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스콧 헤론의 주요 수상 및 명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 | 길 스콧 헤론 GIL SCOTT-HERON | |
헌액 부문 | 개척자 (Early Influence) | ||
멤버 | (개인자격) | ||
입성 연도 | 2021년 | ||
후보자격 연도 | 1996년 | ||
후보선정 연도 | 2020년 | }}}}}}}}} |
}}} ||
<colbgcolor=#4b4b4b><colcolor=#fff> 길 스콧 헤론 Gil Scott-Heron | |||
| |||
본명 | 길버트 스콧 헤론 Gilbert Scott-Heron | ||
출생 | 1949년 4월 1일 |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
사망 | 2011년 5월 27일 (향년 62세)[1] | ||
미국 뉴욕주 뉴욕 시 | |||
국적 |
| ||
직업 | 시인, 싱어송라이터, 작가, 사회운동가 | ||
활동 | 1970년 – 2011년 | ||
장르 | 스포큰 워드, 재즈, 소울, 펑크 | ||
사용 악기 | 보컬, 피아노, 키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b4b4b 1%, #4b4b4b 20%, #5d5d5d 80%, #5d5d5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b4b4b><colcolor=#fff> 학력 | Fieldston School 린컨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중퇴 | |
부모 | 부 길 헤론 (프로 축구 선수) 모 보비 스콧 | ||
자녀 | 딸 조앤 스콧-헤론 포함, 슬하 3녀 | ||
배우자 | Brenda Sykes (배우) | ||
혈통 | 아프리카계 미국인, 자메이카인 | ||
종교 | 기독교 (문화적 배경) | ||
별명 | 힙합의 대부 Godfather of Rap, 검은 밥딜런 the black Bob Dylan | ||
대표곡 |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The Bottle Home is Where the Hatred Is | ||
레이블 | Flying Dutchman, Arista Records, XL Recordings |
1. 개요
길 스콧-헤론(Gil Scott-Heron, 1949년 4월 1일 ~ 2011년 5월 27일)은 미국의 시인이자 뮤지션, 사회운동가로, 재즈, 소울, 펑크 음악을 결합한 자유로운 스타일로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한 아티스트이다.2. 생애
2.1. 어린 시절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나 자메이카계 축구선수 아버지와 재즈 가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길 헤론은 셀틱 FC 최초의 흑인 선수였다. 그의 부모는 그가 어릴 때 이혼했고, 그는 이후 테네시주 잭슨에서 할머니 밑에서 성장했다. 12세 무렵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뉴욕 브롱크스에서 어머니와 함께 자랐다.2.2. 학창 시절
어린 시절부터 글쓰기와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자신이 쓴 글로 명문 사립학교에 다닐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학교에 아프리칸 아메리칸은 5명에 불과했고 그로 인해 문화적, 경제적 격차를 체감하며 어린 시절 소외를 경험했다.이후 그는 흑인 문학의 거장 랭스턴 휴스가 졸업한 링컨 대학교에 진학했다. 그는 이곳에서 최고의 파트너가 되는 브라이언 잭슨을 만나 밴드 Black & Blues를 결성했다.
링컨 대학교에 약 2년간 재학한 뒤, 그는 소설 The Vulture와 The Nigger Factory를 집필하기 위해 1년간 학업을 중단했다. 그는 이 시절 흑인 예술 운동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는 학부 학위를 마치지는 않았지만, 그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Writing Seminars 과정의 M.A. 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몇 년간, 그는 워싱턴 D.C.의 컬럼비아 특별구 대학교에서 문학과 창작글쓰기 강의를 풀타임으로 맡아 진행하면서도 음악 활동을 병행했다.
3. 음악 활동
1970년, 길 스콧-헤론은 데뷔 앨범 《Small Talk at 125th and Lenox》를 발매하며 본격적인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 프로듀싱은 밥 티엘(Bob Thiele)이 맡았으며, 퍼커션과 백보컬에는 에디 놀스, 찰리 선더스, 데이비드 반스가 참여했다. 이 앨범은 텔레비전, 소비주의, 백인 중산층의 무지, 흑인 내부의 위선 등을 주제로 하는 스포큰 워드 기반의 사회비판적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곡으로는 〈Whitey on the Moon〉이 있다.이후 1971년에 발표한 두 번째 앨범 《Pieces of a Man》에서는 전통적인 송 포맷을 사용하였으며, 베이시스트 론 카터, 드러머 버나드 퍼디, 기타리스트 버트 존스 등과 함께 더 완성도 높은 사운드를 선보였다. 이 앨범에서는 브라이언 잭슨이 처음 본격적으로 협업하기 시작하였다.
1972년 세 번째 앨범 《Free Will》에서는 이전 세션 멤버들과 더불어 제리 제모트, 데이비드 스피노자, 편곡가 호레이스 오트가 합류했다. 론 카터는 스콧-헤론의 목소리에 대해 "가창력이 특출난 건 아니지만, 그 목소리의 울림은 셰익스피어 대사를 읊는 듯한 깊이를 지녔다"고 평가했다.
스콧-헤론은 초기부터 음악을 단순한 오락 수단이 아닌, 정치적·사회적 메시지를 담는 도구로 활용한 점에서 동시대 아티스트들과 차별화되었다.
1974년, 스콧-헤론은 브라이언 잭슨과 함께 《Winter in America》를 발표했다. 밥 애덤스(드럼), 대니 보웬스(베이스)가 참여한 이 앨범은 두 사람의 최고 예술작으로 평가된다. 이후 《Midnight Band: The First Minute of a New Day》(1975)를 연달아 발표했고, 같은 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 정책에 반대하는 〈Johannesburg〉를 싱글로 발매했다. 이 곡은 이후 〈B-Movie〉, 〈Waiting for the Axe to Fall〉과 함께 12인치 싱글로 재발매되었다.
1976년에는 라이브 앨범 《It's Your World》, 1978년에는 《The Mind of Gil Scott-Heron》을 발표하였고, 같은 해 마약 문제를 비판한 싱글 〈Angel Dust〉로 R&B 차트 15위에 올랐다.
1979년에는 ‘No Nukes’ 콘서트에 참여하였으며, 반핵 메시지를 담은 〈We Almost Lost Detroit〉를 공연했다. 이 곡은 같은 제목의 책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이후 앨범에도 수록되었다. 그는 레이건 정부에 대한 비판을 지속했으며, 인종 및 계층 문제에 일관된 문제의식을 유지했다.
1980년대에는 《1980》, 《Real Eyes》(1980), 《Reflections》(1981), 《Moving Target》(1982) 등 네 장의 앨범을 발표하였다. 색소폰 연주자 론 할러웨이(Ron Holloway)는 1982년부터 1989년까지 투어 및 녹음에 함께했으며, 이후 그의 앨범에도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1985년, 아리스타 레코드에서 방출되며 정규 음반 활동이 중단되었다. 같은 해 《Sun City》 앨범의 〈Let Me See Your I.D.〉에 참여하여 미국과 남아프리카의 인종 문제를 비교하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1993년에는 《Spirits》 앨범으로 복귀했다. 첫 트랙 〈Message to the Messengers〉에서는 1990년대의 래퍼들에게 사회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예술적 책임을 촉구했다. 그는 종종 ‘랩의 대부(Godfather of Rap)’로 불리며, 정치적 힙합의 시조로 평가받는다.
그는 힙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은 음악을 배워야 한다. 나는 시인이 되기 전 밴드에서 연주했다. 단순히 가사를 얹는 것과 음악과 하나가 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요즘 랩은 유머도 없고 내면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냥 허세뿐이다.”
4. 이후
1980년대 이후 마약 중독과 법적 문제로 활동이 불규칙해졌지만, 2010년 영국의 레이블 XL Recordings와 함께 발표한 앨범 《I'm New Here》로 재기에 성공했다. 해당 앨범은 평단의 극찬을 받았으며, Jamie xx가 리믹스한 We're New Here도 후속작으로 주목받았다.5. 사망
2011년 5월 27일, 뉴욕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인은 HIV 관련 합병증으로 추정된다. 그의 죽음은 음악계와 흑인 사회운동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많은 아티스트들이 추모 메시지를 남겼다.6. 음악 스타일 및 영향력
스콧-헤론의 음악과 시는 인디 록부터 힙합에 이르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그는 1970년대 활동을 통해 힙합, 네오 소울, 애시드 재즈 등의 장르에 결정적인 토대를 마련했으며,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랩의 대부(Godfather of Rap)", "흑인 밥 딜런"으로 불렸다.시카고 트리뷴의 그렉 콧(Greg Kot)은 스콧-헤론과 브라이언 잭슨의 협업을 "마빈 게이와 스티비 원더와 함께 70년대 음악에 정치의식을 불어넣은 대표적 사례"로 평가했다.
그의 음악은 재즈, 소울, 블루스와 시적 표현을 결합해 당시의 ‘재즈 포에트리’ 흐름과도 맞닿아 있었으며,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Johannesburg》 등의 곡은 흑인 사회의 현실을 전달하는 강력한 메시지로 기능했다.
힙합 씬에서 그의 곡들은 자주 샘플링되었으며, 대표적으로:
* 〈We Almost Lost Detroit〉 → MF DOOM, Black Star, Grand Puba
* 〈A Legend in His Own Mind〉 → Mos Def의 〈Mr. Nigga〉
* 〈Angel Dust〉 → Dr. Dre와 RBX의 〈Blunt Time〉
* 〈The Bottle〉 → CeCe Peniston의 〈My Boo〉
칸예 웨스트는 〈Who Will Survive in America〉에 스콧-헤론의 샘플을 사용했으며, 그의 앨범 《I'm New Here》(2010)에서는 오히려 카니예의 〈Flashing Lights〉를 샘플링하며 그에 대한 응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스콧-헤론은 자신이 랩 음악에 끼친 영향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드러내며 “랩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자신을 "블루솔로지스트(bluesologist)"로 규정했다.
그의 사후에도 영향은 이어졌으며, 채터누가 출신 래퍼 아이제야 라샤드(Isaiah Rashad)는 데뷔 믹스테잎 《Pieces of a Kid》를 스콧-헤론의 앨범 《Pieces of a Man》에 헌정했다. 또한, 영화 퍼스트 맨에선 그의 Whitney on the moon이 중요하게 연출되기도 했다. 2019년 브롱크스의 167번가 지하철역 리노베이션 기념 모자이크 아트에도 선정되어 지역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7. 디스코그래피
7.1. 스튜디오 앨범
<rowcolor=#000> 연도 | 제목 |
1970년 | Small Talk at 125th and Lenox (Live) |
1971년 | Pieces of a Man |
1972년 | Free Will |
1974년 | Winter in America[2] |
1975년 | The First Minute of a New Day[3] |
1975년 | From South Africa to South Carolina[4] |
1976년 | It's Your World[5] |
1977년 | Bridges[6] |
1978년 | Secrets[7] |
1978년 | The Mind of Gil Scott-Heron |
1980년 | 1980[8] |
1980년 | Real Eyes |
1981년 | Reflections |
1982년 | Moving Target |
1994년 | Spirits |
2010년 | I'm New Here |
2011년 | We're New Here[9] |
2014년 | Nothing New |
2020년 | We're New Again – A Reimagining by Makaya McCraven |
7.2. 라이브 앨범
<rowcolor=#000> 연도 | 제목 |
1970년 | Small Talk at 125th and Lenox |
1976년 | It's Your World[10] |
1990년 | Tales of Gil Scott-Heron and His Amnesia Express |
1994년 | Minister of Information: Live |
2004년 | The Best of Gil Scott-Heron Live |
2004년 | Save the Children |
2005년 | Greatest Hits Live: Collector Series |
2008년 | Live at the Town and Country 1988 |
7.3. 컴필레이션 앨범
<rowcolor=#000> 연도 | 제목 |
1974년 |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
1984년 | The Best of Gil Scott-Heron |
1990년 | Glory: The Gil Scott-Heron Collection |
1998년 | Ghetto Style |
1999년 | Evolution & Flashback: The Very Best Of Gil Scott-Heron |
2005년 | Anthology: Messages |
[1] HIV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2] Brian Jackson과 함께[3] Brian Jackson 과 the Midnight Band와 함께[4] Brian Jackson과 함께[5] Brian Jackson과 함께[6] Brian Jackson과 함께[7] Brian Jackson과 함께[8] Brian Jackson과 함께[9] Jamie xx의 리믹스 앨범[10] Brian Jackson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