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9b9b9b><width=33.3%><nopad>
||<width=33.3%><nopad>
||<width=33.3%><nopad>
||
- [ 노래 문서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000>※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사브리나 카펜터의 노래||
- [ 관련 문서 ]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bgcolor=#bed1d8><color=#000> 관련 문서||
사브리나 카펜터 - 카밀라 카베요 삼각관계 루머
사브리나 카펜터의 음반 | ||
← | <keepall> 6집 Short n' Sweet (2024) | → |
EP 2집 fruitcake (2023) | 미정 |
<colbgcolor=#2550a4><colcolor=#fff> The 6th Studio Album Short n' Sweet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디럭스 커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아티스트 | 사브리나 카펜터 | |||||||
발매일 | 2024년 8월 23일 | |||||||
장르 | 팝 | |||||||
길이 | 36:15[Standard] / 50:56[Deluxe] | |||||||
레이블 | 아일랜드 레코드 | |||||||
프로듀서 | 줄리안 부네타, 잭 안토노프, 이안 커크패트릭, 존 라이언 | |||||||
발매 싱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Espresso | 2024. 04. 12. | ♫ | ||||
Please Please Please | 2024. 06. 07. | ♫ | ||||||
Taste | 2024. 08. 23. | ♫ | ||||||
Bed Chem | 2024. 10. 08. | ♫ | }}}}}}}}} | |||||
전곡 듣기 | | | | | |
1. 개요2. 발매 과정3. 평가4. 성적5. 투어6. 싱글7. 수록곡
7.1. Standard Edition
8. 포토슛9. 여담7.1.1. Taste7.1.2. Please Please Please7.1.3. Good Graces7.1.4. Sharpest Tool7.1.5. Coincidence7.1.6. Bed Chem7.1.7. Espresso7.1.8. Dumb & Poetic7.1.9. Slim Pickins7.1.10. Juno7.1.11. Lie To Girls7.1.12. Don't Smile
7.2. Deluxe Edition7.2.1. 15 Minutes7.2.2. Please Please Please (feat. Dolly Parton)7.2.3. Couldn't Make It Any Harder7.2.4. Busy Woman7.2.5. Bad Reviews
[clearfix]
1. 개요
'Espresso'로 전 세계를 강타한 신예 팝 스타의 유머와 솔직함 넘치는 정규 앨범. |
2. 발매 과정
- 2024년 4월 12일, 리드 싱글 "Espresso"를 발매하였다.[3][4] 발매 이후 해당 음원의 성적이 매우 좋게 나와[5] "Espresso"의 리믹스 곡들을 모아둔 EP를 5월 17일에 발매하였다.
- 6월 7일, 두 번째 싱글 "Please Please Please"를 발매했는데[6], 전작 "Espresso"를 통해 탄 유명세와 노래 자체의 좋은 반응 덕에 최초로 빌보드 1위를 기록하였다.[7]
- 7월 9일, 앨범의 트랙리스트가 공개되었다.[8]
- 8월 23일, 앨범이 발매됨과 동시에 세 번째 싱글 "Taste"를 뮤직비디오와 함께 발매하였다.[9] 뮤직비디오엔 제나 오르테가가 특별 출연하였다.[10] 이때 뮤직비디오가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를 찍으며 3일만에 3000만회를 기록하는 역대급 기록을 보여주었다.
- 2025년 2월 5일,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서의 2관왕 수상을 기념하며 디럭스 버젼 출시를 예고하였다. 디럭스에는 신곡 4곡과, 돌리 파튼이 참여한 "Please Please Please"의 리믹스가 수록되어있다.[12]
- 2월 14일, 디럭스 버전이 발매되었다.
3. 평가
[[RIAA|]] | 미국 내 판매량 1,000,000 단위 이상 |
| |
메타스코어 82 / 100 | 유저 스코어 tbd / 10 |
상세 내용 |
|
사브리나 카펜터의 정규 6집 Short n' Sweet은 사브리나가 가수 활동 중 발매한 앨범 중 가장 성공한 앨범이라는 수식어를 얻고 있다. 그간 발매된 정규 1집부터 5집까지의 몇몇 곡을 제외하면 상업적으로 이름을 알린 곡은 손에 꼽힐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빌보드 핫 100 싱글차트에 차트인한 곡은 고작 세 개였기 때문.[13][14]
다만 빌보드 200의 경우 상황은 달랐는데, 가수 활동 중 발매한 모든 앨범이 이미 꾸준하게 차트인에 성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Short n' Sweet를 발매하기 이전 차트에서 달성한 최고 기록은 28위를 기록한 정규 2집 EVOLution과 23위를 기록한 전 작 emails i can't send가 다였다.[15]
앨범의 리드 싱글로 발매된 "Espresso"는 빌보드 핫 100에서 3위라는 높은 순위를 달성하며 사브리나의 최고 성적을 달성하였고, 오피셜 싱글 차트 1위라는 본인 최초의 기록을 세운 뒤, 이 유명세에 힘입어 발매된 2번째 싱글 "Please Please Please"가 "Espresso"를 대신하여 빌보드 핫 100 1위의 기록을 세워주었다.
덕분에 순식간에 인지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앨범이 공개된 이후 모두의 예상대로 빌보드 200 1위를 달성, 전작을 뛰어넘는 기록을 달성한 것은 물론 빌보드 탑 아티스트 1위와 빌보드 TOP 5에 3곡 이상을 차트인 시키는데 성공하면서 아리아나 그란데와 테일러 스위프트만이 갖고 있던 기록을 본인 또한 얻게 되었고, 사브리나의 커리어 중에서 가장 큰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16]
제67회 그래미 어워드에 Short n' Sweet가 올해의 앨범상과 베스트 팝 보컬 앨범상에, "Espresso"가 올해의 레코드상과 베스트 팝 솔로 퍼포먼스상에, "Please Please Please"가 올해의 노래상에, 사브리나 카펜터 본인은 올해의 신인상 후보에 지명되면서 최초로 그래미 어워드에 후보로 지명됨 동시에 제너럴 필드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제너럴 필드 4개 모두에 이름을 올렸다. 비록 제너럴 필드 수상은 불발되었지만, 베스트 팝 보컬 앨범과 베스트 팝 솔로 퍼포먼스를 모두 수상하며 커리어 최초로 그래미 어워드 수상까지 이뤄냈다.
4. 성적
빌보드 200 역대 1위 음반 | ||||
F-1 Trillion Post Malone | → | Short n’ Sweet Sabrina Carpenter (3주) | → | Days Before Rodeo Travis Scott |
MIXTAPE PLUTO Future | → | Short n’ Sweet Sabrina Carpenter (1주, 총 4주) | → | Moon Music Coldplay |
| ||||
오피셜 앨범 차트 역대 1위 음반 | ||||
F-1 Trillion Post Malone | → | Short n' Sweet Sabrina Carpenter (1주) | → | Definitely Maybe Oasis |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Taylor Swift | → | Short n' Sweet Sabrina Carpenter (1주, 총 2주) | → | Christmas Michael Bublé |
- US 애플 뮤직 차트에서 1위로 상승했다.
- US 애플 뮤직 차트에 "Please Please Please"가 1위, "Espresso"가 3위, "Taste" 4위, "Good Graces"가 9위, "Sharpest Tool"이 10위로 5개의 노래가 Top 10에 진입했고 전곡이 Top 40내에 진입했다.
- 첫날 글로벌 스포티파이에서 5740만 스트리밍을 기록했다.
- 초동 362,000장을 기록하여[17] 9월 7일자 빌보드 200에서 Days Before Rodeo를 겨우 1,000장 차이로 제치고 1위로 진입했다.[18] 피지컬 판매량에서 크게 뒤쳐진 반면 스트리밍에서는 크게 앞선 덕분에 1위 수성이 가능했다.
- 이후 159,000 판매량을 기록하며 2주 연속으로 1위를 유지해갔다.[19]
- 총 4주동안 1위를 기록하면서, 테일러 스위프트의 THE TORTURED POETS DEPARTMENT 다음으로 올해 오랫동안 1위를 유지한 앨범이 되었다.[20]
- 빌보드 Hot 100에서는 "Taste"가 2위 진입, "Please Please Please" 3위, "Espresso" 4위로 Top5에만 총 3곡이 진입했고 모든 수록곡이 Top 100에 진입했다. 2주차에도 Top5에 세 곡을 진입시켰다. 또한 "Espresso", "Please Please Please", "Taste" 세곡이 발매 직후 7주 연속 TOP10에서 차트인된 최초의 여성 아티스트라는 경이로운 기록까지 만들어냈다.
-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Taste"가 1위, "Please Please Please"가 2위, "Espresso"가 3위를 기록하면서, 여성 아티스트 최초로 1위에서 3위를 모두 차지한 아티스트가 되었다.[21] 2주차에도 똑같은 순위를 이뤄내면서, 2주 연속해서 3곡을 1위, 2위, 3위에 올려놓은 2번째 아티스트가 되었다.[22] 이후 5주 연속해서 세 곡을 Top 5에 차트인시키고 있다.
- 영국 오피셜 앨범차트에서 역시 초동이 무려 9만 유닛에 가깝게 나오는 등 화력이 상당하다.
- 호주 싱글차트에서는 앨범 발매주 1위에 "Taste", 2위에 "Espresso", 4위에 "Please Please Please", 10위에 "Bed Chem"을 진입시켰다. "Taste"는 이후 2주 1위를 달성했고, 앨범 Short n' Sweet 역시 2주 1위를 달성했다. 이후 "Taste"는 총 5주나 1위를 수성하고 있다.
- 영국 오피셜 싱글차트에서 "Espresso", "Please Please Please", "Taste"가 모두 1위를 기록하면서 대세를 입증했다. 심지어 2024년 9월 29일 기준 사브리나 카펜터의 노래 세 곡이 2024년 동안 무려 총 17주간 1위를 달성했다(..). 이후 2024년 12월 기준 사브리나의 노래들이 영국 오피셜 싱글차트에서 1위를 한 기간이 무려 21주에 달했다.
- 2024년 12월 싱글 "Espresso"가 5X 플래티넘, "Please Please Please"는 3X 플래티넘, "Taste"는 2X 플래티넘, "Bed Chem"은 1X 플래티넘, "Coincidence"와 "Good Graces", "Juno", "Sharpest Tool" 네 곡은 골드 인증을 받았다.
5. 투어
<colbgcolor=#BD9989><colcolor=#E5D7C8> Short n' Sweet Tour | |||||||
| |||||||
기간 | 2024년 9월 23일 – 2025년 4월 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일정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font-size: 0.85em" | <rowcolor=#E5D7C8> 날짜 | 국가 | 도시 | 장소 | 오프닝 게스트 | 박스스코어 | |
2024년 | |||||||
9월 23일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콜럼버스 | 네이션와이드 아레나 | Amaarae | |||
9월 25일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토론토 | 스코샤뱅크 아레나 | ||||
9월 26알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디트로이트 | 리틀 시저스 아레나 | ||||
9월 29일 | 뉴욕 | 매디슨 스퀘어 가든 | |||||
9월 30일 | 브루클린 | 바클리스 센터 | |||||
10월 2일 | 하트퍼드 | XL 센터 | |||||
10월 3일 | 보스턴 | TD 가든 | |||||
10월 5일 | 볼티모어 | CFG 뱅크 아레나 | |||||
10월 8일 | 필라델피아 | 웰스 파고 센터 | |||||
10월 11일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몬트리올 | 상트흐 벨 | ||||
10월 13일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시카고 | 유나이티드 센터 | ||||
10월 14일 | 미니애폴리스 | 타깃 센터 | |||||
10월 16일 | 내슈빌 | 브리지스톤 아레나 | Griff | ||||
10월 17일 | 세인트루이스 | 차이페츠 아레나 | |||||
10월 19일 | 랄리 | 레노버 센터 | |||||
10월 20일 | 샬러츠빌 | 존 폴 존스 아레나 | |||||
10월 22일 | 애틀랜타 | 스테이트팜 아레나 | |||||
10월 24일 | 올랜도 | 기아 센터 | |||||
10월 25일 | 탬파 | 아말리 아레나 | |||||
10월 27일 | 휴스턴 | 토요타 센터 | |||||
10월 28일 | 오스틴 | 무디 센터 | |||||
10월 30일 | 댈러스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
11월 1일 | 덴버 | 볼 아레나 | 데클란 맥케나 | ||||
11월 2일 | 솔트레이크 시티 | 델타 센터 | |||||
11월 4일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밴쿠버 | 퍼시픽 콜리시엄 | ||||
11월 6일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시애틀 | 클라이멋 플레지 아레나 | ||||
11월 7일 | 포틀랜드 | 모다 센터 | |||||
11월 9일 | 샌프란시스코 | 체이스 센터 | |||||
11월 10일 | 샌디에이고 | 페창가 아레나 | |||||
11월 13일 | 피닉스 | 풋프린트 센터 | |||||
11월 15일 | 로스앤젤레스 | 크립토닷컴 아레나 | |||||
11월 17일 | 잉글우드 | 기아 포럼 | |||||
11월 18일 | |||||||
2025년 | |||||||
3월 3일 | [[아일랜드| ]][[틀:국기| ]][[틀:국기| ]] | 더블린 | 3Arena | Rachel Chinouriri | |||
3월 4일 | |||||||
3월 6일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버밍엄 | 유틸리타 아레나 | ||||
3월 8일 | 런던 | O2 아레나 | |||||
3월 9일 | |||||||
3월 11일 | 글래스고 | OVO 하이드로 | |||||
3월 13일 | 맨체스터 | 코옵 라이브 | |||||
3월 14일 | |||||||
3월 16일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파리 | 아코르 아레나 | ||||
3월 17일 | |||||||
3월 19일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베를린 | 우버 아레나 | ||||
3월 22일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 브뤼셀 | ING 아레나 | ||||
3월 23일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암스테르담 | 지고 돔 | ||||
3월 26일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밀라노 | 유니폴 포럼 | ||||
3월 27일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취리히 | 할렌슈타디온 | ||||
3월 30일 | [[노르웨이| ]][[틀:국기| ]][[틀:국기| ]] | 오슬로 | 유니티 아레나 | ||||
3월 31일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 코펜하겐 | 로얄 아레나 | ||||
4월 1일 | |||||||
4월 3일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 스톡홀름 | 아비치 아레나 | ||||
4월 4일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세트리스트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nt-size: 0.85em" | <rowcolor=#E5D7C8> # | 곡명 | 수록앨범 | ||||
1 | Taste | Short n' Sweet | |||||
2 | Good Graces | ||||||
3 | Slim Pickins | ||||||
4 | Tornado Warnings | emails i can't send | |||||
5 | Lie To Girls + decode | Short n' Sweet + emails i can't send | |||||
6 | Bed Chem | Short n' Sweet | |||||
7 | Feather | emails i can't send | |||||
8 | Fast Times | ||||||
9 | Read your Mind | ||||||
10 | Sharpest Tool + opposite | Short n' Sweet + emails i can't send | |||||
11 | because i liked a boy | emails i can't send | |||||
12 | Coincidence | Short n' Sweet | |||||
13 | Surprise Cover Song[25] | ||||||
14 | Nonsense | emails i can't send | |||||
15 | Dumb & Poetic | Short n' Sweet | |||||
16 | Juno | ||||||
17 | Please Please Please | ||||||
18 | Don't Smile | ||||||
19 | Espresso | }}}}}}}}}}}} |
- 2024년 6월 20일, Short n' Sweet의 투어를 본격적으로 발표하였다.[26]
6. 싱글
| |||
| | | |
7. 수록곡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550a4><tablebgcolor=#fff,#191919><bgcolor=#2550a4><color=#fff> ||
- [ 트랙리스트 ]
- ||<tablewidth=100%><bgcolor=#2550a4><nopad>
||
<rowcolor=#fff> # | 제목 | 송라이터 | 프로듀싱 |
1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Julia Michaels / Amy Allen | John Ryan / Julian Bunetta / Ian Kirkpatrick | |
2 | Sabrina Carpenter / Amy Allen / Jack Antonoff | Jack Antonoff | |
3 | Good Graces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Julian Bunetta / Julia Michaels / Amy Allen | John Ryan / Julian Bunetta |
4 | Sharpest Tool | Sabrina Carpenter / Jack Antonoff / Amy Allen | Jack Antonoff |
5 | Coincidence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Amy Allen / Julia Michaels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6 | Sabrina Carpenter / Ian Kirkpatrick / John Ryan / Julia Michaels / Amy Allen | Ian Kirkpatrick / John Ryan | |
7 | Sabrina Carpenter / Amy Allen / Julian Bunetta / Steph Jones | Julian Bunetta | |
8 | Dumb & Poetic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Julia Michaels / Amy Allen | John Ryan |
9 | Silm Pickins | Sabrina Carpenter / Jack Antonoff / Amy Allen | Jack Antonoff |
10 | Juno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Amy Allen | John Ryan |
11 | Lie to Girls | Sabrina Carpenter / Jack Antonoff / Amy Allen | Jack Antonoff |
12 | Don't Smile | Sabrina Carpenter / Julian Bunetta / John Ryan / Amy Allen / Steph Jones | John Ryan / Julian Bunetta |
Short n' Sweet LP Special Edition | |||
13 | Needless to Say | Sabrina Carpenter / Amy Allen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Jack Antonoff |
Short n' Sweet (Deluxe) | |||
13 | 15 Minutes | Sabrina Carpenter / Julian Bunetta / John Ryan / Amy Allen / Rob Moose | Julian Bunetta / John Ryan |
14 | Please Please Please (feat. Dolly Parton) | Sabrina Carpenter / Amy Allen / Jack Antonoff | Jack Antonoff |
15 | Couldn't Make It Any Harder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Julian Bunetta / Amy Allen / Rob Moose | John Ryan / Julian Bunetta |
16 | Busy Woman | Sabrina Carpenter | Jack Antonoff |
17 | Bad Reviews | Sabrina Carpenter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Amy Allen | Jack Antonoff / John Ryan / Ian Kirkpatrick |
|
7.1. Standard Edition
7.1.1. Taste
<keepall> '''Taste 01 2:38 ''' |
|
7.1.2. Please Please Please
<keepall> '''Please Please Please 02 3:06 ''' |
|
7.1.3. Good Graces
<keepall> '''Good Graces 03 3:07 ''' |
|
7.1.4. Sharpest Tool
<keepall> '''Sharpest Tool 04 3:39 ''' |
|
7.1.5. Coincidence
<keepall> '''Coincidence 05 2:45 ''' |
|
7.1.6. Bed Chem
<keepall> '''Bed Chem 06 2:52 ''' |
|
7.1.7. Espresso
<keepall> '''Espresso 07 2:55 ''' |
|
7.1.8. Dumb & Poetic
<keepall> '''Dumb & Poetic 08 2:14 ''' |
|
7.1.9. Slim Pickins
<keepall> '''Slim Pickins 09 2:32 ''' |
|
7.1.10. Juno
<keepall> '''Juno 10 3:44 ''' |
|
- 여기서 "Juno"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결혼의 여신인 주노가 아닌 엘리엇 페이지 주연 영화 제목 <주노>를 말하는 것이다.
- 임신 시켜달라는 수위높은 가사의 노래로
임신플러팅, 콘서트에서는 Have you ever tried this one? (너 이거 해본적 있어?) 부분을 선정적인 동작과 함께 외치는 것이 틱톡에서 바이럴 되면서 영국 오피셜 차트에도 진입했다.
7.1.11. Lie To Girls
<keepall> '''Lie To Girls 11 3:21 ''' |
|
7.1.12. Don't Smile
<keepall> '''Don't Smile 12 3:30 ''' |
|
7.2. Deluxe Edition
7.2.1. 15 Minutes
<keepall> '''15 Minutes 13 3:11 ''' |
|
7.2.2. Please Please Please (feat. Dolly Parton)
<keepall> '''Please Please Please (feat. Dolly Parton) 14 3:04 ''' |
|
7.2.3. Couldn't Make It Any Harder
<keepall> '''Couldn't Make It Any Harder 15 2:59 ''' |
|
7.2.4. Busy Woman
<keepall> '''Busy Woman 16 3:06 ''' |
|
7.2.5. Bad Reviews
<keepall> '''Bad Reviews 17 2:21 ''' |
|
8. 포토슛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550a4><tablebgcolor=#fff,#191919><bgcolor=#2550a4><color=#fff> Short n't Sweet Photos ||
<rowcolor=#fff> Front Cover | Back Cover |
| |
<rowcolor=#fff> Deluxe LP - Version 1 | Deluxe LP - Version 2 |
| |
<rowcolor=#fff> Light Sky Blue LP (Front) | Light Sky Blue LP (Back) |
| |
9. 여담
- "Espresso", "Please Please Please"의 뮤직비디오에서 드러나듯 5-60년대 금발 핀업 걸을 컨셉으로 잡았는데 이게 캐치한 노래와 함께 제대로 먹혀들어가 본인의 커리어하이를 갱신하고 있다. 투어 콘서트 의상 실제 배우 출신인 자신의 정체성을 강조하듯 뮤직비디오들도 각종 고전들의 오마주를 통해 금발 여배우 이미지를 어필하는 것이 하나의 매력 포인트이며, 이는 Taste 뮤직비디오와 제67회 그래미 공연에서 잘 드러난다.
- 5집까지 아무런 상업적인 성공이 없었다가 사브리나처럼 6집에서 초대박을 친 가수로는 대표적으로 시아가 있다. 모두 최초로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하였다.
[Standard] [Deluxe] [3] 첫 공개 당시 스탠드 얼론 싱글이라고 간주되는 듯 하였으나, 이후 사브리나의 공식 홈페이지에 "Espresso"를 리드 싱글로 칭해 리드 싱글은 "Espresso"인 것으로 드러났다.[4] #[5] 오피셜 싱글 차트 1위 및 각종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1 #2[6] 빌보드[7] 빌보드[8] #[9] #[10] 롤링 스톤[11] #[12] 빌보드[13] 게다가 그 중 한 곡은 올리비아 로드리고와 조슈아 바셋 사이에서 일어난 삼각관계 루머 이후 곧바로 발매된 "Skin"이다.[14] 다만 2017년 발매된 싱글 "Thumbs"와 "Why"가 비록 메인 차트는 아니지만 빌보드 핫 100 기준 101위부터 순위가 집계되는 빌보드 버블링 언더 핫 100에서 차트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를 포함해도 정규 6집이 발매되기 이전 빌보드 차트에 이름을 올린 곡은 5개가 다였다.[15] 하지만 전 작 정규 5집의 경우 사브리나의 앨범 중 최초로 빌보드 핫 100에서 두 곡이나 차트인에 성공하였기 때문에 사브리나의 인지도를 높여주는 발판을 삼아준 앨범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16] 빌보드 HOT 100에 진입한 곡도 이 앨범 이전엔 고작 세 곡에서, 이 앨범의 12곡 전곡이 차트인 하면서 싱글차트 진입곡 수도 몇 배나 늘어났다. 가히 2024년 여름은 사브리나가 정복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의 전성기를 누렸으며, 당연히 이전의 디즈니 스타 때와는 비교도 안되게 인지도를 넓혔다.[17] 빌보드1 빌보드2[18] 2016년 이후로 같은 주간에 두 개의 앨범이 동시에 3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사례는 딱 두 차례 있었으며, 이번이 그 중 하나다. 나머지 한 사례도 앞선 2024년 상반기에 빌리 아일리시와 테일러 스위프트가 경합했을 당시였다.[19] 빌보드[20] 빌보드1 빌보드2[21] 영국 싱글차트는 규정상 한 앨범에서 딱 세 곡만 차트인을 허용한다. 이 규정이 없었더라면 다른 노래들도 차트인했을 것이다.[22] 해당 기록은 이전에는 에드 시런만 갖고 있던 기록이었다.[23] 기존에 RIAA에서 인증을 받은 앨범은 골드 인증을 받은 emails i can't send 앨범이 유일했다.[24] #[25] 병을 돌려서 커버송을 랜덤으로 고른다.[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