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000><colcolor=#fff> 돌리 파튼 Dolly Parton  | |
|   | |
| 본명 | Dolly Rebecca Parton 돌리 레베카 파튼  | 
| 출생 | 1946년 1월 19일 ([age(1946-01-19)]세) | 
| 미국 테네시주 피트먼 센터 | |
| 국적 |   | 
| 신체 | 152.4cm | 
| 가족 | 삼촌 빌 오웬스(1935년~2021년) 남동생 랜디 파튼(1953년~2021년) 여동생 스텔라 파튼(1949년) 여동생 레이첼 파튼 조지(1959년생) 배우자 칼 딘(1966년~2025년 사별)  | 
| 학력 | 서비어 카운티 고등학교 | 
| 직업 | 가수, 작곡가, 프로듀서, 배우, 작가 | 
| 장르 | 컨트리, 컨트리 팝, 블루그래스, 가스펠, 록 | 
| 데뷔 | 1959년, 싱글 'Puppy Love' | 
| 활동 | 1956년 - 현재 | 
| 레이블 | |
| 관련 링크 | |
|  음원사이트 링크  | |
| 서명 | |
1. 개요
| I Will Always Love You - 1974 | 
2. 업적
|   | 
I Will Always Love You 정도만 히트곡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평생 1억장 이상의 앨범을 판 가수답게 히트곡이 많다. 대한민국에서 컨트리 음악을 듣는 청자가 대체로 장년층 이상이라 지명도가 낮을 뿐 9 to 5, Jolene, Coat of Many Colors, Islands in the Stream 등 많은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다. Coat of Many Colors처럼 명반으로 인정받는 음반도 많다.
| 9 to 5 | 
| Islands in the Stream with Kenny Rogers | 
| Jolene (Live 1988) | 
싱어송라이터이기에 작곡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발표곡을 포함하여 3,000곡 이상을 평생 작곡했고, 영화와 드라마에도 관심이 많아서 영화 <나인 투 파이브>의 주제가인 9 to 5, 영화 <트랜스아메리카>의 주제곡인 Travelin' Thru로 아카데미 주제가상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다만 오스카 상복은 없었다.[3]
배우로서도 활동했는데, <나인 투 파이브>(1982)에선 제인 폰다, 릴리 톰린, 데브니 콜먼과 공동 주연으로 열연했고, <철목련(Steel Magnolias)(1989)에선 샐리 필드, 줄리아 로버츠, 셜리 맥클레인, 대릴 한나, 샘 셰퍼드, 딜란 맥더모트 같은 유명한 명배우들과 함께 하기도 했다. "한나 몬타나"에선 본인 역으로 간간이 출연하였으며, 마지막 에피소드[4] 에서도 출연하였다.[5] 파튼은 마일리 사이러스의 대모기도 하다.
|   | 
| <나인 투 파이브> (1982) | 
|   | 
| <철목련> (1989) | 
| 백신 접종을 독려하고 인증하는 영상 | 
다양한 사회기여 활동을 하고 있는데 문맹이었던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돌리우드 재단을 만들어 문맹 퇴치운동도 함께 하고 있다.
전 세계 1,600여개의 도서관을 만들고 1억권이 넘는 책들을 기부했다. 그로 인해 미국에서 받을 수 있는 모든 출판, 교육, 학부모 관련 상을 수여 받았다. 고향인 테네시주에 지역 경제 활성화 겸 국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자신의 이름을 딴 테마파크를 지었다. 이름은 돌리우드(Dollywood). 그 외에도 대머리독수리 보호, 산불예방, 의료지원 등등 다양한 기부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그녀의 재산은 6-7억 달러로 추산된다.[6]
2.1. 수상
| 돌리 파튼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0px -1px; font-size: .9em"  | 이름 |  돌리 파튼 DOLLY PARTON  | ||||||||||||||||||||||||||||||||||||||||||||||||||||||||||||||||||||||||||||||||||||||||||||||||||||||||||||||||||||||||||||||||||||||||||||||||||||||||||||||||||||||||||||||||||||||||||||||||||||||||||||||||||||||||||||||||||||||||||||||||||||||||||||||||||||||||||||||||||||||||||
| 멤버 | (개인자격) | |||||||||||||||||||||||||||||||||||||||||||||||||||||||||||||||||||||||||||||||||||||||||||||||||||||||||||||||||||||||||||||||||||||||||||||||||||||||||||||||||||||||||||||||||||||||||||||||||||||||||||||||||||||||||||||||||||||||||||||||||||||||||||||||||||||||||||||||||||||||||||
| 입성 연도 | 2001년 출처 참조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daa520> 이름 | <colbgcolor=#0c0000><colcolor=#daa520> 돌리 파튼  Dolly Parton  | 
| 헌액 부문 | 공연자 (Performers) | |
| 멤버 | (개인 자격) | |
| 입성 연도 | 2022년 | |
| 후보선정 연도 | ||
| 후보자격 연도 | 1986년 | }}}}}}}}} | 
|   진 허숄트 박애상 수상자  '''[[틀:진 허숄트 박애상 수상자|Jean Hersholt Humanitarian Award]]'''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아카데미상의 특별 시상 부문으로, 영화계 종사자이면서 오랜 기간 자선 사업 등으로 사회에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일반 부문과 달리, 아카데미 이사회에서 자체적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 ||||
| 1956년 | 1957년 | 1959년 | 1960년 | 1961년 | |
| Y. 프랭크 프리먼 | 새뮤얼 골드윈 | 밥 호프 | 솔 레서 | 조지 시튼 | |
| 1962년 | 1965년 | 1966년 | 1967년 | 1968년 | |
| 스티브 브로이디 | 에드몬드 드페티 | 조지 베그넬 | 그레고리 펙 | 마샤 레이 | |
| 1969년 | 1970년 | 1972년 | 1973년 | 1974년 | |
| 조지 제셀 | 프랭크 시나트라 | 로절린드 러셀 | 류 와서만 | 아서 B. 크림 | |
| 1976년 | 1978년 | 1978년 | 1979년 | 1981년 | |
| 줄스 C. 스테인 | 찰턴 헤스턴 | 레오 자페 | 로버트 벤자민 | 대니 케이 | |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90년 | |
| 월터 미리쉬 | M. J. 프랭코비치 | 데이비드 L. 월퍼 | 버디 로저스 | 하워드 W. 코치 |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2001년 | 2004년 | |
|  오드리 헵번  엘리자베스 테일러  | 폴 뉴먼 | 퀸시 존스 | 아서 밀러 | 로저 메이어 | |
| 2006년 | 2008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 섀리 랜싱 | 제리 루이스 | 오프라 윈프리 | 제프리 카첸버그 | 안젤리나 졸리 | |
| 2014년 | 2015년 | 2019년 | 2021년 | ||
| 해리 벨라폰테 | 데비 레이놀즈 | 지나 데이비스 | 타일러 페리 | 영화 및 텔레비전 기금 |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
| 대니 글로버 | 마이클 J. 폭스 | 미셸 새터 | 리처드 커티스 | 돌리 파튼 | |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2031년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15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를 선정한 순위다. |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밥 딜런 | 폴 매카트니 | 존 레논 | 척 베리 | 스모키 로빈슨 |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믹 재거 & 키스 리처즈 (재거-리처즈) | 캐롤 킹 & 제리 고핀 | 폴 사이먼 | 조니 미첼 | 스티비 원더 | |||||
| 1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
| {{{#!wiki style="margin:-10px -10px"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4a1a1,#d4a1a1><colcolor=#fff,#000> 이름 |  돌리 파튼 DOLLY PARTON  | |
| 분야 |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 ||
| 입성날짜 | 1984년 6월 14일 | ||
| 위치 | 6712 Hollywood Blvd.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 ||||
| 아이콘 부문 # | |||||
| 해리 왕자 | 메건 마클 | 오사카 나오미 | 알렉세이 나발니 | 브리트니 스피어스 | |
| 셰릴린 이필 | 돌리 파튼 | 오타니 쇼헤이 | 캐시 박 홍 | 루이스 마누엘 오테로 알칸타라 | |
| 나스린 소투데 | 만주샤 쿨카르니 | 러셀 증 | 신시아 최 | 무나 엘 쿠르드 | |
| 모하메드 엘 쿠르드 | |||||
| 같이 보기: 지도자 부문, 예술가 부문, 거장 부문, 개척자 부문, 혁신가 부문 | }}}}}}}}} | ||||
}}} ||
3. 여담
- 데뷔 이후 바로 미국에서 거유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소련 T-72 전차 중 포탑 장갑이 강화되어 포탑이 커진 개량형을 미군에서 비공식적으로 '돌리 파튼 포탑', '슈퍼 돌리 파튼 포탑'으로 부르기도 했다. 복제 양으로 유명한 돌리도 가슴 세포에서 유래됐다는 이유로 붙인 것이다. "돌리 파튼과 산타클로스가 같은 공중전화부스에 들어갈 수 없는 이유는?" 같은 유머도 있다. "파튼은 가슴이 크고 산타클로스는 뚱뚱하기 때문에" 같은 답변을 의도한 것이지만, 정답은 "산타클로스는 존재하지 않아서"(...)
 
- 상기 언급 된것처럼 미국의 팝가수 마일리 사이러스의 대모이기도 하며 상당히 가까운 사이다. 같은 테네시주 출신에 한나 몬타나에 같이 출연한 이후 함께 무대에 서기도 하고 돌리 파튼을 위한 가수들의 공연에 가장 먼저 무대에 올라 숀 멘데스와 islands in the stream을 발라드 풍으로 편곡해 부르기도 했고 NBC의 토크쇼인 투나잇쇼에선 사회자인 지미 팰런과 함께 같은 노래를 재현해서 부르기도 했다. 인스타그램에 돌리 파튼과 함께 한 사진을 아주 많이 올릴만큼 친분이 깊다.
 
- 이 유명한 가슴에 보험을 들었다는 소문이 몇 십 년 동안 기정 사실로 굳어져 있었는데, 이를 딱히 공식적으로 확인하진 않아오다가 2022년 1월 드디어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베티 그레이블이 다리가 자산이라 다리 보험을 들었다면, 자신은 가슴이 자산이니 가슴에 보험을 드는 게 맞다고 농담을 했는데 그게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고.
 
- 나이를 먹으면서 얼굴에 지나친 성형과 시술의 반복이 누적돼 조롱을 많이 받았는데, 본인도 현재의 얼굴이 객관적으로 어떻게 보이는지 잘 알고 있다. 다만 엔터테이너로서 조금이라도 젊어보이는 느낌을 내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느낌이 나는 걸 감수하고 계속 의학의 도움을 받겠다고 밝혔다. 성형 중독이라서가 아니라 직업에 최선을 다하기 위함이라는 것. "이 정도로 싼티 나 보이려면 돈이 정말 많이 들어요"라는 명언이 자주 회자된다.
 
- 남편 칼 딘의 직업이 특이한데 내슈빌에서 아스팔트 포장 도로 사업을 하다 은퇴했다고 한다. 딘 본인이 언론 노출을 꺼리는 편이라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7] 부부 사이는 좋다고 알려져 있다. 시도 지어서 바치고 50주년으로 서약 갱신할 정도로 헌신적인 부부였다고.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불임이라서 아이는 없다고 한다. 칼 딘은 2025년 3월 3일 타계했다.
 - 70년대 부터 린다 론스태드, 에밀루 해리스와 종종 트리오로 활동을 했다. 201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린다 론스태드가 헌액되었을때, 투병 중인 린다를 대신한 캐리 언더우드, 보니 레잇, 에밀루 해리스, 셰릴 크로우와 함께 공연했다.
 
[1] #[2] 2022년에도 새 앨범을 냈다.[3] 9 to 5의 상대는 하필 뮤지컬 영화의 레전드인 <페임(Fame)>이었고, 두 곡 모두 AFI 선정 100대 영화음악에 포함되지만 Fame의 평가가 더 높은 것은 사실이다. 덤으로 이 곡은 그래미 어워드, 골든글로브 시상식 모두 노미네이트만 되었고 수상하지 못했다.[4] 후일 추가된 후일담이 아닌 본편 마지막 에피소드[5] 그리고 마일리에게 파파라치들을 상대하는 꿀팁을 제공한다.[6] 구세군에 100만 달러를 두번째 기부하였다.#[7] 공개석상에 동행하는 일도 그리 없다고 한다. 파튼 본인도 농담조로 자기 공연 딱 한 번 봤다고 했을 정도.[8] 유명한 sns인 링크드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틴더의 스타일대로 4장을 사진을 한꺼번에 올리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