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33%); min-height: 2em; 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정규 ] {{{#!wiki style="margin: 0px" | <rowcolor=#000> 1집 | 2집 | 3집 |
| |||
Section.80 2011년 7월 2일 | [math(good)] [math(kid,)] [math(m.A.A.d)] [math(city)] 2012년 10월 22일 | To Pimp A Butterfly 2015년 3월 15일 | |
4집 | 5집 | 6집 | |
| | | |
[[DAMN.|{{{#f50a0b [math(\rm {DAMN.})]}}}]] 2017년 4월 14일 | Mr. Morale & The Big Steppers 2022년 5월 13일 | GNX 2024년 11월 22일 |
- [ 믹스테입 ]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width=33%><nopad>
||<width=33%><nopad>
||
Youngest Head Nigga In Charge
(Hub City Threat: Minor Of The Year)
2003년 4월 15일Training Day
2005년 12월 30일No Sleep 'Til NYC
With Jay Rock
2007년 12월 24일C4
2009년 1월 30일Overly Dedicated
2010년 9월 14일
- [ EP ]
#!wiki style="margin: 0;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Kendrick Lamar EP|[[파일:TKLEP.png|width=100%]]]] || ||<bgcolor=#1f1c17> ''[[Kendrick Lamar EP|{{{#fff Kendrick Lamar EP}}}]]''[br]{{{#fff {{{-3 2009년 12월 31일}}}}}} ||
- [ 컴필레이션 ]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
untitled unmastered.
2016년 3월 4일.
- [ OST ]
- ||<tablebgcolor=#fff,#1c1d1f><width=33%><nopad>
||
Black Panther: The Album
Black Panther
2018년 2월 9일
- [ 그룹 ]
- ||<-4><width=25%><nopad><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color=#fff><height=35> Black Hippy ||
Black Hippy
(Mixtape)
2011년Black Hippy
(2013)
2013년 5월 14일T.D.E
2014년 1월 7일Black Hippy 2
2014년 9월 14일Black Hippy
(2019)
2019년 12월 6일Two
2020년 4월 17일Bl4ck Hippy
2020년 12월 11일
- [ 싱글 ]
-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The Hillbillies
(with Baby Keem)
2023년 5월 30일euphoria
2024년 4월 30일meet the grahams
2024년 5월 3일Not Like Us
2024년 5월 4일
Not Like Us | ||||
<colbgcolor=#707ea1><colcolor=#FFF> 발매일 | 2024년 5월 4일 | |||
장르 | 서부 힙합, 래칫 | |||
러닝 타임 | 4:33 | |||
작사 | 켄드릭 라마 | |||
프로듀서 | DJ Mustard · Sounwave · Sean Momberger | |||
레이블 | 인터스코프 레코드 | |||
차트 기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 1위[1] | |
| 1위[2] | |||
| 281,084,625회[3] | |||
| 1,253,181,195회[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
Kendrick Lamar의 싱글 | ||||
meet the grahams (2024) | → | Not Like Us (2024) | → | squabble up / tv off (2024) |
공식 뮤직비디오[5][6][7] |
==# 가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8deg, rgba(74,90,92,1) 0%, rgba(82,97,105,1) 27%, rgba(84,96,112,1) 48%, rgba(83,85,102,1) 61%, rgba(87,92,111,1) 72%, rgba(64,70,83,1) 83%, rgba(48,57,68,1) 100%)" |
2. 평가
|
|
|
4.12 / 5.00 |
euphoria의 트랩, 6:16 in LA의 붐뱁, meet the grahams의 드럼리스를 거쳐 DJ mustard가 프로듀싱한 래칫 비트를 들고 오면서 많은 음악팬들을 놀라게 했다. 특히 래칫은 파티에 특화된 장르다보니 켄드릭과 거리가 멀었는데 여기에서도 전작들 못지 않은 퀄리티있는 가사와 재치있는 펀치라인과 랩을 보여주면서 호평 받았다.
이번 디스전 최고의 히트곡이자 디스곡이라는 범주를 넘어서 곡 자체만 놓고 보아도 2024년 최고의 힙합 트랙으로 꼽힌다. 특히 최고의 대중성을 가진 래퍼인 Drake와의 디스전을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약하다고 평가받던 켄드릭이 본인의 커리어 중 가장 대중성이 강한 흥겨운 곡으로 압살해버렸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 결과 피치포크로부터 2020년대 중반결산에서 3위로 꼽혔고 2024년 최고의 노래 1위에 선정되었으며, 그래미 올해의 노래, 올해의 레코드상을 수상했다.
2024년 미국으로 한정하면 최고의 파급력을 보여준 곡으로도 평가된다. 힙합이 메인스트림에 위치한 나라인데다가 그 중에서도 매우 높은 위상을 지닌 두 래퍼가 벌인 디스전만으로도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는데, 거기서 압도적으로 히트를 친 디스곡이니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그 결과 NBA나 그래미 어워드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넘어, 1억 3,350만명이 시청하던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당당히 공연되며 수많은 관중들의 떼창을 이끌어내는 등, 수많은 기록들을 새롭게 세웠다.[8] 이후 하프타임 쇼의 여파로 SNS에서 'Not like us 챌린지'가 돌기도 했으며 #, #, 상업성과 스타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던 켄드릭의 인지도를 전 세계적으로 크게 높이는 데 상당한 일조를 했다.[9]
3. 성적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2020년~)|Grammy Award for Song of the Year]]'''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 <rowcolor=#b69858>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bad guy | I Can't Breathe | Leave The Door Open | Just Like That | What Was I Made For? | |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 | 싱글 | An Evening With Silk Sonic | Just Like That | Barbie The Album | |
빌리 아일리시 | H.E.R. | 실크 소닉 | 보니 레잇 | 빌리 아일리시 | |
<rowcolor=#b69858>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Not Like Us | |||||
싱글 | |||||
켄드릭 라마 | |||||
'''' ← '''' '''' | }}}}}}}}} |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레코드상 수상자(2020년~)|Grammy Award for Record of the Year]]'''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 <rowcolor=#b69858>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bad guy | everything i wanted | Leave The Door Open | About Damn Time | Flowers | |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 | 싱글 | An Evening With Silk Sonic | Special | Endless Summer Vacation | |
빌리 아일리시 | 실크 소닉 | 리조 | 마일리 사이러스 | ||
<rowcolor=#b69858>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Not Like Us | |||||
싱글 | |||||
켄드릭 라마 | |||||
'''' ← '''' '''' | }}}}}}}}} |
{{{#!wiki style="display:none;display:inline"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노래 | ||||
Fortnight Taylor Swift feat. Post Malone | → |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 → | I Had Some Help Post Malone feat. Morgan Wallen |
A Bar Song (Tipsy) Shaboozey | → |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 → | A Bar Song (Tipsy) Shaboozey |
Die With A Smile Lady Gaga, Bruno Mars | → | Not Like Us Kendrick Lamar (1주, 총 3주) | → | luther Kendrick Lamar, SZA |
| ||||
오피셜 싱글 차트 역대 1위 노래 | ||||
Messy Lola Young | → | Not Like Us Kendrick Lamar (2주) | → | Pink Pony Club Chappell Roan |
음원 발매 2달 후 뮤직 비디오가 공개되었는데, 이 여파로 다시 트렌딩이 되면서 2달만에 빌보드 1위를 한 번 더 찍었다.
디디 게이트가 터지면서 소아성애자를 저격하는 이 곡의 가사가 맞아떨어져서 그런지 2024년 10월 기준 역주행을 해 순위권에 다시 들었다.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Not Like Us로 5관왕을 차지하며 켄드릭 라마가 최다 부문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2025년 2월 10일 슈퍼볼 LIX에서 한 공연이 크게 화제가 되어 Spotify에서 하루동안 1,100만회 이상 스트리밍되며 공개된지 9개월이 지났음에도 스포티파이 일일 차트 1위를 차지했다.
한국에서도 GNX의 luther와 같이 음원순위가 상승했고, 한국 애플뮤직에서는 4위까지 랭크되었다.[10] 멜론 TOP100에서는 luther와 함께 각각 69위, 89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4. 여담
- 이 곡의 비트를 만든 DJ 머스타드는 30분만에 비트를 다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 또한 이 곡의 유명한 4/4박자 비트는 Monk Higgins가 1968년 발매한 I Believe To My Soul을 샘플링하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해당 곡을 1분 5초 경부터 들어보면 Not like Us의 오프닝 부분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 Not Like Us: The Game라는 웹게임이 만들어졌다. 링크
- 싱글 커버 지도에 그려진 집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한 드레이크의 저택이고, 빨간색으로 찍힌 위치 표시는 한국의 전자발찌같은 미국의 범죄 전과자 위치 알리미 체커인데, 빨간색은 그중에서도 아동 성범죄자를 뜻한다.
- 토론토는 다양한 역사적 이유로 숫자 '6'과 엮이며 6은 토론토를 상징하는 숫자가 되었다. 토론토 출신인 드레이크가 자신을 6 God(토론토의 신)라고 부르는 것을 켄드릭이 Not Like Us의 후반부 가사에서 6를 69로 바꾸어 부르며 조롱한 이유가 이것이다.
- 뮤직비디오에 켄드릭의 아내와 아이들이 출연하는데, 드레이크가 켄드릭을 가정폭력범이라고 몰아간 것에 대한 무언의 대답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뮤직비디오의 아웃트로에는 뮤직비디오의 디렉팅을 데이브 프리가 맡았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 또한 드레이크가 켄드릭과 데이브의 불화 및 켄드릭의 아이들이 사실 데이브와 켄드릭의 아내가 불륜으로 낳은 아이들이 아니냐는 루머를 퍼뜨린 것에 대한 답변인 것.
- 가사에 언급됐지만 동향의 NBA 선수인 더마 드로잔이 찬조출연 했다. "걔랑 있을 자격이 없었다"는 가사도 토론토 랩터스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헌신했지만 정작 선수로써 최대 수확인 2차 FA에 사인해 10년을 채우기 직전에 카와이 레너드를 데려오기 위해 헌신짝처럼 버려진 드로잔의 과거를 활용한 가사.
- 뮤비 인트로에서 일부공개한 신곡은 이후 GNX의 2번 트랙 'squabble up'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 디스전의 막타를 날린 곡이자 최고의 대중성으로 빌보드 1위, 하술할 그래미까지 타면서 힙합팬들은 장송곡으로 빌보드 1위 먹은 래퍼라는 드립이 돌았는데, 한국에서도 미식축구는 안봐도 슈퍼볼 하프타임 쇼는 볼정도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하프타임 쇼의 셋리스트에 포함되어 세계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고, a minor를 연상시키는 a모양 목걸이와 say Drake 가사에서 나오는 켄드릭의 살인미소덕에 Not Like Us 공연 = 세상에서 가장 긴 장례식이라는 드립이 나왔고 이는 한국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한동안 챌린지가 유행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한국 탑클래스 스타 배우와 미성년자가 관련된 대형 사건이 터져버리는 바람에 드레이크를 소아성애자라고 조롱하는 내용의 가사가 여럿 들어가있는 해당 곡이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 2025년 2월 2일 열린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상과 올해의 레코드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에서 비욘세, 테일러 스위프트, 빌리 아일리시 등 출연진들이 박수를 치거나 비트를 따라 춤추고, 관객들이 A-Minor를 떼창하면서 드레이크의 관짝에 못을 박았다.
- 같은 달 10일 슈퍼볼 LIX 하프타임 쇼에서도 선보였다. 이 때는 '이거 틀까 말까' 하면서 밀당만 두 번 걸었는데 이 때부터 관중들 환호성이 심상치 않았다. A-Minor 떼창 역시 빠지면 섭한 정도를 넘어서서 경기장 전체를 꽉 채우는 떼창 사운드가 실로 장관이었다. 가장 압권은 켄드릭과 마찬가지로 컴튼 출신이자 드레이크의 전 여친이었던 전 테니스 선수 세레나 윌리엄스가 Hook에서 등장해서 C-Walk를 갈기는 장면(...). 역대 최다 시청자인 1억 3천만명이 켄드릭의 라이브를 시청했고 그중에는 호주 투어를 계획한 드레이크의 크루 전체도 포함되어있다고 한다..
4.1. Say Drake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드레이크를 대놓고 언급하는 'Say Drake, I hear you like 'em young(말해봐 드레이크, 너 어린 여자애들이 좋다며?)' 부분을 부를 때 보여준 모습이 엄청난 함박웃음+1억명이 지켜보는 세계 최대급 수준의 무대에서 검열 없이 이름을 직접 언급하며 디스를 갈겨버리는 Badass함+특유의 자세로 밈이 되었다. 롤링 스톤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도 주목받았다.# 해당 사진에 대한 챌린지성 패러디, 팬아트와 팬 티셔츠가 쏟아졌다.
5. 관련 문서
[1] 비연속 3주[2] 2025년 2월 21일에 1위를 기록하였다.[3] 2025년 3월 6일 기준[4] 2025년 3월 6일 기준[5] 미국 독립기념일에 공개되었다.[6] 썸네일의 빌딩은 컴튼 시청[7] 뮤직비디오 초반부에 잠깐 나오는 곡은 "squabble up"[8] 그래미 상을 수상한 최초의 디스곡, 그래미 역사상 가장 많은 수상을 기록한 랩송 (5개),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공연된 2번째 디스곡이다. 재미있게도 최초 기록 역시 본인의 디스곡인 euphoria다.[9] 당장 국내만 봐도 켄드릭의 하프타임 쇼 영상 조회수가 수백만 회가 넘거나, 100만 회를 넘는 영상을 꽤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크게 늘었다.[10] 2025년 2월 24일 차트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