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1:20:26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리비아 드루실라 소(小) 안토니아 리비아 오레스틸라 롤리아 파울리나 밀로니아 카이소니아 메살리나 소(小) 아그리피나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포파이아 사비나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스타틸리아 메살리나
네 황제의 해 갈레리아 푼다나
플라비우스 왕조 소 도미틸라 도미티아 롱기나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폼페이아 플로티나 울피아 마르키아나 살로니아 마티디아 비비아 사비나 대(大) 파우스티나 소(小) 파우스티나 루킬라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다섯 황제의 해 플라비아 티티아나 만리아 스칸틸라 디디아 클라라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돔나 풀비아 플라우틸라
마크리누스 노니아 켈사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코르넬리아 파울라 아퀼리아 세베라 안니아 파우스티나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 살루스티아 오르비아나
군인 황제 시대 카이킬리아 파울리나 파비아 오레스틸라 안토니아 고르디아나 트란퀼리나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헤레니아 에트루킬라 코르넬리아 수페라 에그나티아 마리니아나 코르넬리아 갈로니아 코르넬리아 살로니나 술피키아 드리안틸라 빅토리아 제노비아 울피아 세베리나 마그니아 우르비카
사두정치 아우렐리아 프리스카 에우트로피아 갈레리아 발레리아 발레리아 막시밀리아
콘스탄티누스 왕조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미네르비나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플라비아 에우세비아 파우스티나 헬레나
요비아누스 차리토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알비아 돔니카 플라비아 막시마 콘스탄티아 레타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일리아 플라킬리아 플라비아 갈라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마리아 테르만티아 아일리아 풀케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레오 왕조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플라키디아 율리우스 네포스의 아내 아일리아 베리나 아일리아 아리아드네 아일리아 제노니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에우페미아 테오도라 아일리아 소피아 아일리아 아나스타시아 콘스탄티나
포카스 레온티아
이라클리오스 왕조 파비아 에우도키아 마르티나 아우구스티나 아나스타시아 그레고리아 파우스타 아나스타시아 에우도키아 하자르의 테오도라
아나스타시오스 2세 이리니
이사브리아 왕조 마리아 안나 하자르의 이리니 마리아 에우도키아 이리니 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니키포로스 왕조 테오파노 프로코피아
레온 5세 테오도시아
아모리아 왕조 테클라 에우프로시나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데카폴리티사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마케도니아 왕조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이 자우치나 에우도키아 베아나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테오도라 엘레니 레카피니 소피아 안나 가발라 엘레니 테오파노 마마스 베르타 테오파노 테오도라 엘레니 알리피아 조이 테오도라
콤니노스 왕조 불가리아의 예카테리나
두카스 왕조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알라니아의 마리아
콤니노스 왕조 안나 달라시니 이리니 두케나 헝가리의 이리니 키예프의 도브로데이아 줄츠바흐의 베르타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프랑스의 아녜스
앙겔로스 왕조 헝가리의 머르기트 에우프로시나 두케나 카마테리나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라스카리스 왕조 안나 앙겔리나 아르메니아의 필리파 마리 드 쿠르트네 이리니 라스카리나 호엔슈타우펜의 안나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팔레올로고스 왕조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헝가리의 언너 몬페라토의 이리니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브라운슈바이크의 이리니 사보이아의 안나 이리니 아사니나 엘레니 칸타쿠지니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엘레니 드라가시 이리니 가틸루시오 안나 바실리예브나 몬페라토의 소피아 트라페준타의 마리아 }}}}}}}}}}}}
<colbgcolor=#8B0000><colcolor=#FECD21>
로마 제국의 아우구스타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Flavia Julia Constantia
파일: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jpg
출생 293년~296년 사이
로마 제국 갈리아 트리어
사망 330년
아버지 콘스탄티우스 1세
어머니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형제자매 콘스탄티누스 1세(이복 오빠),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한니발리아누스, 아나스타시아, 에우트로피아
남편 리키니우스
자녀 리키니우스 2세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사두정치 시대의 아우구스타, 로마 황제 리키니우스의 황후.

2. 생애

아버지는 사두정치 시대 서방의 카이사르(부제) 콘스탄티우스 1세이며, 어머니는 서방의 아우구스투스(정제) 막시미아누스의 친딸 또는 의붓딸인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이다. 출생 시기는 콘스탄티우스와 테오도라가 결혼한 293년에서 콘스탄티우스가 브리타니아로 출정한 296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되며, 출생지는 서방 부제의 궁정이 있는 트리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자 형제로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한니발리아누스가 있고, 여동생으로 에우트로피아가 있다. 그리고 콘스탄티우스 1세의 전 아내인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의 아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그녀의 이복 오빠이다.

311년 말 또는 312년 초, 콘스탄티누스 1세는 리키니우스와 연합하기로 하고 이복 누이인 콘스탄티아와 리키니우스를 약혼시켰다. 콘스탄티누스는 서방의 경쟁자 막센티우스에 전력을 기울이고 싶었고, 리키니우스 역시 동방의 경쟁자 막시미누스 다이아에 전념하고 싶었다. 이러한 둘의 이해 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약혼이 성립되었다.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막센티우스를 전사시켜 서방의 지배자에 등극한 지 몇달 후인 313년 2월,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에서 리키니우스와 만나 밀라노 칙령을 결의했다. 이때 리키니우스는 콘스탄티아를 정식으로 황후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각각 서방과 동방의 지배자가 된 두 황제는 곧 대립했고, 결국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314년 10월 8일 판노니아의 키발라이에서 양군이 출동했는데, 콘스탄티누스가 압승을 거뒀다. 그 후 316~317년 트라키아 마르디아에서 다시 한 번 전투가 벌어졌는데, 이번에도 콘스탄티누스가 승리를 거두었다. 그 후 두 황제는 콘스탄티아의 중재로 317년 3월 1일 평화조약을 체결했다. 리키니우스는 이 조약에서 트라키아를 제외한 발칸 반도 전역을 넘겨줘야 했고, 리키니우스가 316년 말에 세웠던 부제 발레리우스 발렌스를 처형해야 했다. 한편 콘스탄티아가 315년 7월에 낳은 아들 리키니우스 2세는 317년 3월 콘스탄티누스의 큰아들 크리스푸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그 후 콘스탄티아는 니코메디아에서 베리티아의 주교였던 에우세비우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 313년에서 324년 사이에 카이사레아의 다른 주교인 에우세비우스와 콘스탄티아가 주고받은 서신이 전해진다. 콘스탄티아가 그리스도의 모습을 보여 달라고 요청하자 주교는 다소 무례하게 그리스도는 그림으로 표현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이때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아를 "Augusta"라고 불렀다. 이렇듯 아내가 기독교 신자가 되었지만, 리키니우스는 320년 주교들의 종교회의를 전부 금지했고 주교와 사제를 다수 유배보냈으며, 자신의 부하들 중 기독교의 신이 아닌 다른 신에게 제사를 지내려 하지 않는 사람들을 전부 쫓아냈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인사들이 콘스탄티누스로 대거 이반했다.

324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는 재차 전쟁을 벌였다. 그해 7월 3일 하드리아노폴리스에서 벌어진 대규모 회전에서, 콘스탄티누스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리키니우스는 비잔티움으로 퇴각한 뒤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대규모 해전을 벌였으나, 콘스탄티누스의 아들 크리스푸스에 의해 또다시 완패했다. 이후 소아시아로 피신한 그는 9월 18일 보스포루스 해협 너머 크리소폴리스에서 적과 맞섰으나 또 대패했다. 니키니우스는 니코메디아로 도주한 뒤 다시 병력을 징발하여 맞서려 했지만, 콘스탄티아가 이제 그만 싸우고 항복해야 목숨은 건질 수 있다고 설득하자 결국 항복했다.

콘스탄티누스는 리키니우스가 테살로니카에서 민간 시민으로 살게 해줬다. 그러나 325년 봄, 리키니우스는 고트족과 내통한다는 혐의로 처형되었다. 조시무스, 에우트로피우스, 예로니모 등 당대 역사가들은 콘스탄티누스의 이 행위는 콘스탄티아와 맺었던 언약을 위반한 것이었다고 기록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어린 리키니우스는 적어도 처음에는 아버지의 죽음에서 살아남았다고 한다. 그러나 325년 콘스탄티누스가 큰아들 크리스푸스와 아내 파우스타를 잇달아 죽였을 때, 어린 리키니우스 역시 살해되었다. 남편과 아들의 죽음은 콘스탄티아에게 큰 타격이었을 테지만, 그녀는 이후에도 존중받았다. 역사가 테오도레투스는 "콘스탄티누스는 그녀를 모든 종류의 보살핌을 받을 가치가 있다고 여겼고 그녀가 과부의 시련을 겪도록 허락하지 않았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티란니우스 루피누스 역시 콘스탄티아는 헬레나가 죽은 후 콘스탄티누스의 사랑을 받았다고 기술했다.

콘스탄티아는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하여 아리우스파 의원들에게 공의회에 의해 공식화된 신조를 받아들이라고 조언하였다. 이것은 필로스토르기오스에 의해 기록되었는데, 필로스토르기오스는 아리우스파였다. 그러나 가톨릭 작가들은 콘스탄티아가 아리우스파를 지지했다고 기록했다. 예로니모는 아리우스가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 황제의 누이를 유혹했다고 주장했다. 루피누스는 콘스탄티아가 아리우스의 교리를 고수하였으며, 임종 전에 콘스탄티누스에게 아리우스를 유배지에서 불러오라고 설득했다고 밝혔다. 다만 아리우스는 콘스탄티아가 죽기 전에 소환되었기 때문에, 임종 전에 요청한 게 사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콘스탄티아가 언제 사망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콘스탄티누스의 모친 헬레나가 329년 사망한지 얼마 안 돼서 죽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대략 330년 즈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테오도레투스와 루피누스는 콘스탄티아가 눈을 감았을 때 콘스탄티누스 1세가 곁에서 지켜봤다고 밝혔다. 콘스탄티아가 죽은 후 기념주화가 발행되었는데, 330년 5월 11일부터 333년 12월 25일 사이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만 주조되었다. 이 동전에는 'Constantia Soror Constantini AVG(콘스탄티아,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누이)'라는 글귀가 새겨졌다. 또한 콘스탄티누스는 모이시아 속주의 토미스(Tomis)를 '콘스탄티아나(Constantiana)'로 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