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의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속철도 | |||
| | |||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도단[중] |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 부산단 고속차량처 호남단[중] | |||
간선열차 · 관광열차 | ||||
누리로·동해산타열차 | ITX-새마을 | ITX-마음 | ITX-청춘 | |
강릉 이문[중] | 서울 부산 이문[중] | 서울 | 대구 | 부산 | | 평내[중] | |
광역전철 | ||||
1호선 | 3호선 | 4호선 | 경의·중앙선 | |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단[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 용문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동해선 | |
분당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문산[중][타][폐] | 울산[중] | |
서해선 | 대경선 | 충청권 광역철도 | ||
시흥단[중][타][폐] | 대구 울산[중][타] | | ||
기관차 · 객차 · 발전차 ·화차 | ||||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본단[중]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대전조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제천조 | 천안 | 청량리 | 포항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서울 지하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군자[중][폐] | 군자[중][폐] 신정[중] | 지축[중][폐] 수서 | 창동 지축[중][타][폐] 시흥단[주박] |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
고덕[중] 방화[폐] | 신내 도봉[중][타][폐] | 도봉[중][폐] 천왕 |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 | |||
9호선 | 우이신설선 | 신림선 | ||||
김포[중] | 우이[중] | 보라매 | ||||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 ||||||
1호선 | 3호선 | 4호선 | 경의·중앙선 | |||
구로[폐] 병점[폐] 이문 시흥단[중][타][폐] 성북[주박] 인천[주박]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주박] 창동[주박] | 용문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서해선 | |||
분당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문산[중][타][폐] | 시흥단[중][타][폐] | |||
인천 도시철도 | ||||||
인천 1호선 | 인천 2호선 | |||||
귤현[중] | 운연[중] 오류[주박]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GTX-A | ||||||
운정[중] | ||||||
기타 일반철도 노선 | ||||||
신분당선 | 공항철도 | |||||
광교[중] 판교[주박] | 용유[중] | |||||
기타 도시철도 노선 | ||||||
용인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 김포 도시철도 | ||||
용인[중] | 의정부[중] | 김포한강[중]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 }}}}}}}}} |
구로차량사업소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uro Train Depot | |
한자 | 九老車輛事業所 | |
주소 |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2길 2 (구로동) | ||
운영기관 | ||
구로기지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1974년 8월 15일 | ||
관리부처 |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광역차량운영처(2020.09.~2023.12.) 수도권서부본부 차량처(2023.12.~) | ||
철도거리표 | ||
구로 방면 구 로 ← 1.4 ㎞ | 구로기지선 구로기지 | 종점 |
1. 개요
|
구로차량사업소 전경 |
수도권 전철안전 우리가 책임지겠습니다.
구로차량사업소의 캐치프레이즈
구로차량사업소의 캐치프레이즈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사업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2길 2 (구로동) 소재.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 이래 [age(1974-08-15)]년째 자리를 그대로 지키고 있는 유서 깊은 수도권 전철 최초의 차량사업소이다.
2. 배속 차량
- 광역전철
경인선과 경부선을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전동차들이 이 차량사업소에 있다.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 차량사업소에 입고하여 경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중정비는 주로 시흥철도차량정비단에서 받는다. 수도권 전동차의 중정비는 각 차량사업소의 여건에 따라(정비일정 등) 작업협의 등을 거쳐 배속 외 차량사업소에서도 시행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와 EEC 전동차가 현역이던 시절에는 여기서 정비를 받기도 했었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1X74~1X86편성과 일부 내구연한 연장 판정을 받아 4량으로 조성된 1X47, 1X73편성이 유치되어 있었으나 2021년 11월에 모두 고철 매각되었다.
구로역에서 경부선 본선 외에 이 역으로 난 구로기지선 및 승강장이 따로 존재해 이 선로를 통해 열차가 입출고된다. 이는 구로역이 서울역이나 용산역처럼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등 온갖 열차가 다 정차하는 역이 아닌데도 승강장과 선로가 많은 이유이다.
구로차량사업소 내에 자체적인 역은 없지만 바로 옆에 구로역이 있고, 서쪽과 남쪽으로 각각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경인선 구일역과(인천 방면) 경부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이 있다(서동탄/천안/신창 방면).
3호선에서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도 서류상으로는 구로기지 소속으로 되어있지만 전력공급방식[2]과 신호의 문제[3]로 자력회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울교통공사에 유지관리업무를 위탁하여 실질적으로는 지축차량사업소 소속이다.
1호선(서울교통공사 차량 제외) 차량들 중에서는 이 차량사업소에 배속된 열차가 타 차량사업소(이문차량사업소, 병점차량사업소) 소속에 비해 많다.
1974년 1호선 개통 후로부터 군자차량사업소 개업 전에는 철도청 전동차와 서울시지하철본부 전동차[4]가 함께 배속되었으며, 현재는 그 반대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가 이러한 위탁 방식으로 지축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5] 1977년 군자차량사업소가 완공되면서 서울시지하철본부 전동차들은 군자차량사업소로 이전하였다.
3. 이전 계획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로차량사업소/이전 계획#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구로차량사업소/이전 계획#|]][[구로차량사업소/이전 계획#|]]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경인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2경인선#|]][[제2경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외부 링크
5. 기타
- 해당 기지에 소속된 차량들은 이문차량사업소나 병점차량사업소에 배속된 차량들과는 달리 경인선, 경부선, 경원선 할 것 없이 골고루 다닌다. 하지만 해당 기지에 소속된 2세대 전동차(311B42~311B59편성)에 한해서는 경인선 급행 혹은 경인선, 경원선 구간만 거의 다닌다.[6]
- 3세대 전기형 VVVF 10량 편성 전동차(311B66~311B82편성)는 17개 모두 이곳에 배속되어 있지 않다. 다만 과거에는 많았지만 전부 다 이문차량사업소나 병점차량사업소로 이관됐기 때문이다.
6. 둘러보기
구로기지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지축] 지축차량기지에서 위탁 관리 중이다.[2] 구로기지 전력: 교류 25,000V, 3호선 전동차 전력: 직류 1,500V[3] 경부선: ATS, 3호선: ATC[4] 서울지하철공사 출범 전에는 서울시청 내 부서인 서울시지하철본부가 지하철을 운영했다.[5]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구로차량사업소까지 자력회송이 불가능하지만,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는 구로차량사업소까지 자력회송이 가능하다.[6] 현재 311B42~311B43, 311B47~311B49, 311B52~311B53, 311B55, 311B58~311B59편성은 그나마도 경원선 구간에도 투입되고 있으나 311B44~311B46, 311B50~311B51, 311B54, 311B56~311B57편성은 경원선 구간 조차 투입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