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20:52:27

소노인터내셔널

소노벨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기업이 속한 기업 집단}}}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기업이 속한 기업 집단: }}}[[]]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대기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변동 집단명 동일인(총수) 계열사 수 자산총액 (조 원)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1 (-) 파일:Samsung_Logo.svg
삼성
이재용 63 589.1
2 (-) 파일:SK 로고.svg
SK
최태원 198 362.9
3 (-)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74 306.6
4 (-) 파일:LG 로고.svg파일:LG 로고 화이트(활용형).svg
LG
구광모 63 186.0
5 (▲1) 파일:롯데 로고.svg
롯데
신동빈 92 143.3
6 (▼1) 파일:포스코 CI.svg파일:포스코 흰색 로고.svg
포스코그룹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49 137.8
7 (-) 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
한화
김승연 119 125.7
8 (-) 파일:HD현대 로고.svg파일:HD현대 로고 화이트.svg
HD현대
정몽준 32 88.7
9 (▲1) 파일:농협 로고.svg파일:농협 로고.svg
농협
농업협동조합중앙회 56 80.0
10 (▼1) 파일:GS그룹 로고.svg파일:GS그룹 로고 화이트(활용형).svg
GS
허창수 98 79.3
11 (-)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1).svg
신세계그룹
이명희 59 63.8
12 (▲2) 파일:한진그룹 국문 로고2.svg파일:한진그룹 국문 로고2 화이트.svg
한진그룹
조원태 42 58.1
13 (▼1) 파일:KT 로고.svg파일:KT 로고 화이트.svg
KT
주식회사 케이티 47 46.2
14 (▼1) 파일:CJ 로고.svg파일:CJ 로고 화이트.svg
CJ
이재현 66 39.3
15 (▲1) 파일:LS그룹 로고.svg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LS그룹
구자은 72 35.9
16 (▼1) 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
카카오
김범수 115 34.8
17 (▲3) 파일:HMM CI.svg파일:HMM CI.svg
HMM
에이치엠엠 주식회사 4 33.4
18 (▼1) 파일:두산 로고.svg
두산그룹
박정원 24 28.1
19 (▼1) 파일:DL그룹 로고.svg파일:DL그룹 로고 화이트.svg
DL그룹
이해욱 45 26.9
20 (▲1) 파일:중흥그룹 로고.svg파일:중흥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흥그룹
정창선 51 26.7
21 (▼2) 파일:셀트리온 로고.svg파일:셀트리온 로고 화이트.svg
셀트리온
서정진 9 26.6
22 (▲1) 파일:네이버 로고.svg
네이버
이해진 45 25.4
23 (▲2) 파일:S-OIL 로고.svg
S-OIL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2 24.5
24 (▼2) 파일:미래에셋 로고.svg파일:미래에셋금융그룹 CI_White.svg
미래에셋금융그룹
박현주 28 23.4
25 (▲2) 파일:쿠팡 로고.svg
쿠팡
쿠팡 주식회사 16 22.2
26 (▼2) 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svg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24 22.2
27 (▲22) 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svg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한국앤컴퍼니
조양래 25 21.5
28 (▼2) 파일:부영그룹 로고.svg
부영그룹
이중근 21 21.4
29 (▲3) 파일:영풍그룹 로고.svg
영풍그룹
장형진 30 20.9
30 (▼1) 파일:하림 로고.svg
하림그룹
김홍국 43 19.9
31 (▲2) 파일:효성그룹 신로고.svg파일:효성그룹 신로고 화이트.svg
효성그룹
조현준 60 19.8
32 (▲6) 파일:장금상선 로고.svg
장금상선
정태순 28 19.4
33 (▼3) 파일:SM그룹 CI.svg파일:SM그룹 CI_화이트 폰트.svg
SM그룹
우오현 58 18.3
34 (▼3) 파일:HDC 로고.svg
HDC
정몽규 34 17.4
35 (▲1) 파일:호반 CI.svg파일:호반 CI_white.svg
호반그룹
김상열 40 16.8
36 (▲17) 파일:두나무 로고.svg
두나무
두나무 주식회사 11 15.8
37 (▼1) 파일:KT&G 로고.svg
KT&G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17 15.7
38 (▲2) 파일:코오롱그룹 로고.svg
코오롱
이웅열 45 15.1
39 (▼2) 파일:KCC 로고.svg
KCC그룹
정몽진 13 14.9
40 (▼5) 파일:DB그룹 로고.svg
DB그룹
김준기 24 14.8
41 (▲2) 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넥슨
유정현 23 14.5
42 (▼2) 파일:OCI 로고.svg
OCI그룹
이우현 24 13.7
43 (▲2) 파일:LX그룹 로고.svg
LX그룹
구본준 17 12.6
44 (-) 파일:세아그룹 로고.svg
세아그룹
이순형 24 12.3
45 (▲1) 파일:넷마블 로고.svg파일:넷마블 로고 화이트.svg
넷마블
방준혁 31 11.8
46 (▲2) 파일:이랜드그룹 로고.svg
이랜드그룹
박성수 32 11.6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47 (▼8) 파일:교보생명 로고.svg
교보생명
신창재 16 11.1
48 (▲10) 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파일:제너럴 모터스 로고.svg
GM 한국사업장
한국지엠 주식회사 3 10.8
49 (▲3) 파일:다우키움그룹 로고.svg
다우키움그룹
김익래 45 10.3
50 (▲1) 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svg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 화이트.svg
금호석유화학그룹
박찬구 16 10.0
51 (▲9) 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
대방건설
구교운 41 9.9
52 (▼10) 파일:태영 심볼.svg
태영그룹
윤세영 51 9.8
53 (▲1) 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
삼천리그룹
이만득 33 9.6
54 (▲2) 파일:KG그룹 로고.svg파일:KG그룹 로고 컬러 화이트.svg
KG그룹
곽재선 26 9.6
55 (▼8) 파일:에코프로 로고.svg
에코프로
이동채 17 9.3
56 (▲1) 파일:HL그룹 CI.svg파일:HL그룹 CI_white.svg
HL그룹
정몽원 15 9.2
57 (▼2) 파일:동원그룹 로고.svg
동원그룹
김남정 23 8.8
58 (▲1) 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 화이트.svg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15 8.6
59 (▼9) 파일:태광산업 로고.svg
태광그룹
이호진 20 8.6
60 (▲4) 파일:크래프톤 로고.svg파일:크래프톤 로고 화이트.svg
크래프톤
장병규 9 8.5
61 (▲9) 파일:글로벌세아 CI.svg
글로벌세아그룹
김웅기 23 8.2
62 (▼1) 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파일:한국항공우주산업 CI_가로.svg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4 8.1
63 (-) 파일:엠디엠 CI.svg파일:엠디엠 CI 화이트.svg
엠디엠
문주현 19 7.9
64 (▲22) 파일:대명소노그룹 CI.svg파일:대명소노그룹 CI 화이트.svg
대명소노그룹
박춘희 25 7.3
65 (▼3) 파일:애경그룹 로고.svg
애경그룹
장영신 30 7.3
66 (▲1) 파일:동국제강그룹 CI.svg파일:동국제강그룹 CI 화이트.svg
동국제강그룹
장세주 16 7.2
67 (▼1) 파일:BS그룹 CI.svg파일:BS그룹 화이트 CI.svg
BS그룹
이기승 66 7.2
68 (▼3) 파일:삼양그룹 로고(2024).svg파일:삼양그룹 로고 화이트(2024).svg
삼양그룹
김윤 13 7.1
69 신규 파일:LIG그룹 로고.svg
LIG그룹
구본상 18 7.1
70 (▼1) 파일:중앙그룹 로고.svg파일:중앙그룹 로고 화이트.svg
중앙그룹
홍석현 57 6.9
71 (▲1) 파일:유진그룹 로고.svg
유진그룹
유경선 63 6.7
72 (▲3) 파일:고려해운 로고.svg파일:고려해운 로고 화이트.svg
고려해운
박정석 26 6.7
73 (▲4) 파일:BGF그룹 로고.svg
BGF그룹
홍석조 19 6.3
74 신규 파일:대광건영 CI.svg
대광건영
조영훈 64 6.1
75 (▲8) 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
반도건설
권홍사 15 6.0
76 (▲2) 파일:대신증권 로고.svg
대신증권
양홍석 84 6.0
77 (▼1) 파일:OK금융그룹 로고.svg파일:OK금융그룹 로고(화이트).svg
OK금융그룹
최윤 16 5.7
78 (▲1) 파일:하이트진로 CI.svg
하이트진로그룹
박문덕 12 5.7
79 (▲1) 파일:농심그룹 로고.svg파일:농심그룹 로고 화이트.svg
농심그룹
신동원 22 5.6
80 (▼6) 파일:DN오토모티브 CI.svg
DN그룹
김상헌 7 5.6
81 (▼13) 파일:현대해상 CI.svg파일:현대해상 CI 화이트.svg
현대해상
정몽윤 14 5.5
82 (▼1) 파일:신영그룹 CI.svg파일:신영그룹 CI 화이트.svg
신영그룹
정춘보 32 5.5
83 (▲5) 파일:파라다이스 그룹 로고.svg
파라다이스 그룹
전필립 11 5.4
84 (▼13)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
아이에스동서
권혁운 32 5.4
85 (-) 파일:HYBE 로고.svg파일:HYBE 로고 화이트.svg
HYBE
방시혁 12 5.4
86 (▼4) 파일:한솔그룹 로고.svg파일:한솔그룹 로고 화이트.svg
한솔그룹
조동길 21 5.3
87 (▼3) 파일:삼표그룹 로고.svg
삼표
정도원 28 5.3
88 신규 파일:사조그룹 심볼.svg
사조그룹
주진우 40 5.2
89 (▼2) 파일:원익 로고.svg
원익
이용한 47 5.2
90 신규 파일:빗썸 로고.svg
빗썸
이정훈 20 5.2
91 신규 파일:유코카캐리어스 로고.png
유코카캐리어스
유코카캐리어스 주식회사 2 5.1
92 (▼19) 파일:영원무역 로고.svg
영원무역
성기학 20 5.0
※ 2025년 기준
※ 동일인이 법인인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케이티, 에이치엠엠(주), (주)케이티앤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유코카캐리어스(주) 7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대시오일(주), 오씨아이(주), 쿠팡(주), 한국지엠(주), 유코카캐리어스(주) 5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

파일:대명소노그룹 CI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676057,#676057><colcolor=#ffffff> 호텔·리조트 소노인터내셔널(소노펠리체 · 쏠비치 · 소노캄 · 소노벨 · 소노문 · 소노휴 · 소노펫 · 와이키키 리조트호텔 · 노르망디 호텔 · 33 시포드 호텔미국 · 담 데 자르 호텔프랑스)
항공 티웨이항공(트리니티항공) · 티웨이에어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비발디파크 · 델피노 · 오션월드 · 웨딩앤컨벤션 · 컨트리클럽 · 퍼블릭 승마클럽 · 플레이그라운드 · 띵킹독 · 마리나베이 요트클럽 · 온워드 망길라오 골프클럽 · 온워드 탈로포포 골프클럽
서비스 소노스테이션(소노아임레디) · 소노파트너스 · 소노에스테이트서비스 · 민기
건설 대명건설(벨리온) · 서앤파트너스
제조·유통 소노스퀘어(소노시즌 · 굿앤굿스) · 티웨이홀딩스
스포츠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사회 공헌 대명복지재단 · 소노수의재단
위탁 운영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 한 바이 소노 · 소노벨 하이퐁베트남
}}}}}}}}} ||
소노인터내셔널
Sono International
파일:소노인터내셔널 로고.svg파일:소노인터내셔널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676057,#676057><colcolor=#fff> 브랜드명 소노호텔앤리조트
업종 리조트 운영업·서비스업
기업 규모 대기업
기업 형태 외부 감사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대표이사 이광수, 이병천
매출액 7,678억 원 (2023년)
영업 이익 1,030억 원 (2023년)
당기 순이익 883억 원 (2023년)
직원 수 3,136명 (2023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본사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135 소노타워 (문정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직영 호텔 및 리조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76057,#676057><colcolor=#fff> 파일:SFonly_dark.svg <colbgcolor=#868079><colcolor=#fff>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한치골길 262
빌리지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한치골길 262-123
델피노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미시령옛길 1153
빌리지 델피노
파일:SBHonly_dark.svg 양양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선사유적로 678
삼척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수로부인길 453
진도 전라남도 진도군 송군길 30-40
파일:SConly_dark.svg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한치골길 262
고양 경기도 고양시 태극로 20
여수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로 111
델피노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미시령옛길 1153
거제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대로 2660
제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동로 6347-17
파일:SBonly_dark.svg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한치골길 262
델피노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미시령옛길 1153
천안 충청남도 천안시 종합휴양지로 200
경주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402-12
변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해변로 51
청송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로 494-1
한바이소노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로 494
제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북로 577
단양 충청북도 단양군 삼봉로 187-17
하이퐁 베트남 하이퐁시 Thuy Nguyen, Luu Kiem
파일:SMonly_dark.svg 해운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237번길 12
파일:SHonly_dark.svg 양평 경기도 양평군 신내길7번길 55 }}}}}}}}}

1. 개요2. 연혁3. 지배 구조4. 소노호텔앤리조트
4.1. 소노펠리체4.2. 쏠비치
4.2.1. 쏠비치 양양4.2.2. 쏠비치 삼척4.2.3. 쏠비치 진도4.2.4. 쏠비치 남해
4.3. 소노캄4.4. 소노벨
4.4.1. 소노벨 비발디파크4.4.2. 소노벨 천안4.4.3. 소노벨 변산4.4.4. 소노벨 청송4.4.5. 소노벨 제주4.4.6. 소노벨 델피노4.4.7. 소노벨 단양4.4.8. 소노벨 양평
4.5. 소노문
4.5.1. 소노문 해운대
4.6.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4.6.1. 한 바이 소노4.6.2.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4.7. 글로벌
5. 복합 단지6. 항공업 진출7. 여담

1. 개요

소노인터내셔널(소노호텔앤리조트)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호스피탈리티 기업이다. 대명소노그룹의 실질적인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다.

소노호텔앤리조트로 대표되는 전국 각지의 20개 리조트‧호텔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키장 비발디파크 스키월드와 워터파크 오션월드, 3개의 18홀 골프장을 보유한 소노펠리체 컨트리클럽 등을 운영하고 있다. 소노호텔앤리조트 산하에 여러 브랜드 티어가 있으며 소노펠리체, 쏠비치, 소노캄, 소노벨, 소노문까지 다섯 종류로 구성된다.

티웨이항공의 최대 주주이자 실질적인 경영권 보유자이며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의 운영사이기도 하다.

2. 연혁

소노인터내셔널은 2005년 10월 1일을 ㈜대명소노의 콘도미니엄 사업부문 일체를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다. 이후 2018년 10월 1일, 강원도 홍천군 서면에 있는 '테마파크' 사업부문(오션/스키월드)과 9GC 일체를 물적분할하여 ㈜대명티피앤이를 신설했다.

이러한 물적분할 후 회사는 상호를 ㈜대명레저산업에서 ㈜대명호텔앤리조트로 변경했으며, 2019년 10월부터 ㈜대명호텔앤리조트에서 ㈜소노호텔앤리조트로 변경했다. 2021년 3월 3일, 자회사인 ㈜대명티피앤이와 ㈜대명건설을 흡수합병하고 상호를 ㈜소노인터내셔널로 변경했으며, 2021년 4월 30일, 자회사인 ㈜대명호텔앤리조트제주를 흡수합병했다.

또한 회사는 2021년 10월 1일, 지배회사인 ㈜대명소노를 흡수합병했다. 동 합병은 법률적으로 합병회사인 ㈜소노인터내셔널이 피합병회사인 ㈜대명소노를 흡수합병하는 형식이나 회계상으로는 ㈜대명소노가 ㈜소노인터내셔널을 매수하는 역합병형태의 사업결합으로 회계처리 했다. 2024년도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대기업집단에 지정됐다.

3. 지배 구조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기주식
35.9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춘희
33.2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준혁
28.9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지영
1.3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경선
0.50%
2024년 8월 기준

4. 소노호텔앤리조트

파일:enSHR_dark2.svg
파일:SF_light.svg파일:SF_dark.svg 파일:SBH_light.svg파일:SBH_dark.svg 파일:SC_light.svg파일:SC_dark.svg
파일:SB_light.svg파일:SB_dark.svg 파일:SM_light.svg파일:SM_dark.svg 파일:SH_light.svg파일:SH_dark.svg

4.1. 소노펠리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노펠리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노펠리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노펠리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선망의 대상이 되는 당신에게 어울리는 고품격 휴식 공간
''남다른 품격을 갖춘 당신을 위해 각별한 정성을 쏟았습니다.
기품있고 우아한 당신을 돋보이게 하는 공간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즐겨보세요.''
소노호텔앤리조트의 프리미엄 브랜드로 비발디파크델피노에만 위치한다. 여유로움을 공유하는 여행 컨셉을 기반으로 했다. 소노 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된 브랜드이기도 하다. 객실들이 전반적으로 매우 넓은 편이고 침실 및 욕실이 여러개로 구성되어 있어 6-7명 이상의 대가족 및 2~3가족 숙박에 적합한 편.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소노펠리체 비발디파크 강원 홍천군
소노펠리체 빌리지 비발디파크 강원 홍천군
소노펠리체 델피노 강원 고성군
소노펠리체 빌리지 델피노 강원 고성군

파일:소노펠리체비발디.jpg
<rowcolor=#fff> 소노펠리체 비발디파크 전경

파일:소노빌리지비발디.jpg
<rowcolor=#fff> 소노펠리체 빌리지 비발디파크 전경

파일:소노펠리체델피노.jpg
<rowcolor=#fff> 소노펠리체 델피노 전경

파일:델피노빌리지2.jpg
<rowcolor=#fff> 소노펠리체 빌리지 델피노 전경

4.2. 쏠비치

지중해 휴양지의 로망
"붉은 태양, 청명한 하늘, 보드라운 바람, 잔잔한 파도
유럽의 정취가 가득한 이국적인 쏠비치에서
당신의 특별한 여정을 계획해보세요. "
소노의 호텔 및 리조트 중 해변가에 위치한 컨셉의 호텔 및 리조트다. 소노호텔앤리조트 브랜드 중 가장 이국적인 컨셉을 담고 있으며, 특별한 여정의 여행을 컨셉으로 한다.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쏠비치 양양 강원 양양군
쏠비치 삼척 강원 삼척시
쏠비치 진도 전남 진도군
쏠비치 남해 경남 남해군

4.2.1. 쏠비치 양양


파일:쏠비치양양.jpg
<rowcolor=#fff> 쏠비치 양양 전경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선사유적로 678[1]에 소재한 4성급 호텔 및 리조트.

2007년에 개장한 최초의 쏠비치 리조트로 전체적인 분위기는 스페인의 안달루시아 마을을 모티브로 했으며 사업장 내외부 인테리어도 디테일하게 장식되어 있다. 가장 층이 높고 규모도 큰 건 취사가 불가능한 호텔 동이며, 이스탄샤 동과 노블리안 동은 취사가 가능한 콘도미니엄 형식의 객실이다.

자차로 약 30분 ~ 1시간 거리에 속초시장이 있어 만석 닭강정, 도깨비 핫도그, 씨앗 호떡, 조림으로 좋은 말린생선 등 여러 먹을거리를 제공한다. 또, 외옹치항에서 회를 포장해도 나쁘지 않다. 지상 5층 규모로 지하엔 오락실과 Good&Goods 등의 편의시설이 구비되어 있어 편안한 숙박이 가능하다. 또한 아쿠아 플레이 바깥에도 바다로 가는 곳이 있어 수영하기도 좋다. 밤에는 벌레들이 많기에 베란다는 조심하자. 높은 층도 예외는 아니다.

인근에 한반도 초기 신석기 유적이 발굴된 오산리선사유적박물관이 있다.

또한, 리조트 체크인 센터는 이스탄샤 A동과 E동 사이에 있는 '센트로'라는 건물에서 이루어진다. 리조트 이용 시 참고할 것. 호텔은 그냥 주 건물인 호텔 건물 가면 된다.

예식장이 있어 양양이나 속초 사람들이 여기에서 결혼하기도 한다.

연식이 오래된 곳이다보니 객실이 다소 낡은 편이었으나 2025년 ~ 2026년중에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가 2027년 ~ 2028년 경에 재오픈할 예정이다.

4.2.2. 쏠비치 삼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쏠비치 삼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쏠비치 삼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쏠비치 삼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쏠비치삼척.jpg
<rowcolor=#fff> 쏠비치 삼척 전경
<rowcolor=#fff> 쏠비치 삼척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수로부인길 453 (갈천동)에 소재한 4성급 호텔 및 리조트.

4.2.3. 쏠비치 진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41B4D><tablebgcolor=#141B4D><tablealign=center> 파일:4성급 호텔 현판.png대한민국
4성급 호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666666,#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 AC 호텔 바이 메리어트 서울 강남 | L7 강남 | L7 명동 | L7 홍대 | 글래드 마포 | 글래드 여의도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명동 Ⅱ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인사동 |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 더 링크 서울, 트리뷰트 포트폴리오 호텔 | 더 스프라지르 호텔 서울 동대문 | 더 스프라지르 호텔 서울 명동 | 라이즈 호텔 | 레스케이프 서울 명동, 럭셔리 컬렉션 호텔 | 롯데시티호텔 명동 | 머큐어 앰배서더 서울 마곡 | 머큐어 앰배서더 서울 홍대 | 보코 서울 강남 | 보코 서울 명동 | 삼정호텔 | 서울 가든 호텔 | 스위스 그랜드 호텔 | 스탠포드호텔 서울 | 신라스테이 삼성 | 신라스테이 서초 | 아난티 앳 강남 | 알로프트 서울 명동 | 오라카이 대학로 호텔, BW 시그니처 컬렉션 | 오라카이 인사동 스위츠 | 오라카이 청계산 호텔, BW 프리미어 컬렉션 |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용산 | 켄싱턴호텔 여의도 | 코리아나호텔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보타닉파크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구로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강남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조선 명동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조선 서울역 | 프레지던트 호텔 | 호텔 인 나인 | 호텔 피제이 명동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 강릉 탑스텐 호텔 | 롯데리조트 속초 | 소노문 비발디파크 | 소노캄 델피노 | 인제 스피디움 | 쏠비치 삼척 | 쏠비치 양양 | 호텔 인터불고 원주 | 휘닉스 파크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 롯데시티호텔 제주 | 신라스테이 제주 | 신라스테이 플러스 이호테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대구그랜드호텔 | 엘디스 리벤트호텔 | 호텔 라온제나 | 호텔수성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 홀리데이 인 광주 | 라다마플라자 광주호텔 | 리다마플라자 충장호텔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 롯데시티호텔 대전 | 호텔 인터시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 L7 해운대 |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부산 | 신라스테이 서부산 | 신라스테이 해운대 | 아바니 센트럴 부산 | 아스티호텔 부산역 | 코모도호텔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 호텔현대 바이 라한 울산 | 머큐어 앰배서더 울산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인천 에어포트 호텔 |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인천 에어포트 | 오라카이 송도파크호텔, BW 프리미어 컬렉션 | 하버파크 호텔 |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세종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 라한호텔 전주 | 소노벨 변산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남 신라스테이 여수 | 여수 벨메르 | 쏠비치 진도 | 호텔현대 바이 라한 목포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 AC 호텔 바이 메리어트 서울 금정 | 그래비티 조선 서울 판교, 오토그래프 컬렉션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판교 | 노보텔 앰배서더 수원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판교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수원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수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북 스탠포드호텔 안동 | 코모도호텔 경주 | 더케이호텔 경주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남 거제삼성호텔 |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 스탠포드호텔앤리조트 통영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호텔업등급관리국,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선정 4성급 호텔에 한하여 기재한다. }}}
}}}}}}
파일:쏠비치 진도_인피니티풀 (2).jpg

파일:쏠비치진도.jpg
<rowcolor=#fff> 쏠비치 진도 전경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송군길 30-40[2]에 소재한 4성급 호텔 및 리조트.

2019년 7월에 오픈한 최신식 리조트로, 프랑스프로방스가 컨셉이다. 호남권 사람들[3]이 많이 찾는다. 메인 광장 이름도 '프로방스 스퀘어'다. 이스트 타워와 웨스트 타워로 이루어져있으며 이스트 타워는 클린으로 호텔동에 해당하고, 웨스트 타워는 취사형으로 콘도동에 해당한다. 리조트 주변은 굉장히 한적한 어촌 마을이다 보니 볼거리나 즐길거리가 거의 없으므로, 진도 밖으로 나가서 관광할 계획이 아니라면 리조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걸 추천한다.[4]

호텔동 뒤편으로 남해 바다를 끼고 있는 형태이며, 바다를 보며 걸을 수 있는 산책로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해질녘이 되면 이 산책로에서 바라보는 황금빛 조명을 풀장착한 호텔동의 모습이 아주 아름답다. 규모도 매우 커서 과장 조금 보태자면 마치 마카오의 대형 리조트 야경을 보는 느낌. 때문에 사진 스팟으로 인기가 높다.

진도군 측에선 민·관 할 것 없이 이 쏠비치 유치에 진도군의 명운을 걸었던 모양. 진도대교를 통해 진도로 진입하여 쏠비치까지 가는 길목마다 도로변에 게시된 진도 내 각종 시민단체 및 관공서의 '쏠비치 진도 입점 대환영'이라는 문구의 플래카드를 구경할 수 있다. 참고로 진도대교를 통과해 리조트로 들어가는 이 길이 산 속 길이라 밤이 되면 굉장히 어두우므로 조심해서 갈 것.

리조트가 위치한 송군리 북쪽 해안 고군면에는 명승으로 지정된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신비의 바닷길이 있다. 조수간만의 차로 간조시간에만 마치 모세의 바닷길을 연상시키는 육로가 생성된다. 모세의 바닷길이라는 타이틀을 달은 관광지는 전국 여러곳에 있지만 가장 먼저 신비의 바닷길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한 곳이기도 하다. 리조트 북쪽 분지에도 명승으로 지정된 조선 남종화의 대가 소치 허련이 작품활동을 했던 운림산방이 있으며 거리는 좀 되지만 세방리도 유명한 낙조 명소 중 하나다. 여담으로 밑에 버스터미널이 있다.[5]

버스터미널도 있는 데다가 인피니티풀과 부대시설이 좋기 때문에 저기 위쪽과 마찬가지로 대학생이나 젊은층에게도 인기가 많다.

4.2.4. 쏠비치 남해

파일:남해.jpg
<rowcolor=#fff> 쏠비치 남해 전경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미송로303번길 115에 조성된 리조트. 모티브는 이탈리아 남부의 포지타노. 4성급인 기존 쏠비치 리조트와는 달리 5성급으로 기획되었다. 초기에 쏠비치 남해를 가칭으로 명명했다가 중간에 브레이커힐스라는 이름을 사용할 예정이였지만 최근 명칭을 쏠비치 남해로 확정지었다. 2025년 6월에 완공되어 7월 5일 개장했다.

호텔동과 빌라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호텔동은 일반적인 객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빌라동은 객실별로 무려 개인풀이 존재한다. 물론 가격은 안드로메다로 분양 회원권 없으면 현재 빌라동 예약은 어림도 없다

대체적인 평가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 하드웨어는 5성급 호텔이나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은 여전히 기존의 4성급 소노 리조트에 머물러 그에 미치지 못하다는 것이 주류. 객실, 인피니티풀, 포토스팟 등 시설은 신식이고 좋은 편이나, 소노의 기존 체크인 시스템인 8 -> 12 -> 3 선착순 시스템[6]을 그대로 사용하여 좋은 뷰 객실을 얻으려면 꼭두새벽부터 먼 길을 운전해 와야 하며, 인피니티풀 & 선베드가 모두 유료인 점[7]도 비판받는 부분. 조식 및 석식 뷔페도 5성 급을 목표로 하는 만큼 기존의 소노 리조트의 뷔페에 비해 가격이 높은 편이지만 내용물은 아직 5성급에 미치지는 못한다는 평가가 많다. 즉 가격을 낮추던가, 인피니티풀 투숙객 무료 제공, 뷔페 퀄리티 업그레이드 등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의 개선이 필요한 상태 이 가격대면 솔직히 얘네랑 경쟁을 해야 하는 라인업인데, 소노 자체가 4성급 가족 리조트 운영에 최적화 되있는 느낌이다보니 5성급 운영은 좀 개선이 필요할 듯

4.3. 소노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노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노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노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소노캄 고양 경기 고양시
소노캄 여수 전남 여수시
소노캄 비발디파크 강원 홍천군
소노캄 델피노 강원 고성군
소노캄 거제 경남 거제시
소노캄 제주 제주 서귀포시
소노캄 경주[8] 경북 경주시

파일:소노캄고양.jpg
소노캄 고양 전경

파일:소노캄여수11.jpg
소노캄 여수 전경

파일:소노캄비발디.jpg
소노캄 비발디파크 전경

파일:소노캄델피노1.jpg
소노캄 델피노 전경

파일:소노캄거제.jpg
소노캄 거제 전경

파일:소노캄제주.jpg
소노캄 제주 전경

파일:소노캄경주.jpg
소노캄 경주 전경(리모델링 전)

4.4. 소노벨

위의 브랜드로 편입되지 못한 리조트 중 인지도가 높은 리조트가 속해있다. 현재 소노그룹의 중급 & 캐주얼 포지션을 맡고 있으며, 대명리조트 초창기 시절 지어진 리조트들은 대부분 여기에 속해 있다.[9] 자연친화적인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자연을 마주하는 여정을 모토로 한다.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소노벨 변산 전북 부안군
소노벨 제주 제주 제주시
소노벨 천안 충남 천안시
소노벨 청송 경북 청송군
소노벨 단양 충북 단양군
소노벨 양평[10] 경기 양평군
소노벨 비발디파크 강원 홍천군
소노벨 델피노 강원 고성군

4.4.1. 소노벨 비발디파크

파일:비발디파크전경1.jpg
<rowcolor=#fff> 소노벨 비발디파크 전경

소노호텔앤리조트로 처음 상호변경 당시에 비발디파크의 더 파크 호텔을 제외한 오크, 파인, 메이플, 노블리안, 체리동 등의 대부분의 단지들이 소노벨로 편입되었다.[11] 이후 '소노벨 비발디파크 E(舊 노블리안)'는 '소노펫 비발디파크'로 변경되었고 또한 '소노벨 비발디파크 D(舊 메이플)'은 '소노캄 비발디파크'로 바뀌며 2024년 5월에 리뉴얼 오픈했다. 노블리안동 옆에 있던 더 파크 호텔이 소노문 비발디파크로 활용되다가 2025년 3월에 소노벨 D동으로 편입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4.4.2. 소노벨 천안

파일:소노벨천안.jpg
<rowcolor=#fff> 소노벨 천안 전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종합휴양지로 200[12]에 있다. 舊 휴러클 리조트이며, 내부에 천안에선 천안12경 내에 들 정도로 꽤 인지도가 있는 천안 오션파크(오션 어드벤쳐)가 있다. 2010년 오픈한 리조트를 2017년 6월 경에 인수했다. 경부고속도로 목천 나들목 부근에 보이는 워터파크가 이곳이다. 비발디파크와 더불어서 워터파크가 메인인 곳 중 하나다.

2017년에 대명 리조트가 휴러클 리조트를 인수하면서 이름을 대명리조트 천안으로 바꾸고 테딘 워터파크는 천안 오션 어드벤처라는 이름으로 개명했다.[13] 사실 천안 오션 어드벤처도 국내에서 잘 나가는 워터파크 중 하나다. 2020년에 부대시설이 리뉴얼되었다. 2021년에는 EAST 타워(신관)를 오픈했다.

4.4.3. 소노벨 변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41B4D><tablebgcolor=#141B4D><tablealign=center> 파일:4성급 호텔 현판.png대한민국
4성급 호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666666,#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 AC 호텔 바이 메리어트 서울 강남 | L7 강남 | L7 명동 | L7 홍대 | 글래드 마포 | 글래드 여의도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명동 Ⅱ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인사동 |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 더 링크 서울, 트리뷰트 포트폴리오 호텔 | 더 스프라지르 호텔 서울 동대문 | 더 스프라지르 호텔 서울 명동 | 라이즈 호텔 | 레스케이프 서울 명동, 럭셔리 컬렉션 호텔 | 롯데시티호텔 명동 | 머큐어 앰배서더 서울 마곡 | 머큐어 앰배서더 서울 홍대 | 보코 서울 강남 | 보코 서울 명동 | 삼정호텔 | 서울 가든 호텔 | 스위스 그랜드 호텔 | 스탠포드호텔 서울 | 신라스테이 삼성 | 신라스테이 서초 | 아난티 앳 강남 | 알로프트 서울 명동 | 오라카이 대학로 호텔, BW 시그니처 컬렉션 | 오라카이 인사동 스위츠 | 오라카이 청계산 호텔, BW 프리미어 컬렉션 |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서울 용산 | 켄싱턴호텔 여의도 | 코리아나호텔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보타닉파크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타임스퀘어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구로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강남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조선 명동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조선 서울역 | 프레지던트 호텔 | 호텔 인 나인 | 호텔 피제이 명동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 강릉 탑스텐 호텔 | 롯데리조트 속초 | 소노문 비발디파크 | 소노캄 델피노 | 인제 스피디움 | 쏠비치 삼척 | 쏠비치 양양 | 호텔 인터불고 원주 | 휘닉스 파크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 롯데시티호텔 제주 | 신라스테이 제주 | 신라스테이 플러스 이호테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대구그랜드호텔 | 엘디스 리벤트호텔 | 호텔 라온제나 | 호텔수성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 홀리데이 인 광주 | 라다마플라자 광주호텔 | 리다마플라자 충장호텔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 롯데시티호텔 대전 | 호텔 인터시티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 L7 해운대 |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부산 | 신라스테이 서부산 | 신라스테이 해운대 | 아바니 센트럴 부산 | 아스티호텔 부산역 | 코모도호텔 부산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 호텔현대 바이 라한 울산 | 머큐어 앰배서더 울산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인천 에어포트 호텔 | 이비스 스타일 앰배서더 인천 에어포트 | 오라카이 송도파크호텔, BW 프리미어 컬렉션 | 하버파크 호텔 |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세종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 라한호텔 전주 | 소노벨 변산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남 신라스테이 여수 | 여수 벨메르 | 쏠비치 진도 | 호텔현대 바이 라한 목포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 AC 호텔 바이 메리어트 서울 금정 | 그래비티 조선 서울 판교, 오토그래프 컬렉션 | 나인트리 바이 파르나스 서울 판교 | 노보텔 앰배서더 수원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판교 |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수원 |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수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북 스탠포드호텔 안동 | 코모도호텔 경주 | 더케이호텔 경주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남 거제삼성호텔 |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 | 스탠포드호텔앤리조트 통영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한국관광협회중앙회 호텔업등급관리국,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선정 4성급 호텔에 한하여 기재한다. }}}
}}}}}}

파일:소노벨변산.webp
<rowcolor=#fff> 소노벨 변산 전경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변산해변로 51[14] 위치. 최근에는 빛이 조금 바랜 감이 있지만 탄탄한 인지도를 가진 서해안의 주요 해변인 변산해수욕장과 채석강을 가까이 둔 리조트이다. 채석강까지 걸어서 몇 분 걸어가면 된다. 워터파크가 있어 당일치기로 많이 오는 편이다. 특히 겨울바다를 보면서 온천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겨울에도 수요가 많은 편이다.

4.4.4. 소노벨 청송

파일:소노벨청송.jpg
<rowcolor=#fff> 소노벨 청송 전경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소노로 38[15] 소재. 2017년에 신축했다.

신축 건물이어서 매우 깔끔하나 온천 외에는 할 게 없어서 특히 여자사우나의 경우 주말에 대기시간이 엄청 길다. 온천시설은 매우 예쁘고 좋지만 규모가 작은 편.

영덕까지 고속도로로 30분 거리에 있어 대게 먹고 온천하는 코스를 추천한다. 아침엔 일어나서 쌉싸름한 달기약수터에 가보는 것도 추천한다. 또한 인근에 주왕산이 있어서 등산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차로 5분거리).

4.4.5. 소노벨 제주

파일:소노벨제주.jpg
<rowcolor=#fff> 소노벨 제주 전경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577[16]에 위치해있다. A,B동과 C동으로 나누어져있는데 A,B동은 취사형[17], C동은 클린형이다.[18] 이외에도 부대시설로 코인세탁실, 사우나, 헬스, 노래방[19]이 있다.

함덕해수욕장 바로 앞이라 해수욕장 이용이 편하고 주변에 다른 호텔들이라든지 마트, 식당들이 많다. 제주시내 버스는 함덕에서 종착하는 경우가 많고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서귀포버스터미널까지 제주도 동쪽해안 일주도로를 운행하는 201번 버스가 한 시간에 4~5대씩이나 정차하니 제주도 동부 해안가를 돌아다니기에 편한 위치다.

4.4.6. 소노벨 델피노

파일:델피노east.jpg
<rowcolor=#fff> 소노벨 델피노 East

파일:델피노west.jpg
<rowcolor=#fff> 소노벨 델피노 West

1990년 준공 밑 개장 당시 명칭은 "대명설악콘도"였으며, 대명리조트의 대망의 첫 리조트였다. 대명리조트 브랜드 출범 후 "대명리조트 설악"이 되었다가 골프장과 숙박시설의 연계를 강조한 서브 브랜드인 델피노를 런칭하며 소노캄을 포함, 여러 건물들을 증축해오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4.4.7. 소노벨 단양


파일:소노벨단양.jpg
<rowcolor=#fff> 소노벨 단양 전경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삼봉로 187-17[20]에 있는 리조트로, 2002년 12월에 대명콘도 단양으로 오픈했다.

단양읍 한복판에 있다. 단양읍 자체가 규모가 큰 것도 아니고 읍 전체를 남한강이 휘어감고 있기 때문에, 날이 좋으면 상당히 멋진 풍경을 자랑한다.

방문해 보면 상상 이상으로 이용객이 많다. 단양군은 연 천만명이 방문하는 유명 관광지인데, 이곳 소노벨 단양을 제외하고 마땅한 대형 호텔이나 리조트 등이 없어서 모든 관광객이 몰린다. 걸어서 20분이면 단양시외버스공영터미널(다누리아쿠아리움), 구경시장 등이 위치한 단양읍 중심가로 갈 수 있을만큼[21] 우수한 접근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실내 수영장인 오션플레이가 있어서 어린 아이를 동반한 가족 관광객도 많다.

대학생이나 젊은층도 많이 찾아오는데, 가격도 타 소노리조트에 비해 저렴하고, 단양역을 통해 KTX 접근도 가능하며 지역이 워낙 작아서 도보로 간편하게 놀기 좋기 때문이다.

단양읍에 소노리조트가 있는 이유는 박춘희 회장이 단양군 출신이기 때문이라고. 정확히는 구 단양읍, 즉 현재의 단성면 출신이다. 덕분에 단양 레일바이크 사업과 구단양 생태 공원 조성 사업도 대명소노그룹에서 투자하고 있다.

1990년대~2000년대 초에 건설된 소노의 초창기 리조트 중 소노벨 델피노와 함께 레일바이크 사업과 구단양 생태 공원 조성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소노의 초창기 리조트 중 소노벨 델피노, 소노벨 양평과 함께 최근까지도 구형 객실을 유지한 채로 리모델링이 진행되지 않은 리조트였으나, 드디어 2025년 7월 East동 객실이 리뉴얼 되었다. 마침내 화장실에 비데가 설치됐다.

입구 쪽 정류장은 처음엔 없었다. 그래서 버스를 타려면 상진4리나 단양고등학교까지 내려가야 탈 수 있었으나 2018~2019년에 추가했다.[22]

4.4.8. 소노벨 양평

파일:소노벨양평.jpg
<rowcolor=#fff> 소노벨 양평 전경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공세리 소재.

소노호텔앤브랜드 출범 당시에는 소노문이었으나 2021년에 소노휴 브랜드로 변경되었고, 2025년 7월에 소노벨로 편입되었다. 1992년 델피노 다음으로 개장한 소노 리조트계의 화석이자 초창기 대명리조트 멤버 중 하나로, 기존의 대명리조트 중 가장 부대시설 면에서 취약했지만, 최근에는 지장이 없을 정도로 매우 좋아졌다. 서울과 가장 가깝다는 게 장점 중 하나. TMI를 하나 주자면, 이곳 옆에 쉐르빌이라는 이름의 호텔이 있는데 그곳 한식당의 음식이 매우 맛있다. 호텔 투숙객 외 일반 손님도 받으니 가서 한번 먹어보는 것도 괜찮다. 유일한 소노휴 라인업이었으나, 2025년 7월부터 소노벨에 통합되었다.

4.5. 소노문

상대적으로 보급형 티어로 분류되며 도심지 여행을 즐기고자 하는 여행객에게 최적화되어 있다.
이전 소노문 라인업들이 대거 소노벨 라인업으로 편입됨에 따라 현재 소노문 브랜드는 소노문 해운대가 유일한 사업장이다.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소노문 해운대 부산 해운대

4.5.1. 소노문 해운대

파일:소노문해운대.jpg
<rowcolor=#fff> 소노문 해운대 전경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237번길 12에 위치해 있다.

기존에 있던 이비스 앰배서더 해운대 호텔을 인수하여 리모델링 후 2024년 7월 5일에 재개장한 소노문이다.

4.6.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소노호텔앤리조트가 위탁 운영하는 사업장이다.
<rowcolor=#fff> 이름 소재지
한 바이 소노(HAHN by SONO) 경북 청송군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경북 영덕군

4.6.1. 한 바이 소노

파일:한바이소노.jpg
<rowcolor=#fff> 한 바이 소노 전경

소노벨 청송 리조트 인근에 위치한 한옥호텔과 빌리지로 본래 지자체가 운영하던 '청송 민예촌'을 소노인터내셔널이 임차해 운영하는 한옥스테이다. 전 객실이 방 2개 이상의 독채로 이뤄진 한 바이 소노는 단지 내를 거니는 것만으로도 조선시대로 돌아간 것 같은 특별한 경험을 만들어준다.

4.6.2.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파일:파나크영덕.jpg
<rowcolor=#fff> 파나크 오퍼레이티드 바이 소노 전경

영덕군 강구면에 위치한 신상 호텔 및 리조트. 2024년 12월 24일 오픈했다.

전 객실 동해바다 오션뷰 타입의 유닛이 있으며 호텔동 217실, 풀빌라는 6동이 있다.

기존 대명 회원권을 보유한 사람의 경우 동일하게 기명회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9층엔 훌륭한 인피니티풀을 가지고 있다.

4.7. 글로벌

소노인터내셔널이 직접 매입 또는 위탁 운영 중인 해외 호텔 및 리조트이다.

5. 복합 단지

파일:enSHR_dark2.svg파일:enSHR_dark2.svg
복합 단지
파일:비발디파크 로고.svg파일:비발디파크 로고(다크모드).svg 파일:델피노 로고.svg

소노호텔앤리조트 체인 중 복수의 브랜드를 가진 단지를 기술한다.

5.1. 비발디파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발디파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발디파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비발디파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델피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델피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델피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델피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항공업 진출

항공사 보유 지분
파일:티웨이항공 로고.svg파일:티웨이항공 로고 화이트.svg 54.79%[23]
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svg파일:에어프레미아 로고 화이트.svg 11%[매각예정]

2025년 3월 현재 티웨이항공의 최대 주주이며, 에어프레미아 3대 주주의 위치에 있다. 항공업 진출은 대명소노그룹 서준혁 회장의 강력한 의지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대명소노그룹은 2011년 티웨이항공이 매물로 나왔을 때 관심을 갖고 실제로 인수를 검토하는 단계까지 갔지만 가격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수를 포기한 바 있는데 14년 만에 인수에 성공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2024년부터 티웨이항공 지분을 꾸준히 매입해오며 항공업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25]을 샀는데, 사측은 그때마다 단순 투자 목적이며 항공사 인수가 목적이 아니라고 해명해왔다. 그러나 2024년 10월 15일에 사모펀드 JC파트너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11%[26]를 471억원에 인수하며 항공업 진출에 대한 야심을 본격적으로 드러냈다. 이 인수 계약에는 JC파트너스가 여전히 가지고 있는 잔여 지분 11%를 2025년 6월 이후 매수할 수 있는 콜옵션이 포함됐다. 당시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인수에 대해 해당 항공사의 운항, 정비, 경영지원 등 운영 부문을 맡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1월에는 그룹 내 항공사업TF를 구성하고 티웨이에 대한 경영개선 요구 등 티웨이항공 경영 참여를 공식화했다.# 2025년 2월 18일에는 예림당티웨이항공 매각 협상에 돌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2025년 2월 26일 소노인터내셔널이 예림당이 보유한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를 2,500억에 매입하기로 하면서 티웨이항공의 1대 주주로 올라서게 되었다.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을 인수하면서 차후 에어프레미아까지 인수 및 합병하고 FSC에 버금가는 항공사를 만들겠다는 야심을 밝혔다. 티웨이항공이 유럽권 노선을, 에어프레미아가 미주권 노선을 주력으로 삼고 있으며 두 항공사가 서로 중복되는 노선이 거의 없는만큼 균형있는 포트폴리오를 갖춘 항공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 그러나 2025년 5월 2일 JC파트너스과 함께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 22% 전량을 1,190억 원에 AP홀딩스 측에 매각하기로 결정하며 최종적으로 인수를 포기했다. # 티웨이항공 기업결합심사 승인이 지연되고 티웨이항공 인수로 인한 과도한 지출 및 에어프레미아 최대 주주인 AP홀딩스 측의 확고한 경영권 사수 의지, 에어프레미아의 자본잠식으로 인한 재무구조조정 등 에어프레미아를 인수하기엔 여건이 허락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27]

소노인터내셔널이 소노에어, 소노항공, 소노 에어라인 등의 명칭이 특허청에 출원하게 되며, 추후에는 티웨이항공의 명칭을 소노항공 같이 바꿀 가능성이 생겼다. 2025년 7월 초 항공사명 변경을 공식화 했다. # 이후 2025년 9월 당초 예상되었던 소노에어가 아닌 트리니티항공으로 항공사명을 변경할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7. 여담

파일:external/www.ilyosisa.co.kr/80901_24680_29.jpg
  • 2020년 7월 어썸 스피어 리그 오브 레전드 팀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LCK 프랜차이즈에 도전했다. 전담 사무국을 신설하고 아예 팀을 인수해서 직접 운영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우선협상대상에 들지 못했고, 예비후보 4위에 머물러 프랜차이즈 진입에는 실패했다. 결과와는 별개로 팀은 결승전에서 진에어 그린윙스를 이기고 업셋 우승을 이루었다.
  • 새롭게 변경된 브랜드가 숙소의 등급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가장 등급이 낮은 소노문에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더 파크 호텔이 있고 솔비치 다음 등급인 소노캄에는 소노벨과 소노문보다 못한 시설을 가진 리조트가 함께 섞여 있기에 이는 확실하지 않다. 브랜드 선정 기준은 소노호텔앤리조트의 각각의 시설의 브랜드 가치와 직결되는 문제이기에 소노에서 직접 입장을 밝힐 가능성도 적다.
  • 다소 뜬금없지만 현 소노스퀘어는 하마터면 디시인사이드의 역사적 모회사가 될 뻔했다. 그도 그럴 게 소노스퀘어는 비교적 건실한 건설사였던 학산건설(인수 당시 HS홀딩스)을 대명소노그룹이 인수하여 탈바꿈시킨 회사이며 이 회사에서 디시인사이드가 잠시나마 인수했던 IC코퍼레이션이 나왔기 때문이다. 대명소노그룹이 자회사를 통해 우회 상장에 성공한 반면 디시인사이드는 우회 상장에 실패했다.
  • 2022년 6월 22일 이후로 아시아나항공과 신규 제휴로 숙박 시 아시아나클럽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해졌다. 역으로 마일리지를 사용한 숙박도 예약할 수 있게 되었는데, 적립이 모든 호텔/리조트에서 받을 수 있는 반면 숙박은 가능한 곳이 정해져 있다.[29] 박당 최소 13,000 마일리지에서 최대 46,000 마일리지까지 공제되며, 대략 1 마일리지를 10원으로 환산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9월 10일부로 제휴가 종료되었다. 2025년 3월, 티웨이항공을 인수했고 에어프레미아의 2대주주여서 이 두 항공사와 제휴할 가능성이 높다.

[1] 오산리 23-4[2] 초사리 산287-6번지[3] 특히 목포[4] 리조트 내부에는 스크린 스포츠를 체험할 수 있는 레전드 히어로즈, 오락실, 당구장, 탁구장들이 있다. 참고로 내부에 있는 식당들의 가격이 헬이다.[5] 쏠비치진도 터미널[6] 오전 8시 방 배정 순서 번호표 발급 -> 12시에 번호 순서로 방 배정 -> 3시 체크인. 좋은 뷰 객실을 얻으려면 무려 아침부터 로비에 3번을 와야 한다...[7] 대부분의 5성급 호텔은 투숙객의 경우 인피니티풀 및 선베드가 무료로 제공된다는 걸 생각해보면 너무한 부분...[8] 기존 소노벨 라인업이었으나 리모델링을 거쳐 2025.10월에 소노캄으로 업그레이드 예정[9] 즉, 꽤 연식이 있는 리조트들이 많다 보니 천안이나 청송을 제외하고 객실들이 다소 낡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다행히 최근들어 한동안 찬밥 신세였던 소노벨 라인업 객실들에 대한 리뉴얼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화이팅[10] 기존 소노휴 양평이었으나 2025년 7월부로 소노벨로 변경[11] 현재 소노벨로 분류되는건 오크,파인,체리동, 더 파크 호텔이며, 체리동이 A동, 오크동이 B동, 파인동이 C동으로 변경되었고, 더 파크 호텔이 소노문으로 변경되고, 이후 소노벨 D동으로 변경되었다.[12] 용원리 672번지[13] 단, 기존의 곰돌이가족 마스코트는 계속 사용하고 있다.[14] 격포리 257[15] 하의리 859번지[16] 함덕리 274번지[17] 메인 시설이며, 인수된 리조트이다. 시설이 C동보다 낙후되었다. 2019년 까지는 전망 객실이 바다가 잘 보였지만 2020년 부터는 바다방향 출입문 쪽에 새롭게 건설된 상가건물 덕분에 조금 불편한 전망을 재공한다.[18] 기존에 인수한 리조트에 취사 도구가 구비되지 않은 방이 없었기에 당시 대명리조트가 추가로 건설했다. A,B동보다 시설은 훨씬 좋지만 전망 객실이 A,B동 만큼 바다가 잘 보이지 않는다. 부대시설도 멀다.(1층에 작은 굿앤굿스가 있었지만 없어졌다.)[19] 유흥주점[20] 상진리 4-1번지[21] 다만 소노벨 단양 진입도로 자체도 경사져 있고, 진입도로에서 구경시장으로 가는 중간에도 경사길이 있다.[22] 반대로 정류장을 추가하기전 버스 타고 소노벨 단양으로 가려면 단양고등학교나 상진4리에 내려서 가야 하는데, 문제는 두 정류장 모두 각각 언덕길 시작 지점, 언덕길 중반 지점인데다가 경사가 꽤나 커서 걸어서 올라가는 게 힘들었다.[23] 소노인터내셔널 직접 매입 지분 16.77% 및 티웨이홀딩스 지분 28.02%, 소노스퀘어 보유 지분 10%을 모두 합산한 지분[매각예정] 소노인터내셔널 직접 매입 지분 11%. 2025년 9월까지 에어프레미아 지분을 전량 매각할 예정이다.[25] 당시 대명소노그룹이 보유한 티웨이항공 지분은 26.77%로 최대주주인 예림당 보유 지분 30.06%와 불과 3%p 차이 밖에 나지 않았다.[26] 프로젝트 펀드(제이씨에비에이션 제1호) 지분의 50%에 해당한다.[27] 여담으로 에어프레미아 보유 지분 11% 매각을 통해서 시세차익을 남기게 됐다. 471억에 인수했는데 매각은 500억 이상에 매각했기 때문이다. 목표를 이루지는 못 했지만 투자로 인한 손실 없이 오히려 득을 보면서 매각했다.[28] 로고 간판으로 각종 라이트 퍼포먼스를 보여 주지 않는 건물은 다른 브랜드 로고나 건물 전면 미디어파사드에 라이트 퍼포먼스가 적용돼 있었다.[29] 2022年 9月 기준으로 비발디파크, 소노캄 델피노, 소노캄 여수, 소노캄 거제, 소노벨 변산, 소노벨 청송, 소노벨 경주, 소노벨 제주, 소노문 단양의 9곳에서 마일리지 사용 예약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