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8:53:18

Not Like Us


파일:켄드릭 라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규 ]
{{{#!wiki style="margin: 0px"
<rowcolor=#000> 1집 2집 3집
파일:KLS80.jpg 파일:KLGKMC.jpg파일:KLTPAB.jpg
Section.80
2011년 7월 2일
[math(good)] [math(kid,)] [math(m.A.A.d)] [math(city)]
2012년 10월 22일
To Pimp A Butterfly
2015년 3월 15일
4집 5집 6집
파일:KLDAMN.jpg 파일:켄드릭5집커버.jpg 파일:gnx.jpg
[[DAMN.|{{{#f50a0b [math(\rm {DAMN.})]}}}]]
2017년 4월 14일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022년 5월 13일
GNX
2024년 11월 22일
}}}}}}}}}
[ 믹스테입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파일:Kendrick Lamar YHNIC.jpg ||<width=33%><nopad>파일:Kendrick Lamar Training Day .jpg||<width=33%><nopad>파일:KL&JR No Sleep 'Til NYC.jpg||
Youngest Head Nigga In Charge
(Hub City Threat: Minor Of The Year)

2003년 4월 15일
Training Day
2005년 12월 30일
No Sleep 'Til NYC
With Jay Rock
2007년 12 24일
파일:Kendrick Lamar C4.jpg파일:KL Overly Dedicated.jpg
C4
2009년 1월 30일
Overly Dedicated
2010년 914일
[ EP ]
#!wiki style="margin: 0;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Kendrick Lamar EP|[[파일:TKLEP.png|width=100%]]]] ||
||<bgcolor=#1f1c17> ''[[Kendrick Lamar EP|{{{#fff Kendrick Lamar EP}}}]]''[br]{{{#fff {{{-3 2009년 12월 31일}}}}}} ||
[ 컴필레이션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파일:KL Untitled Unmastered.jpg||
untitled unmastered.
2016년 3월 4일.
[ OST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파일:KLBPTA.jpg||
Black Panther: The Album
Black Panther
2018년 2월 9일
[ 그룹 ]
||<-4><width=25%><nopad><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color=#fff><height=35> Black Hippy ||
파일:Black Hippy Mixtape.png파일:Black Hippy 2013 Album.jpg파일:Black Hippy TDE.jpg파일:Black Hippy 2.jpg
Black Hippy
(Mixtape)
2011년
Black Hippy
(2013)
2013년 5월 14일
T.D.E
2014년 1월 7일
Black Hippy 2
2014년 9월 14일
파일:Black Hippy 2019 Album.jpg파일:Black Hippy TWO.jpg파일:Bl4ck Hippy.jpg
Black Hippy
(2019)
2019년 12월 6일
Two
2020년 4월 17일
Bl4ck Hippy
2020년 12월 11일
[ 싱글 ]
||<width=25%><nopad>파일:thehillbillies.png||<width=25%><nopad>파일:euphoria.webp||<width=25%><nopad>파일:mtgalbumcover.jpg||<width=25%><nopad>파일:Not Like Us.jpg||
The Hillbillies
(with Baby Keem)
2023년 5월 30일
euphoria
2024년 4월 30일
meet the grahams
2024년 5월 3일
Not Like Us
2024년 5월 4일
||
Not Like Us
<colbgcolor=#707ea1><colcolor=#FFF> 발매일 2024년 5월 4일
장르 서부 힙합, 래칫
러닝 타임 4:33
작사 켄드릭 라마
프로듀서 DJ Mustard · Sounwave · Sean Momberger
레이블 인터스코프 레코드
차트 기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1위[1]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 핑크.svg 1위[2]
파일:유튜브 로고.svg 281,084,625회[3]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1,253,181,195회[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Not Like Us.jpg
}}}}}}}}} ||


1. 개요2. 평가3. 성적4. 여담
4.1. Say Drake
5. 관련 문서

1. 개요

Kendrick Lamar의 싱글
meet the grahams
(2024)
Not Like Us
(2024)
squabble up / tv off
(2024)
공식 뮤직비디오[5][6][7]
2024년 5월 4일 발매된 켄드릭 라마드레이크 디스곡.

==#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8deg, rgba(74,90,92,1) 0%, rgba(82,97,105,1) 27%, rgba(84,96,112,1) 48%, rgba(83,85,102,1) 61%, rgba(87,92,111,1) 72%, rgba(64,70,83,1) 83%, rgba(48,57,68,1) 100%)"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5px -10px 0px 0px"
[[파일:Not Like Us.jpg|width=70&border-radius=4px]]{{{#!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20px; font-size: 16px;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middle"
'''[[Not Like Us|{{{#FFF Not Like Us}}}]]'''
{{{#!wiki style="font-size: 14px; color: rgba(256,256,256,0.6)"
Kendrick Lama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Intro}}}
{{{+1 '''Psst, I see dead people'''}}}
쓰읍, 죽은 사람들이 보여[* 영화 [[식스 센스(영화)|식스센스]]에 등장하는 [[헤일리 조엘 오스먼트]]의 대사를 인용한 것으로, 켄드릭은 euphoria의 가사에서도 오스먼트와 식스센스를 언급한 바 있다.][* dead people = ghosts = ghost writers. 드레이크의 대필 논란을 저격하는 의도도 있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Intro: '''YG'''}}}
{{{+1 '''[[DJ 머스타드|{{{#FFF Mustard}}}]] on the beat, ho'''}}}
머스타드가 비트 위에, 이 자식아[* 프로듀서 [[DJ 머스타드]]의 시그니처 태그로, 래퍼 [[YG(래퍼)|YG]]의 목소리이다. 드레이크의 Family Matters에서 YG가 자기 친구임을 암시하는 가사가 있었는데, 그 YG의 절친인 머스타드의 비트를 사용하면서 시작부터 이를 겨냥한 것.]}}}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Verse 1}}}
{{{+1 '''Ayy, Mustard on the beat, ho'''}}}
Ayy, 머스타드가 비트 위에, 이 자식아

{{{+1 '''Deebo, any rap nigga, he a free throw'''}}}
디보처럼, 깝죽거리는 래퍼들, 날려버려[* Deebo는 1995년 영화 '[[프라이데이(영화)|프라이데이]]'의 등장인물로, 소시오패스 골목대장 정도의 캐릭터이다. 켄드릭은 그의 이름을 통해 자신이 어떤 래퍼든지 마음만 먹으면 이길 수 있는 실력을 가졌다는 것을 과시한다. 또한 Deebo는 콤프턴 출신의 농구선수 [[더마 드로잔]]의 별명이기도 한데, 그는 이후 가사에서 재언급되며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했다.]

{{{+1 '''Man down, call an amberlamps, tell him, "Breathe, bro"'''}}}
사람이 쓰러졌어, 119 전화하고 말해, "숨쉬라고, 임마"

{{{+1 '''Nail a nigga to the cross, he walk around like [[티조 터치다운|{{{#FFF Teezo}}}]]'''}}}
십자가에 못으로 박으니, 못 걸어다니네, 마치 Teezo[* 래퍼 [[티조 터치다운]]은 머리에 못을 꽂고 다니는 헤어스타일로 유명하며, 과거에 드레이크와 공동 작업을 한 적이 있다.]

{{{+1 '''What's up with these jabroni-ass niggas tryna see [[콤프턴|{{{#FFF Compton}}}]]?'''}}}
샌드백 수준도 안되는 놈들이 왜 자꾸 콤프턴에 얼쩡거려?

{{{+1 '''The industry can hate me, fuck 'em all and they mama'''}}}[* [[투팍 샤커]]의 [[Hit 'Em Up]] 가사를 오마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산업이 날 싫어한다고 해도, 걔네랑 걔네 엄마도 엿먹으라 해

{{{+1 '''How many opps you really got? I mean, it's too many options'''}}}
널 싫어하는 적이 진짜 얼마나 될까? 아니, 선택지가 너무 많잖아

{{{+1 '''I'm finna pass on this body, I'm [[존 스탁턴|{{{#FFF John Stockton}}}]]'''}}}
이 몸이 친히 패스 받도록 하지, 마치 존 스탁턴[* 농구선수 [[존 스탁턴]]은 [[유타 재즈]]의 전설로, [[NBA]] 역사상 최다 어시스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존 스탁턴]]과 함께 전성기를 이뤘던 파트너는 [[칼 말론]]으로 현역시절 20살 때 자신보다 7살 어린 소녀를 임신시킨 흑역사가 있다.]

{{{+1 '''Beat your ass and hide the Bible if God watchin' '''}}}
널 두들겨 패고, 혹시라도 신이 보실까 성경은 숨겨

{{{+1 '''Sometimes you gotta pop out and show niggas'''}}}
가끔은 나도 직접 발 벗고 나서서 본때를 보여줘야지

{{{+1 '''Certified boogeyman, I'm the one that up the score with 'em'''}}}
인증받은 부기맨, 킬 스코어를 올리는 건 바로 나지

{{{+1 '''Walk him down, whole time, I know he got some ho in him'''}}}
잡으러 쫓아다녀, 여태껏 알고 있었지, 그놈 안에 비열한 변태성이 있다는 걸

{{{+1 '''Pole on him, extort shit, bully [[Death Row Records|{{{#FFF Death Row}}}]] on him'''}}}
총 들이대곤, 다 뜯어내, 데스로우 스타일로 조지지[* 'Death row'는 본래 사형대기실을 의미하나, 슈그 나잇이 설립한 힙합 레이블 [[Death Row Records]]를 가리키기도 한다. 해당 레이블은 1995년부터 [[투팍 샤커]]의 소속 레이블이었으며 현재는 [[스눕 독]]이 대표이사로 있는데, 둘은 드레이크의 Taylor Made Freestyle에서 AI를 통해 목소리가 삽입된 아티스트들이다.]

{{{+1 '''Say, Drake, I hear you like 'em young'''}}}
어이, 드레이크, 너 어린애들 좋아한다며

{{{+1 '''You better not ever go to cell block one'''}}}
감방 근처엔 얼씬도 안 하는 게 좋겠어

{{{+1 '''To any bitch that talk to him and they in love'''}}}
드레이크한테 사랑한다고 작업 쳤던 여자가 이걸 듣는다면

{{{+1 '''Just make sure you hide your lil' sister from him'''}}}
저 녀석한테서 네 여동생은 제발 숨겨놓도록

{{{+1 '''They tell me Chubbs the only one that get your hand-me-downs'''}}}
말 들어보니, 네 보디가드가 네가 변태 놀음한 애들 물려받는다며[* 처브즈(Chubbs)는 [[OVO Sound]]의 소속 경호원 중 한 명이다.]

{{{+1 '''And [[PARTYNEXTDOOR|{{{#FFF Party}}}]] at the party playin' with his nose now'''}}}
파티넥스트도어는 파티에서 코카인이나 빨고 앉았고[* 'to play with one's nose'는 [[코카인]] 흡입을 뜻하며, OVO의 소속 아티스트인 [[PARTYNEXTDOOR]]는 2017년 마약을 소지한 채 국경을 넘으려다 체포된 전력이 있다. [[https://www.thestar.com/entertainment/music/toronto-rapper-partynextdoor-arrested-at-u-s-border-charged-with-drug-possession/article_4020fa7e-5fdd-5e95-a3a9-2283ca170eb9.html|#]]]

{{{+1 '''And Baka got a weird case, why is he around?'''}}}
Baka는 혐의가 골 때리던데, 왜 같이 다니냐?[* OVO의 전 경호원이자 아티스트인 바카 낫 나이스(Baka Not Nice)는 2014년, 22세 여성에게 매춘을 강요한 뒤 돈을 갈취한 사건으로 유죄를 선고받은 바 있다.]

{{{+1 '''[[Certified Lover Boy|{{{#FFF Certified Lover Boy}}}]]? Certified pedophiles'''}}}
인정받은 사랑꾼? 인정받은 소아성애자겠지[* 드레이크의 6집 음반 [[Certified Lover Boy]]를 비틀어 OVO를 [[페도필리아]] 집단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1 '''Wop, wop, wop, wop, wop, [[켄드릭 라마|{{{#FFF Dot}}}]], fuck 'em up'''}}}
닷, 다 조져버려

{{{+1 '''Wop, wop, wop, wop, wop, I'ma do my stuff'''}}}
내 할 일을 할 뿐

{{{+1 '''Why you trollin' like a bitch? Ain't you tired?'''}}}
왜 같잖게 입만 털어대? 입 피곤하지도 않아?

{{{+1 '''Tryna strike a chord and it's probably A-Minor'''}}}
화음을 낸답시고, '미'자를 건드려[* 'to strike a chord'는 '코드를 치다'와 '심금을 울리다(꼬시다)'의 이중의미를 가지며, 'A minor'는 '[[단조(음악)|가단조(A-Minor)]]'와 '미성년자(a minor)'의 이중의미를 가진다. 즉 해당 가사는 '네가 지금 치려는 코드는 아마 A 마이너'와 '네가 지금 꼬시려는 건 아마 미성년자'의 두 가지 의미로 모두 해석될 수 있다. 가단조(A-Minor)는 다장조(C-Major)와 나란한 조로서, 피아노에서 검은건반을 사용하지 않고 흰건반만으로 칠 수 있는 음계이다. 이를 통해 드레이크의 인종적 배경에 대한 조롱이라는 해석 역시 가능하다. 여담으로 이 부근에서 마지막 R 발음을 길게 끄는데, 음계 "미(E)"와 일치한다.][* 뮤비에서도 이때 켄드릭은 어린이들이 주로 하는 놀이인 [[사방치기]] 판 위에서 춤을 춘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Chorus}}}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Verse 2}}}
{{{+1 '''You think the Bay gon' let you disrespect [[투팍 샤커|{{{#FFF Pac}}}]], nigga?'''}}}
네가 투팍한테 먹칠하는 꼴을 베이에어리어[*  [[샌프란시스코]], [[오클랜드(미국)]], [[산호세]], [[실리콘밸리]] 등 샌프란시스코 만(San Francisco Bay)을 중심으로 둥글게 이뤄져있는 [[캘리포니아]]의 지역 명칭.]가 가만히 내버려둘 것 같아?[* 드레이크가 Taylor Made Freestyle에서 [[투팍 샤커]]의 목소리를 허가 없이 인공지능으로 합성하여 벌스를 만든 것에 대한 언급.]

{{{+1 '''I think that Oakland show gon' be your last stop, nigga'''}}}
오클랜드에서 하는 공연이 네 마지막 무대겠구먼

{{{+1 '''Did [[제이 콜|{{{#FFF Cole}}}]] fouI, I don't know why you still pretendin' '''}}}
제이 콜이나 팔아넘기고 말이야, 왜 아직도 미친 척하고 있는 거야?

{{{+1 '''What is the owl? Bird niggas and bird bitches, go'''}}}
올빼미는 또 뭐야?[* OVO Sound의 로고는 [[올빼미]]의 그림으로, 'OVO'라는 글씨가 올빼미의 머리를 닮았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철새 같은 연놈들뿐이겠지

{{{+1 '''The audience not dumb'''}}}
대중은 멍청하지 않아

{{{+1 '''Shape the stories how you want, hey, Drake, they're not slow'''}}}
네가 원하는 대로 선동질을 해봐도, 드레이크, 사람들이 더 똑똑하다고

{{{+1 '''Rabbit hole is still deep, I can go further, I promise'''}}}
아직도 팔 게 많지, 더 갈 수도 있다고, 진짜로

{{{+1 '''Ain't that somethin'? B-Rad stands for bitch and you Malibu most wanted'''}}}
켕기는 거 없어? B-Rad처럼 머저리 같은 놈[* 2003년 영화 '말리부의 8마일(Malibu's Most Wanted)'의 주인공 브래드 글루크먼(Brad Gluckman)은 부잣집 아들이자 백인임에도 [[에미넴]]을 동경하여, 'B-Rad'라는 이름으로 래퍼가 되어 흑인 문화를 흉내내려 한다.]

{{{+1 '''Ain't no law boy, you ball boy, fetch Gatorade or somethin' '''}}}
넌 뭣도 아니야, 볼보이 같은 놈, 가서 음료수나 물어와

{{{+1 '''Since 2009, I had this bitch jumpin' '''}}}
2009년부터, 이놈 나 때문에 꼭지 돌았잖아

{{{+1 '''You niggas'll get a wedgie, be flipped over your boxers'''}}}
네 자식들 팬티 끌어 올려 버려, 머리 위에 뒤집어 씌워 버려

{{{+1 '''What [[OVO Sound|{{{#FFF OVO}}}]] for? The "Other Vaginal Option"? Pussy'''}}}
OVO가 뭔 뜻인데? '오'늘도 '비'틀거리는 애들 '오'픈? 같잖은 놈

{{{+1 '''Nigga better straighten they posture, got famous all up in Compton'''}}}
자세 똑바로 하고 다니는 게 좋을걸[* 드레이크의 프로듀서인 [[40(프로듀서)|40]]은 희귀병인 [[다발경화증]]을 앓고 있는데, 이 병은 온몸의 근육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짐에 따라 자세가 굽어지는 경우가 많다.] 너 컴튼에서 아주 유명 인사 됐잖아

{{{+1 '''Might write this for the doctrine, tell the pop star quit hidin' '''}}}
널 큰집에 집어넣고 싶은 걸지도, 팝스타한테 전해, 그만 숨으라고

{{{+1 '''Fuck a caption, want action'''}}}
글은 됐고, 행동으로 옮기자고

{{{+1 '''No accident, and I'm hands-on, he fuck around, get polished'''}}}
사고가 아니라 내가 직접 움직인 거지, 저 녀석은 깝죽거리다가 피칠을 하지[* 영어에서 get polished는 발리다, 나가떨어지다 등의 의미이다.][* 한편 polish는 네일에서의 polish란 의미도 된다. 드레이크가 네일 아트를 받은 것에 대해 '나는 각 잡고 패는데 쟤는 네일이나 받는 중'이라며 조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1 '''Fucked on [[릴 웨인|{{{#FFF Wayne}}}]] girl while he was in jail, that's connivin' '''}}}
너 릴 웨인이 감옥에 갇혀 있을 때, 걔 여자친구랑 잤잖아

{{{+1 '''Then get his face tatted like a bitch apologizin' '''}}}
그래 놓고 사과한답시고 릴 웨인 문신 새겼잖아[* 드레이크는 2010년 [[릴 웨인]]이 수감되어 있을 때, 자신이 이전에 웨인의 당시 연인인 타미 토레스(Tammy Torres)와 밤을 보냈음을 고백한 바 있다. 이는 웨인이 감옥에서 쓴 일기가 2015년 퍼졌을 때 수면에 올랐고, 드레이크는 2년이 지난 2017년 왼팔에 릴 웨인의 얼굴을 새겼다. 다만 드레이크와 토레스 사이의 관계는 그녀가 웨인과 만나기 이전에 있었던 일이므로 가사에는 시간상의 오류가 있다.]

{{{+1 '''I'm glad [[더마 드로잔|{{{#FFF DeRoz'}}}]] came home, y'all didn't deserve him neither'''}}}
DeRoz가 고향으로 돌아와서 기뻐, 토론토는 자격도 없는 걸[* 켄드릭의 고향인 [[콤프턴]] 출신의 [[더마 드로잔]]은 2009년부터 9년간 [[토론토 랩터스]]에 몸담았다가, 2018년 [[샌안토니오 스퍼스]]로 이적함으로써 미국으로 돌아와 [[시카고 불스]]를 거쳐 24-25 시즌부터는 [[새크라멘토 킹스]]에서 뛰고 있다. 뮤직비디오에선 여기서 드로잔이 등장한다.]

{{{+1 '''From Alondra down to Central, nigga better not speak on Serena'''}}}
컴튼에서 LA까지 세레나 이야기는 꺼내지도 않는 게 좋을걸[* 마찬가지로 [[콤프턴]] 출신인 [[세레나 윌리엄스]]는 오랜 기간 드레이크와 교류해 왔으며 2015년에는 서로 키스하는 사진이 보도되기도 했는데, 드레이크는 2022년 자신의 노래 Middle of the Ocean에서 세레나의 남편 [[알렉시스 오해니언]]을 [[그루피]]라고 디스하여 논란이 되었다. [[Her Loss]] 문서 참고. 이후 세레나 윌리엄스는 슈퍼볼에서 이 노래의 훅 파트에서 신명나게 C워크를 춘다..]

{{{+1 '''And your homeboy need subpoena, that predator move in flocks'''}}}
네 친구는 소환장이나 받아야지, 범죄자[* predator은 동물에게 쓰면 포식자(= [[올빼미]] = OVO), 사람에게 쓰면 그루밍 성범죄자란 뜻이 된다.]들은 떼로 몰려다닌다고

{{{+1 '''That name gotta be registered and placed on neighborhood watch'''}}}
너희 이름은 성범죄자 알림e에 등록해서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해야지[* 이 곡의 싱글 커버는 다름 아닌 드레이크의 토론토 저택에 성범죄자 알림 표시가 여러 개 합성된 것이다.]

{{{+1 '''I lean on you niggas like another line of Wock' '''}}}
너희들한테 압박을 가해, 린 마시고 막 가듯이[* Lean과 Wock은 취하기 위해 오용되는 감기 기침 시럽을 뜻하는 은어이며, Lean은 ‘기대다’라는 뜻도 있다.]

{{{+1 '''Yeah, it's [[All Eyez on Me|{{{#FFF all eyes on me}}}]], and I'ma send it up to Pac, ayy'''}}}
모든 시선이 나에게, 널 투팍 곁으로 보내줄 테니, ayy[* [[All Eyez on Me]]는 투팍의 4집 음반이자 대표작으로, 'send it up to Pac'은 투팍 곁(저세상)으로 보내겠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1 '''Put the wrong label on me, I'ma get 'em dropped, ayy'''}}}
나한테 별 같잖은 프레임을 씌우네, 다 되돌려줄테니

{{{+1 '''[[슈퍼킥|{{{#FFF Sweet Chin Music}}}]] and I won't pass the aux, ayy'''}}}
네 면상에 돌려차기, 네 노랜 안 틀어[* Sweet Chin Music은 전설적인 [[WWE]] 프로레슬러 [[숀 마이클스]]의 시그니처 피니시 무브이다.]

{{{+1 '''How many stocks do I really have in stock? Ayy'''}}}
내가 얼마나 많은 디스곡을 쟁여놓고 있을까?

{{{+1 '''One, two, three, four, five, plus five, ayy'''}}}
하나, 둘, 셋, 넷, 다섯하고도 다섯 개 더 있지[* 이 곡까지 공개된 시점에서 켄드릭이 발매한 디스곡은 [[Like That(WE DON'T TRUST YOU)|Like That]], euphoria, 6:16 in LA, [[meet the grahams]], 그리고 Not Like Us로 총 5개이다. 즉 5개를 발매하고도 아직 가지고 있는 디스곡이 5개 더 있다는 것.]

{{{+1 '''Devil is a lie, he a 69 God, ayy'''}}}
악마는 없어, 쟨 69의 신[* 드레이크에게는 6 God라는 이름의 곡이 있으며, 토론토의 지역 코드인 416에서 따와 스스로를 6 God라고 부른다. [[라틴어]]로 6은 Sex라고 발음되는데, 이 점을 이용한 조롱일 수도 있다.]

{{{+1 '''Freaky-ass niggas need to stay they ass inside, ayy'''}}}
음란마귀 새끼들은 집 안에나 처박혀있길

{{{+1 '''Roll they ass up like a fresh pack of 'za, ayy'''}}}
대마초 말아태우듯, 싹 다 산송장으로 만들어버려

{{{+1 '''City is back up, it's a must, we outside, ayy'''}}}
도시를 대표해, 해야만 하지, 우리가 떴다고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Chorus}}}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1 '''They not like us'''}}}
쟤넨 우리랑 다른 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Verse 3}}}
{{{+1 '''Once upon a time, all of us was in chains'''}}}
옛날 옛적, 우리가 모두 사슬에 묶여있던 때가 있었지

{{{+1 '''Homie still doubled down callin' us some slaves'''}}}
쟨 아직도 우릴 노예라 부르며 고집 피우네[* 드레이크는 2023년의 [[Slime You Out]], 그리고 이번 디스전의 Family Matters에서 [[미국 흑인]]들을 노예(slave)로 언급한 바 있다.]

{{{+1 '''[[애틀랜타|{{{#FFF Atlanta}}}]] was the Mecca, buildin' railroads and trains'''}}}
노예제의 메카였던 애틀랜타, 철도와 기차를 세우네

{{{+1 '''Bear with me for a second, let me put y'all on game'''}}}
내 말 끝까지 들어봐, 제대로 이해시켜 줄 테니

{{{+1 '''The settlers was usin' townfolk to make 'em richer'''}}}
정착민들은 마을 사람들을 이용해 부를 축적했어

{{{+1 '''Fast-forward, 2024, you got the same agenda'''}}}
시간이 흘러, 2024년, 너도 똑같은 짓을 하잖아

{{{+1 '''You run to Atlanta when you need a check balance'''}}}
넌 돈이 필요할 때면 애틀랜타로 달려가지

{{{+1 '''Let me break it down for you, this the real nigga challenge'''}}}
하나씩 설명해 주지, 무슨 '진짜 흑인 되기 챌린지'도 아니고

{{{+1 '''You called [[Future|{{{#FFF Future}}}]] when you didn't see the club'''}}}
공연할 클럽이 없으면 넌 퓨처한테 전화를 걸어
{{{#!wiki style="margin-top: .4em; margin-bottom: -1.5em; font-size: 15px; color: rgba(255, 255, 255, 0.55)"
'''Ayy, what?'''
{{{-2 뭐?}}}}}}

{{{+1 '''[[릴 베이비|{{{#FFF Lil Baby}}}]] helped you get your lingo up'''}}}
릴 베이비한테서 길거리 말투를 배우고
{{{#!wiki style="margin-top: .4em; margin-bottom: -1.5em; font-size: 15px; color: rgba(255, 255, 255, 0.55)"
'''What?'''
{{{-2 뭐?}}}}}}

{{{+1 '''[[21 Savage|{{{#FFF 21}}}]] gave you false street cred'''}}}
21 새비지 덕분에 길거리 출신인 척을 해

{{{+1 '''[[Young Thug|{{{#FFF Thug}}}]] made you feel like you a [[슬라임 스타일|{{{#FFF slime}}}]] in your head'''}}}
영 떡 덕분에 자기가 YSL 갱이라도 된 줄 아네
{{{#!wiki style="margin-top: .4em; margin-bottom: -1.5em; font-size: 15px; color: rgba(255, 255, 255, 0.55)"
'''Ayy, what?'''
{{{-2 뭐?}}}}}}

{{{+1 '''[[Quavo|{{{#FFF Quavo}}}]] said you can be from Northside'''}}}
퀘이보는 네가 캐나다 출신이래도 상관없다며
{{{#!wiki style="margin-top: .4em; margin-bottom: -1.5em; font-size: 15px; color: rgba(255, 255, 255, 0.55)"
'''What?'''
{{{-2 뭐?}}}}}}

{{{+1 '''[[2 Chainz|{{{#FFF 2 Chainz}}}]] say you good, but he lied'''}}}
투 체인즈도 괜찮다고 했는데, 그건 거짓말이고

{{{+1 '''You run to Atlanta when you need a few dollars'''}}}
돈 몇 푼 필요할 때면 넌 애틀랜타로 달려가지

{{{+1 '''No, you not a colleague, you a fuckin' colonizer'''}}}
네가 무슨 동료야, 식민지 개척자지[* Drake는 [[흑백혼혈]]이며, 이는 그가 부유한 집안 출신이라는 점과 함께 흑인문화의 일원인지 의구심을 가지게 만드는 요소였다. 켄드릭은 아예 Euphoria에서 드레이크가 [[N word]]를 사용하는 것이 마음에 안든다고 말하기도 했다. Colonizer는 식민지배를 저지른 백인들을 말하는 것으로 이 점을 노린 것이다.]

{{{+1 '''The family matter and the truth of the matter'''}}}
가족은 중요하고, 중요한 진실을 털어놓자면[* Family Matters는 드레이크가 켄드릭에게 낸--냈다가 20분만에 쳐발린--디스곡이기도 하다.]

{{{+1 '''It was [[God's Plan|{{{#FFF God's plan}}}]] to show y'all the liar'''}}}
이건 다 거짓말쟁이를 폭로하고자 하는 신의 계획[* 각각 드레이크의 디스곡 Family Matters와 2018년 곡 [[God's Plan]]에 대한 언급으로, 켄드릭은 뮤직비디오의 이 대목에서 아내 휘트니 앨퍼드와 아이들이 거실에서 춤추는 장면을 등장시켜 Family Matters에서 드레이크가 제기한 가정사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휘트니가 입었던 옷은 wife beate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켄드릭이 아내 팬다는 내용을 반박한 것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Bridge}}}
{{{+1 '''Mm'''}}}

{{{+1 '''Mm-mm'''}}}

{{{+1 '''He a F.A.N, he a F.A.N, he a F.A.N'''}}}
쟨 팬이지, 팬이지, 팬일 뿐이야[* F.A.N은 드레이크가 힙합 문화의 팬일 뿐이라는 뜻인 동시에, Freaky-Ass Nxxxx의 줄임말도 된다.]
{{{#!wiki style="margin-top: .4em; margin-bottom: -1.5em; font-size: 15px; color: rgba(255, 255, 255, 0.55)"
'''Mmm'''}}}

{{{+1 '''He a F.A.N, he a F.A.N, he a−'''}}}
쟨 팬이지, 팬이지, 쟨 그냥

{{{+1 '''Freaky-ass nigga, he a 69 God'''}}}
음란마귀 새끼, 쟨 69의 신

{{{+1 '''Freaky-ass nigga, he a 69 God'''}}}
음란마귀 새끼, 쟨 69의 신

{{{+1 '''Hey, hey, hey, hey, run for your life'''}}}
야, 야, 야, 야, 살고 싶으면 튀어라

{{{+1 '''Hey, hey, hey, hey, run for your life'''}}}
야, 야, 야, 야, 살고 싶으면 튀어라

{{{+1 '''Freaky-ass nigga, he a 69 God'''}}}
음란마귀 새끼, 쟨 69의 신

{{{+1 '''Freaky-ass nigga, he a 69 God'''}}}
음란마귀 새끼, 쟨 69의 신

{{{+1 '''Hey, hey, hey, hey, run for your life'''}}}
야, 야, 야, 야, 살고 싶으면 튀어라

{{{+1 '''Hey, hey, hey, hey, run for your life'''}}}
야, 야, 야, 야, 살고 싶으면 튀어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50px; background: rgba(0, 0, 0, 0.08); font-size: 13px; text-align: center; padding: 2px 9px; border: 1.9px solid rgba(255, 255, 255, 0.4); margin: 8px 0 10px -4px"
Outro}}}
{{{+1 '''Let me hear you say, "OV-ho"'''}}}
다 같이 외쳐볼까, "오-비호"[* 드레이크가 설립한 [[OVO Sound|OVO]]와 창녀를 뜻하는 ho를 합친 언어유희이다.]

{{{#!wiki style="text-align: right"
{{{+1 '''OV-ho'''}}}}}}
{{{+1 '''Say, "OV-ho"'''}}}
외쳐봐, "오-비호"

{{{#!wiki style="text-align: right"
{{{+1 '''OV-ho'''}}}}}}

{{{+1 '''Then step this way, step that way'''}}}
그리고 이리로 스텝, 저리로 스텝[* 드레이크의 곡 Toosie Slide의 틱톡 챌린지를 조롱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1 '''Then step this way, step that way'''}}}
이리로 스텝, 저리로 스텝

{{{+1 '''Are you my friend?'''}}}
넌 내 친구일까?

{{{+1 '''Are we locked in?'''}}}
한 배에 탄 거 맞지?

{{{+1 '''Then step this way, step that way'''}}}
그러면 이리로 스텝, 저리로 스텝

{{{+1 '''Then step this way, step that way'''}}}
이리로 스텝, 저리로 스텝


[[https://youtu.be/jNmX8ueacF4|해석 출처(일부 수정): 유니버설 뮤직 코리아]]
}}}}}}

2. 평가

파일:AlbumofTheYear.png Album of the Year

( AOTY Year End0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0.5em")

파일:rym1.png Rate Your Music
4.12 / 5.00

euphoria의 트랩, 6:16 in LA의 붐뱁, meet the grahams의 드럼리스를 거쳐 DJ mustard가 프로듀싱한 래칫 비트를 들고 오면서 많은 음악팬들을 놀라게 했다. 특히 래칫은 파티에 특화된 장르다보니 켄드릭과 거리가 멀었는데 여기에서도 전작들 못지 않은 퀄리티있는 가사와 재치있는 펀치라인과 랩을 보여주면서 호평 받았다.

이번 디스전 최고의 히트곡이자 디스곡이라는 범주를 넘어서 곡 자체만 놓고 보아도 2024년 최고의 힙합 트랙으로 꼽힌다. 특히 최고의 대중성을 가진 래퍼인 Drake와의 디스전을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약하다고 평가받던 켄드릭이 본인의 커리어 중 가장 대중성이 강한 흥겨운 곡으로 압살해버렸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 결과 피치포크로부터 2020년대 중반결산에서 3위로 꼽혔고 2024년 최고의 노래 1위에 선정되었으며, 그래미 올해의 노래, 올해의 레코드상을 수상했다.

2024년 미국으로 한정하면 최고의 파급력을 보여준 곡으로도 평가된다. 힙합이 메인스트림에 위치한 나라인데다가 그 중에서도 매우 높은 위상을 지닌 두 래퍼가 벌인 디스전만으로도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는데, 거기서 압도적으로 히트를 친 디스곡이니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 결과 NBA그래미 어워드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넘어, 1억 3,350만명이 시청하던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당당히 공연되며 수많은 관중들의 떼창을 이끌어내는 등, 수많은 기록들을 새롭게 세웠다.[8] 이후 하프타임 쇼의 여파로 SNS에서 'Not like us 챌린지'가 돌기도 했으며 #, #, 상업성과 스타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던 켄드릭의 인지도를 전 세계적으로 크게 높이는 데 상당한 일조를 했다.[9]

3. 성적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2020년~)|Grammy Award for Song of the Year]]'''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20202021202220232024
파일:WHENWEALLFALLASLEEP,WHEREDOWEGO.jpg
파일:H.E.R._-_I_Can't_Breathe.png
파일:An Evening With Silk Sonic.jpg
파일:R-22967702-1650623338-7006.jpg
파일:What Was I Made For?.jpg
bad guyI Can't BreatheLeave The Door OpenJust Like ThatWhat Was I Made For?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싱글An Evening With Silk SonicJust Like ThatBarbie The Album
빌리 아일리시H.E.R.실크 소닉보니 레잇빌리 아일리시
<rowcolor=#b69858>20252026202720282029
파일:1200x1200bbb.jpg
Not Like Us
싱글
켄드릭 라마
''''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2020년~)|Grammy Award for Record of the Year]]'''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20202021202220232024
파일:WHENWEALLFALLASLEEP,WHEREDOWEGO.jpg
파일:81309160_1573691136792_1_600x600.jpg
파일:An Evening With Silk Sonic.jpg
파일:Lizzo_-_About_Damn_Time.png
파일:Endless Summer Vacation.jpg
bad guyeverything i wantedLeave The Door OpenAbout Damn TimeFlowers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싱글An Evening With Silk SonicSpecialEndless Summer Vacation
빌리 아일리시실크 소닉리조마일리 사이러스
<rowcolor=#b69858>20252026202720282029
파일:1200x1200bbb.jpg
Not Like Us
싱글
켄드릭 라마
''''
''''
''
''
}}}}}}}}}

{{{#!wiki style="display:none;display:inline"
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svg파일:빌보드 핫 100 로고 흰색.svg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노래
Fortnight
Taylor Swift feat. Post Malone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I Had Some Help
Post Malone feat. Morgan Wallen
A Bar Song (Tipsy)
Shaboozey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A Bar Song (Tipsy)
Shaboozey
Die With A Smile
Lady Gaga, Bruno Mars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총 3주)
luther
Kendrick Lamar, SZA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 핑크.svg
오피셜 싱글 차트 역대 1위 노래
Messy
Lola Young
Not Like Us
Kendrick Lamar
(2주)
Pink Pony Club
Chappell Roan
발매 후 글로벌 애플뮤직 싱글 차트 1위#, 글로벌 스포티파이 차트에서 일일 최고 스트리밍 수 1,098만 6천 건을 기록, 스트리밍 수 41% 증가해 1위에 올랐고, 2024년 발매일 당일 최다 재생 된 힙합곡으로 기록되었다.#. 이 외에도 기존에 드레이크가 가지고 있던 수많은 기록들을 깨트렸다.# 이러한 엄청난 기록에 핫샷 1위에 성공했고 켄드릭 라마는 빌보드 핫 100 1위 싱글을 4개나 보유하게 되었다.

음원 발매 2달 후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는데, 이 여파로 다시 트렌딩이 되면서 2달만에 빌보드 1위를 한 번 더 찍었다.

디디 게이트가 터지면서 소아성애자를 저격하는 이 곡의 가사가 맞아떨어져서 그런지 2024년 10월 기준 역주행을 해 순위권에 다시 들었다.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Not Like Us로 5관왕을 차지하며 켄드릭 라마가 최다 부문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2025년 2월 10일 슈퍼볼 LIX에서 한 공연이 크게 화제가 되어 Spotify에서 하루동안 1,100만회 이상 스트리밍되며 공개된지 9개월이 지났음에도 스포티파이 일일 차트 1위를 차지했다.

한국에서도 GNX의 luther와 같이 음원순위가 상승했고, 한국 애플뮤직에서는 4위까지 랭크되었다.[10] 멜론 TOP100에서는 luther와 함께 각각 69위, 89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4. 여담

  • 이 곡의 비트를 만든 DJ 머스타드는 30분만에 비트를 다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 또한 이 곡의 유명한 4/4박자 비트는 Monk Higgins가 1968년 발매한 I Believe To My Soul을 샘플링하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해당 곡을 1분 5초 경부터 들어보면 Not like Us의 오프닝 부분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 싱글 커버 지도에 그려진 집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한 드레이크의 저택이고, 빨간색으로 찍힌 위치 표시는 한국의 전자발찌같은 미국의 범죄 전과자 위치 알리미 체커인데, 빨간색은 그중에서도 아동 성범죄자를 뜻한다.
  • 토론토는 다양한 역사적 이유로 숫자 '6'과 엮이며 6은 토론토를 상징하는 숫자가 되었다. 토론토 출신인 드레이크가 자신을 6 God(토론토의 신)라고 부르는 것을 켄드릭이 Not Like Us의 후반부 가사에서 6를 69로 바꾸어 부르며 조롱한 이유가 이것이다.
  • 뮤직비디오에 켄드릭의 아내와 아이들이 출연하는데, 드레이크가 켄드릭을 가정폭력범이라고 몰아간 것에 대한 무언의 대답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뮤직비디오의 아웃트로에는 뮤직비디오의 디렉팅을 데이브 프리가 맡았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 또한 드레이크가 켄드릭과 데이브의 불화 및 켄드릭의 아이들이 사실 데이브와 켄드릭의 아내가 불륜으로 낳은 아이들이 아니냐는 루머를 퍼뜨린 것에 대한 답변인 것.
  • 가사에 언급됐지만 동향의 NBA 선수인 더마 드로잔이 찬조출연 했다. "걔랑 있을 자격이 없었다"는 가사도 토론토 랩터스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헌신했지만 정작 선수로써 최대 수확인 2차 FA에 사인해 10년을 채우기 직전에 카와이 레너드를 데려오기 위해 헌신짝처럼 버려진 드로잔의 과거를 활용한 가사.
  • 뮤비 인트로에서 일부공개한 신곡은 이후 GNX의 2번 트랙 'squabble up'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 디스전의 막타를 날린 곡이자 최고의 대중성으로 빌보드 1위, 하술할 그래미까지 타면서 힙합팬들은 장송곡으로 빌보드 1위 먹은 래퍼라는 드립이 돌았는데, 한국에서도 미식축구는 안봐도 슈퍼볼 하프타임 쇼는 볼정도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하프타임 쇼의 셋리스트에 포함되어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고, a minor를 연상시키는 a모양 목걸이와 say Drake 가사에서 나오는 켄드릭의 살인미소덕에 Not Like Us 공연 = 세상에서 가장 긴 장례식이라는 드립이 나왔고 이는 한국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한동안 챌린지가 유행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 탑클래스 스타 배우와 미성년자가 관련된 대형 사건이 터져버리는 바람에 드레이크소아성애자라고 조롱하는 내용의 가사가 여럿 들어가있는 해당 곡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 같은 달 10일 슈퍼볼 LIX 하프타임 쇼에서도 선보였다. 이 때는 '이거 틀까 말까' 하면서 밀당만 두 번 걸었는데 이 때부터 관중들 환호성이 심상치 않았다. A-Minor 떼창 역시 빠지면 섭한 정도를 넘어서서 경기장 전체를 꽉 채우는 떼창 사운드가 실로 장관이었다. 가장 압권은 켄드릭과 마찬가지로 컴튼 출신이자 드레이크의 전 여친이었던 전 테니스 선수 세레나 윌리엄스가 Hook에서 등장해서 C-Walk를 갈기는 장면(...). 역대 최다 시청자인 1억 3천만명이 켄드릭의 라이브를 시청했고 그중에는 호주 투어를 계획한 드레이크의 크루 전체도 포함되어있다고 한다..

4.1. Say Drake

파일:세이 드레이크.jpg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드레이크를 대놓고 언급하는 'Say Drake, I hear you like 'em young(말해봐 드레이크, 너 어린 여자애들이 좋다며?)' 부분을 부를 때 보여준 모습이 엄청난 함박웃음+1억명이 지켜보는 세계 최대급 수준의 무대에서 검열 없이 이름을 직접 언급하며 디스를 갈겨버리는 Badass함+특유의 자세로 밈이 되었다. 롤링 스톤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도 주목받았다.# 해당 사진에 대한 챌린지성 패러디, 팬아트와 팬 티셔츠가 쏟아졌다.

5. 관련 문서


[1] 비연속 3주[2] 2025년 2월 21일에 1위를 기록하였다.[3] 2025년 3월 6일 기준[4] 2025년 3월 6일 기준[5] 미국 독립기념일에 공개되었다.[6] 썸네일의 빌딩은 컴튼 시청[7] 뮤직비디오 초반부에 잠깐 나오는 곡은 "squabble up"[8] 그래미 상을 수상한 최초의 디스곡, 그래미 역사상 가장 많은 수상을 기록한 랩송 (5개),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공연된 2번째 디스곡이다. 재미있게도 최초 기록 역시 본인의 디스곡인 euphoria다.[9] 당장 국내만 봐도 켄드릭의 하프타임 쇼 영상 조회수가 수백만 회가 넘거나, 100만 회를 넘는 영상을 꽤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크게 늘었다.[10] 2025년 2월 24일 차트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