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7:46:21

사이키 히로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efe01><tablebgcolor=#fefe01> 파일:한신 타이거스 엠블럼.svg한신 타이거스
2025 시즌 투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00 하비 게라 · 13 이와자키 스구루 · 14 이와사다 유타 · 15 니시 준야 · 16 니시 유키 · 18 이하라 타카토 · 19 시모무라 카이토
20 존 듀플란티어 · 24 쿠도 타이세이 · 26 시이바 츠요시 · 27 이토 마사시 · 28 케사마루 유키 · 29 타카하시 하루토
30 몬베츠 케이토 · 31 하야카와 다이키 · 34 우루시하라 타이세이 · 35 사이키 히로토 · 36 하타케 세이슈 · 37 오요카와 마사키
41 무라카미 쇼키 · 42 닉 넬슨 · 46 시마모토 히로야 · 47 기리시키 다쿠마 · 48 이바라기 히데토시 · 49 오타케 고타로 · 50 토미다 렌
54 키노시타 리토 · 63 이시구로 유야 · 64 오카도메 히데타카 · 65 유아사 아츠키 · 66 츠다 준야 · 69 이시이 다이치
82 그랜트 하트윅 · 85 라파엘 돌리스 · 92 카와하라 리쿠 · 98 사토 렌 · 99 제레미 비슬리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사이키 히로토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신 타이거스 우승 엠블럼 V2.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23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
202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진 바키
한신 / 1.89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천웨이인
주니치 / 1.54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이키 히로토
한신 / 1.5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46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 ||
파일:사이키히로토.jpg
한신 타이거스 No.35
<colbgcolor=#000000> 사이키 히로토
才木 浩人 / Hiroto Saiki
출생 1998년 11월 7일 ([age(1998-11-07)]세)
효고현 고베시 니시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고베시립 스마 쇼후 고교 (神戸市立須磨翔風高等学校)
신체 189 cm / 88 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3위 (한신)
소속팀 한신 타이거스 (2017~)
연봉 2025 / ¥ 120,000,000
등장곡 Mrs. GREEN APPLE - CHEERS (투구)
녹황색사회 - 始まりの歌 (타격)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한신 타이거스2.3.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

1. 개요

한신 타이거스 소속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한신의 연고지인 효고현 고베시 출신으로, 초1 때 포수로 야구를 시작했다. 투수로 전향한 건 중2 때였으나, 고교 어디서도 스카우트를 못 받아서 집 근처이자 친형의 출신고교였던 고베 시립 스마 쇼후 고교[1]로 진학했다. 고1 때부터 벤치에 앉더니 고2 때는 에이스가 되어 고시엔 효고현 준결승까지 팀을 이끌기도 했다. 그러나 전국대회 출전은 단 한 번도 이루지 못했다. 그래도 이 때 포심 최고구속이 148km/h를 찍으며 프로 스카우터들에게 관심을 받았고, 201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연고지 팀 한신 타이거스의 지명을 받았다. 입단 동기로 오오야마 유스케[2], 하마치 마스미, 이토하라 켄토 등이 있다.

2.2.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는 35. 2017년엔 2군 경기를 주로 뛰면서 경험을 쌓았고, 시즌이 거의 끝나가던 2017년 10월 5일 주니치 드래곤즈 전에서 8회초에 세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군에 데뷔했고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데뷔 첫 홀드까지 기록했다.

2018년엔 1군의 오키나와 스프링캠프에 참가하였다. 스프링캠프 및 오픈전에서 가능성을 보이며 개막 엔트리 합류가 전망되었으나 끝내 불발되었고, 본인의 시즌 첫 경기는 5월 9일 도쿄 돔 전통의 일전이 되었다. 그 경기에서 구원으로 나와 1이닝 무실점을 했으며, 5월 20일 나고야 돔 주니치 드래곤즈 전에서 프로 처음으로 선발로 나와 마쓰자카 다이스케와 맞대결을 했으나 1-6으로 팀도 본인도 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1주일 후인 5월 2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홈경기에서 프로 첫 승에 성공했다. 이 날 기준 만 19세 6개월으로, 10대 한신 투수가 프로 첫 승을 전통의 일전에서 뽑은 사례는 구단 역사상 최초였다. 이후 교류전 기간 동안 잠깐 말소됐다가, 다시 1군에 올라와서 주로 구원 투수로 활동했다. 6월 30일 메이지진구 야구장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원정 경기에서 당일 선발이던 이와사다 유타[3]아오키 노리치카에게 빈볼을 던져 퇴장을 당하자 긴급 투입되어 6이닝 1실점 무자책으로 프로 2승째를 획득했다. 시즌이 거의 망해가던 9월 이후로는 후지카와 큐지를 대신해 셋업맨으로도 활동하는 등 1군 첫 시즌에 여러 보직을 경험했다. 최종 22경기 14선발 6승 10패 1홀드 82이닝 46실점 42자책점 ERA 4.61, WHIP 1.45를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여줬다.

2019년에도 오키나와 스프링캠프에서 시작했으나, 캠프 연습경기 및 오픈전에서 전적이 영 좋지 못해 2군으로 내려가게 됐고, 결국 또 개막 엔트리 합류는 이뤄지지 않았다. 4월 24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의 경기에서 시즌 첫 승을 기록하는 등 나름 잘 던지나 했으나, 5월 12일 고시엔 주니치 드래곤즈 전에서 5이닝 5실점 난타를 당하고 물러났다. 그리고 바로 다음 날 2군으로 내려간 후 5월 19일 2군 히로시마 도요 카프 경기에서[4] 선발로 나와서 첫 타자 코조노 카이토만 겨우 아웃 처리하고 팔꿈치에 불편을 느껴 마운드에서 내려와야 했다. 그 뒤로는 토미 존 서저리와 그에 따른 기나긴 재활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처음에는 재활치료로 어찌 해 보려 했으나 그걸로는 부족했고 결국 2020년 토미 존 서저리를 받았다. 이에 따라 2020년은 물론 2021년까지 공식전에 등판하지 못하였다. 그 동안 육성 선수로 신분이 변경되며 등번호도 121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고치현 아키시에서의 2군 스프링캠프에 참가했고, 사회인야구 팀인 시코쿠 은행과의 연습경기를 통해 실전에 복귀했다. 2군에서 150km를 찍는 등 재활이 잘 되었음을 보여준 후, 5월 6일, 기나긴 재활을 끝내고 지배하 등록이 되었다. 이에 따라 등번호도 기존에 자신이 쓰던 35를 다시 달았다. 7월 3일 1군에 복귀하여 주니치 드래곤즈 원정 경기에 선발로 출전했고, 5이닝 무실점으로 승리를 따냈다.[5][6] 이후로는 2주일에 한 번 꼴로 선발로 나서며 니시 준야, 후지나미 신타로 등과 함께 6선발 역할을 하며 팀의 극적인 가을야구 진출에 기여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9경기(8선발) 4승 1패 47이닝 ERA 1.53을 기록하였다. 이후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3차전에서 요코하마를 상대로 등판했으나 2.1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강판되었지만 팀은 역전승을 기록하였다. 이후로는 팀이 탈락하며 등판하지 못했다.

2023년에는 1군에서 스프링캠프를 치렀고, WBC 일본 대표팀과의 평가전에서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오타니 쇼헤이와 맞대결했는데, 첫 타석에서는 삼진을 잡아냈지만 두번째 타석에서는 쓰리런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후 포크볼을 개량하며 개막 선발 로테이션에 들어갔고, 4월 9일 고시엔 야쿠르트전에서는 7이닝 11K 1실점이라는 괴력투를 시전하며 탈삼진 단독 1위에 올라섰다. 그러나 그 이후 페이스가 처지더니 4월 30일 진구 야쿠르트전 3이닝 3실점 경기 이후 1군에서 말소됐다. 그리고 5월 21일 다시 1군에 복귀한 이후로는 6이닝 이상 1실점 이하의 좋은 피칭으로 4연승을 이어갔으며, 특히 6월 4일 치바 롯데 마린즈전에서는 사사키 로키를 상대로 데뷔 첫 완봉을 해내기도 했다. 그러나 교류전이 끝나면서 컨디션이 떨어지며 승수를 쌓지 못하였고 7월 27일 고시엔 요미우리전에서는 4.2이닝 7실점(3자책)의 최악의 피칭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후 2주간의 조정을 거쳐 8월 10일 도쿄돔 요미우리전에 등판해 7.1이닝 2실점으로 2달만의 승리를 기록하였다. 이후 허리 부상으로 한달간 경기에 나서지 못했지만, 복귀한 9월 이후 26이닝 1실점을 기록하였고, 9월 14일 리그 우승 확정이 걸린 요미우리와의 경기에서 7이닝 1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었고, 9월 24일 주니치전에서는 10이닝 무실점을 기록했지만 타선이 도와주지 않으며 노디시전을 기록하였다. 시즌 최종 성적은 19경기(18선발) 8승 5패 118.2이닝 ERA 1.82로 한신의 철벽 선발진의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는 파이널 스테이지가 3차전에서 끝나며 등판하지 못했지만 2023년 일본시리즈에서는 팀이 1승 2패로 밀리고 있던 4차전에 선발등판해 중간에 손가락에 출혈이 발생하며 제구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위기관리능력을 발휘하며 5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팀 승리의 발판을 놓았다.

2024년에는 무라카미 쇼키, 오타케 코타로와 함께 선발진에서 제 몫을 해주며 전년도의 활약을 이어갔다. 4월 21일 주니치전에서는 7이닝 무실점 기록 후 우천 강우 콜드 처리되며 완봉승을 기록하기도 했고, 5월 12일 요코하마전, 6월 2일 치바 롯데전에서는 9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진짜 완봉승을 2차례나 더 기록하기도 했다. 2경기 모두 1대 0 완봉으로, 구단에서는 2014년 랜디 메신저 이래 10년만의 기록이었다. 6월 9일 세이부전에서는 8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6월 16일 소프트뱅크전에서는 사상 최초의 2년 연속 교류전 ERA 제로의 기록에 도전하였는데, 6회까지 무실점을 기록하다가 7회 콘도 켄스케에게 통한의 솔로홈런을 허용하며 기록 달성에는 실패하였다. 그럼에도 교류전 성적은 3경기 3승 24이닝 1실점으로 교류전 우수선수상을 수상하였다. 교류전 이후로는 각 팀 1선발들이 등판하는 화요일로 로테이션을 변경하였는데, 그 영향으로 팀 타선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호투하고도 승리를 쌓지 못하는 일이 많았다. 그럼에도 빼어난 피칭으로 올스타전에 팬투표로 선출되었고, 1차전에 선발등판해 2이닝 1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되었다. 결국 8월 20일 야쿠르트전에서 7이닝 무실점의 호투를 기록하며 개인 첫 10승을 기록하게 되었고, 시즌 성적은 25경기 13승 3패 167.2이닝 ERA 1.83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갱신, 한신의 에이스 역할을 해주었다. 팀의 에이스로서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에 요코하마를 상대로 선발등판해 5이닝 1실점을 기록했지만 타선의 도움을 받지 못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5천만엔에서 1억 2천만엔으로 인상되었으며 구단에 장래 메이저리그 도전의 희망을 전하였다.

2025년 3월 16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도쿄 시리즈 평가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1피안타 7K 무실점 호투를 보여주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 2년전 WBC평가전때 오타니 쇼헤이에게 충격적인 무릎쏴 홈런을 맞았는데, 이번엔 같은 포크볼로 삼진을 잡아내며 설욕에 성공했다. 이 경기 이후 사이키의 메이저리그 진출에 대한 전망이 일본과 미국을 뜨겁게 달구기도 하였다. 물론 한신이 허락하면 올시즌이 끝나고도 갈 수는 있지만 한신이 굳이 그래줄 이유는 없기 때문에 포스팅은 3년 뒤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8월까지 무라카미와 함께 리그 최고의 원투펀치로 방어율이 1점대 중반에 달한다. 이때문에 메이저 떡밥도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

1.55 ERA로 리그 방어율 1위에 올랐다. 다만 탈삼진이 그리 많지않고 꾸역 꾸역 막는 모습을 많이 보여줘 WHIP은 1을 넘겼고 K/BB도 2.77을 기록했다.

정규시즌이 끝난 후 메이저리그 도전 의사를 밝혔다. 다만 구단이 포스팅을 허가해줄 지는 미지수.

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4 WBSC 프리미어 12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워드마크.svg
<rowcolor=#d9bb46>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2 2 10⅔ 1 0 0 0 5 1 2 2 10 3 1.67

3. 플레이 스타일


평균 147~153km/h, 최고 158km/h의 패스트볼과 평균 133 ~ 137km/h의 포크볼을 던지는 투피치 피처. 189cm라는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공을 최대한 앞에서 던지다 보니 포심은 알아도 치기 힘들 정도로 구위가 뛰어나다. 세컨피치로 구사하는 포크볼도 포심의 위력에 한 몫한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NPB)
연도 출장 이닝 승률 ERA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WHIP
2017 한신 2 2.2 0 0 0 1 0.000 0.00 2 0 3 3 0 0 1.88
2018 22 82 6 10 0 1 0.375 4.61 81 12 43 85 46 42 1.45
2019 3 15.1 2 1 0 0 0.667 4.70 20 0 5 14 8 8 1.63
2020 1군 기록 없음
2021
2022 9 47 4 1 0 0 0.800 1.53 40 4 11 43 10 8 1.09
2023 19 118.2 8 5 0 1 0.615 1.82 88 8 38 107 29 24 1.04
2024 25 167.2 13 3 0 0 0.813 1.83 140 4 38 137 35 34 1.06
<rowcolor=#373a3c> NPB 통산
(6시즌)
80 433.1 33 20 0 3 0.623 2.41 371 28 138 389 128 116 1.16


5. 여담

  • 고교 시절엔 야구부 외에도 학급에선 반장까지 맡을 정도의 모범생이었다고 한다.#

[1] 야구 명문 사립고교가 아니라 단순 공립 고교다.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묘다니역 인근에 있다.[2] 1순위로 지명을 받았다. 지명 당시엔 당연히 말이 많았으나, 결과적으론 성공이었다.[3] 이 때만 해도 선발로 많이 나왔으나 2019년 이후 중간계투로 전환했다.[4] 히로시마 도요 카프 유우 연습장 원정 경기였다.[5] 이 날 자신의 입단 동기 오오야마 유스케하마치 마스미도 공수 양면에서 사이키를 도왔는데, 오오야마는 결승 2점짜리 홈런(오오야마 개인 통산 100호 홈런)을 쳤고 하마치는 1이닝 무실점으로 홀드를 기록했다.[6] 이날 반테린 돔에는 사이키의 부모님도 오셔서 직관하였는데, 사이키는 경기 종료 후 히어로 인터뷰에서 재활 기간 중 지지해준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