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19> | 오릭스 버팔로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00 앤더슨 에스피노자 · 11 야마시타 슌페이타 · 12 아즈마 코헤이 · 13 미야기 히로야 · 14 우다가와 유키 · 15 무쿠노키 렌 · 16 히라노 요시히사 17 소타니 류헤이 · 19 야마오카 타이스케 · 20 아베 쇼타 · 21 야마자키 소이치로 · 22 무라니시 료타 · 23 요시다 코세이 · 26 사이토 쿄스케 28 토미야마 료가 · 29 타지마 다이키 · 35 타카시마 타이토 · 42 안드레스 마차도 · 43 마에 유이토 · 46 혼다 히토미 · 48 토마츠 카이세이 52 요코야마 카에데 · 54 루이스 카스티요 · 56 코기타 아츠야 · 57 야마다 노부요시 · 58 이구치 카즈토모 · 59 루이스 페르도모 63 카와치 코스케 · 66 스즈키 히로시 · 95 사이키 카이토 · 97 코타지마 세이류 · 98 곤다 류세이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오릭스 버팔로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
미야기 히로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2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2023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신인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투수 | 카케야마 카즈오 난카이 / 내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내야수 | 타우라 모토지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에노모토 키하치 마이니치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키무라 타모츠 난카이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수상자 없음 | 토쿠히쿠 토시아키 킨테츠 / 투수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수상자 없음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이케나카 마사아키 니시테츠 / 투수 | 수상자 없음 | 타카하시 요시마사 토에이 / 투수 | 수상자 없음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투수 | 미나가와 야스오 토에이 / 투수 | 카토 하지메 니시테츠 / 투수 | 니이미 사토시 닛타쿠홈 / 투수 | 미츠이 마사하루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구치 타카시 한큐 / 투수 | 후지타 마나부 난카이 / 투수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투수 | 무라카미 유키히로 난카이 / 투수 | 마츠누마 히로히사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오오이시 다이치로 킨테츠 / 내야수 | 후타무라 타다미 닛폰햄 / 외야수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포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 외야수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투수 | 모리야마 료지 세이부 / 투수 | 사카이 츠토무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하세가와 시게토시 오릭스 / 투수 | 타카무라 히로시 킨테츠 / 투수 | 스기야마 켄토 세이부 / 투수 | 와타나베 히데카즈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히라이 마사후미 오릭스 / 투수 |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내야수 | 코사카 마코토 롯데 / 투수 |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 외야수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수상자 없음 | 오쿠보 마사노부 오릭스 / 투수 | 쇼다 이츠키 닛폰햄 / 투수 | 와다 츠요시 다이에 / 투수 | 미세 코지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보 야스토모 롯데 / 투수 | 야기 토모야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코마츠 사토시 오릭스 / 투수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사카키바라 료 닛폰햄 / 투수 | 마키타 카즈히사 세이부 / 투수 | 마스다 나오야 롯데 / 투수 | 노리모토 타카히로 라쿠텐 / 투수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투수 | 타카나시 히로토시 닛폰햄 / 투수 | 겐다 소스케 세이부 / 내야수 | 타나카 카즈키 라쿠텐 / 외야수 | 타카하시 레이 소프트뱅크 / 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타이라 카이마 세이부 / 투수 |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 야마시타 슌페이타 오릭스 / 투수 | / | }}}}}}}}} |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13번 | ||||
야마오카 타이스케 (2017~2019) | → | 미야기 히로야 (2020~) | → | 현역 |
<colbgcolor=#000019><colcolor=#fff> 오릭스 버팔로즈 No.13 | |
미야기 히로야 宮城大弥 | Hiroya Miyagi | |
생년월일 | 2001년 8월 25일 ([age(2001-08-25)]세)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출신지 | 오키나와현 기노완시 |
출신교 | 코난 고등학교 |
신체 | 171cm, 80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9년 NPB 신인 드래프트 1순위 (오릭스) |
소속팀 | 오릭스 버팔로즈 (2020~) |
등장곡 | TENSONG - Growth |
연봉 | 2024 / ¥160,000,000 |
[clearfix]
1. 개요
오릭스 버팔로즈 소속의 선발투수. 스기모토 유타로와 함께 2021 시즌 혜성같이 등장하여, 오릭스의 퍼시픽리그 연속 우승과 2022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견인한 선수이다.MLB로 진출한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빈자리를 채울 차세대 에이스로 기대받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경력
|
코난 고등학교 시절 |
4세 무렵부터 소년야구팀에 입단해 야구를 시작했고, 중학교 시절엔 우완투수인 우에마 토와(現 세이부)과 함께 경식 야구 오키나와 선발팀의 양대 에이스로서 활약한 것은 물론, 포니리그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 일본 청소년 국가대표 U-15 대표 멤버로 선출되는 등 두각을 나타낸다. 이후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많은 학교에서 러브콜을 받았으나 고향인 오키나와에서 코시엔에 출장해 주었으면 하는 아버지의 희망도 있어 나하시의 코난 고등학교에 진학했다.
코난 고등학교에선 1, 2학년 때 하계 코시엔 진출을 이뤘고 3학년 때인 2019년 지역대회 결승전에서 오키나와쇼가쿠 고등학교에게 지면서 코시엔 진출에 실패했으나 지역대회에서 총 6경기에 등판해서 46이닝 61탈삼진을 기록하는 뛰어난 성적을 보여줬다. 같은 해 8월 20일에는 일본 U-18 야구 국가대표팀 멤버로 선출되었다.
이후 10월 17일 열린 드래프트 회의에서 이시카와 타카야, 카와노 류세이의 1위 지명을 연달아 놓친 오릭스 버팔로즈의 하즈레 1순위 지명을 받았고, 11월 15일에 계약금 8000만엔, 연봉 770만엔 및 등번호 13번을 다는 조건으로 입단 계약을 체결했다.
2.2. 프로 경력
2.2.1. 2020 시즌
2020년에는 6월 25일 한신과의 2군 경기에서 데뷔전을 가졌고 여기서 본인의 최고구속인 153km를 던지며 주목받았다.이후 2군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자 시즌 말 1군에 승격되었고 10월 4일 라쿠텐전 홈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을 기록하는 것으로 1군 데뷔를 이뤘다. 이후 10월 18일 세이부전 원정경기에서 선발 등판하여 6이닝 3실점으로 프로 첫 패전, 11월 6일 닛폰햄 홈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2실점으로 프로 첫 승리를 기록하면서 최종적으로 3등판(3선발) 16이닝 1승 1패, ERA 3.94를 기록했다.
2군 성적은 13경기 59.2이닝 6승 2패 ERA 2.72로 웨스턴리그 최다승을 차지하며 다음시즌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오프시즌에는 100만엔 증가한 870만엔으로 연봉계약을 갱신했다.
2.2.2. 2021 시즌
2021년에는 첫 풀타임 시즌을 맞이했다. 개막 2차전인 세이부전에 선발등판해 7이닝 2실점으로 승리투수가 된 것을 시작으로 5월 26일 요코하마전까지 5연승을 달렸고, 6월 2일 한신전에서 시즌 첫 패배를 당했지만[1] 전반기 13경기 9승 1패 ERA 1.96이라는 신인으로서는 엄청난 성적을 기록하며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좌우 원투펀치로 좋은 활약을 보였다.
결국 올스타전 팬투표에서 퍼시픽리그 선발투수 부문 1위에 선출되었고[2], 2차전에 선발등판하여 2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 올림픽 휴식기 이후 치러진 8월 13일 지바 롯데전에서 10승을 달성하며 12구단에서 가장 먼저 10승을 달성했다. 10대로서 12구단 최초 10승 달성은 1987년 쿠와타 마스미 이후 34년만의 일이었다. 9월 이후 다소 주춤했지만 최종적으로 23등판(23선발) 147이닝 13승 4패 ERA 2.51을 기록하며 2021년 오릭스가 25년 만에 퍼시픽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이후 2021년 일본시리즈 2차전에 선발등판해 7회까지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8회 2아웃에서 아오키 노리치카에 적시타를 내주며 강판되었고 상대 선발 타카하시 케이지가 완봉을 하면서 패전투수가 되었다. 시즌 종료 후 퍼시픽리그 신인왕을 수상했다. 연봉 역시 고졸 3년차 이내 역대 2위의 인상률(475%)을 기록하며 5천만엔으로 인상되었다.
2.2.3. 2022 시즌
2022년에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겪는지 리그 전반적으로 상당한 투고타저 상황인데도 16경기 6승 5패 ERA 3.70으로 그렇게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7월까지는 다소 부침있는 모습이었으나, 8월에는 1패 후 내리 3연승을 기록했는데, 27일 세이부전에서 프로 첫 완봉승을 거둔 것을 포함하여 8이닝 1실점-8이닝 무실점-완봉이라는 호조를 보여주었다. 결국 8월 성적 3승 1패 ERA 1.14를 기록하며 자신의 첫 월간 MVP에 선출되었다.
이후 9월 4일 지바 롯데 원정경기에서도 승리하며 2년 연속 10승 달성에 성공했다. 고졸 출신으로 불과 데뷔 3년차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이는 드래프트로 오릭스에 입단한 투수로서 미즈타니 타카(68,69년) 이후 53년만의 기록. 3점대 후반까지 치솟았던 방어율도 3.07까지 끌어내리며 후반기 순위싸움에 보탬이 되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48.1이닝 11피홈런 36사사구 127탈삼진 ERA 3.16. 세부 스탯은 작년과 거의 차이가 없고 BABIP이 작년에 비해 높은 것을 보면 다소 운이 없었던 시즌이라고 볼 수 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소프트뱅크와의 CS 파이널 스테이지 2차전에서는 5이닝 2실점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고, 2022년 일본시리즈에서는 3차전 선발로 나왔으나 야마다 테츠토에게 쓰리런 홈런을 맞으며 5.1이닝 3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이기면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 7차전에서 생애 처음으로 진구구장에 등판해 4일 휴식 후 등판이 무색하게 5이닝 무실점으로 깔끔히 야쿠르트 타선을 막아내고 5회에는 안타까지 만들어 득점에도 성공했다.
2.2.4. 2023 시즌
2023시즌에도 팀의 절대적인 에이스 야마모토 요시노부와 함께 리그 최강의 원투펀치로 맹활약하고 있다.시즌 최종성적은 22경기 10승 4패 ERA 2.27
2.2.5. 2024 시즌
구속이 급상승하여 평균 140km/h대 후반, 최고 155km/h의 강속구를 뿌리는 중이다.방어율 1점대에다 139 탈삼진으로 커리어하이를 갱신했으나 팀이 하위권으로 쳐지며 득점 지원을 못 받아 7승 9패 밖에 하지 못했다.
2.3.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경력
2.3.1. 일본 U-18 야구 국가대표팀
|
경기 | 선발 | 이닝 | ERA | WHIP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사사구 | 탈삼진 |
3 | 1 | 8⅔ | 1.04 | 1.37 | 0 | 1 | 0 | 0 | 10 | 0 | 5 | 1 | 3 | 9 |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열린 2019년 WBSC U-18 야구 월드컵 대회에서는 3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1.04를 기록했다. 야수로서도 8타수 3안타의 성적을 남기며 투타 양면에서 좋은 활약을 하였다. 대만전에서 선발로 나와 4.2이닝 1자책을 기록했으나 3실점으로 패전투수가 되었고, 한국전이었던 슈퍼라운드에서도 8회에 등판했으나 실책으로 2실점을 하며 동점을 허용했다.
한국전 당시 공이 손에서 빠져 상대 타자였던 이주형의 머리를 맞췄었는데, 미야기는 곧바로 모자를 벗어 사과 의사를 표했고 이주형 역시 헬멧을 벗고 인사를 하며 사과를 받아들였다.
2019년 9월이면 한일 무역 분쟁으로 두 나라 관계가 좋지 않았을 때인데 한일 두 야구선수의 이런 행동은 큰 화제가 됐었다. WBSC에서도 SNS를 통해 "존중(Respect)"이란 단어로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미야기 본인 역시 이 당시 일화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
2.3.2.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23 WBC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압도적인 성적은 아니지만 좌완이 많지 않은 일본 투수 구성에서 불펜투수로서의 사용과 세대교체를 염두에 두고 발탁된 것으로 보인다.3. 피칭 스타일
2024 시즌 기준 최고 155km/h, 평균 140km/h 후반대의 패스트볼을 던지며 슬라이더, 체인지업, 그리고 커브의 변화구를 구사한다. 한때 평균 143~4km/h, 최고 153km/h 정도의 구속을 지닌 기교파에 가까운 투수였지만, 2024 시즌을 기점으로 구속이 급상승하여 100구에도 150km/h대 중반의 강속구를 던질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탁월한 완급조절 능력을 바탕으로 타자들의 타이밍도 훌륭히 빼앗는 완성형 좌완 투수다.제구는 아직까지 기복이 있는 편이나 1군에서의 퍼포먼스, 동나이대 선수들과 비교하면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 2022시즌 퍼시픽리그 루킹 삼진 1위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타이밍을 잘 뺏는다는 강점을 볼 수 있는 부분.
좌완 스리쿼터로서 들었던 오른발을 마운드까지 한번 내렸다가 진자처럼 다시 올려서 투구하는 독특한 이중 키킹의 투구폼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대체로 좌타자들에게 강한 편이다.
4. 여담
- 어린 시절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왼팔에 장애를 입으면서 일자리를 제대로 구하지 못하는 바람에 집이 아주 가난하여 마트에서 파는 700엔짜리 비닐소재 글러브를 쓰거나 유니폼에 천을 덧대서 쓰는 불우한 생활을 보냈으며, 심지어는 팀메이트나 동급생들이 집안 사정에 대해 몰래 험담을 하는 일까지 겪었다고 한다. 프로필상 키가 171cm로 상당히 단신인 것도 빈곤한 가정환경 때문에 어릴 때부터 제대로 못 먹은 탓인 듯. 이런 불운에도 끝끝내 프로야구 데뷔는 물론, 풀타임 선발 투수로 정착하며 팀의 우승까지 일궈냈으니 가히 인간승리를 이뤄냈다 할 만한 선수.
- 롤모델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뛰던 이토 히로미인데, 정작 그 이토에게 신인왕 경쟁에서 승리했다.
- 입단 당시 계약금 중 약 2000만엔을 자신이 나온 초등학교, 중학교나 지역 야구팀 및 오키나와현 자치체 등에 기부했다고 하며, 이후 자신처럼 빈곤한 가정환경 탓에 운동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오키나와현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에 일반사단법인 '미야기 히로야 모금'을 설립했다.
- 세이부 상대로 강하다. 2021년 세이부 상대로만 6전 6승 무패로 이 해 거둔 13승의 반 언저리쯤 된다. 그러나 2022 시즌에는 세이부 상대로 은근히 약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 2022년 1월 21일 코로나 19 양성판정을 받으며 스프링캠프에 늦게 참가하기도 했다.
- 2022년 사사키 로키의 최연소 퍼펙트 게임 당시 오릭스의 선발 투수였다. 당시 5회까지 1실점으로 잘 막다가 6회 난조로 추가 5실점을 하면서 무너져 패전투수가 됐다.
- 오릭스 버팔로즈 유튜브 채널의 예능담당으로 나올 때마다 여러 가지 재밌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의 치트키 수준.
- 타코와 타코라이스를 좋아한다. 특히 오키나와에 있는 <킹 타코스>가 단골집.
- 여동생 미야기 야요이는 2006년생으로, 호리프로와 계약하여 연예계에 데뷔했으며 카와카미 켄신의 유튜브에 출연하기도 했다.
- 오릭스 팬 유튜버 B-모렐의 구독자라고 한다. B-모렐을 대놓고 좋아한다고 한 선수 중 몇 안 되는 오릭스 선수.[5]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NPB) | |||||||||||||
년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사사구 | 탈삼진 | WHIP |
2020 | 오릭스 | 3 | 1 | 1 | 0 | 0 | 16 | 3.94 | 19 | 0 | 7 | 16 | 1.56 |
2021 | 23 | 13 | 4 | 0 | 0 | 147 | 2.51 | 118 | 9 | 48 | 131 | 1.07 | |
2022 | 24 | 11 | 8 | 0 | 0 | 148.1 | 3.16 | 137 | 11 | 36 | 127 | 1.13 | |
NPB 통산 (3시즌) | 50 | 25 | 13 | 0 | 0 | 311.1 | 2.89 | 274 | 20 | 91 | 274 | 1.12 |
[1] 첫 패배 이후 공약대로 삭발을 했는데 동료의 실수로 인해 9mm가 아닌 0.5mm로 거의 스님 수준으로 삭발을 해버렸다. 그런데 이에 대한 반응이 매우 뜨거워 구단에서는 즉시「하느님, 부처님, 미야기님」티셔츠를 제작했고 이는 바로 매진되었다.[2] 이에 대해 본인은 '이건 실수다, 내가 있어서는 안될 곳에 들어간 것 같다.'라며 겸손을 드러냈다.[3] 사실 이건 무라카미 무네타카의 안일한 타구판단으로 일어난 내야안타였다. 심지어 번트였다.[4] 실제로 2022년 일본시리즈 7차전이 5-4 1점차 승리와 함께 오릭스의 우승으로 끝났고 5회의 득점들이 모두 2아웃 이후 나왔기 때문에 만약 미야기가 출루하지 않았다면 오릭스는 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5] 팀메이트 후쿠다 슈헤이도 B-모렐의 팬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