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23:43:10

마리아 콤니니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4A3800; margin: -5px 0px"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리비아 드루실라 소 안토니아 리비아 오레스틸라 롤리아 파울리나 밀로니아 카이소니아 메살리나 소 아그리피나 클라우디아 옥타비아 포파이아 사비나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스타틸리아 메살리나
네 황제의 해 섹스틸리아 갈레리아 푼다나
플라비우스 왕조 소 도미틸라 율리아 플라비아 도미티아 롱기나
네르바-안토니우스 왕조 폼페이아 플로티나 울피아 마르키아나 살로니아 마티디아 비비아 사비나 대 파우스티나 소 파우스티나 루킬라 브루티아 크리스피나
다섯 황제의 해 플라비아 티티아나 만리아 스칸틸라 디디아 클라라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돔나 풀비아 플라우틸라
마크리누스 노니아 켈사
세베루스 왕조 율리아 코르넬리아 파울라 아퀼리아 세베라 안니아 파우스티나 율리아 마이사 율리아 소아이미아스 율리아 아비타 마마이아 살루스티아 오르비아나
군인 황제 시대 카이킬리아 파울리나 파비아 오레스틸라 트란퀼리나 마르키아 오타킬리아 세베라 헤레니아 에트루킬라 코르넬리아 수페라 에그나티아 마리니아나 코르넬리아 갈로니아 코르넬리아 살로니나 술피키아 드리안틸라 빅토리아 제노비아 울피아 세베리나 마그니아 우르비카
사두정치 아우렐리아 프리스카 에우트로피아 갈레리아 발레리아 발레리아 막시밀리아
콘스탄티누스 왕조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플라비아 율리아 헬레나 미네르비나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플라비아 발레리아 콘스탄티나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의 딸 플라비아 에우세비아 파우스티나 헬레나
요비아누스 차리토
발렌티아누스 왕조 마리나 세베라 유스티나 알비아 돔니카 플라비아 막시마 콘스탄티아 레타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일리아 플라킬라 플라비아 갈라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마리아 테르만티아 아일리아 풀케리아 갈라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레오 왕조 아일리아 마르키아 에우페미아 플라키디아 아일리아 베리나 아일리아 아리아드네 아일리아 제노니스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에우페미아 테오도라 아일리아 소피아 아일리아 아나스타시아 콘스탄티나
포카스 레온티아
이라클리오스 왕조 파비아 에우도키아 에우독시아 에피파니아 마르티나 아우구스티나 아나스타시아 그레고리아 파우스타 아나스타시아 에우도키아 하자르의 테오도라
아나스타시오스 2세 이리니
이사브리아 왕조 마리아 안나 하자르의 이리니 마리아 에우도키아 이리니 암니아의 마리아 테오도테
니키포로스 왕조 테오파노 프로코피아
레온 5세 테오도시아
아모리아 왕조 테클라 에우프로시나 테오도라 에우도키아 데카폴리티사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마케도니아 왕조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테오파노 마르티나키아 조이 자우치나 콘스탄티노플의 안나 에우도키아 베아나 조이 카르보노프시나 테오도라 엘레니 레카피니 소피아 안나 가발라 엘레니 테오파노 마마스 베르타 테오파노 테오도라 엘레니 알리피아 엘레니 조이 테오도라 마리아 스클레리나
콤니노스 왕조 불가리아의 예카테리나
두카스 왕조 에브도키아 마크렘볼리티사 알라니아의 마리아
콤니노스 왕조 안나 달라시니 이리니 두케나 헝가리의 이리니 키예프의 도브로데이아 줄츠바흐의 베르타 마리아 콤니니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프랑스의 아녜스
앙겔로스 왕조 헝가리의 머르기트 에우프로시나 두케나 카마테리나 이리니 앙겔리나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라스카리스 왕조 안나 앙겔리나 아르메니아의 필리파 마리 드 쿠르트네 이리니 라스카리나 호엔슈타우펜의 안나 불가리아의 엘레나 아세니나
팔레올로고스 왕조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헝가리의 언너 몬페라토의 이리니 이리니 훔네나 아르메니아의 마리아 브라운슈바이크의 이리니 사보이아의 안나 이리니 아사니나 엘레니 칸타쿠지니 이리니 팔레올로기나 불가리아의 케라차 마리아 엘레니 드라가시 이리니 가틸루시오 안나 바실리예브나 몬페라토의 소피아 트라페준타의 마리아 }}}}}}}}}}}}

이름 마리아 콤니니
(영어: Maria Komnene, 그리스어: Μαρία Κομνηνή)
출생 1152년 3월
사망 1183년
직위 포르피로엔니타, 아우구스타
반란 대상 알렉시오스 2세

1. 개요2. 생애

1. 개요

동로마 제국 콤니노스 왕조의 반란자. 마누일 1세 황제 사후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황후의 친서방 정책에 반발한 민중을 등에 업고 반란을 일으켰고, 나중엔 안드로니코스 1세와 손을 잡고 마리아 황후의 실권을 박탈했다. 그러나 1183년 안드로니코스에게 독살당했다.

2. 생애

1152년 3월,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누일 1세줄츠바흐의 베르타 황후의 장녀로 출생했고, 태어나자마자 아우구스타 칭호를 받았다. 1163년 11살의 나이로 헝가리 왕자 벨러(훗날 벨러 3세)와 약혼했다. 마누일은 벨러를 후계자로 지명하였고, 동로마 궁정에서는 벨러를 알레시오스로 불렀다. 그러나 1169년 알렉시오스 2세가 출생하면서, 약혼이 취소되었다. 이후 시칠리아 왕국굴리에모 2세와 약혼했지만, 이 마저도 취소되었다. 1179년 가을 27살의 나이로 몬페라토 후작 굴리에모 5세의 아들인 17살의 몬페라토의 레니에르와 결혼했다.

7개월 후인 1180년 9월 마누일 1세가 사망했고 황위는 어린 황자 알렉시오스 2세가 이었다. 알렉시오스의 모친 안티오키아의 마리아 황후가 섭정하였지만, 친서방 정책을 추진하는 것에 반발하는 이들이 많았다. 레니에르와 마리아 부부는 이러한 민심을 읽고 반란을 꾀했다. 그러나 음모는 조기에 발각되었고, 부부는 지지자 150명과 함께 아야 소피아로 숨었다. 토벌대는 아야 소피아 성당을 포위했지만, 총대주교 테오도시오스가 이들을 비호해서 체포하지 못했다.

부부는 아야 소피아에서 민중을 선동했고, 친서방 정책에 불만이 가득했던 민중은 이에 호응했다. 그들은 동료 공모자들을 석방하고 섭정단을 퇴진하라고 요구했다. 마리아 황태후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지 않았고, 레니에르와 마리아는 아야 소피아를 요새로 전환하고 외국인 용병을 고용했다. 알렉시오스 콤니노스는 이에 맞서 부활절을 기념하여 황궁에 방문했던 테오도시오스 총대주교를 전격 체포하고, 새 총대주교를 세우려 했다. 하지만 마리아 황후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테오도시오스는 석방되었다. 민중은 이 사건에 분노하였고, 곧 황태후와 섭정단 지지파와 레니에르와 마리아 지지파 간의 시가전이 벌어져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며칠간의 시가전 끝에 양측은 화해하기로 했다. 마리아와 레니에르는 황궁으로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었고, 반란군은 사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너그러운 조치에도 불구하고 마리아 황태후의 인기는 갈수록 떨어졌고, 민중의 서방인에 대한 적개심은 증폭되었다.

1181년 5월, 안드로니코스 콤니노스가 수도의 혼란을 바로잡겠다며 지지자들을 규합하여 흑해의 연안지대에서 거병했다. 민중은 열렬히 호응했고, 칼케돈 해협에 이르렀을 때 그의 병력은 수만에 달했다. 그를 막으려 했던 진압군은 가볍게 격파되었고, 함대 사령관 안드로니코스 콘토스테파노스도 반란군에 가담했다. 급기야 1182년 4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대규모 폭동이 일어나 성내에 거주 중이던 서방인 수만 명을 학살했다. 이후 안드로니코스는 수도에 입성했고, 레니에르와 마리아 부부를 별궁으로 옮겼다. 1183년, 안드로니코스는 사람을 시켜 부부를 독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