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영원(올름, 동굴도롱뇽, 장님도롱뇽) 洞窟螈 | Olm, Proteus | |
| |
학명 | Proteus anguinus Laurenti, 176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양서강(Amphibia) |
목 | 도롱뇽목(Urodela) |
과 | 동굴영원과(Proteidae) |
속 | 동굴영원속(Proteus) |
종 | 동굴영원(P. anguinus) |
아종 | |
프로테우스 안기누스 안기누스(P. a. anguinus) 검은동굴영원(P. a. parkelj) | |
멸종위기등급 | |
|
1. 개요
모식아종인 프로테우스 안기누스 안기누스. |
도롱뇽의 일종. 동굴영원속에 속하는 유일종이다.[1] 동굴영원이라는 국명과는 달리 진짜 영원과는 무관하다. 일본명인 ホライモリ를 직역하면서 와전된 탓인 듯하다.
2. 특징
몸길이는 평균적으로 23~25cm며, 가끔 40cm에 달하는 대형 개체들도 보고된다.발가락 개수가 다른 양서류들에 비해 적다. 다른 양서류들이 4개의 앞발가락, 5개의 뒷발가락을 가지고 있다면, 동굴영원의 경우 앞발가락이 3개, 뒷발가락이 2개다.
신체는 매우 얇은 층으로 덮여 있으며, 비타민B2 색소가 거의 들어 있지 않아 황백색 또는 분홍색을 띈다. 다만 아종인 검은동굴영원은 색소가 존재하며, 짙은 갈색이나 검은색을 띈다.
육지에 올라오지 않고 오로지 수상에서만 살아가며 아홀로틀처럼 외형적으로 성숙하지 않은 채로 자라는 유형성숙을 한다.[2] 즉 평생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왜인지 아주 원시적인 허파도 가지고 있어 저산소 상태가 오면 이를 이용해 숨을 쉰다.
모식아종의 경우 눈은 새끼 시절엔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만, 점차 성장함에 따라 생후 4개월 정도엔 완전히 퇴화한다. 반면 검은동굴영원의 경우 눈이 거의 퇴화하지 않는다. 모식아종은 눈이 먼 대신, 후각과 내이(귀 안쪽 부분)가 극단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따라서 물과 바닥의 진동을 예민하게 또 세밀하게 느낄 수 있다. 미각 또한 엄청나게 발달해 있어서 혀뿐만 아니라 입 전체와 심지어 아가미까지에도 미뢰(맛을 느끼는 기관)가 분포해 있다.
3. 생태
유럽 동남부 디나르알프스산맥의 동굴 깊은 곳에 서식한다. 이탈리아의 비첸차와 슬로베니아의 크란에 인위적으로 도입되었다. 원래 동굴영원의 조상은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대륙이 붙어있던 시절 멕시코 부근에 살았는데 유라시아 대륙과 분리되면서 동굴영원만 유럽으로 단독으로 진화하게 되었다. 따라서 나머지 동굴영원과 도롱뇽들은 다 북미에서 산다. 게다가 북미에서 사는 종들은 죄다 평범하게 지상 근처에서 수생 생활을 하는데, 특이하게 동굴영원만 동굴에서 서식한다.보통 8~11°C의 안정적인 온도가 유지되며, 산소가 풍부한 지히수에서 산다. 검은동굴영원의 경우 모식아종보다 비교적 얕은 물에서도 살며, 모식아종 또한 이탈리아 북동부에서 먹이 사냥을 위해 가끔 얕은 물로 올라온다. 암컷은 주로 돌 아래나 틈새에 집단 생활을 하고, 수컷은 일정한 영역을 두고 단독 생활을 한다.
작은 갑각류, 복족류, 곤충과 곤충의 유충을 먹고 산다. 먹이는 씹지 않고 통째로 삼켜 잡아먹는다. 먹이가 부족한 동굴 특성상, 한 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한 뒤 간에 영양소를 저장하는 능력이 있다. 먹이가 극도로 부족해지면 신진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심한 경우 자기 내장까지 분해하면서까지 버틴다. 이럴 경우엔 수명이 줄어들어 최대 10년까지만 생존이 가능하다고 한다.
암컷은 12.5년마다 번식하며, 바위 틈에 지름이 약 12mm인 알 평균 35개, 최대 70개를 낳는다. 10°C의 온도에선 배아 발달이 140일 정도지만, 15°C에서는 86일 정도로 더 짧아진다. 새끼는 갓 부화했을 때의 몸길이가 2cm다. 생후 4개월에 성체의 모습으로 탈바꿈하며, 생후 14년이 지나야 비로소 성적으로 성숙한다. 평균 수명은 약 68.5년, 최대 수명은 100년 이상으로 상당히 장수한다.
4. 여담
유럽인들은 동굴영원을 보고 드래곤의 새끼라고 생각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긴 생김새나 동굴에 산다는 서식지를 따져보면 너커와 매우 유사하다. 우물에서 동굴영원이 발견되었다는 기록도 있다.Deeeep.io의 3티어 생물로 등장한다. 성능은 영 좋지 않은 퍈이라 차라리 투구게를 쓰는 편이 낫다.
신비한 개구리 나라 앰피비아에 조력자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