야수코치) |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 한신 타이거스,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 카네무라 사토루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카네무라 사토루의 수상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 2006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 진 바키 한신 / 1.89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 천웨이인 주니치 / 1.54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사이키 히로토 한신 / 1.55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46 | |||||
|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 ||
}}} ||
| | |
| 한신 타이거스 No.73 | |
| 카네무라 사토루 金村 曉 | Satoru Kanemura | |
| <colbgcolor=#000><colcolor=#fefe01> 출생 | 1976년 4월 19일 ([age(1976-04-19)]세) |
| 미야기현 게센누마시 | |
| 국적 | |
| 학력 | 센다이이쿠에이고등학교 |
| 신체 | 187cm, 83kg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1994년 드래프트 1위 (닛폰햄) |
| 소속팀 | 닛폰햄 파이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995~2007) 한신 타이거스 (2008~2010) 시나노 그란셀로즈 (2011) |
| 지도자 | 한신 타이거스 1군 투수코치 (2016~2022) 이시카리 레드 피닉스 투수코치 (2024) 한신 타이거스 1군 투수코치 (2025~) |
| SNS | |
1. 개요
일본프로야구에서 활동했던 선수로, 현재 한신 타이거스 투수코치.주요 타이틀: 1998년 평균자책점 1위. 올스타전 3회(1998, 2004, 2005년)
등번호 : 16번(니혼햄) - 13번(한신)
2. 선수 생활
1995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 첫해에는 부진했지만 이후 꾸준하게 승수를 쌓았다[1]. 최전성기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다르빗슈 유 등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그야말로 눈물겨운 투수진을 자랑했던 닛폰햄의 에이스 역할을 했다.그러다가 2006년부터 하락세가 시작되었다. 시즌 막판까지 겨우겨우 9승(6패)을 채우고, 5년 연속 두 자리수 승리와 6년 연속 규정이닝이 걸린 9월 24일 치바롯데전에서 3점차로 리드하던 5회 2아웃 만루상황에서 당시 트레이 힐만[2] 감독이 강판을 시키자 "도저히 참을 수가 없다. 외국인 감독이니까 선수 기록 따위 상관 없지. 꼴도 보기 싫다."[3][4] 라고 디스를 했다가 '출장등록 말소', '다음달 25일 훈련 참가금지', '벌금 200만엔', '플레이오프까지 출장정지의 징계를 먹었다.[5][6] 10월 25일 일본시리즈 4차전에서야 복귀하여 팬들에게 박수를 받았고 5회까지 무실점하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결국 구단 및 힐만 감독에게 나중에 공개사과를 했지만, 이 사건으로 인해 구단에 단단히 찍혔는지 2007년에는 1군에서 얼마 기용되지 못했고, 마침 기량 하락의 조짐이 보였기 때문에 2007 시즌 후 한신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된다. 하지만 한신에서도 재기하지 못하며 전성기 시절 모습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3년 간 1승 6패에 그친 뒤 2010 시즌 후 방출되었다.
투수로서는 사이토 가즈미처럼 유리몸이지만 컨디션만 좋으면 완봉, 완투도 곧 잘해내는 스타일로 실력은 확실하다는 평가가 언제나 많았던 만큼[7] 그 귀추가 주목되었다. 한국프로야구 진출을 희망했고 삼성 라이온즈와 계약사진까지 찍었으나 계약 후 메디컬 테스트에서 탈락하면서 삼성은 카네무라와의 계약을 파기하고 대신 카도쿠라 켄과 계약했고, 카도쿠라와 결별한 SK 와이번스의 입단테스트에 참가했으나 마찬가지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한국으로 진출하려다 영 좋지 않은 기억만 가지고 돌아갔다. 일본으로 돌아간 후에는 독립리그 팀 시나노 그란셀로즈에 입단했으나 결국 오른쪽 어깨에 이상이 생기면서 은퇴하였다.
3. 은퇴 후
은퇴한 뒤 해설가로 활동하였고 2012년 한일 프로야구 레전드 매치에 참여하기 위해 방한하였다.2016년 시즌을 앞두고 현역 마지막 팀인 한신 타이거스의 1군 투수코치로 영입되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4. 여담
- 이름만 보면 한국계 일본인이란 설이 있으나 실제로 확인되진 않았다.
- 2006년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파나마 출신 타자 훌리오 술레타[8]에게 사구를 던졌다가 겨우 죽음을 모면할 정도로 얻어터졌었던 적이 있다.[9]이 때문에 두달간 결장했을 정도로 부상이 컸다.
5. 관련 문서
[1] 특히 99년에는 4월에만 3경기 연속 완투승(2완봉 포함)을 기록했다[2] 2017년부터 KBO 리그 SK 와이번스 감독으로 선임된 그 분이다.[3] 絶対に許さない。顔も見たくない。(절대로 용서할수 없어. 꼴도 보기 싫어.). 인터넷 상에서 주로 천인공노할 짓에 대한 반응이나 개드립 등에 사용되며 이 아래에는 보통 もう許してやれよ(이제 용서 좀 해줘)란 드립이 주로 달린다.[4] 말만 보면 그저 가벼운 항명으로 보일 수 있으나 한일간의 말투 차이를 감안해야 한다. 일본에서는 상사가 부하한테 용서할 수 없다고 하는 것도 모욕 취급인데, 부하가 상사에게 용서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거의 장성우가 야구계 선배들에게 해댄 수준의 쌍욕이나 다름없다. 에이스급 선수니까 출장 정지와 벌금 등으로 끝났지 카네무라가 하위지명이나 육성으로 들어온 신인/만년백럽 선수였으면 계약 해지를 면할 수 없었을 것이다.[5] 실제로 이 당시 힐만 감독은 카네무라 사토루의 항명에 단단히 화가 났는지, 1군 말소 및 팀 훈련 참가 금지라는 징계를 내린 것도 모자라 그의 라커룸까지 싹 치워버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6] 당시 닛폰햄은 세이부, 소프트뱅크와 정규시즌 우승을 놓고 치열한 3파전을 전개하고 있었다. 게다가 닛폰햄은 1981년 이후 25년만의 리그 우승 도전이었다. 이 도전은 결국 성공한다. 일본시리즈에서는 44년 만에 우승(팀 역사상 두 번째 일본시리즈 우승)하였다.[7] 부진하던 시기에도 구위나 컨트롤은 별 얘기가 없었다. 애초에 구위로 찍어누르는 스타일이 아니었다.[8]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리그팀에서 뛸 시절에 라이벌은 최희섭이었다. 호크스에서 4년, 롯데에서 2년간 뛰면서 6년간 145홈런을 기록했던 나름 장수용병. 커리어하이는 시즌 43홈런이다.[9] 술레타는 치바 롯데 마린스의 투수 댄 세라피니와도 마운드에서 붙은 적이 있다. 테이크다운 및 파운딩으로 술레타의 승리로 끝났다. 사족으로 훗날 세라피니가 살인으로 체포된 것을 생각하면 세라피니도 꽤나 무서운 사람이었는데 그 세라피니를 제압해버린 훌리오 술레타의 싸움실력을 잘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