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27 09:56:01

사보이아의 안나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리비아 드루실라 소(小) 안토니아 리비아 오레스틸라 롤리아 파울리나 밀로니아 카이소니아 메살리나 소(小) 아그리피나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포파이아 사비나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스타틸리아 메살리나
네 황제의 해 갈레리아 푼다나
플라비우스 왕조 소 도미틸라 도미티아 롱기나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폼페이아 플로티나 울피아 마르키아나 살로니아 마티디아 비비아 사비나 대(大) 파우스티나 소(小) 파우스티나 루킬라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다섯 황제의 해 플라비아 티티아나 만리아 스칸틸라 디디아 클라라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돔나 풀비아 플라우틸라
마크리누스 노니아 켈사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코르넬리아 파울라 아퀼리아 세베라 안니아 파우스티나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 살루스티아 오르비아나
군인 황제 시대 카이킬리아 파울리나 파비아 오레스틸라 안토니아 고르디아나 트란퀼리나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헤레니아 에트루킬라 코르넬리아 수페라 에그나티아 마리니아나 코르넬리아 갈로니아 코르넬리아 살로니나 술피키아 드리안틸라 빅토리아 제노비아 울피아 세베리나 마그니아 우르비카
사두정치 아우렐리아 프리스카 에우트로피아 갈레리아 발레리아 발레리아 막시밀리아
콘스탄티누스 왕조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미네르비나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플라비아 에우세비아 파우스티나 헬레나
요비아누스 차리토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알비아 돔니카 플라비아 막시마 콘스탄티아 레타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일리아 플라킬리아 플라비아 갈라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마리아 테르만티아 아일리아 풀케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레오 왕조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플라키디아 율리우스 네포스의 아내 아일리아 베리나 아일리아 아리아드네 아일리아 제노니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에우페미아 테오도라 아일리아 소피아 아일리아 아나스타시아 콘스탄티나
포카스 레온티아
이라클리오스 왕조 파비아 에우도키아 마르티나 아우구스티나 아나스타시아 그레고리아 파우스타 아나스타시아 에우도키아 하자르의 테오도라
아나스타시오스 2세 이리니
이사브리아 왕조 마리아 안나 하자르의 이리니 마리아 에우도키아 이리니 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니키포로스 왕조 테오파노 프로코피아
레온 5세 테오도시아
아모리아 왕조 테클라 에우프로시나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데카폴리티사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마케도니아 왕조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이 자우치나 에우도키아 베아나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테오도라 엘레니 레카피니 소피아 안나 가발라 엘레니 테오파노 마마스 베르타 테오파노 테오도라 엘레니 알리피아 조이 테오도라
콤니노스 왕조 불가리아의 예카테리나
두카스 왕조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알라니아의 마리아
콤니노스 왕조 안나 달라시니 이리니 두케나 헝가리의 이리니 키예프의 도브로데이아 줄츠바흐의 베르타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프랑스의 아녜스
앙겔로스 왕조 헝가리의 머르기트 에우프로시나 두케나 카마테리나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라스카리스 왕조 안나 앙겔리나 아르메니아의 필리파 마리 드 쿠르트네 이리니 라스카리나 호엔슈타우펜의 안나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팔레올로고스 왕조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헝가리의 언너 몬페라토의 이리니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브라운슈바이크의 이리니 사보이아의 안나 이리니 아사니나 엘레니 칸타쿠지니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엘레니 드라가시 이리니 가틸루시오 안나 바실리예브나 몬페라토의 소피아 트라페준타의 마리아 }}}}}}}}}}}}
파일:사보이의 안나.jpg
이름 사보이아의 안나
(Anna di Savoia)
출생 1308년
사망 1365년
아버지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5세
어머니 브라반트의 마리
형제자매 사보이아의 마리아, 사보이아의 카타리네, 사보이아의 베아트리체
남편 안드로니코스 3세
자녀 마리아 팔레올로기나, 요안니스 5세, 미하일 팔레올로고스,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아우구스타, 동로마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황후. 제2차 팔레올로고스 내전을 일으켰으며 그로 인해 로마 제국이 몰락하는데 결정타를 날려버린 인물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2. 생애

1308년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5세와 두번째 부인 브라반트의 마리 사이의 네 딸 중 셋째 딸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조반나(Giovanna)였다. 그녀는 제1차 팔레올로고스 내전이 한창이던 1325년 9월 안드로니코스 3세약혼하였다. 이후 테살로니키의 궁정에서 그리스어와 황실 예법 교육을 받았다. 1326년 10월 정식으로 결혼하였고, 이름을 안나(Άννα)로 개명하고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다. 1328년 5월 28일 남편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입성하여 자신의 조부 안드로니코스 2세폐위하면서, 그녀는 동로마 제국의 유일한 황후가 되었다. 이후 안드로니코스 3세와의 사이에서 딸 마리아와 이리니, 아들 요안니스 5세와 미하일을 낳았다.

1341년 6월 14일 안드로니코스 3세가 열병에 시달리다 사망했다. 이에 안나가 아직 5살 밖에 안된 요안니스 5세의 섭정을 맡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는 내무대신인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가 찬탈하려 들지도 모른다고 의심했다. 칸타쿠지노스는 일찍이 남편이 집권하는 데 큰 공을 세웠고, 국정 운영에도 많은 도움을 줬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는 거대한 토지와 재산을 보유한 대귀족이라서 영향력이 대단했고, 마음만 먹으면 황제가 될 수도 있었다. 게다가 칸타쿠지노스는 안드로니코스 3세로부터 섭정을 맡아달라는 부탁을 받은 적이 없었는데도 제위 승계를 적극적으로 주도하며 어린 황태자와 황후 주변에 경비병들을 배치해 사람들로부터 사실상의 섭정으로 인식되었고, 자신의 딸 엘레니 칸타쿠지니와 요안니스 5세를 결혼시키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급기야 칸타쿠지노스의 부하 알렉시오스 아포카브코스는 주군에게 제관을 받으라고 권유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칸타쿠지노스가 거부하자, 아포카브코스는 오히려 그를 몰락시키려 했다. 아마도 제관을 받을 것을 권유한 사실을 요안니스가 발설할까봐 그를 사전에 제거하려 했던 듯하다. 요안니스 칼레카스 총대주교도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의 정적이었다. 총대주교는 칸타쿠지노스 덕분에 그 자리에 오를 수 있었지만 칸타쿠지노스가 자신을 재치고 어린 황제의 섭정이 된 것이 아니꼬왔고 일전에 안드로니코스 3세가 원정을 떠날 때 자신을 두 차례나 섭정으로 임명한 바 있었으니 자신이 섭정이 되어야 마땅하다고 여겼다.[1][2]

그러던 1341년 7월 중순, 요안니스는 세르비아 왕국, 불가리아 제2제국, 오스만 베이국의 침략에 맞서기 위해 자비를 들여 군대를 충원한 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떠났다. 그는 세르비아의 스테판 두샨, 불가리아이반 알렉산더르, 오스만 베이국의 오르한 1세와 두루 조약을 맺어 평화를 이룩한 후 9월에 수도로 귀환했다. 얼마 후, 아카이아 공국이 제국에게 귀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요안니스는 협상을 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9월 23일 트라키아로 떠났다.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가 트라키아로 떠난 순간, 그의 적들은 한데 뭉쳐 내무대신을 반역자로 규정지었다. 칸타쿠지노스 본인은 그들이 자신을 시기했기에 이런 배신을 저질렀다고 주장했지만, 요안니스 5세와 섭정단 측의 입장에서 보면 칸타쿠지노스는 그냥 내버려두기엔 너무 위험한 권신이었다. 그 자신은 찬탈할 의사가 없다고 주장하지만 지금까지 하는 행동을 보면 황제나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동로마 제국 역사에서 이렇듯 강대한 권력에 오른 권신이 반란을 일으키는 사례는 부지기수였으므로, 이들이 위협을 느끼고 제거하기로 결정하는 건 이상할 게 없었다.

그러나 안나 황후가 포함된 칸타쿠지노스의 적들이 상황 파악을 잘못하고 일을 지나치게 크게 벌인 것이 문제였다. 기왕 제거하기로 결정했으면 칸타쿠지노스가 군대를 이끌고 있지 않은 시기를 노렸어야 했지만, 그들은 칸타쿠지노스가 자비로 모은 병사들을 이끌고 트라키아로 갔을 때 숙청을 단행했다. 더구나 군중을 선동해 요안니스의 저택을 약탈 및 방화하고 시골 영지를 몰수한 데다 그의 어머니를 비롯한 가족 전체를 연금해버리는 등 지나친 어그로를 끌었다.[3] 섭정단이 어머니까지 죽음으로 몰고 가버리자 칸타쿠지노스는 더 이상 참을 수 없었고 병사들의 추대를 받아 1341년 10월 26일에 황제를 자칭하면서 제2차 팔레올로고스 내전이 발발했다.

안나는 세르비아 국왕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과 연합한 칸타쿠지노스에 맞서기 위해 교황 클레멘스 6세에게 구원을 청했고, 제노바 공화국베네치아 공화국에게도 지원을 호소했다. 심지어 그녀는 1343년 8월에 금화 3만 두카트를 빌리는 조건으로 베네치아 측에 동로마 제관의 보석들을 저당잡히는 일까지 벌였다. 그러나 이러한 그녀의 노력이 헛되게도 아비뇽, 제노바, 베네치아 어디에서도 구원군이 오지 않았다. 그나마 세르비아가 칸타쿠지노스의 뒤통수를 치고 섭정단 편에 붙기도 했지만 칸타쿠지노스는 튀르크인들을 끌어오는 것으로 응수했고 결국 7년에 걸친 내전 끝에, 칸타쿠지노스는 1347년 2월 2일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입성했다.

이튿날 아침, 그는 병력을 블라케르나이 궁전 앞에 집결시키고, 황후의 알현을 요청했다. 그러나 의심암귀에 사로잡혀버린 안나 황후는 칸타쿠지노스가 자신과 네 명의 아이를 죽이려 한다고 믿고 그를 한사코 궁전에 들이지 않으려 했다. 그러다가 요안니스의 일부 추종자들이 인내심을 잃고 궁전을 습격하자, 경비병들은 황후의 명을 어기고 궁전의 문을 열었다. 닷새 뒤인 2월 8일, 양측 간의 합의가 이뤄졌다. 향후 10년 동안 두 황제는 공동으로 제국을 지배하기로 했고 칸타쿠지노스가 선임 황제의 자리를 차지하기로 했다. 그리고 10년이 지나면 두 황제는 동등한 지위를 가지기로 했다. 총대주교 요안니스 칼레카스는 추방되었지만 다른 정치범들은 모두 석방되었고 각자의 재산은 내전이 일어나기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기로 했다.[4]

신임 총대주교에 발탁된 이시도루스 부카리스는 요안니스 칸타쿠지노스의 파문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이리하여 칸타쿠지노스는 1347년 5월 21일 블라케르나이의 성모 성당에서 두번째 대관식을 치르고 요안니스 6세로 등극했으며, 1주일 뒤 칸타쿠지노스의 막내딸 엘레니 칸타쿠지니와 요안니스 5세의 결혼식이 열렸다. 다만 두 황제가 써야 하는 보석 제관은 안나 황후 탓에 베네치아에게 저당잡혀 있어서 유리로 된 관을 써야 했다.

1351년, 안나는 콘스탄티노플을 떠나 테살로니키로 가서 아나스타샤라는 이름의 수녀가 되었고, 1365년에 거기서 사망했다.


[1] 이 주장들은 모두 칸타쿠지노스의 기록에서 나오는 말이며 그렇기에 신빙성이 의심된다. 칸타쿠지노스 입장에서 자신의 최대 정적들에게 좋은 말을 쓸리가 없으니까.[2] 후술되어있듯 현대에는 토지 귀족의 수장이라는 칸타쿠지노스의 신분 자체가 안나와 총대주교, 아포카브코스가 그를 의심 안하게 할 수 없었다고 보고 있다. 당시 로마 제국 역사상 칸타쿠지노스급 권신이 반란을 안 일으킨 적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스틸리코 같은 예외도 있었지만 말그대로 예외일 뿐이었다.) 즉, 칸타쿠지노스 개인의 뜻과 상관없이 그가 있던 위치가 다른 사람들에게 위협이라 간주되었던 것이다.[3] 칸타쿠지노스의 어머니는 그 충격으로 사망한다.[4] 알렉시오스 아포카브코스는 내전이 종결되기 전 이미 암살당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