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1 01:58:04

막시미아누스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원수정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아우구스투스 | 티베리우스 | 가이우스(칼리굴라) | 클라우디우스 | 네로
네 황제의 해 갈바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 비텔리우스
플라비우스 왕조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 도미티아누스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네르바 | 트라야누스 | 하드리아누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 | 공동 즉위 루키우스 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콤모두스
비정통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다섯 황제의 해 페르티낙스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클로디우스 알비누스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세베루스 왕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공동 즉위 게타 · 카라칼라
- 마크리누스 · 디아두메니아누스
세베루스 왕조 엘라가발루스 |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군인 황제 시대 막시미누스 트라쿠스 | 공동 즉위 고르디아누스 1세 · 고르디아누스 2세 | 공동 즉위 푸피에누스(막시무스) ·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3세 | 필리푸스 아라부스 · 필리푸스 2세 | 데키우스 | 공동 통치 데키우스 ·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 공동 즉위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 호스틸리아누스 · 볼루시아누스 | 아이밀리아누스 | 공동 즉위 발레리아누스 · 갈리에누스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 퀸틸루스 | 아우렐리아누스 | 타키투스 | 플로리아누스 | 프로부스 | 카루스 | 공동 즉위 누메리아누스 · 카리누스
비정통 스폰시아누스 · 실반나쿠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등장
- 카리누스 · 디오클레티아누스
서방 동방
양두정치 막시미아누스 양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사두정치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막센티우스 | 2차 재위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누스 1세 사두정치 디오클레티아누스 | 갈레리우스 | 리키니우스 | 막시미누스 다이아 | 발레리우스 발렌스 | 마르티니아누스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공동 즉위 콘스탄티누스 2세 · 콘스탄스
비정통 마그넨티우스 · 율리우스 네포티아누스 · 베트라니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서방 동방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콘스탄티누스 왕조 콘스탄티우스 2세
통일
콘스탄티누스 왕조 율리아누스
- 요비아누스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서방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티니아누스 1세 | 그라티아누스 |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발렌스
비정통 프로코피우스
비정통 에우게니우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마그누스 막시무스 · 플라비우스 빅토르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통일
테오도시우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동방
테오도시우스 왕조 호노리우스 | 콘스탄티우스 3세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비정통 히스파니아의 막시무스
테오도시우스 왕조 아르카디우스 | 테오도시우스 2세 | 마르키아누스
비정통 콘스탄티누스 3세 ·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 요안네스
최후의 순간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 아비투스 | 마요리아누스 | 리비우스 세베루스 | 안테미우스 | 올리브리우스 | 글리케리우스 | 율리우스 네포스 |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레오 왕조 레오 1세 | 레오 2세 | 제노 | 바실리스쿠스 · 마르쿠스 | 2차 재위 제노
동방
레오 왕조 2차 재위 제노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유스티누스 1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유스티누스 2세 | 티베리우스 2세 | 마우리키우스 · 테오도시우스
- 포카스
이라클리오스 왕조 이라클리오스 | 공동 즉위 콘스탄티노스 3세 · 이라클로나스 · 다비드 티베리오스 | 콘스탄스 2세 · 콘스탄티노스 4세 · 이라클리오스 · 티베리오스 | 유스티니아노스 2세
20년간의 혼란 레온티오스 | 티베리오스 3세 | 2차 재위 유스티니아노스 2세 | 필리피코스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테오도시오스 3세
이사브리아 왕조 레온 3세 | 콘스탄티노스 5세 | 아르타바스도스 · 니키포로스 | 2차 재위 콘스탄티노스 5세 | 레온 4세 | 콘스탄티노스 6세 | 이리니
니키포로스 왕조 니키포로스 1세 | 스타브라키오스 | 미하일 1세 랑가베스 · 테오필락토스 · 스타브라키오스
- 레온 5세 · 콘스탄티노스
아모리아 왕조 미하일 2세 | 테오필로스 | 미하일 3세
마케도니아 왕조 바실리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 레온 6세 | 알렉산드로스 2세 | 콘스탄티노스 7세 | 로마노스 1세 · 흐리스토포로스 레카피노스 · 스테파노스 레카피노스 · 콘스탄티노스 레카피노스 | 로마노스 2세 | 니키포로스 2세 | 요안니스 1세 | 바실리오스 2세 | 콘스탄티노스 8세 | 로마노스 3세 | 미하일 4세 | 미하일 5세 | 공동 즉위 조이 · 테오도라 | 콘스탄티노스 9세 | 2차 재위 테오도라
- 미하일 6세
콤니노스 왕조 이사키오스 1세
두카스 왕조 콘스탄티노스 10세 | 미하일 7세 · 콘스탄티오스 두카스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로마노스 4세 · 레온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디오예니스 | 니키포로스 3세
콤니노스 왕조 알렉시오스 1세 · 콘스탄티노스 두카스 | 요안니스 2세 · 알렉시오스 콤니노스 | 마누일 1세 | 알렉시오스 2세 | 안드로니코스 1세
앙겔로스 왕조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3세 | 2차 재위 이사키오스 2세 | 알렉시오스 4세 | 알렉시오스 5세
니케아
라스카리스 왕조 테오도로스 1세 | 요안니스 3세 | 테오도로스 2세 | 요안니스 4세 | 미하일 8세
비정통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동방
팔레올로고스 왕조 미하일 8세 | 안드로니코스 2세 | 미하일 9세 | 안드로니코스 3세 |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요안니스 6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공동 즉위 안드로니코스 4세 · 요안니스 7세 | 3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2차 재위 요안니스 7세 · 안드로니코스 5세 | 4차 재위 요안니스 5세 | 마누일 2세 | 요안니스 8세 | 콘스탄티노스 11세
아우구스투스 · 카이사르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막시미아누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A3800,#FFF {{{#!wiki style="margin: -5px 0px"
단독황제 양두정치 제1차 사두정치 제2차 사두정치
동방 정제 디오클레티아누스 갈레리우스
동방 부제 - 갈레리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
서방 정제 - 막시미아누스 콘스탄티우스 1세
서방 부제 막시미아누스 - 콘스탄티우스 1세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  306 ~ 310년  >>>
제2차 사두정치 제3차 사두정치
동방 정제 갈레리우스 갈레리우스
리키니우스
동방 부제 막시미누스 다이아
서방 정제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콘스탄티누스 1세
막시미아누스
막센티우스
서방 부제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1세 -
막센티우스
>>>  311 ~ 316년  >>>
내전기
동방 정제 갈레리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
동방 부제 -
서방 정제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1세
막센티우스
서방 부제 - 바시아누스
>>>  316 ~ 324년  >>>
내전기
동방 정제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우스 발렌스 마르티니아누스
동방 부제 발레리우스 발렌스 - 리키니우스 2세
서방 정제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부제 - 크리스푸스
콘스탄티누스 2세
>>>  324 ~ 352년  >>>
콘스탄티누스 왕조
동방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중앙 콘스탄스 콘스탄스
서방 콘스탄티누스 2세 베트라니오
마그넨티우스
>>>  353 ~ 364년  >>>
콘스탄티누스 왕조 -
동방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율리아누스 요비아누스
서방 율리아누스
>>>  364 ~ 378년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동방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스
서방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티니아누스 1세 발렌티니아누스 2세
그라티아누스
>>>  379 ~ 395년  >>>
발렌티니아누스 왕조 테오도시우스 왕조
동방 테오도시우스 1세 테오도시우스 1세
서방 발렌티니아누스 2세 발렌티니아누스 2세
그라티아누스 마그누스 막시무스
에우게니우스 플라비우스 빅토르
>>>  395년 ~  >>>
동방 동로마 제국
서방 서로마 제국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ignotus: 불명
황제 겸 집정관 }}}
201년 202년 202년 보결 203년 204년
루키우스 안니우스 파비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무렌니우스 세베루스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셉티미누스 카티니우스 아킬리아누스 레피두스 풀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아리우스 무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레갈리아누스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라비우스 리보
204년 보결 205년 206년 206년 보결 207년
루키우스 폼포니우스 리베랄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마르수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막시무스
ignotus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페트로니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카일리우스 파우스티누스 가이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아페르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폼페이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파우스티누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테렌티우스 겐티아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스페르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게타 카이사르 퀸투스 헤디우스 롤리아누스 플라우티우스 아비투스 아울루스 트리아리우스 루피누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밀리우스 아스페르
212년 보결 213년 214년 215년 216년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퀸투스 마이키우스 라이투스 푸블리우스 카티우스 사비누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데키무스 카일리우스 칼비누스 발비누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케리알리스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아눌리누스
217년 218년 218년 보결 219년 22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세베루스 마크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티투스 메시우스 엑스트리카투스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드벤투스 퀸투스 티네이우스 사케르도스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221년 222년 223년 224년 225년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사비니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페르페투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티베리우스 마닐리우스 푸스쿠스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비텔리우스 셀레우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알렉산데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로스키우스 아일리아누스 파쿨루스 살비우스 율리아누스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크리스피누스 세르비우스 칼푸르니우스 도미티우스 덱스테르
226년 227년 228년 229년 23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세네키오 알비누스 퀸투스 아이아키우스 모데스투스 크레스켄티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아그리콜라
가이우스 아우피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라일리우스 풀비우스 막시무스 아이밀리아누스 마르쿠스 폼포니우스 마이키우스 프로부스 카시우스 디오 섹스투스 카티우스 클레멘티누스 프리스킬리아누스
231년 232년 233년 234년 235년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폼페이아누스 루키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율리아누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마르쿠스 클로디우스 푸피에누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파일리그니아누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막시무스 그나이우스 코르넬리우스 파테르누스 마르쿠스 무나티우스 술라 우르바누스 루키우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퀸티아누스
236년 237년 238년 239년 24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베루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마리우스 페르페투우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피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옥타비우스 아피우스 수에트리우스 사비누스
마르쿠스 푸피에누스 아프리카누스 막시무스 루키우스 뭄미우스 펠릭스 코르넬리아누스 폰티우스 프로쿨루스 폰티아누스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아비올라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베누스투스
241년 242년 243년 244년 24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고르디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아티쿠스 사비니아누스 루키우스 안니우스 아리아누스 티베리우스 폴리에누스 아르메니우스 페레그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클로디우스 폼페이아누스 가이우스 아시니우스 레피두스 프라이텍스타투스 가이우스 케르보니우스 파푸스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가이우스 마이시우스 티티아누스
246년 247년 248년 249년 250년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풀비우스 가비우스 누미시우스 아이밀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알리우스 알비누스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필리푸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나이비우스 아퀼리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51년 252년 253년 254년 255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메시우스 퀸투스 트라야누스 데키우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퀸투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메시우스 데키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비비우스 볼루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포플리콜라 발비누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256년 257년 258년 259년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아킬리우스 프리스킬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투스쿠스 (눔미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덱스테르)
마르쿠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뭄미우스 바수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260년 261년 262년 26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사이쿨라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도나투스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 눔미우스 파우스티아누스 덱스테르 (막시무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마크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풀비우스 퀴에투스 아우구스투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라티아누스
264년 265년 266년 26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리키니우스 발레리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갈리에누스 아우구스투스 오비니우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아퀼리우스 파테르누스
사투르니누스 루킬루스 사비닐루스 아르케실라우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268년 269년 270년 271년
아스파시우스 파테르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에그나티우스 마리니아누스 파테르누스 비리우스 오르피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카시아니우스 라티니우스 포스투무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피아보니우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산크투스
272년 273년 274년 27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퀴에투스 아울루스 카이키나 타키투스 또는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벨둠니아누스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카피톨리누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켈리누스
갈리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아우구스투스
노빌리시무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피우스 에수비우스 테트리쿠스
276년 277년 278년 279년 280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메살라
(풀비우스) 아이밀리아누스 (루키우스 율리우스) 비리우스 루푸스 노니우스 파테르누스 (베티우스) 그라투스
281년 282년 283년 284년 284년 보결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빅토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누메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카이소니우스 오비니우스 루피누스 마닐리우스 바수스 Ⅱ)
285년 286년 287년 28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마르쿠스 유니우스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베티우스 아퀼리누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동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리누스 아우구스투스
288년 보결 289년 289년 보결 289년 보결
… a 마르쿠스 마그리우스 바수스 마르쿠스 움브리우스 프리무스 케이오니우스 프로쿨루스
… ivianus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코엘리아누스 헬비우스 클레멘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89년 보결 290년 291년 292년
플라비우스 데키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ninius 막시무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카시우스 디오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브리타니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우사이우스 카라우시우스
293년 294년 295년 296년 297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눔미우스 투스쿠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안니우스 아눌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298년 299년 300년
아니키우스 파우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갈루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FCE77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742em; letter-spacing: -0.35px"
{{{#!wiki style=""<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라틴어 문구 색상 범례
  • sine collega: 동료 없이 단독 선출
  • Annus A post consulatum B (et C): B(와 C)의 집정관 집권으로부터 A년 뒤
황제 겸 집정관 }}}
301년 302년 303년 304년 305년
티투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미우스 티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비리우스 네포티아누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카이사르
306년 307년 308년 309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동방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세베루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디오클레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서방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Diocletiani Augustiet Maximiani Augusti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로마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로물루스 발레리우스 로물루스
310년 311년 312년 313년
타티우스 안드로니쿠스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폼페이우스 프로부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로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케이오니우스 루피누스 볼루시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센티우스 아우구스투스
(아라디우스) 루피누스
314년 315년 316년 317년 318년
가이우스 케이오니우스 루피누스 볼루시아누스 (Ⅱ)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안토니우스 카이키나 사비누스 오비니우스 갈리카누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페트로니우스 안니아누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가이우스 베티우스 코시니우스 루피누스 카이소니우스 바수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319년 320년 321년 322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동방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Licinii Augustiet Licinii Caesaris
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카이사르
서방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페트로니우스 프로비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암니우스 아니키우스 율리아누스
323년 324년 325년 325년 보결
동방 Annuspost consulatum Licinii Augustiet Licinii Caesaris
서방 아킬리우스 세베루스
베티우스 루피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크리스푸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프로쿨루스 율리우스 율리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섹스투스 아니키우스 파울리누스
326년 327년 328년 329년 330년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우스 야누아리누스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갈리카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베티우스 유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누스 카이사르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심마쿠스 툴리아누스
331년 332년 333년 334년 335년
유니우스 바수스 루키우스 파피우스 파카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플라비우스 옵타투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블라비우스 메킬리우스 힐라리아누스 도미티우스 제노필루스 암니우스 마니우스 카이소니우스 니코마쿠스 아니키우스 파울리누스 케이오니우스 루피우스 알비누스
336년 337년 338년 339년 340년
비리우스 네포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펠리키아누스 플라비우스 우르수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셉티미우스 아킨디누스
테티우스 파쿤두스 파비우스 티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폴레미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루키우스 아라디우스 발레리우스 프로쿨루스
341년 342년 343년 344년
안토니우스 마르켈리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르쿠스 마이키우스 멤미우스 푸리우스 바부리우스 카이킬리아누스 플라키두스 도미티우스 레온티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비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로물루스
동방 율리우스 살루스티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보노수스
율리우스 살루스티우스
345년 346년 347년 348년 349년
플라비우스 아만티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불카키우스 루피누스 플라비우스 필리푸스 울피우스 리메니우스
마르쿠스 눔미우스 알비누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플라비우스 살리아 아코니우스 카툴리누스
350년 351년 352년 353년
플라비우스 세르기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니그리니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동방 Annuspost consulatum Sergii et Nigriniani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서방 플라비우스 마그누스 마그넨티우스 아우구스투스 마그누스 데켄티우스 카이사르
가이소 파울루스
354년 355년 356년 357년 358년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아르비티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켄소리우스 다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콘스탄티우스 카이사르 퀸투스 플라비우스 마이시우스 에그나티우스 롤리아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네라티우스 케레알리스
359년 360년 361년 362년 363년
플라비우스 에우세비우스 플라비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타우루스 클라우디우스 마메르티누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히파티우스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플로렌티우스 플라비우스 네비타 플라비우스 살루스티우스
364년 365년 366년 367년 368년
플라비우스 요비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플라비우스 루피키누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바로니아누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다갈라이푸스 플라비우스 요비누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369년 370년 371년 372년 373년
발렌티니아누스 갈라테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도미티우스 모데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빅토르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섹스투스 클라우디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부스 플라비우스 아린테우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374년 375년 376년 377년 378년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Annuspost consulatum Gratiani Augustiet Equiti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발렌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퀴티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379년 380년 381년 382년 383년
데키미우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 플라비우스 그라티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시아그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안토니우스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
퀸투스 클로디우스 헤르모게니아누스 올리브리우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케리우스 아프라니우스 시아그리우스 플라비우스 사투르니누스
384년 385년 386년 387년
플라비우스 리코메르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클레아르쿠스 플라비우스 바우토 플라비우스 에우오디우스 에우트로피우스
388년 389년 390년 391년
동방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마테르누스 키네기우스
서방 마그누스 막시무스 아우구스투스
sine collega
플라비우스 티마시우스 플라비우스 발렌티니아누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에우톨미우스 타티아누스
플라비우스 프로모투스 플라비우스 네오테리우스 퀸투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
392년 393년 394년 395년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아니키우스 헤르모게니아누스 올리브리우스
플라비우스 루피누스 아니키우스 프로비누스
동방 플라비우스 아분단티우스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서방 플라비우스 에우게니우스 아우구스투스 비리우스 니코마쿠스 플라비아누스
sine collega
396년 397년 398년 399년
플라비우스 아르카디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카이사리우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플라비우스 호노리우스 아우구스투스 노니우스 아티쿠스 플라비우스 에우티키아누스
동방 에우트로피우스
서방 플라비우스 말리우스 테오도루스
400년
플라비우스 스틸리코
동방 아우렐리아누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8px; padding: 0 6px"
}}}}}}}}}}}}}}}


로마 제국 제43대 황제
막시미아누스
MAXIMIANVS
파일:800px-Musée_Saint-Raymond_-_2017-09-02_-_Inv._Ra_34b_-_4654.jpg
<colbgcolor=#9F0807><colcolor=#FCE774,#FCE774> 이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Marcus Aurelius Valerius Maximianus
출생 250년
로마 제국 판노니아 시르미움
사망 310년 7월 (향년 60세)
로마 제국 마르세유
재위 기간 서방 부제
285년 7월 ~ 286년 4월 2일 (8개월)
서방 정제 1차
286년 4월 2일 ~ 305년 5월 1일 (19년 1개월)
서방 정제 2차
306년 ~ 310년 7월 (4년)
전임자 디오클레티아누스
후임자 갈레리우스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배우자 에우트로피아
자녀 플라비아 막시미아나 테오도라
막센티우스
플라비아 막시마 파우스타
종교 로마 다신교
1. 개요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2.2. 황제 막시미아누스
2.2.1. 바가우다이 반란 진압2.2.2. 카라우시우스의 난2.2.3. 라인강 전선2.2.4. 브리타니아 평정2.2.5. 북아프리카 전선2.2.6. 은퇴
2.3. 아들의 반란에 가담하다(사두정의 내전)2.4. 콘스탄티누스에게 의탁하다2.5. 최후
3. 평가

[clearfix]

1. 개요

로마 제국 제43대 황제. 풀네임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 285년 카이사르(부제)에 올라 브리타니아, 갈리아, 이탈리아, 아프리카 전선을 맡았고 286년 아우구스투스(정제)로 즉위해 제국 서방을 도맡았다.

293년 사두정치가 성립된 후에는 이탈리아, 에스파냐, 아프리카, 라인 전선을 다스렸다. 305년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퇴위했으나 이듬해 아들 막센티우스가 로마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도왔다. 그러나 후에 아들과 갈등을 빚었고 콘스탄티누스에게 의탁했다가 이내 반란을 꾀하다가 발각되는 바람에 처형되었다.

2. 생애

2.1. 황제 즉위 이전

250년경 판노니아 지방의 시르미움 인근에서 태어났다. 막시미아누스의 집안은 농부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다뉴브 국경 지대에서 힘들게 살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성년이 되자마자 군대에 입대하여 아우렐리아누스, 프로부스 황제 치하에서 친구 디오클레스와 함께 복무했다. 283년 카루스 황제의 사산조 페르시아 정벌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해 11월 20일 친구 디오클레스가 이름을 디오클레티아누스로 개명하고 황제로 즉위할 때 지켜봤을 것이다.

별다른 교육을 받지 못했고 깊게 생각하기보다는 행동이 앞섰다. 대단한 정력과 적극적인 성격을 갖췄으며 다부진 체격에 병 하나 걸리지 않을 정도로 건강한 체질이었다. 정치가로서는 재능이 없었지만 군사적 재능이 뛰어났다. 막시미아누스는 친구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존경했고 그의 결정에 언제나 전적으로 따랐다. 디오클레티아누스 본인은 자신이 군인이라기보다는 정치가로서 적합하다는 걸 잘 알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군사적 재능을 만회하려면 막시미아누스의 협력을 받아야 한다고 판단해 그와 함께 제국을 이끌기로 결정한다.

2.2. 황제 막시미아누스

285년 7월 28일,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메디올라눔(지금의 밀라노)에서 막시미아누스를 카이사르, 즉 부제로 임명했다. 막시미아누스는 브리타니아, 갈리아, 이탈리아, 아프리카 등 제국 서방을 맡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발칸 반도, 소아시아, 이집트 등 제국 동방을 맡았다. 이후 286년 4월, 막시미아누스는 아우구스투스, 즉 정제에 즉위했다. 막시미아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동격의 위치에 올랐지만 권위는 디오클레티아누스보다 쳐졌고, 제국의 전반적인 정책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결정했으며 막시미아누스는 이를 따랐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을 요비우스(유피테르)로 칭했고, 막시미아누스는 헤르쿨리우스(헤라클레스)를 칭했다.

293년, 막시미아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두 명의 부제를 선임했다.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를 지명했고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갈레리우스를 지명했다. 두 정제는 부제들과의 정치적 결연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부제들의 양아버지 역할을 맡았다. 또한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에게 딸을 줬고 디오클레티아누스 역시 갈레리우스에게 딸을 줬다. 막시미아누스는 이탈리아와 아프리카, 라인강 전선을 담당했고 콘스탄티우스는 갈리아, 스페인, 브리타니아를 담당했으며,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트라키아, 이집트, 소아시아를 담당했고 갈레리우스는 다뉴브 전선을 담당했다.

2.2.1. 바가우다이 반란 진압

285년, 갈리아에서 바가우다이 반란이 일어났다. 4세기의 역사가 에우트로피우스는 바가우다이를 아만두스와 아엘리아누스의 지도하에 있는 농부들이라고 묘사했고, 아우렐리우스 빅토르는 그들을 도적이라고 칭했다. 역사가 데이비드 S. 포터는 바가우다이들은 퇴역병과 소작민들의 연합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갈리에누스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에 이르는 20년의 세월 동안, 갈리아에서는 많은 소요 사태가 벌어졌다. 이는 농민들의 비참한 삶과 연관이 있었다. 그들은 직속 상급자인 귀족, 군인, 세금 징수관에게 시달렸고 외적의 침략에 고통받았다. 이에 농민들은 절망에 빠져 폭동을 일으키기 일쑤였다. 이번 대규모 반란도 누적된 불만이 폭발했을 가능성이 높다.

엉성한 무기와 억누를 수 없는 분노로 무장한 농민들은 갈리아 전역에서 들고 일어났다. 농민들은 보병이 되었고, 반란에 가담한 목동들은 기병이 되었다. 버려진 마을과 소개된 도시는 불타올랐고, 농민들은 귀족들을 마구 학살하고 재물을 약탈했다. 급기아 그들의 지도자인 아만두스와 아일리아누스는 스스로를 황제로 칭했다. 이에 막시미아누스는 로마군을 이끌고 이들을 삽시간에 토벌해 무기를 소지한 농민들을 모조리 처형하고 나머지 농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냈다.

2.2.2. 카라우시우스의 난

막시미아누스의 활약으로 갈리아는 평온을 되찾았지만, 도버 해협에 인접한 갈리아 북부 해안 지역은 여전히 프랑크 족과 색슨 족으로 구성된 해적들에게 고통받았다. 막시미아누스는 이 해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벨기에에 살고 있던 갈리아의 메나피족 출신의 로마 군인 카라우시우스에게 해적 소탕을 명령했다. 카라우시우스는 나름 일을 잘해 286년 무렵에 해적선을 대량으로 포획했다. 그런데 막시미아누스는 얼마 후 뜻밖의 정보를 입수한다. 카라우시우스가 프랑크, 색슨 해적이 도버 해협을 통과해서 노략질을 하도록 내버려둔 뒤 그들이 재물과 포로를 싣고 돌아가려 할 때 출동해서 해적들을 소탕하고 재물을 모두 빼앗아 원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고 자기 것으로 만듬으로써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명백한 중범죄였고, 막시미아누스는 그를 처형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카라우시우스는 자신이 처형될 거라는 걸 눈치채고 휘하 함대와 일부 야만족 용병들을 이끌고 브리타니아로 피신했다. 그는 브리타니아에서 로마에 충성을 바치는 일부 로마군인들을 숙청하고 브리타니아를 장악한 후 스스로를 브리타니아 제국의 황제로 자칭했다. 막시미아누스는 이 반란에 대해 제대로 대처할 수 없었다. 그에게는 함대가 없었고 마침 헤룰리족과 프랑크족이 갈리아에 침입했던 터라 카라우시우스에게 신경 쓸 틈이 없었다. 한편 카라우시우스는 그의 함대를 강화하고 프랑크족 출신 용병대를 징집하고, 휘하 군대에게 막대한 재물을 나눠줘 절대적인 충성을 확보했다. 이후 그는 갈리아 북부와 도버 해협을 통제하고 자신의 모습을 새긴 동전을 주조했다.

289년, 막시미아누스는 마침내 함대를 갖추고 브리타니아 침공을 개시했지만 실패했다. 공식 기록에는 폭풍이 몰아치는 바람에 함대가 침몰했다고 적혀 있지만, 카라우시우스는 자신이 군사적 승리를 거뒀다고 주장했다. 아무튼 막시미아누스가 브리타니아 제국 평정에 실패한 건 분명한 사실이었고, 그는 당분간 카라우시우스를 건드릴 수 없었다. 이후 막시미아누스는 291년 1월 메디올라눔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만나 카라우시우스 문제를 의논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현실을 인정하고 카라우시우스를 황제로 공인하라고 권유했던 것 같다. 막시미아누스는 어쩔 수 없이 카라우시우스와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그의 브리타니아에서의 종주권을 묵인했다.

2.2.3. 라인강 전선

287년, 헤룰리족과 프랑크족이 갈리아를 대거 침범했다. 막시미아누스는 군대를 이끌고 침략자들과 맞서 싸웠다. 기록이 미비해 그의 활약상이 구체적으로 어땠는지를 알기 어렵지만, 287년 말에 침략자들을 어느 정도 저지하는 데 성공했던 것으로 보인다. 막시미아누스는 287년 말 갈리아에서 개선식을 개최하면서 자신의 군사적 승리를 자축했다. 288년, 막시미아누스는 부르군트족과 알레만니족을 공격해 그들을 제압한 뒤 헤룰리족 등 여러 게르만족을 무찔렀다. 로마군은 도망치는 게르만인들을 추격하여 그들을 괴멸시켰고, 막시미아누스는 여세를 몰아 라인강을 건너 게르만 영토 깊숙이 들어가 적의 본토를 파괴하고 마을을 불살랐다. 288년 게르만족 제압에 성공한 막시미아누스는 갈리아 재건에 착수했다. 또한 국경 지역에 요새화된 도시를 건설했고 도로를 추가로 개설해 군대가 보다 신속하게 전선에 이동하도록 조치했다.

2.2.4. 브리타니아 평정

292년,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카라우시우스가 이끄는 군대의 요충지인 볼로뉴 항을 공략했다. 카라우시우스는 볼로뉴 항 상실 후 권위가 급격히 약화되어 293년 부하 알렉투스에게 암살되었다. 막시미아누스는 293년 3월 1일 콘스탄티우스를 부제로 임명하고 브리타니아 평정을 맡겼다. 콘스탄티우스는 먼저 카라우시우스의 동맹 세력인 프랑크족을 격파하고 몇 년간 함대를 건설했다. 296년 중순,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가 함대를 이끌고 브리타니아로 진군하는 동안 갈리아에서 카라우시우스와 동맹을 맺은 게르만족을 견제했다. 콘스탄티우스는 아스클레피오도투스를 파견해 알렉투스를 주살했다. 이로서 브리타니아 제국은 멸망했고 로마 제국은 브리타니아를 되찾았다.

2.2.5. 북아프리카 전선

289년, 유목민족인 베르베르인들이 북아프리카를 침략해 여러 정착촌을 약탈했다. 이에 마우레타니아 총독이 소규모 부대를 투입해 그들을 내쫓았지만, 베르베르인들은 곧 돌아와 약탈과 방화를 일삼았다. 296년, 막시미아누스는 근위부대, 이집트인, 다뉴브 군대와 갈리아, 게르만 부대, 그리고 트라키아 신병 부대를 동원해 에스파냐로 진군했다. 그는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마우레타니아로 진군한 뒤 베르베르인들을 공격했다. 막시미아누스는 297년에서 298년까지 북아프리카에서 베르베르인들을 추격했다. 그는 베르베르인들을 아틀라스 산맥 너머로 내쫓았고 뒤이어 베르베르인들의 본토로 쳐들어가 그들의 근거지를 파괴하고 가능한 많은 이들을 죽이며 나머지를 사하라 사막으로 내쫓았다. 298년 초 베르베르인과의 전쟁을 마무리한 막시미아누스는 3월 10일에 카르타고에서 승리를 선포한 후 299년 초에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2.2.6. 은퇴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는 로마에서 개선식을 개최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305년 5월 1일 밀라노와 니코메디아에서 열린 행사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는 동시에 은퇴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갈레리우스에게 정제 자리를 물려줬고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에게 정제 자리를 물러줬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의 고향인 살로니움에서 가까운 달마티아에 세운 궁전에서 여생을 보냈다. 막시미아누스는 캄파니아 또는 루카니아의 별장에서 은퇴 생활을 보냈다.

막시미아누스 본인은 은퇴하고 싶지 않았던 것 같다. 306년,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제위에 복귀해달라는 전갈을 보냈다. 그러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빙긋 웃으며 다음과 같이 답했다.
"내 손으로 직접 심은 양배추를 보여줄 수 있다면, 그도 권력을 추구하는 데서 행복을 찾는 짓을 단념할 텐데."

막시미아누스가 이 말에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정계에 복귀하고 싶은 욕망을 단념하지 않았던 듯하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진심으로 은퇴하길 희망했고 다시는 황위에 오를 생각이 없었지만, 막시미아누스는 그렇지 않았다. 55세의 막시미아누스는 아직 정력이 넘쳤고 건강했다. 존경하는 친구의 권유에 따라 은퇴하긴 했지만 자신의 넘쳐나는 열정을 억누르기에는 인내심이 부족한 그로서는 무리였다. 결국 그는 정계에서 은퇴한 지 불과 2년도 되지 않아 정계에 뛰어든다.

2.3. 아들의 반란에 가담하다(사두정의 내전)

306년 7월, 콘스탄티우스 1세 클로루스가 병사했다. 이에 콘스탄티누스 1세는 7월 25일 군대의 추대를 받고 서방 정제를 칭했다. 이에 동방의 정제 갈레리우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부제 취임을 승인해줄 테니 정제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했고, 자신의 재위가 합법화되길 희망했던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후 갈레리우스는 서방의 정제로 발레리우스 세베루스를 지명했다. 그러자 막센티우스는 분노했다. 그는 20여 년간 제국을 위해 많은 공적을 남긴 막시미아누스의 아들이었고 갈레리우스의 딸과 결혼했다. 따라서 그는 적어도 부제에 오르기를 희망했는데, 아버지의 부하였던 자의 아들이 단숨에 부제가 되고 자신은 아무것도 되지 못한다는 건 도저히 납득할 수 없었다.

막센티우스는 로마에 주둔한 근위대와 시민들을 설득해 반란을 일으켜 세베루스 황제에게 충성하려는 로마 시장과 몇몇 고위 행정관들을 살해했다. 그 후 그는 306년 10월 28일 황제에 즉위했고 로마 시민과 원로원의 열광적인 환호를 받으며 로마의 자유와 위엄을 수호해줄 보호자로 지명되었다. 이때 막시미아누스는 아들의 요청을 수락하고 로마로 달려와 황제의 의복을 입고 원로원으로부터 "2번째 아우구스투스"로 지명되었다. 이 소식을 접한 세베루스 황제는 로마로 침공했으나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갖추고 전쟁 경험이 풍부한 막시미아누스를 감당할 수 없었다. 결국 세베루스는 라벤나로 도주했지만 라벤나 시민들에 의해 막시미아누스에게 넘겨졌다. 막시미아누스는 포로가 된 세베루스를 로마로 데려가서 자의를 벗는 조건으로 목숨만은 살려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약속은 곧 뒤집혔고, 세베루스는 스스로 혈관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자살했다.

307년 말, 갈레리우스는 반란을 일으킨 막센티우스를 토벌하러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 북부로 진군했으나 결국 승리하지 못하고 본진으로 귀환했다. 막센티우스가 로마에서 수비를 강화하는 동안,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협상하기 위해 갈리아로 갔다.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의논한 후 자신의 어린 딸 파우스타를 콘스탄티누스 1세와 결혼시키기로 했다. 그 대가로, 콘스탄티누스 1세는 막시미아누스와 동맹을 체결하고 이탈리아에서의 막센티우스의 종주권을 인정했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는 트리어에서 파우스타와 결혼식을 올린 후 아우구스투스를 칭했다.

2.4. 콘스탄티누스에게 의탁하다

비록 막시미아누스 역시 아우구스투스이기는 했으나 어디까지나 아들인 막센티우스의 제안을 받은 것이고, 또 원로원으로부터 두 번째 아우구스투스로 공인받은 것이므로 막센티우스가 선임 황제였다. 이러한 상황에 막시미아누스는 불만과 질투를 느껴 본인이 유일한 황제가 되고자 하였다. 그래서 막센티우스가 제국을 약화시켰다고 비난하며 병사들이 보는 앞에서 막센티우스의 자의를 강제로 벗기려 시도한다. 이는 군이 본인을 지지할 거라는 착각으로 행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미 막센티우스를 지지하고 있던 군은 막시미아누스에게 반발했고, 막시미아누스는 어쩔 수 없이 이탈리아를 떠나야 했다. 막시미아누스는 308년 초에 갈리아로 가서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의탁했다.

308년 11월 11일, 갈레리우스는 이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를 불러 다뉴브 강 상류의 카르눈툼에서 회담을 열었다. 막시미아누스는 이 자리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정계 복귀를 권했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단호히 거부하고 오히려 그에게 정계에서 은퇴하라고 요구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에 대한 존경심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었던 막시미아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설득되어 정계에서 은퇴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막시미아누스와 디오클레티아누스는 갈레리우스의 뜻에 따라 서방 정제로 리키니우스를 삼는 데 동의했다.

2.5. 최후

310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프랑크족이 라인강을 도하해 갈리아를 침입했다는 소식을 듣고 친히 출정했다. 이때 그는 막센티우스가 남쪽에서 쳐들어올 것을 우려해 막시미아누스에게 일부 병력을 맡겨 아를에서 수비하게 했다. 그런데 막시미아누스는 아를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전사했다며 스스로 황제를 칭했다. 막시미아누스는 모든 병사들에게 뇌물을 줬지만 대부분의 병사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충성을 바쳤고 그의 행위를 배신으로 간주했다. 결국 군대의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 막시미아누스는 아를을 떠나야 했다. 이 소식을 접한 콘스탄티누스 1세는 프랑크족과의 전투를 중단하고 재빨리 남하했다.

막시미아누스는 마실리아에 숨었고 콘스탄티누스 1세의 군대는 마실리아를 에워쌌다. 마실리아 주민들은 막시미아누스보다는 콘스탄티누스 1세를 따르는 쪽을 선택하고 막시미아누스를 넘겨줬다.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로부터 강하게 규탄받은 뒤 310년 7월 교수형에 처해졌다. 아버지가 처형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막센티우스는 아버지의 모습을 담은 동전을 주조하고 아버지의 헌신적인 아들로서 복수하겠다고 선언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막센티우스와 격돌하는 기간 동안에는 막시미아누스를 반역자로 단죄하고 그의 이름이 담긴 모든 비문을 파괴하며 그의 얼굴이 담은 초상화를 없앴다. 하지만 312년 10월 28일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막센티우스를 전사시킨 후에는 막시미아누스를 복권시켰다.

3. 평가

막시미아누스는 3세기 말~4세기 초 로마 제국의 탁월한 군략가였다. 그는 재위 20여 년간 제국의 서방을 무난하게 관리했고 게르만족과 베르베르인들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으며,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을 제압했다. 브리타니아에서 반란을 일으킨 카라우시우스를 당장 제압하진 못했지만, 나중에 유능한 장군이었던 콘스탄티우스 1세에게 브리타니아 문제를 맡기고 자신은 후방에서 그를 지원해 브리타니아를 복속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그는 함께 전장을 누빈 동지이자 친구인 디오클레티아누스를 진심으로 존경했고 친구의 모든 결정에 전적으로 따랐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막시미아누스 덕분에 제국 서방의 방위 문제를 짊어질 필요가 없었고 제도 개혁에 전력을 다할 수 있었다. 이렇듯 막시미아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파트너로서 제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했으며, 제국은 그 덕분에 평온해졌다.

그러나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은퇴한 후, 막시미아누스의 넘치는 열정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그는 사실 은퇴할 마음이 없었지만 진심으로 존경하는 친구의 설득에 넘어가 은퇴를 택했다. 하지만 그는 별장에서 조용히 여생을 보내기에는 적합한 사람이 아니었다. 그는 여전히 건강했고 군대를 이끌고 전장에서 야만족과 맞서 싸우고 싶었다. 결국 그는 아들과 원로원의 설득에 넘어가 황제로 복귀했고 존경하는 친구가 애써 세웠던 체제를 파괴하는 데 일조했다. 급기야 정당한 방식으로 선임되었던 제국의 정제를 자살로 내몰며 상황을 극도로 악화시켰다.

그러나 그는 정치 방면에서 심각할 정도로 무능했다. 그의 정치적 행보는 변덕이 극심했다. 그는 아들의 설득에 따라 황제를 칭하고 사두정치를 흔들어버렸지만 막상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대면하자 자신의 입장을 확고히하긴 커녕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요구를 받아들여 황위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친구를 진심으로 존경했던 그는 친구의 뜻에 거역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후 아들이 자신에게 반발하자, 그는 아들과 반목하다가 결국 쫓겨나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의탁했다. 그러나 그는 황제가 되겠다는 야욕을 끝내 뿌리치지 못하고 자신을 받아준 콘스탄티누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대가를 치렀다. 이렇듯 막시미아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두정치를 완성시키는 데 일조했으나 사두정치를 파괴하는 데도 일조하고 말았고, 평온을 되찾았던 제국은 그로 인해 내란에 휩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