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그래미 어워드 | ||||
제66회 그래미 어워드 | → | 제67회 그래미 어워드 | → | 제68회 그래미 어워드 |
제67회 그래미 어워즈 67th Grammy Awards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일시 | 2025년 2월 2일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지역 |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크립토닷컴 아레나 |
방송사 | CBS(미국 방송) |
[clearfix]
1. 개요
2025년 2월 2일에 진행된 그래미 시상식.2023년 9월 16일에서 2024년 8월 30일 사이에 발매된 앨범, 음원 등이 심사 대상이다.
2. 일정
출품 기한: 2024년 7월 17일 ~ 8월 30일예심 투표: 2024년 10월 4일 ~ 15일
후보 발표: 2024년 11월 8일
본심 투표: 2024년 12월 12일 ~ 2025년 1월 3일
시상식: 2025년 2월 2일
3. 수상 결과
3.1. 본상
3.1.1. 올해의 레코드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비틀즈 | Now And Then |
비욘세 | TEXAS HOLD 'EM |
사브리나 카펜터 | Espresso |
찰리 XCX | 360 |
빌리 아일리시 | BIRDS OF A FEATHER |
켄드릭 라마 | Not Like Us |
채플 론 | Good Luck, Babe! |
테일러 스위프트 ft. 포스트 말론 | Fortnight |
3.1.2. 올해의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안드레 3000 | New Blue Sun |
비욘세 | COWBOY CARTER |
사브리나 카펜터 | Short n' Sweet |
찰리 XCX | BRAT |
제이콥 콜리어 | Djesse Vol. 4 |
빌리 아일리시 | HIT ME HARD AND SOFT |
채플 론 | The Rise and Fall of a Midwest Princess |
테일러 스위프트 |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
3.1.3. 올해의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A Bar Song (Tipsy) Shaboozey | Sean Cook, Jerrel Jones, Joe Kent, Shaboozey, Nevin Sastry, Mark Williams |
BIRDS OF A FEATHER 빌리 아일리시 | 빌리 아일리시, 피니어스 오코넬 |
Die With A Smile 레이디 가가 & 브루노 마스 | Dernst Emile II, James Fauntleroy, 레이디 가가, 브루노 마스, Andrew Watt |
Fortnight 테일러 스위프트 ft. 포스트 말론 | 잭 안토노프, 포스트 말론, 테일러 스위프트 |
Good Luck, Babe! 채플 론 | 채플 론, Daniel Nigro, Justin Tranter |
Not Like Us 켄드릭 라마 | 켄드릭 라마 |
Please Please Please 사브리나 카펜터 | Amy Allen, 잭 안토노프, 사브리나 카펜터 |
TEXAS HOLD 'EM 비욘세 | Brian Bates, 비욘세, Elizabeth Lowell Boland, Megan Bülow, Nate Ferraro, Raphael Saadiq |
3.1.4. 신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벤슨 분 |
사브리나 카펜터 |
도우치 |
크루앙빈 |
RAYE |
채플 론 |
Shaboozey |
테디 스윔스 |
3.1.5. 올해의 프로듀서상
<rowcolor=#fff> 프로듀서 | 주요 프로듀싱작 |
Alissia | Bugs (자밀라 우즈) DON'T MATTER (Rae Khalil) Honey (BJ The Chicago Kid ft. Chlöe) IRREPLACEABLE (INTERLUDE) (Rae Khalil) IS IT WORTH IT (Rae Khalil) Love Takeover (LION BABE) Spend The Night (BJ The Chicago Kid, Coco Jones) |
Dernst "D'Mile" Emile II | Algorithm (럭키 데이) Bar Song (Koe Wetzel) Die With A Smile (레이디 가가 & 브루노 마스) HERicane (럭키 데이) I Love U (어셔) One Of Them Ones (어셔) Power of Two (From "Star Wars: The Acolyte") (빅토리아 모네) That's You (럭키 데이) |
Ian Fitchuk | AMEN (비욘세) Angel Face (Stephen Sanchez) Deeper Well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Don't Forget Me (매기 로저스) Lemon (Still Woozy) Oh, Gemini (ROLE MODEL) Peaceful Place (Leon Bridges) Redemption Song (Bob Marley: One Love - Music Inspired By The Film) (Leon Bridges) Three Little Birds (Bob Marley: One Love - Music Inspired By The Film)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
DJ 머스타드 | Faith Of A Mustard Seed (DJ 머스타드) Not Like Us (켄드릭 라마) Parking Lot (DJ 머스타드 & 트래비스 스캇) |
Daniel Nigro | Can't Catch Me Now (From The Hunger Games: The Ballad Of Songbirds & Snakes) (올리비아 로드리고) The Rise and Fall of a Midwest Princess (채플 론) girl i've always been (올리비아 로드리고) Good Luck, Babe! (채플 론) so american (올리비아 로드리고) stranger (올리비아 로드리고) |
3.1.6. 올해의 송라이터상
<rowcolor=#fff> 송라이터 | 주요 송라이팅 목록 |
Jessi Alexander | Ain't No Love in Oklahoma (루크 콤즈) All I Ever Do Is Leave (루크 콤즈) Chervolet (Dustin Lynch ft. Jelly Roll) Make Me A Mop (Cody Johnson) Never Left Me (Megan Moroney) No Caller ID (Megan Moroney) Noah (Megan Moroney) Remember Him That Way (루크 콤즈) Roulette On The Heart (Conner Smith & Hailey Whitters) |
Amy Allen | Chrome Cowgirl (Leon Bridges) Espresso (사브리나 카펜터) High Road (Koe Wetzel & Jessie Murph) Please Please Please (사브리나 카펜터) run for the hills (테이트 맥레이) scared of my guitar (올리비아 로드리고) Selfish (저스틴 팀버레이크) Sweet Dreams (Koe Wetzel) Taste (사브리나 카펜터) |
Edgar Barrera | Atención (Ivan Cornejo) (Entre Paréntesis) (샤키라 & Grupo Frontera) It Was Alwasy You (Siempre Fuiste Tú) (Carin León & Leon Bridges) No Se Vale (Camilo) The One (Pero No Como Yo) (Carin León & 케인 브라운) POR EL CONTRARIO (베키 지 with Ángela Aguilar, Leonardo Aguilar) Si Antes Te Hubiera Conocido (카롤 지) Sincere (칼리드) TOMMY & PAMELA (Peso Pluma & Kenia Os) |
Jessie Jo Dillon | Am I Okay? (Megan Moroney) Go To Hell (포스트 말론) Heaven By Noon (Megan Moroney) Lies Lies Lies (모건 월렌) MESSED UP AS ME (키스 어번) Never Left Me (Megan Moroney) No Caller ID (Megan Moroney) Sorry Mom (켈시 발레리니) Two Hearts (포스트 말론) |
RAYE | Ask & You Shall Receive (리타 오라) Because I Love You (Halle) Dear Ben, Pt II (제니퍼 로페즈) Genesis. (RAYE) Mother Nature (RAYE & 한스 짐머) Paralyzed (럭키 데이 ft. RAYE) RIIVERDANCE (비욘세) You're Hired (NEIKED ft. Ayra Starr) |
3.2. 팝
3.2.1. 솔로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비욘세 | BODYGUARD |
사브리나 카펜터 | Espresso |
찰리 XCX | Apple |
빌리 아일리시 | BIRDS OF A FEATHER |
채플 론 | Good Luck, Babe! |
3.2.2. 듀오/그룹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그레이시 에이브럼스 ft. 테일러 스위프트 | us. |
비욘세 ft. 포스트 말론 | LEVII'S JEANS |
찰리 XCX ft. 빌리 아일리시 | Guess |
아리아나 그란데 ft. 브랜디 & 모니카 | the boy is mine |
레이디 가가 & 브루노 마스 | Die With A Smile |
3.2.3. 가창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사브리나 카펜터 | Short n' Sweet |
빌리 아일리시 | HIT ME HARD AND SOFT |
아리아나 그란데 | eternal sunshine |
채플 론 | The Rise and Fall of a Midwest Princess |
테일러 스위프트 |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
3.3. 댄스/일렉트로닉
3.3.1. 레코드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디스클로저 | She's Gone, Dance On |
포 텟 | Loved |
Fred again.. & 베이비 킴 | leavemealone |
저스티스 & 테임 임팔라 | Neverender |
케이트라나다 ft. 차일디시 감비노 | Witchy |
3.3.2.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찰리 XCX | BRAT |
포 텟 | Three |
저스티스 | Hyperdrama |
케이트라나다 | TIMELESS |
Zedd | Telos |
3.3.3. 댄스 팝 레코드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매디슨 비어 | Make You Mine |
찰리 XCX | Von dutch |
빌리 아일리시 | L’AMOUR DE MA VIE [OVER NOW EXTENDED EDIT] |
아리아나 그란데 | yes, and? |
트로이 시반 | Got Me Started |
3.3.4. 리믹스상
<rowcolor=#fff> 음원 | 리믹서 |
Alter Ego - KAYTRANADA Remix 도우치 ft. JT | 케이트라나다 |
A Bar Song (Tipsy) Remix Shaboozey & 데이비드 게타 | 데이비드 게타 |
Espresso (Mark Ronson x FNZ Working Late Remix) 사브리나 카펜터 | FNZ, 마크 론슨 |
Jah Sees Them - Amapiano Remix Julian Marley & Antaeus | Antaeus 外 |
Von dutch 찰리 XCX & 에이 지 쿡 ft. 애디슨 레이 | 에이 지 쿡 |
3.4. 랩
3.4.1.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카디 비 | Enough (Miami) |
커먼 & 피트 록 ft. Posdnuos | When The Sun Shines Again |
도우치 | NISSAN ALTIMA |
에미넴 | Houdini |
Future & 메트로 부민 ft. 켄드릭 라마 | Like That |
GloRilla | Yeah Glo! |
켄드릭 라마 | Not Like Us |
3.4.2.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도우치 | Alligator Bites Never Heal |
제이 콜 | Might Delete Later |
커먼 & 피트 록 | The Auditorium Vol. 1 |
에미넴 | The Death of Slim Shady (Coup De Grâce) |
Future & 메트로 부민 | WE DON'T TRUST YOU |
3.4.3.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Asteroids Rapsody ft. Hit-Boy | Rapsody |
Carnival 칸예 웨스트 & Ty Dolla $ign ft. 리치 더 키드 & 플레이보이 카티 | 플레이보이 카티, Ojivolta, The Legendary Traxster, Digital Nas, 리치 더 키드, Ty Dolla $ign, 칸예 웨스트 外 |
Like That Future & 메트로 부민 ft. 켄드릭 라마 | 켄드릭 라마, BbyKobe, 메트로 부민, Future |
Not Like Us 켄드릭 라마 | 켄드릭 라마 |
Yeah Glo! GloRilla | Lil' Ronnie, Go Grizzly, GloRilla 外 |
3.4.4. 멜로디 랩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Jordan Adetunji ft. 켈라니 | KEHLANI |
비욘세 ft. 린다 마텔 & Shaboozey | SPAGHETTII |
Future & 메트로 부민 ft. The Weeknd | We Still Don't Trust You |
라토 | Big Mama |
Rapsody ft. 에리카 바두 | 3 |
3.5. R&B
3.5.1.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즈네 아이코 | Guidance |
크리스 브라운 | Residuals |
Coco Jones | Here We Go (Uh Oh) |
Muni Long | Made For Me (Live On BET) |
SZA | Saturn |
3.5.2.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크리스 브라운 | 11:11 (Deluxe) |
Lalah Hathaway | VANTABLACK |
Muni Long | Revenge |
럭키 데이 | Algorithm |
어셔 | COMING HOME |
3.5.3.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After Hours 켈라니 | 켈라니 外 |
Burning Tems | Tems 外 |
Here We Go (Uh Oh) Coco Jones | Coco Jones 外 |
Ruined Me Muni Long | Muni Long 外 |
Saturn SZA | SZA 外 |
3.5.4. 전통 R&B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Marsha Ambrosius | Wet |
Kenyon Dixon | Can I Have This Groove |
Lalah Hathaway ft. Michael McDonald | No Lie |
Muni Long | Make Me Forget |
럭키 데이 | That's You |
3.5.5. 프로그레시브 R&B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Avery*Sunshine | So Glad to Know You |
Durand Bernarr | En Route |
차일디시 감비노 | Bando Stone & the New World |
켈라니 | Crash |
NxWorries[1] | WhyLawd? |
3.6. 록
3.6.1.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비틀즈 | Now And Then |
더 블랙 키스 | Beautiful People (Stay High) |
그린 데이 | The American Dream Is Killing Me |
아이들즈 | Gift Horse |
펄 잼 | Dark Matter |
세인트 빈센트 | Broken Man |
3.6.2.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The Black Crowes | Happiness Bastards |
폰테인즈 D.C. | Romance |
그린 데이 | Saviors |
아이들즈 | TANGK |
펄 잼 | Dark Matter |
롤링 스톤스 | Hackney Diamonds |
잭 화이트 | No Name |
3.6.3.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Beautiful People (Stay High) 더 블랙 키스 | 더 블랙 키스 外 |
Broken Man 세인트 빈센트 | 세인트 빈센트 |
Dark Matter 펄 잼 | 펄 잼, 앤드류 와트 |
Dilemma 그린 데이 | 빌리 조 암스트롱, 마이크 던트, 트레 쿨 |
Gift Horse 아이들즈 | 아이들즈 |
3.7. 컨트리
3.7.1. 솔로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비욘세 | 16 CARRIAGES |
Jelly Roll | I Am Not Okay |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 The Architect |
Shaboozey | A Bar Song (Tipsy) |
크리스 스테이플턴 | It Takes A Woman |
3.7.2. 듀오/그룹 퍼포머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원 |
켈시 발레리니 with 노아 카한 | Cowboys Cry Too |
비욘세 ft. 마일리 사이러스 | II MOST WANTED |
Brothers Osborne | Break Mine |
Dan + Shay | Bigger Houses |
포스트 말론 ft. 모건 월렌 | I Had Some Help |
3.7.3. 앨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음반 |
비욘세 | COWBOY CARTER |
포스트 말론 | F-1 Trillion |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 Deeper Well |
크리스 스테이플턴 | Higher |
레이니 윌슨 | Whirlwind |
3.7.4.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The Architect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外 |
A Bar Song (Tipsy) Shaboozey | Shaboozey 外 |
I Am Not Okay Jelly Roll | Jelly Roll 外 |
I Had Some Help 포스트 말론 ft. 모건 월렌 | 포스트 말론, 모건 월렌 外 |
TEXAS HOLD 'EM 비욘세 | 비욘세 外 |
3.8. 미디어 삽입 음악
3.8.1. 노래상
<rowcolor=#fff> 음원 | 송라이터 |
Ain’t No Love In Oklahoma 트위스터스 | 루크 콤즈 外 |
Better Place 트롤: 밴드 투게더 | 저스틴 팀버레이크 外 |
Can't Catch Me Now 헝거게임: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Daniel Nigro, 올리비아 로드리고 |
It Never Went Away 아메리칸 심포니 | 존 바티스트, Dan Wilson |
Love Will Survive 타투이스트 오브 아우슈비츠 | 한스 짐머 外 |
3.8.2. 컴필레이션 사운드트랙상
<rowcolor=#fff> 작품 | 아티스트, 프로듀서 |
컬러 퍼플 | 닉 백스터 外 |
데드풀과 울버린 | 숀 레비, 라이언 레이놀즈 外 |
Maestro: Music by Leonard Bernstein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야니크 네제세갱, 브래들리 쿠퍼 外 |
솔트번 | 에메랄드 페넬 外 |
Twisters: The Album | 레이첼 레비 外 |
3.8.3. 스코어 사운드트랙상 (영화, TV 등)
<rowcolor=#fff> 작품 | 작곡가 |
아메리칸 픽션 | 로라 카프먼 |
챌린저스 | 트렌트 레즈너, 애티커스 로스 |
컬러 퍼플 | 크리스 바워스 |
듄: 파트 2 | 한스 짐머 |
쇼군 | 애티커스 로스 外 |
3.8.4. 스코어 사운드트랙상 (비디오게임 등)
<rowcolor=#fff> 작품 | 작곡가 |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 Pinar Toprak |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발할라 | 베어 맥크레리 |
Marvel's Spider-Man 2 | 존 파에사노 |
스타워즈: 아웃로 | Wilbert Roget II |
Wizardry: Proving Grounds of the Mad Overlord | Winifred Phillips |
3.9. 영상
3.9.1. 뮤직비디오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뮤직비디오 | 감독, 프로듀서 |
에이셉 라키 | Tailor Swif | Vania Heymann, Gal Muggia |
찰리 XCX | 360 | Aidan Zamiri, Jami Arceo, Evan Thicke |
에미넴 | Houdini | Rich Lee, Kathy Angstadt, Lisa Arianna, Justin Diener |
켄드릭 라마 | Not Like Us | 데이브 프리, 켄드릭 라마, Jack Begert, Sam Canter, Jamie Rabineau |
테일러 스위프트 ft. 포스트 말론 | Fortnight | 테일러 스위프트, Jil Hardin |
3.9.2. 영화상
<rowcolor=#fff> 아티스트 | 작품 | 감독, 프로듀서 |
존 바티스트 | 아메리칸 심포니 | Matthew Heineman 外 |
준 카터 캐시 | June | Kristen Vaurio 外 |
Run DMC | Kings From Queens | Kirk Fraser 外 |
스티븐 밴 잰트 | Stevie Van Zandt: Disciple | Bill Teck 外 |
- | 팝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밤 | Bao Nguyen 外 |
3.10. 기타
||<table 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b69858><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b69858><rowcolor=#fff><width=33%> 부문 ||<width=33%> 음원/음반 ||<width=33%> 수상자 ||
메탈, 얼터너티브 | ||
메탈 퍼포머 | ||
얼터너티브 퍼포머 | ||
얼터너티브 앨범 | All Born Screaming | 세인트 빈센트 |
재즈, 전통 팝, 컨템퍼러리 연주, 뮤지컬 | ||
재즈 퍼포머 | ||
재즈 가창 앨범 | ||
재즈 연주 앨범 | ||
라지 앙상블 앨범 | ||
라틴 재즈 앨범 | ||
얼터너티브 재즈 앨범 | ||
전통 팝 가창 앨범 | ||
컨템포러리 연주 앨범 | ||
뮤지컬 앨범 | ||
아메리칸 루츠 | ||
아메리칸 루츠 퍼포머 | Lighthouse | Sierra Ferrell |
아메리카나 퍼포머 | American Dreaming | Sierra Ferrell |
아메리칸 루츠 노래 | American Dreaming | Sierra Ferrell |
아메리카나 앨범 | Trail Of Flowers | Sierra Ferrell |
블루그래스 앨범 | Live Vol. 1 | Billy Strings |
전통 블루스 앨범 | Swingin' Live At The Church in Tulsa | The Taj Mahal Swxtet |
현대 블루스 앨범 | Mileage | Ruthie Foster |
포크 앨범 | Woodland | Gillian Welch & David Rawlings |
리저널 루츠 앨범 | Kuini | Kalani Pe'a |
가스펠, CCM | ||
가스펠 퍼포머/노래 | ||
가스펠 앨범 | ||
루츠 가스펠 앨범 | ||
CCM 퍼포머/노래 | ||
CCM 앨범 | ||
라틴, 글로벌, 레게, 뉴 에이지/앰버인트/챈트 | ||
라틴 팝 앨범 | ||
라틴 록/얼터너티브 앨범 | ||
뮤지카 어바나 앨범 | ||
뮤지카 멕시카나/테하노 앨범 | ||
트로피컬 라틴 앨범 | ||
글로벌 뮤직 퍼포머 | ||
아프리칸 뮤직 퍼포머 | ||
글로벌 뮤직 앨범 | ||
레게 앨범 | ||
뉴 에이지/앰비언트/챈트 앨범 | ||
스포큰 워드 포에트리 | ||
스포큰 워드 포에트리 앨범 | ||
아동, 코미디, 오디오북 | ||
아동 앨범 | ||
코미디 앨범 | ||
오디오북, 나레이션, 스토리텔링 레코딩 | ||
포장, 노트, 복원 | ||
레코딩 포장 | ||
박스드/스페셜 한정판 포장 | ||
앨범 노트 | ||
복원 앨범 | ||
프로듀싱, 엔지니어링, 작곡, 편곡 | ||
앨범 엔지니어링 (非클래식) | ||
앨범 엔지니어링 (클래식) | ||
올해의 클래식 프로듀서 | ||
이머시브 오디오 앨범 | ||
연주 작곡 | ||
연주/아카펠라 편곡 | ||
연주&가창 편곡 | ||
클래식 | ||
오케스트라 퍼포먼스 | ||
오페라 레코딩 | ||
코러스 퍼포먼스 | ||
체임버 뮤직/스몰 앙상블 퍼포머 | ||
클래식 연주 솔로 | ||
클래식 솔로 가창 앨범 | ||
클래식 컴펜디엄 | ||
현대 클래식 작곡 | ||
특별상 | ||
닥터 드레 글로벌 임팩트 | 앨리샤 키스 | |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노래 | ||
올해의 인물 | ||
평생공로상 | ||
이사회 공로상 | ||
기술상 | ||
음악교육자상 |
4. 개인별 성적
다수 부문 수상한 인물들이다.다수 부문 노미네이트된 인물들이다.- 11개: 비욘세
- 7개: 빌리 아일리시, 찰리 XCX, 켄드릭 라마, 포스트 말론
- 6개: 채플 론, 사브리나 카펜터, 테일러 스위프트
- 5개: Béla Fleck, Dmitriy Lipay,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Dan Nigro, Shaboozey, Serban Ghenea
- 4개: Amy Allen, 피니어스 오코넬, Future,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메트로 부민, Muni Long, Raphael Saadiq, Sierra Ferrell, 세인트 빈센트, Randy Merrill
- 3개: 에이 지 쿡, 아리아나 그란데, 안드레 3000, CeCe Winans, 크리스 브라운, 도우치, 에미넴, 그린 데이, 아이들즈, 제이콥 콜리어, 존 레전드, 케이트라나다, 켈라니, Manny Marroquin, Morten Lindberg, 펄 잼, säje, Tems, RAYE
5. 축하 공연
6. 시청률
7. 이야깃거리
- 정국, 지민, 뷔, RM, 제이홉, 리사, TWICE, Stray Kids 등 유수의 K-POP 아티스트가 작업물을 출품했다. 기사, 기사 2 아쉽게 후보 선정은 모두 불발돼 그래미의 높은 문턱을 실감케 했다.
- 비욘세는 통산 노미네이트 횟수 99회를 달성해 역사상 가장 많은 그래미 노미네이션을 받은 아티스트가 됐다.[2]
- 아리아나 그란데가 올해의 앨범상 후보에 eternal sunshine을, 올해의 레코드상 후보에 "we can't be friends (wait for your love)"를, 올해의 노래상 후보에 "we can't be friends (wait for your love)"와 "the boy is mine"을 출품했으나 모두 노미네이트에 실패하고 장르 필드에서만 후보에 올라 푸대접 논란이 일었다.
- 레코딩 아카데미는 6월 14일 2025 그래미 어워드 일정 및 규정을 확정했다. 신설되거나 폐지된 상이 없어 상의 개수는 94개로 유지되었으며[3], 다음과 같은 상이 개칭되었다.
- 팝 댄스 레코드상 → 댄스 팝 레코드상
- 댄스/일렉트로닉 뮤직 앨범상 → 댄스/일렉트로닉 앨범상
- 리믹스상이 '프로듀싱, 엔지니어링, 작곡, 편곡' 부문에서 '팝 & 댄스/일렉트로닉' 부문으로 이동했다.
- 장르 부문 앨범상들에 한해 기여도에 상관없이 모든 피처링 아티스트가 후보 및 수상자 명단에 포함되도록 하기로 했다.[4]
- 사브리나 카펜터와 채플 론이 제너럴 필드 4곳[5]에 후보로 지명되면서 중고 신인들의 수상이 예측되고있다.
- LA 산불에도 불구하고 예정된 그래미 어워드 일정을 그대로 진행하겠다고 레코딩 아카데미 측이 밝혔다.
- 칸예 웨스트와 그의 아내 비앙카 센소리의 기행도 주목받았다. 레드카펫에서 두꺼운 코트를 입고있던 비앙카에게 기자가 'let me see your fashion'이라고 요청하자, 아우터를 벗더니 투명 드레스를 입은 룩을 공개하였다.[6] 이 때문에 그래미에서 쫓겨났다는 속설도 돌았으나, 단지 본인이 레드카펫만 참석했다가 바로 귀가한 거라고.
- 지난 2021년 제 6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완전히 스넙당했던 The Weeknd는 당시 그래미가 부패했다고 비판하며, 그래미가 변하지 않는 한 앞으로 낼 앨범들은 그래미에 출품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때문에 타 아티스트 명의가 아닌 자신 명의의 앨범들과 히트 싱글들을 4년 넘게 모조리 출품하지 않아왔으나, 이번 그래미 어워드에서 레코딩 아카데미의 CEO와 진행자의 샷아웃을 받으며 수 년만에 그래미 퍼포먼스를 펼쳤다. 싱글 "Cry For Me"를 선보인 직후 Playboi Carti도 함께 무대에 올라 싱글 Timeless를 불렀다. 그래미 어워드는 공식 X 계정을 통해 위켄드가 그래미에 돌아온 것을 환영하는(그리워했다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 빌리 아일리시의 HIT ME HARD AND SOFT가 그래미 어워드에서 모든 수상을 놓쳐 큰 논란이 되고 있다. # #.
- 사브리나 카펜터와 올리비아 로드리고가 서로 포옹하고 이야기 하는 모습이 찍혀 화제가 되었다.#그래미 어워드가 끝난 후에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글램봇 영상에 올리비아가 좋아요를 누르기도 하였다.#
8. 평가
비욘세가 11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전반적인 분위기를 이끌었다. 채플 론과 사브리나 카펜터는 본상 4개 부문에 오르며 신인 대결 구도를 만들어냈고 그래미 어워드 단골 빌리 아일리시, 테일러 스위프트, 켄드릭 라마는 각각 7개, 6개, 7개 부문 후보에 오르면서 매우 치열한 시상식이 예고되었다. 또한 평단의 찬사와 대중적인 인기를 이끌어낸 앨범 BRAT을 발매한 찰리 XCX 또한 첫 수상을 노리며 그래미에 합류했다. 신인상 또한 거를 아티스트가 전혀 없으며 다수 부문 후보에 여가수들이 노미네이트되면서 작년에 이어 여성 아티스트들의 활약이 독보였다.시상식 한달 전 쯤에 시상식이 진행될 LA에서 큰 산불이 일어나면서 각종 그래미 이벤트들이 취소됐지만 시상식 만큼은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이며 이전까지 진행했던 시상식과는 다른 분위기로 산불 모금과 복구에 초점을 맞춘 시상식이 될 것이라고 레코딩 아카데미 측이 밝혔다.
다수의 매체에서 올해의 앨범을 누가 받을지에 대해 예측이 쏟아졌다. 특히 비욘세의 첫 올해의 앨범 수상이 가능할 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다수의 예측대로 비욘세가 올해의 앨범상 포함 3관왕을 달성했고 켄드릭 라마가 랩 부문과 올해의 노래, 올해의 레코드상을 휩쓸며 5관왕을 달성해 최다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채플 론은 신인상을 수상하며 신인 아티스트들을 보호하고 지원해줘야 한다는 뜻 깊은 수상소감을 했다. 사브리나 카펜터는 최우수 팝 보컬 앨범상과 최우수 솔로 퍼포머 상을 수상하며 첫 수상의 영광을 가졌고, 도치는 최우수 랩 앨범상을 수상하며 로린 힐과 카디 비에 이어 최우수 랩 앨범상을 수상한 3번째 여성 아티스트가 되었다. 다만 다수 수상이 예측되었던 빌리 아일리시와 간간히 수상을 챙기던 테일러 스위프트는 아무 상도 수상하지 못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산불 피해 복구 모금이 잘 진행되었고 화려한 퍼포먼스, 특히 신인상 후보들의 신인 답지 않은 퍼포먼스와 켄드릭 라마의 첫 본상 수상과 퀴어 팝 스타 채플 론, 그리고 올해의 앨범상 첫 수상의 비욘세까지 뜻깊은 수상결과에 전체적으로 좋은 분위기에서 시상식이 마무리되었다.
[1] 앤더슨 팩, Knxwledge[2] 이전까지 88회로 남편 JAY-Z와 함께 공동 1위였으나 이번에 11회를 더하며 단독 1위로 올라선 것. 참고로 이번 시상식에서 12개 부문에 출품했는데 R&B 노래상 후보로 낸 Tyrant가 탈락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성공한 것이다.[3] 부문 수에 변동이 없는 것은 4년 만에 처음이다.[4] 올해의 앨범상, 뮤지컬 앨범상 등은 제외.[5] 올해의 프로듀서상과 올해의 송라이터상 제외.[6] 속옷을 입지 않은 상태로 반나체상태였다. 투명 드레스를 입고 함께 찍은 사진들을 남편 칸예 웨스트가 자신의 SNS에 업로드했었으나 나중에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