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2:16:33

늑대인간/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늑대인간
1. 개요2. 서브컬쳐에서3. 캐릭터4. 목록5. 늑대인간 영화

1. 개요

보름달이 뜰 때만 늑대로 변신한다든가,[1] 제 무기에 약한 모습을 보이는 등 현재 대중적으로 알려진 늑대인간의 속성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처음으로 정립된 것이다.

예전 영화에서 늑대인간은 늑대인간에게 물려서 전염되고 보름달이 뜨면 늑대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 상당히 큰 아이덴티티다. 그런데 흡혈귀좀비 강시도 전염성을 가지고 있는 탓에 창작자들이 뭔가 차별성을 추구하려고 하는지 점점 "별도의 종족"으로 다루는 추세도 늘어나고 있다.[2] 특히 흡혈귀와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은데, 서로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대는 대립 관계로 묘사한다. 흡혈귀가 귀족적이고 우아한 모습을 뽐낼 때 늑대인간은 상스럽고 거친 문제아, 단순한 다혈질 바보, 야성의 본능을 버리지 못하는 호전적인 전투광 혹은 그냥 괴물로 나오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며, 게임에서도 주인공으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반대로 음산하고 요사스러운 흡혈귀를 사냥하는 전사라는 이미지를 가지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흡혈귀가 등장하는 어반 판타지물에서는 흡혈귀의 주요 적대자로서 등장한다. 주인공이 어느 쪽 진영이냐에 따라 대우가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이런 반항아적인 모습이 Bad ass 기믹으로 비쳐 주역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일부 작품에서는 늑대인간과 흡혈귀의 혼종이 등장하는 클리셰도 보인다.

늑대인간물에 자주 등장하는 클리셰로 도입부에서 주인공이 다른 늑대인간에게 물려서 늑대인간이 되는 경우가 있다.

2. 서브컬쳐에서

수인형 캐릭터들이 그렇듯 늑대인간은 서브컬처에서 그렇게까지는 자주 등장하지 않는 편이다. 같은 서양요괴이자 일단 겉보기엔 인간과 흡사한 뱀파이어와는 달리 생긴게 늑대 괴물이다 보니 인기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 나아가 인간과 닮아 생김새에 따라 여러 캐릭터성을 부여하기 쉬운 뱀파이어에 비해 늑대인간은 우직한 인상의 거구로 그려지기 때문에 캐릭터성이 마초 스타일로 획일화되는 문제도 있다. 생김새에서 남성미와 야성미가 물신 풍기는지라 서브컬처의 늑대인간은 남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영화 진저스냅 같이 여성 늑대인간이 메인인 작품은 정말 찾아보기 힘든 편. 게다가 늑대인간이라는 소재가 여성향 로맨스 및 BL에서도 많이 쓰이는 소재다 보니 여성 늑대인간 캐릭터 찾아보기가 거의 하늘에 별 따기 수준이다. 작품에 따라 여성 늑대인간(이 안 나오는 것)에 대해 따로 설정을 붙혀놓는 경우도 있다. 다만 그와 별개로 수인 팬덤에서는 가장 인기있는 장르라고 할 만큼 많이 그려진다. 사실 늑대인간이 아니고 늑대 수인에 더 가깝다.[3]

특성 자체도 늑대와는 많이 다르게 묘사되는데, 서브컬처에서의 늑대가 개체 자체는 별로 강하지 않고 쪽수와 조직력이 강점이며, 그마저도 보통은 잡몹처럼 묘사되는데 반해 늑대인간은 상당히 강한 야수처럼 묘사되는 편이다.

트와일라잇 시리즈이나 해리 포터 시리즈처럼 아예 완전한 늑대의 모습으로 등장시키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사실 이쪽 묘사가 원조 늑대인간이다.

한국이나 일본 쪽 서브컬처에서는 동물귀 캐릭터를 등장시켜서 늑대인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가 빈번해서 동물귀와의 경계가 흐릿해져버린 수인과 달리 늑대인간은 캐릭터가 워낙 확고하게 잡혀있어서 자주 생기는 일은 아니다.

대체로 늑대인간 캐릭터는 인간 상태에서도 거칠거나 야성적인 성격이나 모습을 가진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인간일 때 얌전한 성격이더라도 늑대인간으로 변신하면 성격이 거칠게 변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대체로 몸집이 인간일 때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옷이 일부분 찢어지거나 아예 하의까지 다 찢어지기도 한다.

또한 어쩔 때는 코볼트가 개인간/늑대인간 몬스터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RPG류 게임이라면 그냥 늑대인간 자체가 코볼트, 고블린, 오크처럼 플레이어 캐릭터에게 털리는 잡몹 신세로 전락하기도 한다. 단 특수 개체라면 마냥 잡몹 신세로 취급되지는 않는다. 이외에도 양판소에서는 썩 취급이 좋지 않다. 굳이 양판소가 아니더라도 가운데땅 시리즈처럼 다른 악역 종족들과 한데 묶여서 악역으로만 취급되기도 한다.

뱀파이어가 메인인 매체에선 상당히 자주 등장하는데 언더월드반 헬싱처럼 뱀파이어의 숙적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끔 뱀파이어와 공생하는 관계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뱀파이어는 지적 능력이 높고 늑대인간은 육체적 능력이 높게 그려진다. 또 초재생능력을 가진 경우도 많다.

때문에 뱀파이어에 비해 늑대인간이 주인공이나 히로인인 경우는 찾기 힘든 편이다. 늑대인간이 주인공인 만화책은 뱀파이어 번드의 아키라, 울프가이의 이누가미 아키라, 케모노기가수공유격대 아카츠키미츠미네 유우가 있고 영화는 틴울프의 스캇 맥콜 등이 있고, 그외에 페이블즈의 주연 빅비도 늑대인간에 해당된다.[4] 이외에도 늑대인간 캐릭터가 비중있게 등장하는 만화는 두치와 뿌꾸(리노), 빨간망토 차차(리야)가 있다. 애니메이션으로는 늑대아이울프워커스 등도 있다.

3. 캐릭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rowcolor=#ffffff> 매체 캐릭터 이름 작품명
게임 가로쉬, 위고르, 샤칸, 에쉬르, 쥴탄[5]서머너즈 워 : 천공의 아레나
게임 가론뱀파이어 시리즈
게임 갈라Coffee Talk, Coffee Talk Episode 2: Hibiscus & Butterfly
게임 펜리르라스트오리진
게임 프레디 디스라이트
게임 가브리엘 나이트,[6] 폰 젤, 폰 그로워, 루트비히 2세가브리엘 나이트 2
게임 그레이메인[7]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게임 늑대소울 나이트
게임 늑대인간 ABC(이름없음)타뷸라의 늑대
게임 늑대인간[8]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게임 거짓의 키르슈, 위장자[9]던전앤파이터
게임 늑대인간데스 브레이드
게임 드루이드디아블로2
게임 디노 알바니HELIOS RISING HEROES
게임 라이언 우드가드그랜드체이스
게임 백리향, 백연식루베도 아니무스
게임 소냐 라이칸스로프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게임 라이칸, 워울프서든어택
게임 라이칸, 바르콜락[10]바이오하자드 빌리지
게임 루나가론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
게임 루 베오울프마법사의 밤
게임 미마사카 아리스내 여자친구는 인간이 아니야
게임 발켄하인 R 헬싱블레이블루
게임 뱀파이어 (게이머) / 던울프아크, 알칸 (몬스터)다크에덴[11]
게임 베르드엘소드
게임 베어울프모바게 바하무트
게임 베인할로우도타 2
게임 볼프와 그 부하들[12]닌자 가이덴 2
게임 브래드 팽콘트라 더 하드 코어, 콘트라 오퍼레이션 갈루가
게임 빅비 울프울프 어몽 어스
게임 서슬몬스터길들이기
게임 세이버울프킬러 인스팅트
게임 소닉 더 웨어혹소닉 월드 어드벤처
게임 스페이스 울프[13]Warhammer 40,000
게임 아벨, 카인를 포함한 레인울프 가문 구성원테일즈런너
게임 아처 타임 프린세스
게임 울햄킹 오브 데몬즈 R
게임 유고블러디 로어
게임 워윅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 웨어울프로스트사가
게임 웨어울프모바게 바하무트
게임 웨어울프맛 쿠키쿠키런
게임 이누바시리 모미지[14], 이마이즈미 카게로[15]동방 프로젝트
게임 이도형외모렌탈샵
게임 인랑언라이트
게임 자칼전함소녀
게임 용병[16] 제5인격
게임 제2형 비스크라브렛확산성 밀리언 아서, 괴리성 밀리언아서
게임 코넬악마성 드라큘라 묵시록 외전 LEGEND OF CORNELL
게임 코들랙 화이트메인, 사냥꾼 에일라, 빌카스, 파르카스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게임 로스트 바이킹
게임 인화늑대인간, 수화늑대인간, 만월늑대인간바람의 나라
게임 볼프람, 투르게, 플레이어[17]붉은 보석
게임 릴 펜시, 울프가이강철전기 C21코즈믹 브레이크
게임 짐승인간[18]마피아42
게임 케인 해그너, 라르스 해그너, 바론 해그너로얄 블러드(메이비)
게임 웨어울프, 야가[19], 우드워스, 쿠코치히코Fate/Grand Order
게임 해킷 먼스터화산의 딸
게임 흑검 말리케스, 반 늑대 블라이드엘든 링
게임 스트라이더베요네타 3
게임 촌장 눅데인 가안, 니 도냐스포일러가 너무 심한 RPG ―마지막 적의 정체는 용사의 아버지―
게임 카일The WereCleaner
라이트 노벨 루나몬스터 프린세스
라이트 노벨 토드 팽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만화/게임 워울프(빈스 마커스)마블 코믹스
만화/애니 웨어울프[20]귀전구담
만화/애니 가면귀[21], 지훈, 대쉬신비아파트 시리즈
만화/애니 그이, 유키, 아메[22]늑대아이
만화/애니 남견우, 권승우, 권시우, 서이나슈퍼 시크릿
만화/애니 늑대(명칭)레드 후드(웹툰)
만화/애니 도라니코프더 도라에몽즈
만화/애니 라이컨 슬로프, 제네틱 워울프, 칠흑의 전사 워울프, TG 워울프유희왕
만화/애니 루가루8용신전설
만화/애니 리노두치와 뿌꾸
만화/애니 리루연금 3급 매지컬 포카~앙
만화/애니 리야빨간망토 차차
만화/애니 리자 와일드맨괴물왕녀
만화/애니 모리오카 긴에이로자리오와 뱀파이어
만화/애니 미즈키 시도벚꽃사중주
만화/애니 볼프강게게게의 키타로
만화/애니 블리츠울퍼[23]벤10 시리즈
만화/애니 시랑, 쿠도, 귀아, 선대 늑대왕, 회색왕, 12전사, 미루, 랑, 운주도깨비언덕에 왜 왔니?
만화/애니 아키라 카부라기 레겐돌프뱀파이어 번드
만화/애니 안토니 로물루스배트맨 TAS 43화
만화/애니 야규 쥬베[24]검용전설 야이바
만화/애니 에조모리 노조무카노콘
만화/애니 오오가미 시로BNA
만화/애니 올리비에하트캐치 프리큐어!
만화/애니 우기명패션왕[25]
만화/애니 안 잡아먹어요? 늑대 씨.
만화/애니 울프뱀파이어소녀 달자
만화/애니 울프룬[26]스마일 프리큐어!
만화/애니 울프 보이블러드 래드
만화/애니 울피용의 전설 레전더
만화/애니 이누가미 코타로[27]마법선생 네기마!
만화/애니 이리텔레몬스터
만화/애니 장 자크몬드스프리건
만화/애니 재브라원피스
만화/애니 최아랑과 그의 가족들흡혈고딩 피만두
만화/애니 코마무라 사진블리치
만화/애니 이나바 히로시[28]를 비롯한 등장인물 다수큐티클 탐정 이나바
만화/애니 체인 스메라기[29]혈계전선
만화/애니 리전(마블 코믹스)[30]마블 코믹스
만화/애니 타츠미(시귀), 스포일러 시귀
만화/애니 플로렌스 암브로즈 [31]Freefall
만화/애니 한스 권셰헬싱
만화/애니 호에자키 시로 늑대 군은 무섭지 않아
만화/애니 현달국접지전사 시리즈
만화/애니 존 나세고스트 아카데미
만화/애니 M-21[32], 5장로, 마두크, 켄타스,
무자카, 그루이, 가이탄, 드라쿤,
마운트, 카이오, 미라이, 우르네, 쿠하루, 가르다, 도란트, 브랑, 자이가, 가우라, 바슘, 고타루, 고르마, 크라노, 우지르, 가야르, 주라키, 애슐린[33]
노블레스
만화/애니 블라드미르 엘류트 키릴렌코1031 만성가, 만성가
만화 라이칸 7세, 웨어울프, 도도코믹 메이플스토리 오프라인 RPG
만화 이누가미 아키라울프가이
만화 백산, 디젤울프 인더 하우스[34]
만화 울프강 루치페르 주니어괴물신부
만화 미츠미네 유우케모노기가, 수공유격대 아카츠키
만화 , 나자크, 엔지, 타헬, 기리, 루이, 루카, 마한, 루슬란, 카밀DARK MOON: 회색 도시
만화 로젤린 마이로드, 울프퀸
만화/드라마 늑대인간 디투환생학교 요괴반
소설/웹툰 나인 포톤, 잭 포톤, 미젠 포톤그 악녀를 조심하세요
소설/애니 네이트 미토츠다이라[35],튀렌[36], 프랜시스 드레이크[37]경계선상의 호라이즌
소설/애니 베이트 로가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
소설/웹툰 베인 아르가스[38]도시야월기담
소설 사란디테에소릴의 드래곤
소설 서현, 서린월야환담 시리즈
소설 오오라개와 공주
소설 에밀리아 실버리온월드 티처
소설 라트 발렌시아오라전대 피스메이커
소설 지데, 케이토오버 더 시리즈
소설 인란드, 그림울프Grim Wolf, 울프 그림로드Wolf Grim Lord 등몬스터X몬스터 - 허무왕
소설 루푸스레기나 베타오버로드(소설)
소설/영화/게임 리머스 루핀, 펜리르 그레이백, 키아라 로보스카, 스칼렛 스팍스[39]해리 포터 시리즈, 해리 포터: 호그와트 미스테리
소설/영화 델핀 ‘앙구아’ 본 우버왈드디스크월드
소설 드라우글루인, 사우론 휘하의 늑대인간들, 카르카로스레젠다리움
소설/영화 제이콥 블랙트와일라잇 시리즈
영화 늑대인간캐빈 인 더 우즈
영화 늑대인간구스범스
영화 애나늑대인간의 후예
영화 로렌스 탈봇울프맨(영화)
영화 철수[40]늑대소년
영화 가브리엘 반 헬싱, 벨칸 발레리우스반 헬싱
웹툰 하루, 미호, 초코, 프링, 토르, 후크 등 늑대인간 전원하나의 하루
드라마 루파인 파장 인간 변형태닥터후
특촬물 늑대 장관가면라이더 스트롱거
특촬물 신메이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특촬물 오가미 타쿠미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파이즈의 세계
특촬물 이누이 타쿠미가면라이더 555
특촬물 지로가면라이더 키바
특촬물 후카미 고우수권전대 게키레인저
특촬물 늑대인간 (서양 3대 요괴)수리검전대 닌닌쟈

4. 목록

5. 늑대인간 영화

  • 굿 매너스(Good Manners, 2018)
  • 나자리노(Nazareno Cruz Y El Lobo, 1974)[41]
  • 늑대소년(A Werewolf Boy, 2012)
  • 늑대의 혈족(The Company Of Wolves, 1984)
  • 늑대인간(Lone Wolf, 1988)
  • 늑대인간의 습격(Wolfen, 1981)
  • 늑대인간의 저주(The Curse of the Werewolf, 1961)
  • 늑대인간의 후예(Wildling, 2018)
  • 텍사스의 멕시코 늑대인간(Mexican Werewolf in Texas, 2005)
  • 도그 솔저스(Dog Soldiers, 2002)
  • 러브, 데스 + 로봇 옴니버스 시리즈 중 ‘늑대인간’ 편 / 해당 단편 영화에서 등장하는 늑대인간은 기존에 존재하던 늑대인간들의 클리셰를 기묘하게 비틀어 차용해 놓았다. 가령, 상시 변신이 가능하지만 전투씬에서는 보름달이 떠있는 하늘을 보여주는 등.
  • 틀:몬스터 호텔 시리즈
  • 반 헬싱(Van Helsing, 2004)
  • 비튼(Bitten)[42]
  • 빅 배드 울프(Big Bad Wolf, 2006)
  • 실버 불렛(Silver Bullet, 1985)
  • 언더월드(Underworld, 2003)
  • 언더월드 2: 에볼루션(Underworld: Evolution, 2006)
  • 언더월드 3: 라이칸의 반란(Underworld: Rise of the Lycans, 2009)
  • 언더월드 4: 어웨이크닝(Underworld 4: Awakening, 2011)
  • 언더월드: 블러드 워(Underworld 5: Blood War)
  • 울프(Wolf, 1994)
  • 울프 맨(The Wolf Man, 1941)[43]
  • 울프 맨(The Wolf Man, 2010)
  • 스킨 워커스(Skin Walkers, 2006)[44]
  • 진저 스냅(Ginger Snaps, 2000)
  • 진저 스냅 2(Ginger Snaps II: Unleashed, 2004)
  • 진저 스냅 3(Ginger Snaps Back, 2004)
  • 커스드(Cursed, 2005)
  • 틴 울프(TEEN WOLF, 1985)
  • 틴 울프 2(TEEN WOLF 2, 1987)
  • 파리의 늑대인간(An American Werewolf in Paris, 1997)[45][46]
  • 하울링(The Howling, 1980)
  • 하울링 2(Howling II: Your Sister Is A Werewolf, 1985)
  • 하울링 3(Howling III: The Marsupials, 1987)
  • 하울링 4(Howling IV: The Original Nightmare, 1988)
  • 하울링 5(Howling V: The Rebirth, 1989)
  • 하울링 6(Howling VI: The Freaks, 1991)
  • 하울 (HOWL, 2015) 외딴 곳에서 멈춘 열차에서 늑대인간들과의 사투를 그린 영화. 영국 영화로 저예산이다보니 여러 저렴한 효과도 있긴 하지만 볼만한 편.
  • 바이킹 울프 2022(Viking Wolf 2022) 바이킹 시대 때 수도원에 갇힌 늑대인간이 풀려나 사람을 공격하고 공격 받은 사람들 또한 늑대인간이 되는 바람에 노르웨이 한 시골 마을까지 늑대인간의 공격을 받게 되는 영화이다.


[1] 간혹 구름이 가려지는 식으로 달을 보지 못하면 변신하지 않는다는 옵션이 붙는 경우도 있다.[2] 다만 원래 전승에서는 전염성을 가진 크리쳐는 흡혈귀랑 늑대인간밖에 없다. 좀비는 본래 부두교 전설에서는 전염성이 없는 그냥 되살아난 시체였다.[3] 늑대인간까지는 아니더라도 수인 캐릭터들이 중심으로 나오는 작품에서도 여성형 늑대 캐릭터가 나오는 작품들 역시 드문 편이다.[4] 다만 빅비는 원래 형태가 늑대이고 마법에 걸려서 인간 형태도 얻게 된 것[5] 각성형 기준[6] 저주에 걸려서 일시적으로 늑대인간이 된 적이 있다.[7] 아래 워크래프트 시리즈(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등장하는 겐 그레이메인이다.[8] 종족 수장인 겐 그레이메인을 필두로 무수한 NPC가 늑대인간 등장인물이고, 유저가 생성해서 플레이 가능한 종족이다.[9] 과거엔 뱀파이어와 같이 위장자의 변종이라는 설정이 있었다.[10] 단순 늑대인간을 연상케 하는 괴물로 바뀐 라이칸과 다르게 바르콜락은 늑대의 피를 주입해서 탄생했다.[11] 게이머는 그냥 스킬을 통한 변신. 레벨 150이 넘어 승직을 해야만 습득할 수 있다. 던울프아크는 원래도 늑대(인간)족이였고, 죽어서 뱀파이어로 부활한 것. 알칸은 뱀파이어가 늑대인간에게 물려서 생긴 돌연변이. 참고로 던울프아크는 레벨 100짜리 고레벨 몬스터인데 알칸은 20짜리 제레벨 몬스터[12] 볼프는 팔이 4개이며 바람의 힘을 다룬다. 부하들은 평범한 늑대인간인데 게임이 게임이다보니 아군의 시체를 집어던지기도 한다[13] 모티브가 북유럽 신화+바이킹+늑대인간. 설정 상으로도 울펜이라고 해서 가끔 늑대인간으로 변하는 부대원들이 있다고 한다.[14] 정확히는 백랑텐구로 늑대가 텐구가 된 것. 딱히 모습이 변화한다는 설정도 없는 등 굳이 따지자면 늑대인간이 아니라 늑대 수인 캐릭터에 더 가깝다.[15] 모미지와 달리 이쪽은 종족이 늑대인간(狼女).[16] 정확히는 기생, 감염 스킨만 해당.[17] 마법사 & 늑대 인간 클래스 한정.[18] 이 경우는 엄밀히 말하자면 늑대인간이 아닌 말 그대로 짐승인간이다. 낮에는 인간으로, 밤에는 사람의 피를 갈구하는 짐승이 되는 것이다.[19] 영구동토제국 아나스타샤에서 혹한에 견디기 위해 인간과 마수를 합성한 수인 종족[20] 엄밀히 말하자면 아기의 영혼과 강아지의 영혼이 합쳐져 태어난 귀신이다.[21] 정확히는 모티브인 울프맨.[22] 유키와 아메는 정확히는 쿼터이며, 그이는 혼혈이다. 극 중에서 유키가 "늑대와 인간이 만나 결혼을 해 아빠를 낳은 것입니다." 라고 말한다.[23] 늑대인간형 외계인이다.[24] 술을 마시면 늑대인간으로 변신.[25] 진짜 늑대인간이 아니라 패션쇼 도중에 변한 것. 그뿐만이 아니라 주인공 우기명은 닭으로도 변한 적이 있다. 물론 비난과 혹평은 덤. 이말년은 이걸 보고 인류 역사상 핵폭탄 이후로 나와선 안될 것이 나왔다며 "미친놈아, 무슨 수왕기냐!!"라며 이말년씨리즈에서 디스.[26] 사실 늑대인간 이라기 보다는 늑대를 의인화 한 수인 캐릭터에 가깝다. 애초에 모티브 부터가 동화 속의 늑대이니.[27] 더 정확히 말하자면 구족(狗族)과 인간의 혼혈. 서양 마법사나 악마 등 서양문화권에 속한 이들에게는 '웨어울프'라고 불렸다.[28] 보름달을 봐서 변신하는건 아니고 유타한테 점혈당하고 시크릿 도베르만의 힘을 각성시켜서 변신한다.[29] 목록의 다른 늑대인간 들과는 다르게 이름만 늑대인간이지 늑대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 특징. 오히려 투명인간이나 유령에 가까운 능력이다"[30] 늑대인간 능력을 가진 인격으로 교체하면 변한다. 힐링 팩터는 덤.[31] 유전공학으로 만든 말 그대로 늑대형 인간, 인공생명체[32] 순수 늑대인간은 아니고 그들의 심장을 이식 받은 개조인간.[33] 늑대인간과 인간의 혼혈.[34] 흔히 늑대 하면 떠오르는 그런 모습이 아니라 외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형견 모습으로 변신한다. 그 변신도 자의가 아니라 낮에는 늑대, 밤에는 인간으로 강제 변신한다.[35] 늑대인간 혈족이지만, 늑대인간과 인간의 혼혈이라 늑대형 변신은 못하지만 수인의 괴력은 갖고 있다.[36] 늑대인간의 여왕이자 네이트의 어머니[37] 반랑(하드울프)로 인간이 아닌 늑대인간형으로 계속 등장[38] 작중에서 늑대로 변신한 적은 아직까진 없지만, 늑대인간이라 보통 인간의 배에 달하는 신체능력을 지녔다.[39] 앞의 두 인물들과는 달리 이 둘은 여성이다.[40] 겉모습은 인간과 다를 바 없지만 분노 할 때 털이 수북한 짐승으로 변한다. 박종두 박사가 학대에 가까운 실험과 조련으로 인간임에도 늑대같은 행동을 하고 다니는 것. 여담으로 이름의 유래는 여주인공인 순이의 아버지가 아들 낳게 되면 지을 이름이다.[41] 1974년 아르헨티나 영화로 영어 제목은 The Love Of The Wolf. 1976년에 국내에 개봉해 서울관객 35만으로 당시 대박을 거둔 영화로 국내 개봉 남미 영화 최대 흥행작(40년이 넘어도 아직도 안 깨졌다)이기도 하다. 1985년 1월 20일 명화극장에서 더빙 방영했으며 영화도 대박이지만 음악도 유명해 주제곡인 When a Child is Born클론<사랑과 영혼>이란 노래로 부른 바 있다.[42] 여성 늑대인간이 주인공인 드라마인데 기본적으로 옷을 벗은 후에 변신을 해서 노출도가 높으며, 연도가 오래되지 않아 CG기술이 발달해서 그런지 변신모습이 파격적이다.(실제로 보면 신체에 순식간에 털이 자라나고 손발과 얼굴이 변형되는 모습이 매우 사실적이다. 드라마 특성상 중요부위는 드러나지 않는다. 시즌2에 들어서는 경고라도 받았는지 변신시 노출이 시즌1에 비해서 현저히 줄어들었고, 시즌3에서는 아예 주인공의 노출변신씬 자체가 없다.[43] 유니버설 픽처스의 영화로 유니버설에선 런던의 늑대인간(Werewolf In London)이란 영화도 만들었는데 1935년 영화로 81년도의 영화와 별개의 작품이다.[44] 디워의 남주인공(?) 제이슨 베어가 메인 악역으로 등장한다.[45] 초반부에 늑대인간인 여주인공이 변신하는 씬은 매우 파격적, 옷을 찢으면서 변신을 하는데 머리부터 발까지 천천히 내려가면서 변신하는것을 보여준다. 19세 영화답게 가슴이 변하는 모습에 암컷 늑대인간이므로 복부에 유두가 생겨나는것까지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옷은 상의는 벗고 치마는 나중에 카메라 앵글이 내려갈때 찢기 시작하는데 치마가 찢어지면서 팬티가 살짝 노출된다. 감독이 특수효과 출신 감독이라 그런지 20년전 CG라 볼수없을정도로 변신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46] 런던의 늑대인간 후속격이지만 비극으로 끝나는 전작과 달리 해피엔딩이다. 마지막에 자유의 여신상 신혼 부부 번지점프는 명장면이며 그리고 국내 어느 TV광고가 그대로 표절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