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2 21:22:54

크리스 존슨(1984년 6월)

크리스 존슨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d3039>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보스턴 레드삭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5년 ~
1965
빌리 코니글리아로
외야수 / 전체 5번
1966
켄 브렛
투수 / 전체 4번
1967
마이크 가먼
투수 / 전체 3번
1968
톰 마가드
외야수 / 전체 20번
1969
노엘 젠키
외야수 / 전체 13번
1970
지미 해커
3루수 / 전체 16번
1971
짐 라이스
외야수 / 전체 15번
1972
조엘 비숍
유격수 / 전체 16번
1973
테드 콕스
유격수 / 전체 17번
1974
에디 포드
유격수 / 전체 20번
1975
오티스 포스터
1루수 / 전체 15번
1976
브루스 허스트
투수 / 전체 22번
1977
앤드류 마덴
투수 / 전체 13번
1978
FA 마이크 토레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79
FA 스티브 렌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0
FA 스킵 록우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81
스티브 라이온스
유격수 / 전체 19번
1981[1]
케빈 버렐
포수 / 전체 25번
1982[2]
샘 혼
1루수 / 전체 16번
1982
밥 파킨스
투수 / 전체 18번
1982[3]
제프 레드베터
1루수 / 전체 26번
1983
로저 클레멘스
투수 / 전체 19번
1984
존 마자노
포수 / 전체 14번
1985
댄 가브리엘리
투수 / 전체 21번
1986
그렉 맥머티
외야수 / 전체 14번
1987
레지 해리스
투수 / 전체 26번
1987[4]
밥 주픽
외야수 / 전체 32번
1988
톰 피셔
투수 / 전체 12번
1989[5]
그렉 블로서
외야수 / 전체 16번
1989
모 본
1루수 / 전체 23번
1989[5]
케빈 모튼
투수 / 전체 29번
1990
FA 토니 페냐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1
애런 셀레
투수 / 전체 23번
1991[7]
J.J. 존슨
외야수 / 전체 37번
1991[8]
스캇 해티버그
포수 / 전체 43번
1992
FA 프랭크 바이올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1993
트롯 닉슨
외야수 / 전체 7번
1994
노마 가르시아파라
유격수 / 전체 12번
1995
앤디 욘트
투수 / 전체 15번
1995[9]
코리 젠킨스
외야수 / 전체 24번
1996
조시 개럿
투수 / 전체 26번
1996[10]
크리스 레이츠마
투수 / 전체 34번
1997
존 커티스
투수 / 전체 17번
1997[11]
마크 피셔
외야수 / 전체 35번
1998
애덤 에버렛
유격수 / 전체 12번
1999[12]
릭 아사두리안
외야수 / 전체 17번
1999[12]
브래드 베이커
투수 / 전체 40번
1999[14]
케이시 포섬
투수 / 전체 48번
1999
FA 호세 오퍼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0
필 더마트레
투수 / 전체 22번
2001
FA 매니 라미레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2
FA 자니 데이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3
데이비드 머피
외야수 / 전체 17번
2003[15]
맷 머튼
외야수 / 전체 32번
2004
FA 키스 폴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5[16]
자코비 엘스버리
외야수 / 전체 23번
2005[17]
크레이그 헨슨
투수 / 전체 26번
2005[18]
클레이 벅홀츠
투수 / 전체 42번
2005[16]
제드 라우리
2루수 / 전체 45번
2005[17]
마이클 보우덴
투수 / 전체 47번
2005
FA 에드가 렌테리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6
제이슨 플레이스
외야수 / 전체 27번
2006[21]
다니엘 바드
투수 / 전체 28번
2006[21]
크리스 존슨
투수 / 전체 40번
2006[23]
케일럽 클레이
투수 / 전체 44번
2007[24]
닉 하가돈
투수 / 전체 55번
2007[25]
라이언 덴트
유격수 / 전체 62번
2007
FA 훌리오 루고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08
케이시 켈리
유격수 / 전체 30번
2008[26]
브라이언 프라이스
투수 / 전체 45번
2009
레이 푸엔테스
중견수 / 전체 28번
2010
콜브린 비텍
2루수 / 전체 20번
2010[27]
브라이스 브렌츠
좌익수 / 전체 36번
2010[28]
앤서니 레나도
투수 / 전체 39번
2011[29]
맷 반스
투수 / 전체 19번
2011[30]
블레이크 스와이하트
포수 / 전체 26번
2011[29]
헨리 오웬스
투수 / 전체 36번
2011[30]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외야수 / 전체 40번
2011
FA 칼 크로포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2012
데븐 마레로
유격수 / 전체 24번
2012[33]
브라이언 존슨
투수 / 전체 31번
2012[33]
팻 라이트
투수 / 전체 37번
2013
트레이 볼
투수 / 전체 7번
2014
마이클 체이비스
유격수 / 전체 26번
2014[35]
마이클 코펙
투수 / 전체 33번
2015
앤드류 베닌텐디
외야수 / 전체 7번
2016
제이 그룸
투수 / 전체 12번
2017
태너 하우크
투수 / 전체 24번
2018
트리스턴 카서스
3루수 / 전체 26번
2019
사치세 초과로
인한 지명권 후퇴
2020
닉 요크
2루수 / 전체 17번
2021
마르셀로 마이어
유격수 / 전체 4번
2022
미키 로메로
유격수 / 전체 24번
2023
카일 틸
포수 / 전체 14번
2024
브레이든 몽고메리
외야수 / 전체 12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레드삭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wiki style="margin: -11px -10px -24px" }}}}}}}}}

[1] FA 짐 다이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프랭크 타나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조 루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그렉 맥머티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브루스 허스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FA 래리 앤더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마이크 보디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데이먼 베리힐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FA 에릭 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로저 클레멘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모 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14] FA 그렉 스윈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클리프 플로이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올랜도 카브레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7] FA 데릭 로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페드로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17] [21] FA 자니 데이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23] FA 빌 밀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FA 알렉스 곤잘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5] FA 키스 폴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6] FA 에리크 가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7] FA 빌리 와그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8] FA 제이슨 베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FA 빅터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0] FA 아드리안 벨트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9] [30] [33] FA 조나단 파펠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3] [35] FA 자코비 엘스버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1958 1959~1960
나이토 고조 스기우라 류타로 오타가키 요시오 하세가와 료헤이 비젠 요시오
<rowcolor=#ffffff> 1961 1962~1963 1964 1965 1966
카와무라 히데후미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오이시 기요시 이케다 히데토시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아니야 소하치 오이시 야타로 아니야 소하치 소토코바 요시로 오이시 야타로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1977 1978
시라이시 시즈오 소토코바 요시로 사에키 카즈시 소토코바 요시로 타카하시 사토시
<rowcolor=#ffffff> 1979 1980~1981 1982~1984 1985 1986~1989
후쿠시 아키오 이케가야 코지로 키타벳푸 마나부 오노 유타카 키타벳푸 마나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1994 1995
오노 유타카 나가도미 히로시 카와구치 카즈히사 키타벳푸 마나부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2002
오노 유타카 야마우치 야스유키 오노 유타카 네이선 민치 사사오카 신지
<rowcolor=#ffffff> 2003~2007 2008 2009 2010~2012 2013
구로다 히로키 오타케 칸 콜비 루이스 마에다 겐타 브라이언 벌링턴
<rowcolor=#ffffff> 2014~2015 2016~2017 2018 2019~2023 2024
마에다 겐타 크리스 존슨 노무라 유스케 오세라 다이치 쿠리 아렌
<rowcolor=#ffffff> 2025
모리시타 마사토
}}}}}}}}}}}} ||

파일:NPB 로고.svg 일본 프로야구 사와무라 상 수상자
201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도요 카프)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7~2018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5년 센트럴 리그 최우수 방어율
201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6~2018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
파일:p14-carp-a-20150515.jpg
크리스토퍼 마이클 존슨
Kristofer Michael "Kris" Johnson
출생 1984년 6월 24일 ([age(1984-06-24)]세)
캘리포니아주 웨스트 코비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투수
투타 좌투좌타
신체조건 193cm,93kg
프로입단 2003년 드래프트 50라운드 (전체 1475번, ANA)
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0번, BOS)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어리츠(2013)
미네소타 트윈스(2014)
히로시마 도요 카프(2015~2020)

1. 개요2. 아마추어 시절3. 메이저리그 베이스볼4. 일본프로야구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프로야구에서 활동한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전 좌완 에이스 투수.

일본프로야구 외국인 투수로는 단 2명 뿐인 사와무라상 수상자 중 하나이다.

2. 아마추어 시절

미주리주에서 고등학교를 다녔으며 2003년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애너하임 에인절스에 50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위치타 주립대학교로 진학했다. 2006년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보스턴 레드삭스의 40순위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3.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2006~2011년 보스턴 레드삭스의 마이너리그 산하 팀에서 뛰었으나 콜업되지는 못했다. 2011년말 피츠버그와 계약했으며 2013년 8월에 25인 로스터 포함 및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가졌다. 2013년 11월 미네소타로 트레이드됐다.

4. 일본프로야구

2014년 10월 히로시마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2015년 28경기에 선발 등판해 194.1이닝을 먹으며 14승 7패 방어율 1.85를 기록했고 이는 리그 방어율 1위였다. 14승은 팀 동료이자 다승왕, 사와무라상 타이틀 홀더인 마에다 켄타의 15승에 1승이 모자랐던 우수한 성적이었다.

2016년 6월에 2017년~2019년 3년 연장 계약을 체결했으며, 시즌 15승 7패 방어율 2.15를 기록하는 활약으로 에이스 마에다 켄타의 공백을 무색하게 하며 카프의 25년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의 일등 공신이 되었다. 이 해의 활약을 인정받아 사와무라상을 수상했으며 외국인의 사와무라상 수상은 1964년 진 바키 이래 처음이었다. 단 탈삼진, ERA, 이닝 등은 요미우리의 스가노 토모유키에, 승수와 승률은 팀 동료 노무라 유스케에 밀려 리그 타이틀이 하나도 없음에도 사와무라상을 수상했다. 베스트나인도 노무라가 가져갔다.

연장계약 첫 해인 2017년은 햄스트링 부상 등에 고전하면서 13경기에 등판해 6승 3패에 그치고 방어율은 무려 4.01로 치솟았으나 2018년에는 규정이닝을 채우며 다시 두 자리수 승수(11승 5패)에 3.11의 ERA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완전히 반등한 모습을 보이며 156.2이닝 11승 8패 ERA 2.59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다만 시즌 마지막 등판 결과에 따라 평균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할 수도 있었음에도 주니치의 오노 유다이에 근소한 차로 밀려[1] 아쉽게 세리그 평균자책점 2위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10경기 10선발 0승7패 6.19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완벽히 망했다.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이었던 존슨의 부진이 카프 추락의 큰 원인 중 하나. 심각한 부상이 있는 것도 아닌 것으로 보아, 어느덧 만 36세인 나이로 인한 노쇠화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결국 시즌 후 재계약에 실패하며 팀을 떠나게 되었고 은퇴가 예상된다.

2021년은 아예 팀을 구하지 않고 놀았고, 결국 8월 현역은퇴를 선언했다.

5. 여담

  • 아이자와 츠바사가 베스트나인까지 수상하는 괜찮은 타격력으로 주전 포수가 되었지만 2019년에도 존슨의 전담포수로는 주로 노장 이시하라 요시유키가 배정되었다. 2020년 이시하라가 은퇴수순을 밟는 것과 존슨의 쇠락이 겹치며 공교롭게도 둘 모두 같은 해 카프를 떠나게 되었다.
  • 이상훈이 현역은퇴 후 출연한 TV 여행 프로그램인 '이상훈의 MLB the city'[2]에서 촬영 당시 보스턴 산하 트리플 A팀인 포터켓 레드삭스 선수 시절의 존슨이 잠시 인터뷰된다.

6. 관련 문서



[1] 시즌 최종전이던 한신 타이거스 고시엔 원정에 선발 등판했는데 3.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존슨의 평균자책점을 제치자마자 마운드를 내려가면서 타이틀을 확정한 꼼수를 부렸다. 오노가 내려간 주니치 마운드를 한신 타선이 공략하면서 한신카프를 반 게임차로 제치고 3위를 확정해 2019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하면서 존슨과 카프는 두 번 물을 먹게 됐다.[2] 나레이션은 공형진이 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