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2 20:31:07

고바야시 시게루

고바야시 시게루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47 1948 1949 1950 1951
벳쇼 아키라
난카이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사나다 쥬죠
쇼치쿠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1952 1953 1954 1955 1956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이치
고쿠테츠
1957 1958 1959 1960 1961
카네다 마사이치
고쿠테츠
카네다 마사이치
고쿠테츠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호리모토 미츠오
요미우리
곤도 히로시
주니치
1962 1963 1964 1965 1966
코야마 마사아키
한신
이토 요시아키
요미우리
진 바키
한신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1967 1968 1969 1970 1971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에나츠 유타카
한신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수상자 없음
1972 1973 1974 1975 1976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호시노 센이치
주니치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1977 1978 1979 1980 1981
코바야시 시게루
요미우리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수상자 없음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1982 1983 1984 1985 1986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수상자 없음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1987 1988 1989 1990 1991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노모 히데오
킨테츠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1997 1998 1999 2000 2001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수상자 없음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2002 2003 2004 2005 2006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이가와 케이
한신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2007 2008 2009 2010 2011
다르빗슈 유
닛폰햄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2012 2013 2014 2015 2016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2017 2018 2019 2020 202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수상자 없음 오노 유다이
주니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2022 2023 2024 2025 202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수상자 없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투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스다 히로시
도쿄쿄진군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사나다 쥬조
타이요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사나다 쥬조
쇼치쿠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곤도 히로시
주니치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진 바키
한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에나츠 유타카
한신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코바야시 시게루
요미우리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야마네 카즈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오노 카즈유키
주니치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이마나카 신지
주니치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쿠도 키미야스
요미우리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이가와 케이
한신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디키 곤잘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야나기 유야
주니치
아오야기 코요
한신
아즈마 카츠키
DeNA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유키 스스무
난카이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니시무라 사다아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무라 타이세이
난카이
카지모토 타카오
한큐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조 스탠카
난카이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타나카 츠토무
니시테츠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야마다 히사시
한큐
나리타 후미오
롯데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야마다 히사시
한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무라타 쵸지
롯데
쿠도 미키오
닛폰햄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이마이 유타로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니시자키 유키히로
닛폰햄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궈타이위안
세이부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이라부 히데키
롯데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에릭 힐만
롯데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제레미 파웰
킨테츠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다르빗슈 유
닛폰햄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다르빗슈 유
닛폰햄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진 바키
한신 / 29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4승
아즈마 카츠키
DeNA / 14승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

보유 기록(NPB)
단일 일본시리즈 최다 등판 6경기(1976년, 타이기록)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40번}}}
니우라 히사오
(1969~1972)
고바야시 시게루
(1973)
나카무라 유타카
(1974)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19번}}}
유구치 토시히코
(1971~1973)
고바야시 시게루
(1974~1978)
릭 크루거
(1979)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19번
카도 카즈히코
(1975~1978)
고바야시 시게루
(1979~1983)
나카니시 키요오키
(1984~1996)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70번
스즈키 케이시
(1993~1995)
고바야시 시게루
(1997~2001)
코다 이사오
(2002~2003)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79번
시마다 카즈테루
(2006~2007)
고바야시 시게루
(2009~2010)
니시 슌지
(2012~2014)

}}} ||
파일:한신 코바야시 시게루.jpg
고바야시 시게루
小林繁 | Shigeru Kobayashi
출생 1952년 11월 14일
돗토리현 토하쿠군 아카사키초
(現 돗토리현 토하쿠군 코토우라초)
사망 2010년 1월 17일 (향년 57세)
후쿠이현 후쿠이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돗토리현립 유라이쿠에이 고교[1]
신체 178cm, 68kg
투타 우투우타(사이드암 스로)
포지션 투수
프로입단 1971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70번, 요미우리)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73~1978)[2]
한신 타이거스 (1979~1983)
지도자 경력 킨테츠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1997~1998)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2군 투수코치 (1999)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군 투수코치 (2000~2001)
SK 와이번스 2군 투수 인스트럭터 (2007)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군 투수코치 (2009)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1군 투수코치 (2010)[3]

1. 개요2. 선수 시절
2.1. 프로 데뷔 이전2.2.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2.3. 공백의 1일2.4. 한신 타이거스 시절
2.4.1. 1979년2.4.2. 선수 생활 후반
3. 은퇴 이후4. 기타

1. 개요

전직 일본프로야구 선수, 해설가 및 지도자. 별명은 "비극의 히어로(悲劇のヒーロー)"로, 한때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으나 에가와 스구루의 요미우리 입단을 둘러싼 논란에 본의 아니게 휘말리게 되면서 이후 순탄치 못한 선수 생활을 보내게 되었다.

2. 선수 시절

2.1. 프로 데뷔 이전

초등학생 때까지 소프트볼 선수로 뛰다가 중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했고 고등학생 때 오버핸드 스로에서 사이드암 스로로 바꿨다.

원래는 고교 졸업 후 간사이대학 야구부로 진학하려 했으나, 칸사이대학 측에서 급작스레 체육특기생 제도를 없애버리면서 진로가 붕 뜨고 만다. 이제 와서 프로야구 구단의 지명을 받을 수도 없는 데다 다른 대학으로 가기에도 타이밍이 늦은 상태였는데, 자신에게 칸사이대학 입학을 권유했던 선배의 추천으로 1971년 사회인야구팀 젠다이마루(全大丸)[4]에 입사한다.

그렇게 사회인야구에서 1년간 뛰다가 드래프트 참여를 권유받았고 킨테츠 버팔로즈, 난카이 호크스,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3개 구단이 관심을 보였지만, 고바야시는 우선 도시대항야구대회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로 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킨테츠와 난카이는 이 반응을 보고 고바야시의 지명을 포기했고, 요미우리도 고바야시를 하위 순번인 6순위로 지명했다.

파일:고바야시 시게루 요미우리 입단.jpg
1972년 다이마루는 도시대항야구대회 본선에 올랐으나 1차전에서 패배했고, 고바야시는 그 후 자신의 지명권이 남아 있었던 요미우리에 입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사실 이 당시 지명권의 유효기간은 1년이라 조금만 더 버티고 이 해 드래프트에서 상위 지명을 받는다는 선택도 할 수 있었지만[5] 고바야시 본인이 요미우리 팬이라 그냥 입단한 것.

2.2.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입단 후 1년간은 2군에서만 뛰다가 2년차인 1973년 9월에 1군에 데뷔했고, 이후 1974년까지 불펜 투수로 뛰다가 1975년부터 서서히 선발 투수로 전향한다.

프로에서의 전성기가 열린 건 1976년부터인데, 1976년 43경기(29선발) 217.1이닝 18승(2위) 8패 2세이브 방어율 2.99(2위), 1977년 42경기(30선발) 216.1이닝 18승 8패 7세이브 방어율 2.92를 기록하며 요미우리의 에이스가 되었고, 1977년에는 베스트나인사와무라상까지 수상하는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팀도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 일본시리즈에서 한큐 브레이브스와 대결하게 된다. 다만 이 2번의 일본시리즈에서 고바야시 시게루가 불을 질러버리면서[6] 일본시리즈 우승은 끝내 달성하지 못했다.

1978년에는 전 해 너무 달린 탓인지 43경기(31선발) 191.1이닝 13승 12패 평균자책점 4.03이라는 살짝 떨어진 성적을 기록. 뭐 그래도 출장 경기수나 소화이닝이 크게 떨어진 것도 아니고, 직전 해 사와무라상 수상자기도 해서 요미우리의 에이스 자리가 위협받을 일은 없겠구나 싶었는데, 이해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행을 고집하던 괴물 신인의 입단으로 인해 야구인생이 크게 뒤틀리게 되고 말았다.

2.3. 공백의 1일

자세한 것은 에가와 스구루 항목으로.

공백의 1일 사건의 최대 피해자.

1978 시즌 후, 일본프로야구는 평소대로 드래프트를 진행했는데, 요미우리에 입단하고 싶었던 에가와[7]는 당시 입단교섭권은 드래프트 지명 당일부터 다음 드래프트 2일 전까지 유효한다고 규정한 드래프트 제도의 헛점을 이용하여 전년도인 1977년에 에가와를 지명한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의 입단교섭권이 무효 처리된 다음날, 즉 드래프트 전날(11월 21일) 요미우리와 번외계약을 체결한다.

문제는 앞서 말한 드래프트 제도의 헛점을 개선하기 위해 드래프트 지명 범위를 일본의 학교에 재학한 경험이 있는 모든 선수로 확대한 새 규약이 드래프트 당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던 것. 이 때문에 센트럴리그 사무국은 번외계약이 무효라고 통보했고, 에가와는 드래프트에서 한신에 지명된다. 그러나 드래프트 당일 요미우리가 전면 보이콧을 선언해 버리는 등[8] 에가와와 요미우리가 계속 고집을 부리자(심지어 요미우리는 독자리그를 만들겠다고까지 할 정도였다!), 일본프로야구기구는 12월 21일 중재안을 내놓았는데, 그것이 바로 일단 한신이 에가와와 계악하고 1월 31일까지 한신이 요구하는 선수와 에가와를 트레이드할 것.

한신은 처음에 이 제안을 거부했지만 결국 백기를 들고 트레이드 협상을 진행했는데, 여기서 한신이 요미우리의 에이스 고바야시를 트레이드 대상으로 요구했고 요미우리는 이를 바로 승낙한다. 요미우리는 고바야시를 1월 31일이 될 때까지 내내 설득했고, 고바야시는 좋아하던 요미우리를 떠나 갑자기 다른 팀으로 가게 된 상황에 반발하여 트레이드를 계속 거부했으나 끝내 이를 받아들인다. 2월 1일에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고바야시는 최대한 담담하게 심중을 표현했지만, 속으로는 요미우리를 원망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자회견이 끝나자마자 옛 동료들에게 인사도 하지 못한 채[9] 쫓기듯이 한신으로 떠나야 했다.

2.4. 한신 타이거스 시절

2.4.1. 1979년

파일:고바야시 시게루 한신 현역시절.jpg

트레이드에 있어 지금보다도 훨씬 부정적인 시각이 강했던 시절이었던 만큼, 고바야시는 요미우리가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했고, "요미우리에게만은 지고 싶지 않다", "나를 버린 것을 후회하게 하겠다"라는 생각으로 1979 시즌을 맞이한다. 당시 한신 감독이었던 돈 블레이저에게 자기의 선발 로테이션을 요미우리전에 맞춰 짜달라고 했을 정도. 이렇게 복수심을 불태우며 요미우리전에 표적등판한 결과는 요미우리전 8연승.[10] 시즌 성적도 37경기(36선발) 273.2이닝 22승 9패 1세이브 방어율 2.89로 커리어하이를 기록하며 다승왕 타이틀을 획득, 생애 2번째 베스트나인, 사와무라상까지 수상하며 자신을 버린 요미우리를 단단히 후회하게 해 주는 듯 하였다.

그러나 고바야시 자신은 훗날 이 때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듯한 발언을 했다.
あの年に俺がやったことは野球選手として褒められたことじゃないんだよ。自分のためだけの野球をやっていたから。あんな事件があって、トレードで阪神に移って、悔しくてね。だから、『俺は生きるぞ、負けてなんかいないぞ』って主張したかった…それだけの野球。そんな野球は全然、駄目でしょ。チームより自分が先に立っていた…そんなのは、あざといだけの野球だよ。なのにファンもマスコミも俺が巨人に勝つたびに大騒ぎをする。世の中が、そんな風に動くのが嫌だった。『あんたら馬鹿か』と思いながら、それでも、俺は巨人に負けたくないと思って必死に投げていたんだ。結局、世間に踊らされていたんだよ、あの年の俺は。
그 해 내가 했던 행동은 야구선수로서 칭찬할 만한 건 아니었다. 자신만을 위한 야구를 하고 있었으니까. 그 사건(공백의 1일) 때문에, (본의 아니게) 트레이드로 한신으로 가게 되어서 분했었다. 그래서 "나는 살아남겠다. 지는 일 따윈 없다"라고 주장하고 싶었다... 그것뿐인 야구. 그런 야구는 정말 바람직하지 않겠지. 팀보다 자기를 먼저 앞세우고... 그런 건 되바라진 야구일 뿐이다. 그런데도, 팬들도 매스컴도 내가 쿄진에게 이길 때마다 난리였다. 세상이 그런 식으로 돌아가는 게 싫었다. "당신들 바보냐"라고 생각하면서도, 그럼에도, 나는 쿄진에게 지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필사적으로 던지고 있었다. 결국, 세상에 놀아나고 있었던 거다, 그 해의 나는.

2.4.2. 선수 생활 후반

고바야시는 그 이후에도 별 일 없으면 200이닝 이상 먹어주고 2점대 후반 ~ 3점대 초반의 ERA과 10승 이상을 기록해 주는 한신의 에이스로 활약했지만, 1979년도와는 다르게 요미우리전에서의 결과가 나빠지고 있었다. 80년부터의 요미우리전 전적은 5승 15패. 특히 1980년 처음으로 자신의 트레이드 상대 에가와 스구루와 선발 맞대결을 펼쳤으나, 에가와가 9이닝 3실점을 기록한 데 반해 고바야시는 5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완패하고 말았다. 고바야시 본인은 79년 이후로 요미우리전에 임할 동기가 사라졌다고 표현했다.

그리고, 82시즌 후 그는 충격적인 선언을 한다. 83년에 15승을 거두지 못하면 은퇴하겠다고 한 것. 82년 성적이 조금 안 좋긴 했지만(27경기 163.1이닝 11승 9패 방어율 3.42) 은퇴를 불사할 성적은 아니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이를 그저 다음 시즌을 대비하는 자세 정도로 받아들였다. 그리고 83년 최종 성적은 35경기(32선발) 209이닝 13승 14패 평균자책점 4.05. 최다패에 4점대 평균자책점 등 조금 아쉬운 모습이 보였어도 아직 은퇴하기엔 일러 보이는 성적이었지만, 15승을 거두지 못하면 은퇴하겠다는 선언대로 그는 이해 시즌 종료 후 정말로 은퇴했다.[11] 그가 은퇴 선언을 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첫 번째는 한신으로의 트레이드 때부터 갖고 있었던 팔꿈치 부상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트레이드 이후 야구에 대한 흥미가 사라진 것. 사실상 에가와가 고바야시를 은퇴시켰다는 말과 같은 것이다.
こんなことを言っても仕方がないけれど、もし、あのトレードがなくて、ジャイアンツに残っていたとしたら、もっと長く現役を続けていただろうね。ジャイアンツにいたら35歳ぐらいまで、いや投げれる間はユニフォームを着ていたんじゃないかな。結局、あのトレードから、人の評価に振り回される僕の人生が始まった。自分のやりたいように生きていなかったね。周りの評価ばかり気にして、そんな自分が嫌で、つかれて、もう野球から離れたかったんだと思う。だから引退を決めた時、自分の野球人生を振り返ろうともしなかったし、感傷に浸ることもなかった。
이런 말을 해도 어쩔 수 없지만, 만약, 그 트레이드가 없어서, 자이언츠에 남아 있었다면, 좀 더 길게 현역생활을 이어갔을 것이다. 자이언츠에 있으면 35세 정도까지, 아니 던질 수 있는 동안에는 유니폼을 입고 있었지 않았을까. 결국, 그 트레이드로부터 사람들의 평가에 휘둘리는 내 인생이 시작되었다.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살고 싶었는데 말이다. 주위의 평가에만 신경쓰는, 그런 자신이 싫었고, 지쳤기에, 이제 야구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은퇴를 결심했을 때, 자신의 야구인생을 돌아보려고 하지도 않았고, 감상에 젖지도 않았다.

3. 은퇴 이후

은퇴 후 곧바로 해설가로 전향하여 1984년부터 1996년까지 TBS 테레비, TV 아사히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다. 1985년 일본시리즈에서 한신 타이거스가 우승할 때 축승회를 취재하다 한신 시절 동료인 카와토 코조가 그에게 맥주를 끼얹기도. 사실 은퇴한 지 2년밖에 지나지 않을 때라 동료라고 생각했을 법도 하다. 한편으로 1984년에 야구선수 장훈과 같이 이나가와카이의 초대 회장 이나가와 세이죠를 다룬 야쿠자 영화 '수라의 무리'에 출연하기도 했다.

해설자로 뛰던 중간에 카와카미 테츠하루로부터 신당 사와야카의 참의원 선거 후보로 나와달라는 부탁을 받고 비례 1번으로 출마했지만, 일본의 신생 정당이 그렇듯 득표율 1%도 못 나오고 낙선하고 만다. 득표율이 저러니 공탁금이나 그 외 선거비용도 보전받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타격을 크게 입고 만다. 결국 이것 때문에 파산신청을 한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는 킨테츠 버팔로즈 투수코치로 재직. 킨테츠는 1997 시즌에 퍼시픽리그 3위, 2001 시즌에 퍼시픽리그 우승을 차지[12]했지만 사실 투수들의 성적이 좋은 편은 아니었고[13], 때문에 리그 우승을 하고도 투수진의 부진에 대한 책임을 물어 2001년 시즌 후 코치직에서 물러나고 만다.

그 후에는 아까 말한 한신 동료 카와토 코조의 소개로 골프장 지배인을 맡았다가 앞서 말한 이유로 파산신청을 하고 물러난다.

본인의 야구 인생을 뒤틀리게 한 장본인인 에가와 스구루에 대해선 은퇴 후 인터뷰에서 개인적인 원한은 없지만, 입단 당시의 논란으로 본인의 야구 인생이 변해버리게 된 것엔 아직도 약간의 응어리가 남아 있다고 밝히기도 했으며, 2007년엔 에가와와 함께 화해를 주제로 서로 대담을 가지는 일본주 CM을 찍으면서 서로 간에 남아있던 감정들을 푸는 시간을 가졌다.

같은 해 한국으로 건너와 SK 와이번스의 2군 투수코치를 맡기도 했으며, 2009년부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의 2군 투수코치로 부임하여 이듬해인 2010년 1군 투수코치로 영전할 계획에 있었다. 그러나 스프링캠프를 불과 2주 앞둔 그해 1월 17일, 후쿠이현의 자택에서 코바야시는 심근경색으로 갑자기 쓰러졌고, 곧바로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심근경색에 의한 심부전으로 끝내 사망하고 만다. 향년 57세.

장례식에선 요미우리 시절의 절친 김일융을 비롯해 현역 시절 친분이 있던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해 코바야시의 마지막을 함께했고, 에가와 스구루는 코바야시를 추모하면서 입단 당시의 여러 사건들에 대해 면목이 없다며 거듭 사죄했다. 사망 당시 투수코치로 재적 중이었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는 그 해 3월 3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시범 경기를 추모시합으로 개최하여 코바야시의 넋을 기렸다.

4. 기타

근육맨에서는 주인공 근육 스구루가 에가와 스구루를 풍자한 캐릭터다보니, 고바야시 시게루의 패러디 캐릭터도 등장시켜서 공백의 1일 사태도 풍자했다.
[1] 현 돗토리현립 돗토리추오이쿠에이 고교.[2] 1972년 입단이 아닌 이유는 1년간 사회인야구팀 다이마루에서 뛰며 입단을 유예했기 때문이다. 지명권의 효력이 사라지기 전 요미우리에 입단했다.[3] 2010년부터 1군 투수코치로 승격할 예정이었으나 스프링캠프 개막 직전 심부전으로 사망하면서 무산되고 말았다.[4] 유명 백화점 브랜드 다이마루 소속의 사회인야구부로 1981년 폐부했다.[5] 지역리그와 도시대항전 예선 기록이 좋았다. 노히트 노런도 달성했을 정도.[6] 사실 76년 일본시리즈에서는 2번 모두 5이닝 3실점을 기록했던 1차전(패)하고 3차전(노디시전)을 제외하면 4~6차전에서 2승 1세이브를 기록하면서 리버스 스윕의 찬스를 여는 등(7차전에서 패하면서 무산) 7경기 중 불펜으로만 6경기에 나와서 2승 1패 1세이브 ERA 2.84로 나름 잘 던져줬다. 문제는 77년 일본시리즈에서 중요한 승부처인 1차전(패), 5차전(노디시전)에서 한큐 타선에게 무참하게 공략당하는 바람에 시리즈의 흐름이 한큐에게 완전히 넘어가는 원인을 제공하고 말았다. 77년 일본시리즈 당시 성적은 4경기 0승 1패 6.1이닝 ERA 6.00[7] 에가와는 고졸, 대졸 당시의 드래프트에서 이미 2번이나 타팀 입단을 거부한 전적이 있었다. 이중 1977년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의 1위 지명이 공백의 1일 사건이 터지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8] 덕분에 1978년 드래프트는 역대 최소 지명(44명) 드래프트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요미우리의 보이콧에 더해 당시 드래프트는 최대 4순위까지 지명 가능하도록 규정되었기 때문. 대신 요미우리는 이 해 드래프트 번외로 80년대 주축 계투로 활약한 카토리 요시타카 등 무려 10명의 선수를 영입하며 드래프트를 하지 않고도 나름 쏠쏠한 재미를 맛보았다.[9] 이 때 요미우리는 미야자키로 전지훈련을 떠난 상태였는데, 고뱌야시가 그 곳을 방문하는 것을 구단이 거부했다.[10] 이 해 요미우리는 6월까지 리그 선두를 달리다가 7월부터 리그 5위로 떨어지고, 9월부터는 승패마진마저 마이너스로 바뀌면서 우승 경쟁에서 멀어지고 만다. 결국 10.5경기차 5위로 시즌을 마감했는데, DTD의 주 원인으로 한신과의 맞대결 성적(9승 17패)이 꼽히는 만큼 고바야시로서는 복수 제대로 한 셈.[11] 에가와도 4년 뒤인 1987 시즌 종료 후 어깨 부상의 악화를 이유로 돌연 은퇴한다. 공교롭게도 이쪽 역시 은퇴 시즌 당시의 성적이 괜찮았음에도 그대로 은퇴했다.(26시합 25선발 13승 5패, 166.2이닝 평균자책점 3.51)[12] 그 유명한 키타가와 히로토시3점차로 뒤진 상황에서 12년 만의 우승을 결정짓는 전설의 대타 역전 끝내기 만루 홈런이 나온 시즌이다.[13] 2001년 리그 우승 당시의 킨테츠의 팀 평균자책점은 4.98(리그 최하위)였다. 최악급의 투수진을 터피 로즈, 나카무라 노리히로 등의 슬러거들이 즐비했던 압도적인 강타선의 힘으로 커버하면서 우승한 것. 그러나 이 극심한 투타 불균형이 끝내 2001년 일본시리즈에서 화를 부르며 야쿠르트에게 1승 4패로 무기력하게 우승을 넘겨줬고, 이후 킨테츠는 첫 우승의 꿈조차 이루지 못한 채 2004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게 흡수합병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