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color:#00558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558F, #FAFAFA, #FAFAFA, #00558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181818" | <table 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55555;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37AE; font-size: .8em"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237AE;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022A;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022A;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022A; font-size: .8em"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E022A; font-size: .8em" |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
{{{#!wiki style="color:#000000,#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16:00 ~ 18:00 |
19:00 ~ 20:00 |
21:00 |
22:00 |
23:00 | ||||||||
▶ 50-55분경에 방영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시간대로 간주하여 분류함. ▶ 틀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자 아래의 항목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위 편성표에서 제외함.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제외 항목과 프로그램 보기 ] {{{#!wiki style="color:#000000" | ▶ 주요 방송사(지상파, 종편, tvN)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중 개별 문서가 없는 예능. ▶ 단순 정보 전달, 연예 가십 보도, 강연을 주 목적으로 하는 예능. ▶ 종편 인포테인먼트 집단 토크쇼 예능. ▶ 종편 시사 토론 예능. ▶ 음악 방송은 별개의 틀로 분류.
|
- [ 방영 예정 ]
- ||<table width=100%><table align=center><width=900> ||
}}}}}}}}}||
정글의 법칙 The Law Of Jungle | |
시청 등급 | |
방송사 | |
제작사 | 얼반웍스 |
방송기간 | 2011년 10월 21일 ~ 방송중 |
방송시간 | 매주 토요일 밤 9:00 ~ 10:00 |
제작진 | 민선홍 |
내레이션 | 윤도현 |
출연자 | 김병만 (족장[1]) |
링크 | |
1. 개요
SBS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무한도전의 무인도 특집에서 콘셉트를 따와 달인 김병만을 주축으로 이른바 '김병만 족(族)'이라 칭해진 멤버들이 아프리카 등의 오지에서 살아가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Man vs Wild와 다소 비슷하지만, 김병만을 제외하면[3] 생존술에 대한 지식이 일반인 수준인 연예인들이 주축이 된다는 점에서 색다른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사실 프로그램 자체가 김병만이라는 인간의 특징에 맞춘, 출연자 맟춤 프로그램이다. 다시 말하자면 철저하게 김병만에게 맞춰서 만든 프로그램으로 운동신경이 뛰어나고 식성을 가리지 않는 김병만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이다.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을 만들 때 재미와 경쟁, 스릴 등의 요소를 감안해 만드는 경우는 많지만 정글의 법칙 처럼 철저하게 특정 연예인 하나만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드문 편이다. 실제로도 정글의 법칙에서 김병만만큼 야생에 잘 적응하는 참가자는 아직까지 없다.
하지만 시즌 3에서 조작논란이 벌어지면서, 자칭 리얼 다큐 버라이어티로서는 치명적인 '진정성'에 크나큰 타격을 입었다. 뉴질랜드편부터는 연출에서 과장된 부분을 최대한 제거하고, 촬영코스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덧붙이기 시작하는 등 실추된 이미지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캐러비안 편에서 또다시 조작논란이 불거지며 뭇매를 맞고 있다.
이런 연출의 변화 때문인지, 조작 논란 이후 떨어졌던 시청률은 뉴질랜드편 첫 회 이후 다시 회복세로 돌아섰다. 시청률이 떨어졌다곤 해도 사실 원래 정글의 법칙 시청률은 15~17%대에서 왔다갔다하고 있기는 했다. 다만 조작 논란 터지고 바로 다음 회차에, 이전까지 최고 시청률의 갱신을 거듭해가던 시청률의 상승세가 끊기고 바로 급하락세를 보여서 조작 논란에 타격을 입었다는 말이 많았다.[4] 어쨌거나 2016년 시점에서는 리즈시절의 최고 시청률은 아니지만 10%대를 계속 유지하며 금요일 예능 시청률 1위는 고수하는 중.
방영 시간대가 자주 변경되는 편이다. 처음엔 2011년 10월 21일 부로 금요일 11시에 방영됐었고, 2012년 5월 6일부터는 일요일이 좋다 1부에서, 2012년 11월 16일부터는 다시 금요일 밤 10시로 돌아와서 방영 중이다. 2019년 2월 16일부터는 SBS 금토드라마 편성으로 인해 토요일 밤 9시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편성시간도 20분 단축된 1시간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 중에서 유일하게 UHD로 제작되는 프로그램이다. SBS를 포함한 지상파 체널들에서 UHD로 제작 중인 프로그램은 시사, 뉴스 등의 스튜디오물이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후처리과정에서 UHD처리가 용이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기 때문.
내레이션은 윤도현이 맡고 있으며 다른 예능과 달리 방청객 웃음소리 효과음을 넣지 않는다. 다만 프렌즈편에서는 들어갔다.
오프닝 시그널은 건즈 앤 로지스의 'Welcome to the Jungle'.
2. 병만족
2019년 12월 기준 무려 45기가 됐으며, 역대 구성원은 계속 바뀐다. 사실상 김병만 이외에는 매 시즌마다 멤버가 바뀌는 수준이다.3. 방영 에피소드
- 1기: 2011년 10월 21일 첫 방영 시작. 장소는 나미비아.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1 문서 참조.
- 2기: 2011년 12월 9일 방영시작. 장소는 파푸아. 정글의 법칙 시즌 1 파푸아 편 문서 참조.
- W: 명절 특집으로 제작된 외전격 프로그램. 자세한 사항은 정글의 법칙 W 문서 참조.
- 3기: 2012년 5월 6일 방영 시작. 장소는 바누아투. 정글의 법칙 시즌 2 바누아투 편 문서 참조.
- 4기: 2012년 7월 15일부터 8월 26일까지. 장소는 러시아 시베리아. 정글의 법칙 시즌 2 시베리아 편 문서참조.
- 5기: 2012년 9월 2일 방영시작. 장소는 마다가스카르. 정글의 법칙 시즌 2 마다가스카르 편 문서참조.
- 6기: 2012년 12월 28일 방영 시작.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3 문서 참조. 장소는 에콰도르(아마존, 갈라파고스). 이 방송분에서 유명한 대사인 절대 이분들을 놀라게 하면 안 돼가 나왔다.
- 7기: 2013년 3월 8일 방영시작. 장소는 뉴질랜드.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4 문서 참조.
- 8기: 2013년 5월 17일 방영 시작. 장소는 네팔(히말라야 지역).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5 문서 참조.
- 9기: 2013년 7월 26일 방영 시작. 장소는 벨리즈. 캐리비언, 마야 정글이라는 제목으로 방영.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6 문서 참조.
- 10기: 2013년 10월 4일 방영 시작. 장소는 탄자니아, 케냐 사바나.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시즌 7 문서 참조.
- 11기: 2013년 12월 20일 방영 시작. 장소는 미크로네시아.
- 12기: 2014년 2월 28일 방영 시작. the 헝거 게임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으며 장소는 보르네오(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13기: 2014년 5월 9일 방영 시작. 장소는 브라질.
- 14기: 2014년 7월 11일 방영 시작. 장소는 인도양 레위니옹(프랑스령), 모리셔스.
- 15기: 2014년 9월 12일 방영 시작. 장소는 솔로몬 제도. 100회.
- 16기: 2014년 11월 28일 방영 시작. 장소는 코스타리카.
- 17기: 2015년 1월 30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with 프렌즈'라는 제목으로 방영되며, 장소는 팔라우.
- 18기: 2015년 3월 27일 방영 시작. 장소는 인도차이나 베트남.
- 19기: 2015년 5월 29일 방영 시작. 장소는 미크로네시아의 얍 섬.
- 20기: 2015년 7월 24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브루나이. '정글의 법칙 in 히든킹덤, 라스트헌터'라는 제목으로 나누어 방영되며. 장소는 브루나이
- 21기: 2015년 9월 1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니카라과.
- 22기: 2015년 11월 6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사모아.
- 23기: 2016년 1월 8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파나마.(까미노 레알에서 탈출하는 편이 5편에 나온적 있다.)
- 24기: 2016년 3월 4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통가.
- 25기: 2016년 5월 6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파푸아뉴기니[5]
- 26기: 2016년 7월 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뉴칼레도니아
- 27기: 2016년 9월 2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몽골
- 28기: 2016년 11월 4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동티모르
- 29기: 2017년 1월 6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코타 마나도(인도네시아 술라웨시)
- 30기: 2017년 3월 17일 방영 시작.[6]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인도네시아)
- 31기: 2017년 5월 19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와일드 뉴질랜드(7기 때는 뉴질랜드 남섬에서 촬영하였고, 이번에는 북섬이다.)
- 32기: 2017년 7월 2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코모도(인도네시아)
- 33기: 2017년 9월 22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피지. '정글의 법칙 in 피지, 신들의 정원'이라는 두 개의 제목으로 나누어 방영됐다. 족장 김병만이 부상으로 불참하고 추성훈, 이태곤, 류담, 노우진, 오종혁, 강남, 정진운등 초창기 멤버들이 합류한다.
- 34기: 2017년 12월 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쿡 아일랜드(뉴질랜드). 부상당했던 족장 김병만이 복귀한다.
- 35기: 2018년 2월 2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파타고니아(칠레/아르헨티나). 족장 김병만이 36기 남극촬영 스케줄로 인해 후발대 촬영을 마무리 하지 못했다.
- 36기: 2018년 4월 13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남극. 정글의 법칙 300회 특집 프로젝트로 예능 최초 남극대륙에서 진행되었다. [7][8] 그리고 이 방송은 국내 지상파 예능 최초로 UHD로 제작되어 방송된다.
- 37기: 2018년 5월 1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멕시코.
- 38기: 2018년 7월 27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사바(말레이시아).
- 39기: 2018년 9월 28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라스트 인도양. 장소는 스리랑카, 몰디브.
- 40기: 2018년 12월 21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북마리아나 제도(미국령).
- 41기: 2019년 3월 2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채텀(뉴질랜드) / 태즈먼(호주)
- 42기: 2019년 5월 4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로스트. 장소는 태국
- 43기: 2019년 8월 10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미얀마
- 44기: 2019년 9월 28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순다 열도
- 45기: 2019년 12월 14일 방영 시작. 정글의 법칙 in 추크 & 폰 페이
3.1. 통계
국적별(44기 기준) | ||
동남아시아 | ||
말레이시아 | 2 | |
인도네시아 | 5 | |
베트남 | 1 | |
브루나이 | 1 | |
동티모르 | 1 | |
태국 | 1 | |
미얀마 | 1 | |
계 | 12 | |
남아시아 | ||
네팔 | 1 | |
스리랑카 | 1 | |
몰디브 | 1 | |
계 | 3 | |
중앙아시아 및 북아시아 | ||
러시아 | 1 | |
몽골 | 1 | |
계 | 2 | |
오세아니아 | ||
뉴질랜드 | 4 | |
파푸아뉴기니 | 2 | |
미크로네시아 | 2 | |
호주 | 1 | |
바누아투 | 1 | |
솔로몬 제도 | 1 | |
팔라우 | 1 | |
통가 | 1 | |
피지 | 1 | |
(프랑스령) | 1 | |
(미국령) | 1 | |
계 | 16 | |
아프리카 | ||
나미비아 | 1 | |
마다가스카르 | 1 | |
탄자니아 | 1 | |
케냐 | 1 | |
모리셔스 | 1 | |
(프랑스령) | 1 | |
계 | 6 | |
중남미 | ||
에콰도르 | 1 | |
벨리즈 | 1 | |
브라질 | 1 | |
코스타리카 | 1 | |
니카라과 | 1 | |
파나마 | 1 | |
칠레 | 1 | |
아르헨티나 | 1 | |
멕시코 | 1 | |
계 | 9 | |
남극 | 1 |
4. 비판
5. 사건사고 및 논란
6. 그 외
- 콜라와 통조림 깡통을 솥으로 쓰는 모습이 보였는데, 아무리 불로 태워서 소독했다고 하더라도 환경 호르몬 문제가 있어서 정말 비상시가 아니라면 별로 추천할만한 식기는 그다지 못 된다. 통조림 문서 참조. 다행히도 2기에서는 출연자들이 냄비를 지니고 다니는 모습이 보인다.
- 본 프로그램의 제작진 수장인 정순영 CP가 파푸아 정글에서 24시간 동안 행방불명되는 사고가 있었으며[9] 그는 나무에다 물티슈를 걸어놓아 흔적을 남기는 기지를 발휘해 수색대에게 구조되었으니 진짜 Man vs Wild가 일어난 셈. 관련기사[10]
- 마다가스카르 편에서는 촬영을 위해 현지에 도착했는데 공교롭게도 일정 2일차에 마다가스카르에서 내란이 일어나는 바람에 출연진 전원이 마다가스카르에서 꼼짝못했다. 참고로 마다가스카르는 대통령이 허구한날 바뀌고 툭하면 쿠데타가 일어나는 등 정치가 매우 불안정하다.
- 출연진이 여러 명인 점과 안전을 위한 의료진과 전문가팀이 있다는건 Man vs Wild와 다른 점이면서 좋은 점이라 할 수 있지만… 넘치는 조명으로 인해 리얼리티라 생각되진 않는다. 오죽했으면 모닥불을 피웠는데 조명이 더 밝다.
- 이런 류의 프로그램이 그렇듯, 촬영지에 사는 생물들에 대한 잘못된 설명이 많은것도 문제. 대표적인 예로 웨타를 '여치과의 곤충', '진화가 멈춰버린 뉴질랜드 곱등이'로 소개한다던지,[11] 마다가스카르에 고슴도치가 산다고 하던지...[12]
- 여담이지만 브금으로 별별 음악이 다 나온다. 사우스파크 오프닝, 콜오브듀티 ost[13] , 걸즈 앤 판처 ost, 엘더스크롤 ost, 몬스터 헌터 ost, 완다와 거상의 ost, Bangarang 등이 나오며 심지어 시베리아 방영분에는 소련 군가 들판이 나오고 레포데의 캐릭터사운드(나이스 샷), 유명미드인 프렌즈의 오프닝등도 나온다.. 게다가 데스노트의 L의 테마곡까지 나온다! 14년 1월 10일자 방송에선 몬스터 헌터 음악으로 도배가 되었다. 15년 1월 2일 방영분에는 레이디언트 실버건음악이 나오기도... 게다가 15년 4월 3일자 방송에선 니팔자야까지 나왔다. 서비스종료한 스톤에이지ost에 16년 2월 12일 방송분에는 페스나ost도 나왔고, 건담 더블오 OST도 나올 지경. 2016년 4월에 방송한 통가 에피소드에서는 Is She With You?를 위시한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OST가 대량으로 투입됐다. 2017년에는 이경규가 등장했을 당시 제국군 행진곡이 나왔다. 2017년 8월18일자 방영분에서는 Immigrant Song이, 2018년 10월 12일자 방송에서는 무려 데드풀 2의 OST인 You Can't Stop this Mother F*****를 검열 없이 내보내는 미친 감각을 선보였다. 마더 퍼커, 홀리 쉿 등의 욕설이 그대로 흘러나오자 [14]영어 듣기가 가능한 시청자들은 스스로의 귀를 의심하기도.
- 2001년 SBS 초특급 일요일만세에서 동명의 제목인 코너인 <캠핑게임 정글의 법칙>라는 코너를 방영했으며, 여기서는 런닝맨 쪽의 컨셉과 가깝다.
- 여타 다른 예능과 달리 #해시태그를 즐겨 쓴다.
- 2016년 9월 15일에는 추석 특집으로 김병만과 배우 김상중이 48시간동안 정글 생존을 하는 프로그램인 <48시간 정글의 법칙 with 김상중>이 2부작으로 방송되었다.
- 촬영지가 주로 바닷가, 그것도 주로 남태평양에 몰려있다. 아프리카는 정글의 법칙 in 사바나 편 이후로는 몇년간 단 한번도 가지 않고 있다. 마다가스카르에서 당한 게 컸다. 쿠데타를 직접 겪었기 때문이다.
- 어차피 고생하러 가는 것을 출연자도 알고 시청자도 다 아는데, 미션을 준다고 하면서 시키면 될 것을 굳이 억지 상황을 만들어 낸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6.1. 학습만화
본 표지는 1기를 원작으로 한 나미비아/파푸아 편.
2012년 7월 학습만화로도 발매되었다. 살아남기 시리즈 등의 여타 서바이벌 학습만화처럼 중간중간에 생존요령을 설명해준다거나 하는 식이지만, 실제로는 초딩들을 주요대상으로 삼은건지 내용은 전혀 딴판에, 내용 생략, 원작파괴투성이. 진중하고 냉정한 박정철이 노우진과 개그 듀오로 나오는 등 캐붕이 엄청나게 심하다. 8권 이후로는 더 이상 나오지 않다가 최근에 탐험신과 함께 한다는 새로운 설정이 추가되어 9권이 나왔다.
참고로 이 학습만화를 만든 작가는 아빠! 어디가? 학습만화도 만들었지만 전권 회수되었다.
[1] 병만족장[2] 시즌1 아프리카편 당시 동행한 현지 전문가 중 한 명이 출연진과 제작진에게 했던 말이기도 하다. 사실상 프로그램의 메인 캐치카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문장.[3] 실제로 어릴 적에 시골에서 살아서 서바이벌 관련한 부분에서 여러모로 해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4] 다만 떨어진 시청률도 18%에서 15 ~ 16% 정도로 떨어진 것으로, 동시간대 1위는 유지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넷상에서 비난이 난무하고 논란이 커져가는 것과는 별개로, 볼 사람들은 계속 시청했거나, 혹은 비판적인 태도를 유지한 채로도 시청을 하긴 했다는 뜻.[5] 외전이 아닌 정식 시즌에 여성특집을 진행했다.[6] 원래 3월 10일 첫방송 예정이었으나 헌재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특집방송 관계로 결방되어 한주 연기되었다.[7] 그 1박 2일, 무한도전도 성사되지 못했던 일을 정글의 법칙이 해내면서 예능 최초로 남극에 가게 되었다![8] 1박 2일은 2010년도에 남극 계획을 잡고 있었으나 당시 칠레 강진으로 인하여 무산되었고 무한도전도 박명수가 '배달의 무도' 특집으로 남극세종기지 대원들에게 가족들의 선물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으러 칠레까지 갔지만, 기상 악화로 남극으로 가진 못했다. 대신 북극곰 특집으로 정준하랑 북극에 방문한 적이 있다.[9] 어찌 보면 상술한 박상규 PD의 1시간 가량의 행방불명 사건이 그 위험성의 전초를 알리는 사건이었다고 해도 무방하다.[10] 참고로 정순영 CP를 반쯤 억지로 데려왔던 김병만은 이 때 거의 울음을 터뜨리다시피 했다.[11] 웨타는 곱등이과가 아닌 별개의 과에 속하며, 생김새나 습성 또한 아주 다르다. 웨타 문서 참조. 방송에서는 자이언트 웨타, 트리웨타의 사진과 영상을 보내면서 '뉴질랜드 꼽등이'라고 소개하고, 곱등이 노래까지 틀어서 보냈다.[12] 마다가스카르에는 고슴도치가 살지 않으며 텐렉이 고슴도치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더군다나 텐렉은 고슴도치 보다는 오히려 코끼리와 생물학적으로 가까운 동물이다.[13] 해당 브금 : https://youtu.be/PbPkC4y_JLg[14] 한국으로 치면 '이런 씨X! 이런 X발!' 내지 '씨X년!'이 편집 없이 나오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