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0:20:15

인천 버스 3000

강화 버스 3000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월곶공영차고지~신촌역 노선에 대한 내용은 김포 버스 3000-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f72f08>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노선
}}}
[[틀:인천광역시 공항버스|
공항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
광역
]] [[틀: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좌석
]] [[틀:인천광역시 급행간선버스|
급행
]] [[틀:인천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 [[틀:인천광역시 심야버스|
심야
]] [[틀:인천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 [[틀:인천광역시 마을버스|
마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nopad> 광역급행
간선급행
광역
}}}}}}}}} ||

파일:강화3000_1476.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수요4.2. 이용 시 유의사항4.3. 노선 분할 논란4.4. 대체 노선4.5. 기타4.6. 노선4.7. 시간표4.8.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신동아교통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0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3000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인천_3000_노선도_지도.png
파일:인천_3000_노선도_일반.svg파일:인천_3000_노선도_다크.svg
}}}}}}}}} ||
기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남산리(강화터미널)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종점행 첫차 평일 04:10
주말 04:2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00 막차 23:20
평일배차 25~45분 주말배차 30~50분
운수사명 신동아교통 인가대수 10대
노선 강화터미널 - 강화병원 - 성동검문소 - 김포대학입구 - 매수리마을 - 통진중고교 -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 한강로사거리 - 걸포북변역 -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김포IC - 김포대로 - 고촌IC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 송정역(중) - 마곡역(중) - 발산역(중) - 강서구청사거리(중) -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 양화대교 - 합정역(중) - 홍대입구역(중) - 동교동삼거리(중)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 출근형 급행 (폐지)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김포 버스 3000A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3000번 본선에서 분리돼 운행했다가 폐지된 2층버스 전용 노선에 대한 내용은 김포 버스 3000A(폐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A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북변동(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00 기점행 첫차 -
막차 07:20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2]
노선 걸포북변역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B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사우역.김포고)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05 기점행 첫차 -
막차 07:25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
노선 사우역.김포고 → 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김포시 직행좌석버스 3000C번
기점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풍무역)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노고산동(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종점행 첫차 07:10 기점행 첫차 -
막차 07:30 막차 -
평일배차 1일 2회 주말배차 미운행
운수사명 선진버스[A] 인가대수 2대
노선 풍무역무정차개화역송정역마곡역발산역염창역.서울도시가스 → 양화대교합정역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3. 역사

파일:김포3000.jpg 파일:Found_17622016_49970.jpg
  • 2010년 4월 30일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파일:김포 3000 노선도.svg}}}
  • 2017년 1월 26일, 3000A번이 분리 개통되면서 다시 2대가 감차됐다.
  • 2019년 6월 13일부터 누산사거리, 강서구청사거리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 2020년 3월 18일, 김포시와 강화군이 발열체크 시간을 09~18시로 단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원래 노선으로 환원됐다. 관련 기사
  • 2023년 5월 9일, 김포 골드라인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형 급행으로 3000A/B/C 노선이 개통되었다. 3000번과 다르게 선진버스에서 차출한 버스로 운행했다.
  • 2023년 8월 21일, 출근형 급행 노선 3000A/B/C가 폐지되었다. 다만 평일에만 운행하는 노선이라 실질적으로는 8월 18일까지 운행했다. 관련 글
  • 2024년 4월 20일부터 통진중고등학교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하고 메트로자이1단지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4. 특징

4.1. 수요

  • 주말에는 강화도로 관광을 가는 수요까지 더해져서 더더욱 장사가 잘 된다. 입석금지를 시행하지 않던 과거에는 경우에 따라 서서 가야 했으며 심지어 명절 연휴에도 관광 수요가 증가하여 설 연휴 때와 추석 연휴 때에는 강화도를 찾는 관광객들로 미어터져 거의 감차 없이 운행하고 있다. 반대로 서울로 방문하는 수요도 장난 아니라서, 주말 오후에도 신촌 방향으로는 풍무역을 지나면 만석이 되는 일도 다반사이다. 2024년 7월 3000번과 3000-1번 분리 이후에는 3000번의 배차가 25~50분으로 길어져 3000은 혼잡도가 더욱 높아졌다.
  • 코로나 이후로 강화/월곶에서 김포시내로 가는 다른 노선(88번, 96번, 97번[7])의 배차가 많이 길어지면서 코로나 이후 강화/월곶과 김포 만을 오가는 단거리 수요도 많이 늘어났다.[8]
  • 군인 수요도 많다. 김포, 강화 지역에서 복무하는 해병대 장병들이 서울로 출타를 나가거나 부대 복귀 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기도 해서 해병대 장병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전역날에는 전역자들로 버스가 가득 채울 정도. 이렇게 만석이 되고 나면 김포시 사우동 정도까지는 와야 겨우 빈 좌석이 생긴다.[9]

4.2. 이용 시 유의사항

  •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지 않지만 입석금지 시행 노선이다. 김포대학교 통학 시간대에는 구도심에서 만석이 되어 장기동 구간부터 탑승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며, 간혹 퇴근 시간대에도 마송에서 만석이 되기도 한다. 주말 역시 강화도 수요가 많아 탑승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출/퇴근 시간대와 관광객들이 많은 주말 등에 합정/홍대에서 강화도 방향으로 가려면 신촌역까지 역주행 후 신촌아트레온 앞에서 타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이 정류장은 강화 방향 첫 번째 정류장이라 좌석 확보에 가장 유리하다.
  • 교통정체가 없을 경우 신촌오거리 - 김포 구도심(고촌역~사우역 일대)까지 1시간, 강화터미널까지 2시간 정도 걸린다. 출퇴근 시간대 올림픽대로가 막히면 48번 국도에 설치된 버스전용차로 덕에 1004번 등 다른 버스보다 오히려 빠를 때도 있다.
  • 겨울철 눈이 많이 오면 포내2리 - 군하리.한우마을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다. 이 구간 사이에 김포대학교가 들어가 있어 겨울에는 문제가 된다. 우회운행 시 김포대학교에서 버스를 이용하려면 정문 앞에서 기다리지 말고 김포대학입구나 군하리 정류장까지 나와야 한다. 웬만하면 기사가 "김포대 안들어간다", "고막리 안들어간다" 식으로 알려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물어보도록 하자. 이는 김포대학교 - 고막리 간 도로가 구불구불하고 고저차가 심하며 제설이 바로 되지 않아 그런 것으로, 같은 길로 다니는 88번과 고양시 시내버스인 96번97번도 마찬가지로 이 구간을 우회하게 된다. 우회 및 정상운행 여부는 눈의 양과 제설 상황에 따라 다르고 우회 경로도 일정하지 않으니 잘 모를 땐 운수회사에 문의하자.

4.3. 노선 분할 논란

  • 상술했듯이 강화터미널 - 신촌역을 운행하는 3000번이 2024년 7월 1일부터 강화터미널 - 신촌역 노선인 인천 3000번, 월곶공영차고지 - 신촌역 노선인 김포 3000-1번으로 분리되었다. 노선 분할 전에는 인가대수가 총 23대였으나 강화도를 진입하는 인천 3000번은 8대로,[10] 강화도에 진입하지 않는 김포 3000-1번은 15대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 강화도발 노선인 3000번이 23대에서 8대로 대량 감차되고, 나머지 15대는 강화도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 3000-1번 노선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강화도 승객들이 노선을 이용하기가 매우 불편해졌다. 다른 강화 - 서울 노선인 88번의 경우 광역버스 및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인한 인력 차출, 코로나-19 등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예전보다 상당히 늘어난 상태여서[11] 강화 - 서울의 경우 사실상 울며 겨자 먹기로 3000번을 이용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일하다시피 한 노선마저 배차가 매우 벌어진 것. 90번은 배차가 짧긴 하나 이 노선은 인천행 노선이며, 마찬가지로 주말에는 배차간격이 길어진다.

    • 3000번과 3000-1번은 출발지점이 달라 시간표가 공유되지 않는다. 즉 두 노선 간 배차간격을 조절할 수 없으며, 두 노선끼리 붙어다니고 한동안 안온다던지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강화도 승객은 물론 김포시의 승객들에게도 문제가 된다. 예시 1 예시 2 예시 3
  • 이 사태가 발생한 이유는 2021년 6월에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 노선으로 편입되었는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개정 후 법제처에서 기점이 경기도인 노선에 면허를 발급해야 한다는 규정[12]과 어긋난다고 해석했다.[13] 이로인해 강화도 구간이 단축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했다. 기사 1 기사 2 관련 게시물 1
    • 처음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포시의 월곶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강화터미널을 경유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이 방안은 왕복 운행거리가 길어져 운전기사 피로와 더불어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실현되지 않았다.

    • 이후 면허를 인천시로 이관하려 했는데, 운송적자 보전 문제에서 김포시인천시가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14] 김포시는 인천시 면허인 만큼 인천시가 보조금을 전액 부담해야한다는 입장이였으며, 인천시는 김포시도 보조금을 일정 부분 분담해야 한다는 입장이였다.[15] 결국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인천 면허(3000)와 김포 면허(3000-1)로 노선을 둘로 분할해서 운행하는 것으로 합의가 되었다. 관련 게시물 2 기사 3
  • 강화도 승객들의 불편이 예상되자 인천시는 차선책으로 3000번 노선을 김포대학교와 군하리 미경유, 김포한강로 누산IC - 개화IC 경유, 당산역 회차로 직행화하겠다고 2024년 6월 24일 발표했다. 허나 김포시의 반대로 인해 철회되었다. 김포시 관계자는 김포시와 협의를 거치지 않은 조정안이었으며, 조정안 발표 후 김포시 승객들의 민원이 대거 발생했다고 밝혔다. 인천시 관계자는 해당 조정안에 대한 반발이 심할 줄 몰랐다고 밝혔다. 기사 4
    • 이후 2024년 8월 5일 3000번에 한해 노선 및 정차 정류소가 변경되었다. 김포시 구간은 김포대로만 경유하며,[16] 일부 정류소들을 무정차한다. 동시에 1대가 증차되었다. 다만 김포한강로는 똑같이 미경유하는지라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는 미지수이며, 강화도 주민들 반응도 긍정적이지 못하다. 어중간하게 개편하지 말고 고속도로를 경유하던지 해서 배차간격을 줄이라는 의견이 대다수. 기사 5
  • 결국 김포시 승객들을 포함해 강화도 승객들이 상당한 불편을 겪고 있다. 김포한강로를 경유하는 차선책이라도 실현되었다면 강화도, 마송 - 서울 승객 입장에서는 서울까지의 소요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이전 3000번 단일노선이였을 때보다 더 이득을 볼 수 있었으나, 해당 방안이 철회되어 자주 이용하던 승객 입장에선 속 터질 노릇. 김포한강로를 경유하자는 의견, 올림픽대로를 경유하자는 의견, 태장로(김포우회도로)를 경유하자는 의견 등 여러 의견들이 관련 커뮤니티에서 나왔으며, 심지어는 인천시가 김포시 구간 정류소를 전부 무정차로 통과해 협의 대상이 아닌 통보 대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올 정도로 반응이 좋지 않다. 관련 게시물 3
  • 노선 분할 이후 강화도에서 3000번을 이용하려는 수요가 90번으로 꽤 이탈했다.[17] 또한 90번 만큼은 아니지만 노선 단축 후 배차간격이 소폭 개선된 88번과 공공관리제 시행으로 배차가 개선된 96번[18]으로도 수요가 일부 이탈했다.

4.4. 대체 노선

  • 포내2리 - 강화터미널은 88번, 고양 96번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하지만 두 노선의 배차는 매우 길다.[19]

4.5. 기타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20]
  •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 구간 완주 시 신촌역 방면은 약 2시간 20분, 강화터미널 방면은 약 2시간 30분 이상이 소요된다.
  • 김포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지구 개발로 인해 정류장이 늘고 있다. 풍무역,[21] 마곡역, 발산역 등 신규 정류장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어 예전보다 소요시간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어서 예전보다 느려졌다. 한산한 시간이 아닐 경우 강화도에서 서울까지 3시간 가까이 걸리는 경우도 허다한 편.[22]
  • 분리 이후에도 3000번은 여전히 대광위 도색에 G BUS TV와 태그리스 비콘이 그대로 달려 있었으며, 차량 번호판도 경기도 번호판이었다. 또한 인천 면허로 전환 이후에도 한동안은 GBIS를 통해서 인천 3000번의 정보를 지원해서 네이버 지도 및 카카오맵에도 김포시 버스로 안내되었다. 단말기 역시 경기도 버스의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다만 2024년 8월 23일에 인천광역시 버스 정보에 3000번이 추가되었고, 차량들의 번호판이 경기도 번호판에서 인천광역시 번호판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태그리스 비콘이 탈거되었으며 차내에 광역 I-패스 안내문이 붙었다. 그리고 11월 1일에 신차 출고가 이루어지며 도색이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4.6. 노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3000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신촌역2호선
13142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
14063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오거리(경유)
미정차
현대백화점
13259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
14062 파일:Seoulmetro2_icon.svg
동교동삼거리(중)
13019
동교동삼거리(중)
14061
홍대입구역(중)
14016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홍대입구역(중)
14015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GJLine_icon.svg파일:AREX_icon.svg
홍대입구역사거리(경유)
미정차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서교동사거리(경유)
미정차
합정역(중)
14012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
합정역(중)
14011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성산대교남단(경유)
미정차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1 파일:Seoulmetro9_icon.svg
염창역.서울도시가스(중)
16002 파일:Seoulmetro9_icon.svg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7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중)
16008
발산역(중)
16013 파일:Seoulmetro5_icon.svg
발산역(중)
16017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1
마곡동로사거리(중)
16022
마곡역(중)
16018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곡역(중)
16019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중)
16015 파일:Seoulmetro5_icon.svg
송정역(중)
16014 파일:Seoulmetro5_icon.svg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69 파일:Seoulmetro9_icon.svg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파일:Seoulmetro9_icon.svg
고촌IC(경유)
미정차
고촌IC(경유)
미정차
고촌역
35278 파일:GoldLine_icon.svg
고촌역
35277 파일:GoldLine_icon.svg
장곡(경유)
미정차
장곡(경유)
미정차
풍무역
35272 파일:GoldLine_icon.svg
풍무역
35271 파일:GoldLine_icon.svg
사우역.김포고(걸포사거리방면)
35247 파일:GoldLine_icon.svg
사우역.김포고
35246 파일:GoldLine_icon.svg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2
북변환승센터.구터미널
35531
걸포사거리.우리병원
35561
걸포사거리.김포우리병원
35657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610 파일:GoldLine_icon.svg
걸포북변역.국민연금공단
35560 파일:GoldLine_icon.svg
전원마을.김포한강롯데캐슬
35210
장기사거리.수정마을
35211
한강로사거리
35295
한강로사거리
35291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성창.에일린의뜰
35206
장기본동행정복지센터
35204
통진중고등학교
35074
통진중고등학교
35073
현대아파트.소망마을
35727
매수리마을
35725
김포대학입구
35543
김포대학입구
35549
성동검문소
35285
성동검문소
35286
현대아파트
43082
현대아파트
43083
용진주택
43084
용진주택
43085
유성아파트
43086
유성아파트
43087
강화병원
43088
강화병원
43089
강화터미널
43058
강화터미널
43096
}}}}}}}}} ||

4.7. 시간표

  • 2024년 11월 증차 이후 반영된 것이다.
파일:3000(신동아 증차 후).png

4.8. 일평균 승차인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광역버스 3000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24년
※ 하차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강화군 CI.svg 강화군 경유 시내버스
<colcolor=#fff> 광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3%"
좌석
일반
간선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강서구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간선급행
광역
좌석
일반
간선
}}}}}}}}}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 김포시간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광역
맞춤형
좌석
일반
간선
마을
}}}}}}}}} ||



[A] GBIS에는 본선과 같이 선진상운이 운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선진버스가 운행한다.[2] GBIS에는 (전세) 표기가 붙어있지만 실제로는 선진버스 차량이 운행한다.[A] [A] [5] 공식적으로는 김포 3000번이 3000-1번으로 번호변경 및 단축이고 인천 3000번이 신설된 것이다. 다만 '강화 - 신촌' 간 노선은 오래 전부터 3000번이라는 번호를 썼기에, 나무위키에서는 3000-1번을 신설 노선으로 분류한다.[6] 포내2리 - 마송 구간은 통과, 통진중고등학교 - 풍무역 사이의 김포시 정류장은 일부 미정차한다. 김포시 구간은 김포대로만을 이용한다.[7] 단, 이 노선은 김포 구도심을 가지 않는다.[8] 90번도 김포를 가긴 하지만, 구래역에서 검단 방면으로 빠지기 때문에 장기동이나 김포 구도심을 가지 않는다.[9] 강서구에서 내리는 사람들(특히 발산역과 마곡, 송정역에서 주로 내린다.)이 간혹 있으나, 내리는 만큼 탄다.[10] 노선 분할 당시 기준이며, 2024년 8월에 1대가 증차되기는 했다.[11] 88번의 경우 과거에는 배차간격이 10~15분 간격으로 양호했으나 현재는 1일 30회 수준으로 운행한다. 과거에 비하면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 상태. 이 마저도 2024년 8월 16일에 노선이 송정역으로 단축되고 10월 15일 차량 2대 증차로 운행횟수가 조금 늘어난 것이며, 4대 운행 시절에는 1일 20회,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던 시절에는 1일 14회에 불과했다.[12]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제37조제1항제1호[13] 3000번은 인천광역시 강화군강화터미널이 기점인 노선이나, 면허가 중간 경유지인 경기도 김포시로 등록되어 있었다.[14] 원래 3000번은 대광위 준공영제 기준 정부 50%, 경기도 15%, 김포시 35%의 비율로 적자를 보전하고 있었다.[15] 허나 인천시의 입장은 김포시1004번을 생각하면 문제가 된다. 1004번의 경우 김포 면허이나 주 수요처가 인천 검단이기 때문. 다른 회사들이긴 하지만, 부평구계양구를 경유하는 파주시5000번, 미추홀구를 경유하는 광명시3001번, 연수구를 경유하는 3002번의 경우 주 수요가 인천이지만 인천시가 보조금을 주지 않고 계속 뻐팅기고 있다. 이 문제로 광역버스로 전환되지 못하고 폐선된 시외버스도 있을 만큼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16] 김포대학교와 군하리는 경유하지 않으며, 마송지역의 경우 김포대로변 정류소에 정차한다.[17] 서울이 목적지일 때 90번 또는 800번 - M6117번 등의 광역버스들 또는 김포골드라인으로 환승하는 수요가 늘어났다.[18] 단, 이 노선은 고양으로 간다. 그래도 한강신도시나 김포 구도심 등지에서 1000번 등등 서울로 가는 광역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19] 둘다 1일 30회 정도다.[20] 기존의 선진상운 출신 차량은 현금 승차를 비공식적으로 받는다.[21] 구 선수동(풍무푸르지오)[22] 다만, 인천 3000번은 8월에 김포 서부 구역에 대한 급행화가 진행되어 소요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23] 41인승이 아닌 45인승 사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7 (이전 역사)
문서의 r86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