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제국 제87대 황제 콘스탄티노스 Κωνσταντῖνος | |
<nopad> | |
<colbgcolor=#702963><colcolor=#FCE774,#FCE774> 이름 | 콘스탄티노스 (Κωνσταντῖνος) |
출생 | 820년대 후반 또는 830년대 초반 |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 |
사망 | 836년 이전 |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 |
재위 기간 | 로마 황제 |
829년에서 836년 사이 | |
공치제 | 테오필로스 |
부모 | 아버지: 테오필로스 어머니: 테오도라 |
형제 | 테클라, 안나, 아나스타시아, 풀케리아, 마리아, 미하일 3세 |
종교 | 기독교 |
1. 개요
동로마 제국 테오필로스의 아들이자 공치제.2. 생애
동로마 황제 테오필로스와 테오도라 황후의 첫번째 아들이다. 동로마 제국 전문 역사가 주디스 헤린(Judith Herrin, 1942 ~)은 테오필로스가 장남에게 콘스탄티노스라고 이름 붙인 것은 아들이 위대한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에 버금갈 황제가 되기를 희망했거나, 콘스탄티노스 5세처럼 성상 파괴주의를 꿋꿋이 이어가기를 바랐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829년 10월 2일 미하일 2세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른 테오필로스는 아들 콘스탄티노스를 공동 황제로 세웠다. 830년대 초에 발행된 솔리두스의 앞면에는 테오필로스의 이미지가 새겨졌고, 뒷면에는 미하일 2세와 콘스탄티노스의 이미지가 새겨졌다.콘스탄티노스의 출생 날짜, 대관식, 및 사망 날짜에 대한 명확한 정보는 전해지지 않는다. 콘스탄티노스 7세가 집필한 <De Cerimoniis(궁정 의례에 관하여)>는 831년의 황제로 테오필로스만 언급했다. 그리고 836년 테오필로스가 아들이 없어서 알렉시오스 모셀레를 카이사르로 칭하고 막내딸 마리아와 약혼하게 했다는 기록으로 보건대, 콘스탄티노스는 836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이다. 이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콘스탄티노스가 820년대 후반에 태어나 831년 이전에 사망했다고 추정하고, 또다른 학자들은 831년 이후에 태어나 836년 이전에 사망했을 거라고 본다. 831/832년과 832/833년에 주조된 동전에 콘스탄티노스의 이미지가 새겨지지 않은 것을 근거로, 콘스탄티노스가 833년이 되어서야 공동 황제가 되었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10세기의 역사 사본 모음집인 테오파네스 컨티누아토스(συνεχισταί Θεοφάνους)에 따르면, 콘스탄티노스는 유모가 미처 확인하지 못한 사이에 블라케르나이 궁전의 물탱크에서 익사했다. 테오필로스는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아들이 죽은 자리에 정원을 조성했으며, 성 사도 교회에 있는 테실리아 대리석으로 만든 석관에 묻었다고 한다. 콘스탄티노스 7세는 <궁정 의례에 관하여>에서 콘스탄티노스의 관이 누이 마리아의 관 옆에 놓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