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든 링|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공략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 스핀오프 · 밤의 통치자 영화 · 엘든 링 |
엘든 링 エルデンリング ELDEN RING | |
<nopad> | |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ffff,#fafafa> 개발 | 프롬 소프트웨어 |
유통 | 프롬 소프트웨어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 | PS4[1] | Xbox One[2] | PS5[3] | Xbox Series X|S[4] | Windows | Nintendo Switch 2 |
ESD | PlayStation Store | Microsoft Store | Steam | 닌텐도 e숍 |
장르 | 3인칭 오픈 월드 ARPG |
출시 | 2022년 2월 25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5] |
심의 등급 | [6] |
관련 사이트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출시 트레일러 |
王となれ 왕이 되어라 |
소울 시리즈, 블러드본,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의 개발자인 미야자키 히데타카가 디렉터와 시나리오 라이터를 맡고, 다크 소울 2의 디렉터이자 다크 소울 3의 공동 디렉터를 맡던 타니무라 유이가 미야자키와 함께 공동 디렉터를 맡았다. 또한 얼음과 불의 노래의 작가 조지 R.R. 마틴이 세계관 제작에 참여했다.
2. 트레일러
E3 2019 발표 |
SGF 2021 게임 플레이 |
게임 플레이 미리보기 |
예약 판매 트레일러 |
스토리 트레일러 |
개요 트레일러 |
공식 론치 트레일러 |
3. 프롤로그
|
영원의 여왕 마리카를 받드는 틈새의 땅에서 황금 나무의 근원인 엘든 링이 부서졌다.[7][영어판] |
4.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010101><colcolor=#b69c65> 운영체제 | Windows 10 | Windows 10, Windows 11 64-bit |
프로세서 | Intel Core i5-8400 AMD Ryzen 3 3300X | Intel Core i7-8700K AMD Ryzen 5 3600X |
메모리 | 12 GB RAM | 16 GB RAM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60 3GB AMD Radeon RX 580 4GB Intel ARC A380 6GB | NVIDIA GeForce GTX 1070 AMD Radeon RX Vega 56 Intel ARC A750 8 GB VRAM |
API | DirectX 12 | |
저장 공간 | 80 GB | |
사운드카드 | Windows Compatible Audio Device |
최소 사양과 권장 사양이 기존의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들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편이다. 최소 사양을 만족하는 그래픽카드가 GTX 1060인데 이는 레드 데드 리뎀션 2의 권장 사양과 맞먹는다.[9] 차세대 콘솔 출시로 전체적인 사양이 높아지며 일어난 변화로 보인다.
그래픽 카드와 별개로 CPU 부하가 매우 높다.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장착한 PC에서도 종종 스터터링(stuttering)이 발생한다는 사용자들이 많은데 CPU가 부하를 견디지 못해 쓰러틀링(throttling)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10] 수랭식 CPU나 강력 공랭 쿨러가 아닌 순정품(기본) 쿨러를 단 CPU의 경우 게임 실행 중에 온도가 기본 80도, 심하면 100도까지도 상승한다. 그래픽 옵션을 낮추면 CPU 과열도 줄어든다.
정식 발매 직후엔 나쁜 수준의 최적화 및 요구 사양에 비해 부실한 그래픽, 콘솔은 물론 PC까지 최대 프레임을 60까지 제한하면서 비판을 받았고, 게임을 구동하면 발생하는 물리 엔진 및 그래픽 엔진 버그 등등으로 쓴소리를 들었다. 레이 트레이싱은 요구 사양에 비해 좋지 않다.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출시 이후에 Intel ARC 그래픽카드 대응과 더불어 용량이 20GB 올랐다.
5. 게임플레이 및 특징
개발사의 대표작 소울 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작에 가까운 게임으로 이질적인 플레이를 요했던 블러드본이나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와는 달리 구르기, 패리 등으로 대처해야 하는 전투 체계를 비롯하여 소울 시리즈와 여러 공통점을 지닌다.기존 시리즈의 큰 특징이던 선형적 구조의 맵이 아닌, 넓고 광활한 세계를 바탕으로 플레이어가 스스로 탐험하며 숨겨져 있는 던전이나 지역을 발견하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재미가 가장 큰 특징이다. 시작 지역부터 다른 구역에서 성장 후 도전할 것을 전제로 하는 고난이도 보스들이 다수 등장하며 플레이어는 이를 정면돌파하거나, 다른 길을 찾아 더 강해진 후 재도전해 보거나 아예 무시하고 다른 길로 접어들 수 있다. 그에 따른 이동 경로 역시 다양하고 필수 보스들을 돌파하는 순서 등은 플레이어의 몫이다. 플레이어에게 있던 제약이 줄어든 대신 적들의 패턴이 또한 대폭 강화되어 단순히 가드로 막거나 회피를 연속하며 피할 수 없는 공격들이 대거 나타난다.
스토리 전개는 개발사의 대표작들과 비교하면 파편화된 단서들로 인해 추상적이었던 소울 시리즈과 비교적 자세하게 제시한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의 중간 정도이다. 세계와 장소 뿐만이 아닌 데미갓을 위시한 주요 캐릭터에도 중점을 두어 캐릭터성을 부여하고 각 인물들의 목적과 상태를 직접적으로 꽤 상세하게 전달하면서 게임의 스토리가 주인공에게만 집중되지 않게 만들어 준다. 특정 엔딩에서 주변 인물들이 주인공보다도 강조되는 점에서 두드러지고 한편으로는 '엘든 링'이란 존재의 설정 등 주인공이 나타나기 이전의 사건들은 소울 시리즈처럼 간접적인 단서들로 유추해야 한다. 엔딩은 여러 가지이며 이는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세계관 및 양식은 중세 유럽을 바탕으로 여러 전승과 신화를 일부 모티브로 삼았다. 가문과 문장을 중시하는 조지 R.R. 마틴 특유의 스토리텔링에 맞게 각 세력들은 의복부터 장식, 건축물까지 상징이 폭넒게 쓰인다. 주문 역시 분파별로 고유한 문장을 사용한다.
타 오픈 월드 AAA 게임들과는 달리 퀘스트나 스토리를 진행해도 다음 목표가 명확히 제시되는 경우가 드물다. 또한 영체의 존재로 인해 적에 따라선 영체를 비롯한 아군이 없을 경우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있으며, 숨겨진 요소도 매우 많기 때문에 플레이어끼리 소통하며 정보를 얻는 플레이가 권장된다.
5.1. 게임 요소
5.2. 기본 환경
- 캐릭터 생성과 외모 설정은 소울 시리즈/블러드본처럼 자유롭다. 각 출신마다 초기 능력치와 시작 장비가 달라지며 방랑기사, 검사, 용사, 도적, 점성술사, 예언자, 무사, 죄수, 밀사, 빈털터리 총 10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룬이 레벨 업 수단 및 화폐 역할을 하며 캐릭터가 사망하면 소유한 룬을 사망한 자리에 드랍하고 체크포인트인 축복에서 다시 부활하며, 몹들이 전부 리젠된다. 아이템은 떨어트리지도 않고 능력치 다운도 안 되는 것은 물론, 사용한 성배병까지 도로 채워진다. 드랍한 룬은 줍기 전에 다시 사망하면 영구적으로 잃는다. 일부 수단으로 사망하더라도 룬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
- 실시간으로 시간대와 날씨가 바뀐다. 아울러 각 날씨가 게임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다.
- 강우 시에는 피가 주인공의 몸에 피가 튀지 않으며, 털이나 갑옷이 물에 젖어서 색상이 진해진다. 아울러 벼락 계열 대미지가 높아지고 화염 계열은 낮아진다.
- 드물게 황금잎이 휘날리는 날씨에는 적 처치 후 획득하는 룬이 상승한다.
- 같은 장소라 하더라도 야간에만 만날 수 있는 적이 있으며, 야간에는 적의 시인성이 하락하지만 일부는 낮보다 더욱 공격적으로 성향이 바뀐다.
|
- '마리카의 쐐기'는 축복과는 다른 리스폰 지점으로 축복과 다르게 오직 리스폰만 가능하며, 마리카의 쐐기 근처에서 사망할 시 마지막으로 휴식했던 축복에서 부활할 지, 아니면 마리카의 쐐기에서 부활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층 구조로 된 특정 던전에선 축복은 입구에만 축복이 설치되어 있고 특정 층계나 보스전 직전에 마리카의 쐐기가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 필드와 원탁에는 다양한 NPC들이 존재하고 이들과의 관계는 해당 NPC와의 스토리는 물론 엔딩 분기에도 관여하는 경우가 있다.
- 회차를 반복할 때마다 적이 강화되고 최대 8회차까지 강해진다. 4회차부터는 적이 받는 강인도 대미지도 감소한다.
5.3. 이동 및 지역
|
* 영마는 던전 내부, 멀티플레이 도중에는 소환할 수 없다. 영마를 타고 있었는데 갑자기 저절로 내리는 경우 암령의 침입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영마는 자체적으로 체력이 있고 영마의 체력은 주인공의 레벨에 따라 증가하며, 플레이어는 영마에게 먹이를 주어 체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토렌트가 강한 공격에 맞으면 낙마할 수도 있으며[11] 체력이 다해 사라진 경우 붉은 성배병을 하나 소모해야 다시 불러낼 수 있다. 물론 축복에서 쉬면 영마도 회복한다.
- 낙사 최소 높이는 넉넉하며, 낙하 데미지를 안 받는 최대 높이와 낙사 최소 높이의 차이가 매우 좁다. 가령 낙사 최소 높이가 15m면 거의 12m까지 데미지가 없다가 14m에서 떨어질 땐 반피 넘게 까이는 정도다.
- 스태미나는 전투에 돌입할 시에만 소진되며, 비전투시에는 어떤 행동(달리기, 회피, 공격 등)을 해도 스태미나가 줄어들지 않는다.
- 월드맵은 해당 지역의 지도 조각을 얻기 전까진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다. 세계에 흩어져 있는 지도조각을 입수하면서 조금씩 완성할 수 있고 이렇게 모은 지도는 회차를 넘겨도 그대로 유지가 된다. 주로 오벨리스크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시된 자리에서 찾을 수 있고 작은 마커 기능을 이용해 지도상에 목적지 혹은 아이템, 보스 등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지도에서 활성화된 축복을 통한 빠른 이동도 가능하다. 단, 던전 안에 있을 경우 빠른 이동은 사용할 수 없다.
- 플레이어가 처치해야 할 데미갓들이 기거하는 '레거시 던전' 6곳이 존재한다. 일반 던전보다 특수한 거대하고 복잡한 던전으로 오픈 필드의 특성상 필수 보스는 적다.[12]
5.4. 전투 및 동작
|
- 근접 무기 공격은 일반 공격(약공격), 차지 공격(강공격)으로 나뉜다. 일반 공격은 무기군에 따라 4~6타씩 조금씩 강해지고 곡검, 자검 무기군은 차지 중 구르기 키로 회피하는 특수 공격을 할 수 있다. 같은 무기군으로 장비를 양손에 장착하면 쌍수 공격이 가능해진다. 쌍수 공격 시 각 공격의 피해량, 상태이상 축적치가 약간 감소하며 일부 특별한 무기는 무기군이 없이도 양손 잡기로 가능하다.[13]
- 가드 카운터는 공격을 가드한 직후 강공격으로 발동하는 특수 공격으로 피해 보다는 상대의 자세 깎기에 특화한 공격으로 대체로 양손으로 잡은 점프 강공격보다 공격력은 약한 대신 강인도 감쇄력이 높다.
- 강인도는 플레이어 혹은 플레이어형 적이 공격 당했을 때 경직을 저항하는 수치이다. PVE 적은 자세와 경직 저항이 별도로 구분하며 적의 자세가 무너지면 치명적인 일격이 가능해진다.[14]
엘든링의 PVE에서의 그로기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자, 디시인사이드 프롬 소포트웨어 마이너 갤러리] 점프 공격과 가드 카운터가 이에 특화한 공격으로 치명 공격 시에도 스태미나가 소모하며 동작이 끝나기 전까지 스태미나가 회복되지 않는다.
- 패리 성공 시에도 적을 일시적으로 무력화하고 치명 공격을 입힐 수 있다. 데미갓을 비롯한 일부 강적은 패리를 여러 번 성공해야 가능하다.
- 각 무장은 '전투 기술'이 배정되어 특수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전회는 이 전투 기술을 교체하면서 무기의 능력치와 속성에 영향을 주는 시스템이며, 색 잃은 단석을 사용해 강화하는 특수 무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무기는 자유롭게 전투 기술을 바꿀 수 있다. 일반 무기와 색 잃은 단석으로 강화하는 무기의 비는 1대 1정도이다. 무기 하나당 전회 하나를 장착 가능하고 언제든지 축복에서 바꿔 끼울 수 있다. 유니크 무기에는 고유 전투 기술이 있어 전회 장착이 불가능하다. 전회 대다수는 필드 곳곳에 숨겨져 있어 탐험하며 습득해야 한다.
- 전회의 장착은 각 전투 기술이 지원하는 무기군에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준비 자세' 전투 기술은 직검 무기군에만 사용 가능하다.
- 회피 동작은 구르기, 백스텝, 점프 세 가지이다. 점프는 캐릭터 하체 부분 피벽 판정이 잠시 사라져 중, 하단 공격에 대응할 수 있다.
- 주문은 마술과 기도 두 가지로 양분되며 세부 분파로 다시 나뉜다. 촉매로 신전할 수 있으며 일부 계통은 특정 촉매로 강화된다.
|
|
- 플레이어를 발견하지 않은 상태의 적은 공격에 더 큰 피해를 입는다. 일부 몬스터들은 원거리 공격를 회피하는 패턴을 사용하며 눈에 황금빛 안광을 띄는 적은 처치 시 드랍하는 룬이 다섯 배로 많다.
5.5. 멀티플레이
|
호스트를 기준으로 크게 협력자(황색), 호스트를 제거하려는 칩입자(적색), 그리고 침입자를 제거하는 사냥꾼(청색)으로 나뉜다. 호스트 플레이어를 포함해 최대 인원은 필드 4명, 투기장 6명이다. 영체는 기존 소울 시리즈의 영체보다 데몬즈 소울 리메이크에서 리뉴얼된 영체의 외형에 더 가깝다. 타 플레이어가 자신을 영체로 소환할 수 있도록 '사인 대기소'로 보낼 수 있다.
온라인 유저들은 키워드에 따라 그룹을 설정하고 그 그룹끼리만 혈흔과 메시지, 사인을 공유하거나 강조할 수 있다. 같은 그룹 내의 한 그룹원이 데미갓을 격파하거나 엔딩을 보면 그 키워드를 공유하는 모든 그룹원들에게 3분 동안 룬 입수량이 3% 증가하는 버프가 걸린다.
침입을 하기 위해선 호스트가 코옵을 진행 중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2:1 싸움이 기본이고 높은 확률로 3:1 상황이 된다.[15][16] 호스트방의 유저들이 단체로 잠수를 하지 않는 이상 침입자는 '동등한 조건'에선 필드몹들과 연계하지 않으면 승리하기가 힘들다.
덕분에 암령 플레이와 서약 콘셉플을 선호하는 유저들은 불만을 표한다. 또한 암령 및 광령의 머릿수는 제한하면서 정작 무기와 장비 복지는 허용해놓고 매칭 시스템은 구작의 그것과 동일하여 다크소울 3의 로높벽 뉴비킬처럼 초반 림그레이브 지역에서 노강 시산혈하, 바이크창 같은 종결템을 들고 저렙구간 유저들을 제초하는 짓거리는 여전하다. 때문에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디자인하는 미야자키를 비판하는 유저들이 많다.[17] 그 외 평범하게 싱글 플레이 컨텐츠를 즐기는 유저들은 반기는 상황이 되었다. 일단 호스트 쪽에서 자발적으로 1:1로 암령을 소환하는 투사라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이 컨텐츠가 얼마나 흥하는지가 차후 패치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현재는 PVP 밸런스가 회차 이상으로 엉망이라 불만을 표하는 유저들이 많은 상태이다. 이미 회차에서부터 밸런스 문제가 거론된 걸 보면 어찌보면 당연한 수순. 쌍수 시스템의 부활로 인해 출혈이나 발광을 시도때도 없이 터트리는 상태이상 빌드, 마법 스킬들의 성능이 OP라서 상대방을 회복의 여지도 없이 천천히 말려 죽이거나 각종 버프를 떡칠하여 한방킬 만을 노리는 각종 사기적인 빌드가 판을 치다보니 소울 시리즈부터 PVP를 즐겨온 유저들 입장에서는 재미없다는 의견이 많은 상태이다. 특히 출혈, 동상 등이 전작에서는 구르는 과정에서 터진다면 그냥 구르기 판정에 씹혀서 문제가 없었지만 엘든 링에선 구르는 도중에 디버프가 터질 시 경직이 걸린다. 제일 심각한 건 발광인데 발광 또한 구르기 도중 터지면 발광으로 인한 스턴이 걸리며 무엇보다 발광 스턴 도중에 또 다시 발광을 걸 수 있다. 이렇게 구르든 안구르든 특정상황에선 알고도 죽어야 되는 상황이 오기에 총체적으로 답이 없는 수준.이는 호스트 뿐만이 아니라 암령의 입장에서 또한 마찬가지기에, 호스트 측에서 작정하고 암령사냥을 위해 백령을 소환하여 함께 상태이상 빌드를 짜놓았다면 암령 측에서는 도저히 호스트를 잡지 못한다. 즉, 침입 도중 다른 암령이 침입해오거나 잡몹 및 필드 보스와 협공을 펼치지 않는 한, 암령에게 일방적으로 불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셈.
암령 사냥 파티 문제 역시 심각하다. 따로 합의 하에 침입 플레이를 즐기는 게 아닌 자연 매칭으로 침입을 할 경우, 10번에 5번에서 6번은 암령 사냥 파티가 걸린다고 해도 될 정도로 그 빈도가 잦다. 이들은 보통 잡몹이나 필드 보스가 없는 넓은 곳이나 반대로 암령을 구석에 몰아넣고 일방적으로 두들겨 패기 좋은 지하묘지 등에 상주하며, 지형적 유리함과 수적 유리함은 다 가져가기 때문에 암령 입장에서는 파열된 결정 물방울로 다같이 폭사하는 극단적인 전략이나 겁벌의 대검 등의 논외급 사기 무기를 동원하지 않는 한 이길 방법이 없다시피 하다.
결국엔 다크 소울 시리즈에서 부터 이어져온 호스트 / 암령 양측 간의 밸런스도, 저레벨 구간 제초, 암령 사냥파티 등의 불합리성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채 출시되어 엘든 링은 멀티 플레이 부분에서 크게 욕을 먹고 있다.
일부 코옵 유저들은 '암령은 기본적으로 코옵을 망치러 오는 방해꾼 겸 트롤러에 불과하니 수적 불리함과 패배 이후 받는 티배깅 등은 감수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애초에 코옵의 페널티가 암령으로 디자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는 그냥 메리트는 챙기면서 디메리트는 버리려는 궤변에 불과하다.
물론 PVP가 이 게임의 전부는 아니지만 싱글 플레이에 질려버린 플레이어들을 위한 엔드 컨텐츠인만큼 차후 패치를 통해 밸런스를 잡아주길 바라는 유저들이 많다.
기본적으로 암령 측은 호스트 진영과 3:1로 만나는 경우가 많다보니 파열된 결정 물방울 2개로 폭사하여 1~2명 담구고 시작하거나 모그창으로 한방컷하는 꼼수들을 제외하면 이기기가 정말로 힘들다.
시스템적인 문제 역시 심각하다. PC 스팀 기준 대부분의 유저들이 소환이나 침입을 하더라도 중간에 연결에 문제가 생겨 세션이 끊기는 경우가 태반이다. 다만 꾸준한 pvp 밸런스 패치와 투기장 시스템의 추가로 pvp 밸런스도 어느 정도 안정화가 진행된 상태다.
PVP가 성행하는 구간은 120~150레벨. 기존 다크 소울 3에서는 생명력, 지구력 등 필수 스탯들을 일정 이상 찍고도 스탯이 적당히 남아 특화빌드를 짤 수 있는 구간이 120~125레벨이라 이때를 생각하고 120이나 125레벨을 찍자는 유저들이 있으나, 엘든 링은 소프트캡이 기존작들에 비해 많이 바뀌었기 때문에 150레벨은 찍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유저들도 많다. 국내에서는 125, 해외에서는 150이 많은 편이다. 혹은 이 두 레벨대를 모두 만날 수 있는 138렙을 선호하기도 한다. 다만 레벨을 높일 수는 있어도 낮출 수는 없기 때문에 PVP를 상정하고 캐릭을 만들 경우 120레벨에 세이브를 백업해놓는게 좋다.
5.5.1. 유형
소환 사인을 이용한 방식
갈고리를 부르는 손가락약을 사용하면 소환되기를 원하는 유저들이 남긴 소환 사인이 눈에 보이는데 이를 통해 해당 유저를 소환하는 방식. 금색의 협력 사인, 혹은 적색의 적대 사인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를 수 있다. 다만 DLC까지 나온 시점에서는 적대 사인은 거의 사장된 상태로 호스트측이 불러줄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다가 페널티는 페널티대로 받기에 투기장쪽으로 유출되었기 때문. 금색 사인으로 협력자를 부르면 침입을 당하는 상태가 되기에 보통 보스룸 앞에서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DLC는 보스룸까지의 구간의 난이도가 올라서 처음부터 협력자를 불러서 미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갈고리를 부르는 손가락약을 사용하면 소환되기를 원하는 유저들이 남긴 소환 사인이 눈에 보이는데 이를 통해 해당 유저를 소환하는 방식. 금색의 협력 사인, 혹은 적색의 적대 사인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를 수 있다. 다만 DLC까지 나온 시점에서는 적대 사인은 거의 사장된 상태로 호스트측이 불러줄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다가 페널티는 페널티대로 받기에 투기장쪽으로 유출되었기 때문. 금색 사인으로 협력자를 부르면 침입을 당하는 상태가 되기에 보통 보스룸 앞에서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DLC는 보스룸까지의 구간의 난이도가 올라서 처음부터 협력자를 불러서 미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투기장을 이용한 방식
틈새의 땅 각지에 있는 투기장을 방문하여 해금하면 투기장이나 원탁에서 원하는 룰을 골라서 결투할 수 있다. 투기장 자체의 룰과는 별개로 투기장 유저들간의 어느 정도 암묵적인 룰이 있다. 투기장에서는 성배병을 통한 HP 회복이 금지되기 때문에 기도등을 통해 HP를 회복하는 행위는 암묵적으로 금지된다. 그 밖에도 속참을 단 역수검이나 겁벌의 대검 같은 경우, 뼈의 활이나 영의 고리같은 유도무기도 해당된다. 물론 암묵적인 룰이기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먼저 이걸 깨트렸을 경우 상대방도 그에 준하는 수단을 사용하며 졌을 때는 온갖 조롱을 감수해야 된다. 물론 그런 거 신경쓰지 않는 유저들도 있고, 그런 암묵의 룰이 있다는 것을 알고 되려 상대방이 방심할 것을 계산해서 통수를 치는 유저들도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된다.
투기장에는 시간제한이 있으며 많이 이길 수록 랭크가 올라가 보다 높은 랭크의 상대와 매칭된다. 난투나 공투같은 룰도 있으며 뼛가루를 허용하는 룰도 있지만 1대1 결투이외에는 사람이 거의 없다.
틈새의 땅 각지에 있는 투기장을 방문하여 해금하면 투기장이나 원탁에서 원하는 룰을 골라서 결투할 수 있다. 투기장 자체의 룰과는 별개로 투기장 유저들간의 어느 정도 암묵적인 룰이 있다. 투기장에서는 성배병을 통한 HP 회복이 금지되기 때문에 기도등을 통해 HP를 회복하는 행위는 암묵적으로 금지된다. 그 밖에도 속참을 단 역수검이나 겁벌의 대검 같은 경우, 뼈의 활이나 영의 고리같은 유도무기도 해당된다. 물론 암묵적인 룰이기에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먼저 이걸 깨트렸을 경우 상대방도 그에 준하는 수단을 사용하며 졌을 때는 온갖 조롱을 감수해야 된다. 물론 그런 거 신경쓰지 않는 유저들도 있고, 그런 암묵의 룰이 있다는 것을 알고 되려 상대방이 방심할 것을 계산해서 통수를 치는 유저들도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된다.
투기장에는 시간제한이 있으며 많이 이길 수록 랭크가 올라가 보다 높은 랭크의 상대와 매칭된다. 난투나 공투같은 룰도 있으며 뼛가루를 허용하는 룰도 있지만 1대1 결투이외에는 사람이 거의 없다.
침입
침입용의 아이템을 사용하여 협력 플레이 중인, 혹은 조롱자의 혀를 이용해 침입을 허용한 플레이어의 세계에 침입하는 것. 침입측은 성배병의 감소같은 페널티를 받으며 호스트측은 소환 사인을 이용한 협력, 혹은 적대자 이외에도 사냥꾼이라 불리는 다른 유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냥꾼은 침입이 성립된 시점에서 사냥꾼 소환 옵션을 켜놓은 유저가 소환되기에 약간 시간이 걸리며 침입측과 같은 페널티를 받는다. 종전에는 결투를 원하는 유저들이 조롱자의 혀를 애용했으나 투기장이 생긴 이후로는 크게 감소했으나 투기장이라는 좁은 맵이 아니라 보다 더 자유로운 전투를 원하는 유저들이 조롱자의 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렇게 흔하지는 않다. 그렇기에 대부분 침입을 하면 이미 협력 플레이 중인 호스트의 세계에 끼어들게 되므로 일대다의 전투를 하게 된다.
침입용의 아이템을 사용하여 협력 플레이 중인, 혹은 조롱자의 혀를 이용해 침입을 허용한 플레이어의 세계에 침입하는 것. 침입측은 성배병의 감소같은 페널티를 받으며 호스트측은 소환 사인을 이용한 협력, 혹은 적대자 이외에도 사냥꾼이라 불리는 다른 유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냥꾼은 침입이 성립된 시점에서 사냥꾼 소환 옵션을 켜놓은 유저가 소환되기에 약간 시간이 걸리며 침입측과 같은 페널티를 받는다. 종전에는 결투를 원하는 유저들이 조롱자의 혀를 애용했으나 투기장이 생긴 이후로는 크게 감소했으나 투기장이라는 좁은 맵이 아니라 보다 더 자유로운 전투를 원하는 유저들이 조롱자의 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렇게 흔하지는 않다. 그렇기에 대부분 침입을 하면 이미 협력 플레이 중인 호스트의 세계에 끼어들게 되므로 일대다의 전투를 하게 된다.
5.6. 패치 내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패치 내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패치 내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 황금 나무의 그림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Tarnished Edition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및 추가 장비, 토렌트 스킨이 포함된 닌텐도 스위치 2 합본판이다. 추가 장비 및 토렌트 스킨은 타 플랫폼에서도 별도 구매가 가능할 예정이다.- 무기
- 헤비 시미터
- 레오티엘의 대검
- 방어구
- 이데스의 기사 세트
- 중장기사 세트
- 레오티엘 세트
- 토렌트 스킨
- 백마
- 흑마
8. 출시 전 정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출시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출시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사운드트랙
번호 | 곡명 | 작곡가 |
01 | Elden Ring | 사이토 츠카사 |
02 | Opening | 사이토 츠카사 |
03 | Character Creation | 미야자와 쇼이 |
04 | Limgrave | 사이토 츠카사 |
05 | Caves[18] | 쿠도 요시미 |
06 | Tunnels[19] | 키타무라 유카 |
07 | Stormveil Castle | 토미사와 타이 |
08 | Roundtable Hold | 사이토 츠카사 |
09 | Liurnia of the Lakes | 쿠도 요시미 |
10 | Great Underground Rivers[20] | 키타무라 유카 |
11 | Eternal City[21] | 키타무라 유카 |
12 | Academy of Raya Lucaria | 키타무라 유카 |
13 | Caelid | 키타무라 유카 |
14 | Old Castle[22] | 쿠도 요시미 |
15 | Altus Plateau | 미야자와 쇼이 |
16 | Catacombs[23] | 키타무라 유카 |
17 | Leyndell, Royal Captial | 키타무라 유카 |
18 | Subterranean Shunning-Grounds | 미야자와 쇼이 |
19 | Mt. Gelmir | 쿠도 요시미 |
20 | Volcano Manor | 쿠도 요시미 |
21 | Prison Town[24] | 쿠도 요시미 |
22 | Mountaintops of the Giants | 토미사와 타이 |
23 | Divine Tower[25] | 키타무라 유카 |
24 | Crumbling Farum Azula | 미야자와 쇼이 |
25 | Consecrated Snowfield | 쿠도 요시미 |
26 | Miquella's Haligtree | 토미사와 타이 |
27 | Elphael | 토미사와 타이 |
28 | Formidable Foe I[26] | 키타무라 유카 |
29 | Formidable Foe II[27] | 토미사와 타이 |
30 | Invader[28] | 미야자와 쇼이 |
31 | Old Warriors[29] | 쿠도 요시미 |
32 | Erdtree Knights[30] | 토미사와 타이 |
33 | Fallen Knights[31] | 쿠도 요시미 |
34 | The Immured[32] | 키타무라 유카 |
35 | The Accursed | 토미사와 타이 |
36 | Grave Wardens[33] | 키타무라 유카 |
37 | Death's Kindred[34] | 키타무라 유카 |
38 | Dragons[35] | 키타무라 유카 |
39 | Fallingstar Beast | 미야자와 쇼이 |
40 | Red Wolf of Radagon | 토미사와 타이 |
41 | Erdtree Avatar[36] | 토미사와 타이 |
42 | Godskin Apostles | 토미사와 타이 |
43 | Black Knives | 키타무라 유카 |
44 | Margit, the Fell Omen | 사이토 츠카사 |
45 | Omen Illusion | 미야자와 쇼이 |
46 | Lord's Apparition | 토미사와 타이 |
47 | Regal Ancestor Spirit | 키타무라 유카 |
48 | Astel, Naturalborn of the Void | 토미사와 타이 |
49 | Ancient Dragon Lansseax | 토미사와 타이 |
50 | Lichdragon Fortissax | 쿠도 요시미 |
51 | Song of Lament[37] | 사이토 츠카사 |
52 | Morgott, the Omen King | 사이토 츠카사 |
53 | Bloody Fingers | 미야자와 쇼이 |
54 | Mohg, Lord of Blood | 미야자와 쇼이 |
55 | Godrick the Grafted | 미야자와 쇼이 |
56 | Malenia, Blade of Miquella | 키타무라 유카 |
57 | Song of Honor[38] | 사이토 츠카사 |
58 | Starcourge Radahn | 미야자와 쇼이 |
59 | Recusants | 쿠도 요시미 |
60 | God-Devouring Serpent | 쿠도 요시미 |
61 | Rennala, Queen of the Full Moon | 키타무라 유카 |
62 | Fire Giant | 키타무라 유카 |
63 | Beast Clergyman | 미야자와 쇼이 |
64 | Dragonlord Placidusax | 토미사와 타이 |
65 | Godfrey, First Elden Lord | 토미사와 타이 |
66 | The Final Battle | 사이토 츠카사 |
67 | Ending | 미야자와 쇼이, 사이토 츠카사 |
10.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흥행
발매 3주 만인 2022년 3월 14일로 패키지 출하량이 1,200만 장을 돌파하여 발매 전 목표치였던 첫 달 400만장을 초과 달성하였다. 이후 반다이 남코의 회계연도 결산에서 2022년 3월 31일까지 1,340만 장이 출하, 2022년 6월 말 기준으로 1,660만 장이 출하되었다고 공식 발표되었다. 2023년 2월 발매 1주년을 앞두고 출하량 2,000만 장, 2024년 6월 DLC 발매를 일주일 앞두고 2,500만 장을 돌파했다. 이후 2025년 4월 말, 3000만 장을 돌파했다.[39] 프롬 소프트웨어의 이전 최대 흥행작인 다크 소울 3가 발매 4년이 지난 2020년에서야 1,000만장을 넘겼음을 고려하면 상당한 흥행이다.NPD 그룹 집계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발매 2일치로 2022년 북미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2021년 3월~2022년 2월까지를 기준으로 하는 12 Month Ending-February 판매량에서도 5위에 차트인, 2021년 4월~2022년 3월 집계기준 순위는 2위로 지난 1년간 미국에서 콜 오브 듀티 뱅가드 다음으로 많이 팔린 타이틀이 되었다. 2022년 3월 월간 차트 역시 발매된 전 기종에서 판매량 1위를 달성했다.[40]
영국의 경우 싱글 패키지 게임 중 2018년 레드 데드 리뎀션 2 이후 가장 초동 판매량이 높은 타이틀에 등극하는 기염을 토했다. 사이버펑크 2077의 첫 주 판매량 보다 높은 수치이며, 1주일 전 발매한 또다른 AAA 게임 기대작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보다도 2.5배 더 팔렸다.
일본에서도 출시 3일 간 27만 장이 팔리며 프롬 소프트웨어가 제작한 소울라이크 장르 중 가장 높은 일본 초동 판매고를 보였다. 또한 첫 주 PS5 소프트 판매량은 9만장으로 3일 만에 일본 PS5 타이틀 역대 판매량 1위에 등극했다. 2주 만에 PS5 버젼이 10만장을 넘기며 PS5 타이틀 중 처음으로 일본에서 피지컬 10만장을 넘긴 타이틀이 되었다. 일본 내 출하량도 100만 장을 돌파하면서 프롬 소프트웨어의 첫 일본 밀리언 타이틀이 되었다.
날짜 | 패미통 판매량 [41] | 비고 | |
1주 차 (2/25~2/27) | 278,507장 | 발매 시작 | |
2주 차 (2/28~3/6) | 70,056장 | ||
3주 차 (3/7~3/13) | 37,408장 | ||
4주 차 (3/14~3/20) | 24,220장 | ||
5주 차 (3/21~3/27) | 18,102장 | ||
6주 차 (3/28~4/3) | 13,330장 | ||
7주 차 (4/4~4/10) | 8,308장 | ||
8주 차 (4/11~4/17) | 5,945장 | ||
9주 차 (4/18~4/24) | 3,590장 | PS5 버전 차트아웃 | |
10주 차 (4/25~5/1) | 4,280장 | ||
11주 차 (5/2~5/8) | 3,307장 | ||
일본 누적 피지컬 판매량 | 467,053장 |
기타 통계에도 소울라이크 장르 최고로 스팀 동접자 수 95만 명을 넘기며 역대 스팀 6위를 기록했다. 다크 소울 3와 세키로의 최대 동접자가 12만 명 후반대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수치이다. 트위치 생방송 시청자 수도 발매 당일에 85만 명을 돌파했다.
12. 미디어 믹스
12.1. 코믹스
- 엘든 링 황금 나무로의 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 황금 나무로의 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 황금 나무로의 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엘든 링 비컴 로드(ELDEN RING Become Lord)
- 엘든 링: 머나먼 틈새의 이야기
12.2. 소설
- 일이 끝나면, 그 축복에서(仕事が終われば、あの祝福で)
적응이 되지 않는 영업직에 들어온 아이다 와타루. 잘 풀리지 않는 일상 속에서 유일한 낙은 온갖 게임을 즐기는 것이었다.
다른 플레이어와의 교류는 일절 없이 혼자서 공략 정보나 고찰을 읽고 세계관에 파고드는 것으로 힐링이 되었다.
그러나, 직장의 점심시간에 현재 열중하고 있는 게임의 공략 사이트를 보고 있던 것을 선배 카시마 레이토에게 들키고 만다.
질책을 당하리라 예상했지만, 어쩌다보니 레이토에게 게임 『ELDEN RING』의 공략 방법을 알려주게 되는데!?
이 만남이 와타루의 업무와 인생을 바꾸어 간다ーー.[42]
2024년 3월 29일 발간. 세계관 내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빛의 아버지처럼 엘든 링을 소재로 직장인 주인공의 현실 삶을 다루는 메타적인 이야기이다.다른 플레이어와의 교류는 일절 없이 혼자서 공략 정보나 고찰을 읽고 세계관에 파고드는 것으로 힐링이 되었다.
그러나, 직장의 점심시간에 현재 열중하고 있는 게임의 공략 사이트를 보고 있던 것을 선배 카시마 레이토에게 들키고 만다.
질책을 당하리라 예상했지만, 어쩌다보니 레이토에게 게임 『ELDEN RING』의 공략 방법을 알려주게 되는데!?
이 만남이 와타루의 업무와 인생을 바꾸어 간다ーー.[42]
12.3. 보드게임
다크 소울 시리즈의 보드게임을 만들었던 영국 보드게임 제작사인 스팀포지드 게임즈에서 킥스타터로 엘든 링의 보드게임의 후원자를 모으고 있다. 모금액은 목표의 열 배 넘게 모여 이미 초과 달성. 리뷰는 대개 “플레이 시간이 엄청 길지만 괜찮은 게임“, “스팀포지드의 과거 게임들에 비해 게임 과정이 확실히 효율화되었다“ 등 우호적이다.
12.4. 모형
퍼블리셔인 반다이남코의 일부인 반다이가 빛 바랜 자와 멜리나의 소형 액션 피규어를 피겨아츠미니 브랜드로 출시했고, 문드러진 손가락 자국 바이크를 S.H.Figuarts 브랜드로 출시했다.굿스마일에서는 피그마 브랜드로 빛바랜 자의 목업 피규어를 참고 출품하였으며, 늑대 전투광 세트로 제품화가 되었다. 링크 영마 토렌트 또한 제작할 예정이다.
12.5. 실사영화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영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든 링(영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A24가 배급하는 실사영화. 알렉스 가랜드가 연출과 각본을 맡으며 조지 R.R. 마틴 및 빈스 게라디스가 프로듀서로 참여할 예정이다.[43]
13. 기타
- 표지에 등장하는 방어구는 원탁의 기사 바이크의 손가락 자국 세트이다. 기타 홍보 매체에서는 주인공을 묘사하는데 늑대 전투광 세트가 주로 쓰인다.
- 한국어 번역은 일본어 원문을 기준으로 번역되었기에 영어 음성 대사와 다소 상이하다. 번역에 있어 게임 내 단어가 통일되지 않거나 오역, 데이 원 패치로 수정되지 않은 요소가 군데군데 존재한다. 후속 패치로 일부 번역이 수정된 사례가[44] 있기 때문에 단어 통일 수정에 대해선 느긋하게 기다려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폰트도 상하 중앙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 치명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한번 눈치채고 나면 꽤나 신경이 쓰이는 점.
- 디렉터 미야자키 히데타카가 공공연히 팬임을 자처하고 게임들 대다수에게 있어 여러 디자인 요소들의 기반이 된 미우라 켄타로의 만화 베르세르크에 관련된 레퍼런스가 이번 작에서도 상당수 등장한다.[45]
- 네트워크 테스트부터 유독 다크 소울 2의 고유 요소[46] 많이 등장해 국내외 플레이어층을 막론하고 다크 소울 2와 연관 짓는 반응이 많았다. 디렉터인 미야자키는 DLC 인터뷰에서 다크 소울 2 없이는 시리즈를 현 모습으로 이끌지 못했으리라고 언급했다.[47]
- 프롬 소프트웨어가 타이틀명에 Ring이란 단어를 넣은 것은 2000년에 PS2 타이틀로 출시한 이터널 링에 이어 두 번째이다. 대표작 다크 소울도 처음엔 다크 링으로 발매 예정이었지만 다크 링이 영국 속어로 항문을 가리키는 단어라서 결국 '다크 소울'이라는 이름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 소울 시리즈 작곡가로 유명한 FreQuency의 키타무라 유카와 사이토 츠카사가 이번에도 작곡들을 맡았다.[48] 토미사와 타이, 쿠도 요시미, 미야자와 쇼이가 추가로 참여하면서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 중에서 블러드본 다음으로 많은 작곡가가 참여했다. 음악 녹음은 Harmonics International을 통해 부다페스트에서 진행했다.[49]
- 발매 전 다크 소울 시리즈의 온라인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면서 PC 서버가 닫히는 일이 생겼다. 엘든 링은 관련 조치를 취했고 PC판은 이지 안티 치트를 사용한다.
- PS4 디스크 에디션을 PS5에서 사용할 경우 PS5 에디션으로 무료 업그레이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2022년 3월 3일 이전까진 불가능했다.
- 소울 시리즈와 플레이 스타일이 비슷한 나머지 유튜브 영상은 업로더가 지정하지 않을 경우 AI가 게임명을 자동으로 다크 소울로 인식한다.
- 2022년 3월 31일 반다이 남코 카카오톡 채널 추가 이벤트로 싸감아저씨와 콜라보한 엘든 링 이모티콘을 제공했는데 반응이 매우 좋지 않다. 퀄리티도 매우처참한 수준인데 게임과는 전혀 연관 없거나 커뮤니티에 떠도는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의 밈을 가져다 쓴 정도. YOU DIED를 GAME OVER라고 표기했는데 이는 카카오톡 규정으로 직접 사용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이미 '유다희'라는 밈이 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태생 캐릭터를 돌려 썼는데[50] 문제는 예언자와 점성술사. 예언자는 신앙 캐릭터이며 디폴트 무장은 숏스피어이나 이걸 지팡이로 바꾸고 마법 계통으로 바꿔놓은 데다가 마법은 노란색으로 칠했다. 프롬 소프트웨어는 마법에 관해서는 대부분 푸른색 계통으로 일관되게 유지했기 때문에 원작 재현 면에서도 완전히 잘못된 것. 반대로 마법사 태생일 점성술사가 기도를 쓰고 있다. 이는 태생 관련 소개 사진에서는 창날 부분이 사진 사이즈 문제로 잘려나가있기 때문에 지팡이라 생각하고 만든 것으로 파악된다.
- 외식 사업가로 유명한 백종원이 8회차까지 진행했다. 영상화 감독 알렉스 가랜드도 DLC를 7회차까지 플레이했다.[51] 랜디 오턴은 아이템들을 현금으로 매매하는 쌀먹 행위로 1,000달러나 주고 룬 아이템을 다량으로 구매했다.
- 엘든 링 보스들의 공식적인 몇몇 가사들이 유튜버 AntoniusTertius에 의해 유출되고 있다.[52]
- 2019 E3 공개 시네마틱의 제작사는 디직 픽처스, 본편 및 DLC 스토리 트레일러는 유닛 이미지가 담당했다.[53]
- 더 게임 어워드 2022에서 미야자키 히데타카가 GOTY 상을 수상하는 와중에 남성이 난입해 이상한 수상소감을 내뱉는 사고가 있었는데, 이 때문에 엘든 링이 많은 걸 따온 다크소울 시리즈의 PVP에 이 해프닝을 빗대어 해당 남성을 암령이라고 놀리는 패러디가 생겼다. 또 뒤에서 신기한 듯 오묘하게 바라보는 미야자키의 표정 덕에 변형 버젼으로 관객에다가 프롬의 다른 작품인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의 뒤잡 인살 마크를 붙여놓고 미야자키에게는 수라로 변한 늑대마냥 눈을 시뻘겋게 만들어둔 새로운 패러디까지 생겼다. 결국 이 남성은 체포됐다고 한다.
- 2023년 2월 26일, 반다이 남코가 엘든 링의 1주년을 기념하는 이벤트 생방송을 열었다. 2000만 명에 달하는 유저들은 DLC가 발표 될 것을 예상 및 기대하였지만 DLC 발표를 하는 대신 기대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PVP 대회와 커스터마이징 대회를 여는 등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DLC는 1주기를 넘기고야 공개되었다.
13.1. 공개 과정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E3 2019 이후 게임플레이 공개까지 개발사의 타 게임보다 오랜 공백이 있었다.-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 대표 필 스펜서가 2020년 게임스팟 팟캐스트에서 엘든 링을 상당 시간 플레이해봤다고 밝혔다. 당시에는 게임에 대해 얘기할 수 없지만 미야자키가 지난 10년간 만든 게임 중 가장 야심찬 작품이라고도 덧붙였다.[54]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이 2020 도쿄 올림픽 개최 시기에 자국의 문화 패스 제도와 관련하여 여러 일본 문화의 거장을 초청한 자리에서 미야자키를 만났다. 미야자키에게 최근의 작품(엘든 링) 제작을 어떻게 하고있냐 물었는데 공개된 영상은 미야자키가 질문에 답하기 바로 직전에 끊겨서 답변은 당사자들만 알게 되었다.
- 더 게임 어워드 2020과 더 게임 어워드 2021에서 최초로 2년 연속으로 유저 투표로 뽑히는 가장 기대되는 작품(Most Anticipated Game)으로 선정되었다.
- 4chan에서 투표한 2020년 비디야 개임 어워드에서도 가장 기대되는 게임으로 선정됐다.
- 게임플레이 트레일러가 최초로 공개된 2021년 Summer Game Fest에서 호스트 제프 케일리[55] 또한 쇼 전체의 막바지에 엘든 링을 소개하면서 크나큰 기대감을 드러냈다.좋습니다, 여러분. 이제 쇼의 대미를 장식할 때로군요. 이번 게임은 아주 특별하니까요.
- 공교롭게도 엘든 링의 첫 게임플레이 트레일러가 공개된 미국 시각 2021년 6월 11일, 캐나다 북부와 미국 일부 지역, 그린란드, 러시아, 스칸디나비아 등지에서 Ring of Fire라 불리는 금환일식이 예보됐다. 서양팬들은 이를 통해 엘든 링이 같은 날에 열리는 Summer Game Fest 2021에서 공개될 것이라고는 행복회로가 적중했다.#
- 2021년 12월 PS4 탈옥으로 네트워크 테스트 파일의 데이터 마이닝이 가능해지면서 각종 보스와 패턴, 스토리, 대사, 아이템 내용 등이 온전히 유출되어 출시 전부터 스포일러가 횡행하게 되었다. 심지어 파일 개조까지 가능해져 캐릭터 모델을 GTA 산 안드레아스의 주인공 CJ로 바꾸는 경우도 나왔다.#
- XBOX로 실행 시 뉴질랜드에서 가장 빠르게 게임을 실행할 수 있단 점 때문에 수많은 게이머들이 뉴질랜드로 지역 변경을 하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어느 정도냐면 뉴질랜드로 지역을 변경한 엑박 유저가 실제 뉴질랜드 인구수보다 많았다.
13.2. 개발 비화
- 2016년 인터뷰를 통해 당시 구상하던 다크 판타지 게임으로 간접적으로 처음 언급되었고 게임 제작은 2017년에 다크 소울 3의 마지막 DLC 고리의 도시를 출시하고 시작되어 2021년 2월경에 베타 버전에 돌입했다. 개발사의 기존 작품보다 더 전통적인 다크 판타지, 다크 소울 시리즈에서 다루지 못한 요소 탐색을 목표로 시작했다. 미야자키는 오픈 월드라는 장르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보아 '오픈 필드'라는 명칭을 선호한다.[56]
- 미야자키 히데타카는 조지 R.R. 마틴의 열렬한 팬이지만 협업까지는 기대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마틴이 합작을 쉽게 승낙하면서 엘든 링 세계관의 토대를 만들게 됐다고 전했다. 프롬 소프트웨어의 느슨한 스토리텔링 방식 때문에 제한 받지 않도록 마틴이 스토리를 직접 저술하는 대신에 스토리의 원전으로 삼을 배경 신화를 집필하고 프롬 소프트웨어가 이어서 작업하는 방식으로 협업했다. 마틴이 집필한 내용은 본편 이전에 일어난 사건 전개와 주요 인물, 골육지친을 비롯한 인물 관계로 틈새의 땅이란 명칭과 미켈라 배경 이야기 등이 게임에 나타난 마틴이 작업한 요소이다. 미야자키는 마틴의 집필한 서사를 게임 마스터용 참고서에 비유했고 마틴의 영향으로 새롭게 접근한 예시로 접목의 고드릭을 꼽았다.[57]
- 세계관 제작에 참여한 조지 R.R. 마틴은 엘든 링과 미야자키 히데타카를 극찬하며 "이들과 같이 작업하고, 환상적인 세계를 만들고, <엘든 링>을 랜드마크 메가 히트 작품으로 만드는 데 작은 역할을 맡을 수 있어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게임을 정식으로 공개하기 전인 2019년 5월에 일본산 게임에 자문역을 맡았다고 밝히기도 했다.[58]
- 영어 성우는 웨일스 및 콘월 방언 위주로 캐스팅했다. 각 방언이 로만 브리튼 전에 쓰인 브리튼어군에서 유래한 점이 게임의 내용과 어울렸기 때문으로 본래 녹음 현장에도 미야자키가 참석하나 당시 코로나 팬더믹으로 절반 가량만 직접 참가하고 나머지는 원격으로 참여했다.[59]
- 매니저 키타오 야스히로는 개발 초기 엘든 링의 낮과 밤 시스템을 완전히 다른 메커니즘으로 구상했으나, 플레이어가 낮과 밤 중 선호하는 시간에만 플레이를 원하게 되는 등 좋지 않은 경향이 있어 최종적으로 아이템 및 적의 감지능력에만 차이를 두었다고 밝혔다. 미야자키는 마을 요소가 없는 이유로 무리하게 해당 요소를 구현하는 대신 다른 부분을 집중했다 밝혔다.[60]
- 미야자키는 인터뷰에서 소울 시리즈와 엘든 링의 영체 시스템에 대해 한때 눈으로 인해 차가 고장나고 고립되어 꼼짝도 못했으나, 어떤 사람들이 나타나 도와주고 홀연히 사라져버린 경험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61]
14. 모드
모드 적용 후 멀티플레이어 접속 시 파일 변조로 간주되어 밴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하게 플레이하려면 오프라인에서만 플레이하거나 별도 계정으로 실행해야 한다.- The Convergence
새로운 컨텐츠들이 대거 포함된 대형 오버홀 모드로, 다크 소울 3 때도 있었던 컨버전스 모드가 엘든 링에도 나왔다. 대형 오버홀 모드들 중에서는 가장 평가가 좋은 모드. - Reforged
- Graceborne
- Garden of Eyes
새로운 컨텐츠들이 대거 포함된 대형 오버홀 모드이긴 하나, 문제는 이 모드가 다른 대형 모드와 다르게 유료 모드인지라 세간에서의 평가는 매우 나쁜 편이다.
15. 둘러보기
엘든 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역대 네뷸러상 시상식 | ||||||||||||||||||||||||||||||||||||||||||||||||||||||||||||||||||||||||||||||||||||||||||||||||||||||||||||||||||||||||||||||||||||||||||||||||||||||||||||||||||||||||||||||||||||||||||||||||||||||||||||||||||||||||||||||||||||||||||||
| |||||||||||||||||||||||||||||||||||||||||||||||||||||||||||||||||||||||||||||||||||||||||||||||||||||||||||||||||||||||||||||||||||||||||||||||||||||||||||||||||||||||||||||||||||||||||||||||||||||||||||||||||||||||||||||||||||||||||||||
최우수 게임 각본 | |||||||||||||||||||||||||||||||||||||||||||||||||||||||||||||||||||||||||||||||||||||||||||||||||||||||||||||||||||||||||||||||||||||||||||||||||||||||||||||||||||||||||||||||||||||||||||||||||||||||||||||||||||||||||||||||||||||||||||||
제57회 (2021년) | → | 제58회 (2022년) | → | 제59회 (2023년) | |||||||||||||||||||||||||||||||||||||||||||||||||||||||||||||||||||||||||||||||||||||||||||||||||||||||||||||||||||||||||||||||||||||||||||||||||||||||||||||||||||||||||||||||||||||||||||||||||||||||||||||||||||||||||||||||||||||||||
목마른 레즈비언 검객들 | → | 엘든 링 | → | 발더스 게이트 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rowcolor=#ffffff,#ffffff> 2018년 | 2019년 | 2020년 |
PUBG: BATTLEGROUNDS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 레드 데드 리뎀션 2 | |
<rowcolor=#ffffff,#ffffff>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엘든 링 | 발더스 게이트 3 | |
<rowcolor=#ffffff,#ffffff> 2024년 | 2025년 | 2026년 | |
검은 신화: 오공 |
{{{#!wiki style="margin: -1px" | <tablebordercolor=#000> | 최다 플레이 게임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26%, 5em); min-height: 2em" {{{#!folding [ 1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순위 | 게임명 | 출시연도 | 최다 동시 접속 플레이어 수 | |
1위 | PUBG: BATTLEGROUNDS | 2017 | 3,257,248명 | ||
2위 | 검은 신화: 오공 | 2024 | 2,415,714명 | ||
3위 | Palworld | 2024 | 2,101,867명 | ||
4위 | CS:GO&카운터 스트라이크 2 | 2012 | 1,818,773명 | ||
5위 | Monster Hunter Wilds | 2025 | 1,384,608명 | ||
6위 | 로스트아크 | 2022 | 1,325,305명 | ||
7위 | 도타 2 | 2013 | 1,295,114명 | ||
8위 | 사이버펑크 2077 | 2020 | 1,054,388명 | ||
9위 | 엘든 링 | 2022 | 953,426명 | ||
10위 | 바나나 | 2024 | 917,272명 |
- [ 11 ~ 20위 ]
- ||<tablewidth=100%><width=5000><table bgcolor=transparent><bgcolor=#000><color=#fff>순위
게임명 출시연도 최다 동시 접속 플레이어 수 11위 New World 2021 913,634명 12위 호그와트 레거시 2023 879,308명 13위 발더스 게이트 3 2023 875,343명 14위 Goose Goose Duck 2021 702,845명 15위 Apex 레전드 2021 624,473명 16위 Valheim 2021 502,387명 17위 콜 오브 듀티 2022 491,670명 18위 테라리아 2011 489,886명 19위 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 2015 488,791명 20위 폴아웃 4 2015 472,962명
}}} ||
[1] PS4 Pro Enhanced[2] Xbox One X Enhanced,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3] 햅틱 피드백 및 PS4와 크로스 플레이 지원, 3D 오디오와 적응형 트리거 미지원.[4] Optimized for Xbox Series X|S 인증, 4K UHD 지원, Dolby Vision 지원 및 자동 증강 지원, 스마트 딜리버리 지원, HDR10 지원, Xbox One과 크로스 플레이 지원[5] 플레이스테이션판의 경우 영어 자막은 지원하지 않으니 주의. 음성만 영어로 나온다. 영어 자막으로 플레이하려면 스팀판을 선택해야 한다.[6] 심의 내용 (본편) (황금 나무의 그림자 에디션) - 과도한 폭력 표현 (검, 창 등의 사실적으로 표현된 무기를 사용하여 전투를 진행하고 그에 따라 선혈 등이 빈번히 표현됨)[7] ELDEN RING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영어판] 황금률은 부서졌다. The Golden Order has been broken.
일어나라, 빛바랜 자여. 축복의 인도를 받아 엘든 링의 힘을 휘두르고 틈새의 땅에서 엘데의 왕이 되어라.Rise, Tarnished, and be guided by grace to brandish the power of the Elden Ring and become an Elden Lord in the Lands Between.
영원의 여왕 마리카가 다스리는 틈새의 땅에서 황금 나무의 근원인 엘든 링이 파쇄되었다.In the Lands Between ruled by Queen Marika the Eternal, the Elden Ring, the source of the Erdtree, has been shattered.
마리카의 자식들, 모두가 데미갓인 그들은 거대한 룬이라 불리는, 엘든 링의 조각을 차지했으며, 그 새로운 힘에 미쳐 타락하고 파쇄전쟁을 일으킨 끝에 위대한 의지에게 버림받았다.Marika's offspring, demigods all, claimed the shards of the Elden Ring known as the Great Runes, and the mad taint of their newfound strength triggered a war: The Shattering. A war that meant abandonment by the Greater Will.
그리고 이제 황금의 축복에 의해 틈새의 땅에서 추방된 빛바랜 자들에게 축복의 인도가 전해질 것이다.And now the guidance of grace will be brought to the Tarnished who were spurned by the grace of gold and exiled from the Lands Between.
죽어있으나 살아있는 자들이여, 오래 전에 축복을 잃은 자들이여, 안개 낀 바다를 넘고 틈새의 땅으로 향하는 길을 걸어 엘든 링을 뵈어라.
Ye dead who yet live, your grace long lost, follow the path to the Lands Between beyond the foggy sea to stand before the Elden Ring.
그리고 엘데의 왕이 되어라.And become the Elden Lord.
ELDEN RING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9] 다만 레드 데드 리뎀션 2를 GTX 1060으로 플레이하면 중하옵 60fps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권장사양이라 보기 어렵다.[10] 프레임 드랍과는 다른데, 프레임 드랍은 전체적인 평균 프레임이 낮아지는 현상이고, 스터터링은 일정 수준의 프레임을 유지하면서 중간중간 끊기는 현상이다.[11] 기량 스텟에 따라 낙마 확률이 결정되며, 토렌트의 체력이 다하면 무조건 낙마한다. 낙마해서 쓰러진 모션은 그로기 판정이기 때문에 인간형 적이 달려들어서 추가타를 가할 수 있다. 반대로 플레이어도 낙마한 적에게 일격을 가할 수 있다.[12] 도읍 로데일까지 진행하기 위해 잡아야되는 파편의 군주 중 셋은 잡기전에 필수로 거쳐가야되는 중간 보스가 있기 때문에 최소 3종 ~ 최대 4종의 보스를 잡아야된다. 거인들의 산령에 하나, 무너지는 파름 아즈라의 둘, 재의 도읍 로데일의 셋으로 총 8종으로 엔딩을 보기 위해서 총 11종 ~ 12종의 보스를 잡아야된다. 기존 소울 시리즈나 블러드본, 세키로같은 외전작에서 필수 보스는 최소 9마리에서 최대 12마리로 약 10마리 내외에 총 보스는 약 20마리 언저리였다.[13] ER - Motion Values and Attack Data, 구글 시트[14] Elden Ring Dissected #6 - Poise Explained, 유튜브 illusory wall[15] 만약 호스트가 조롱자의 혀를 사용했을 경우 협력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암령이 나타날 수 있으며, 2번째 암령이 들어올 수도 있다. 암령이 2명일 경우 최대인원 제한 때문에 협력자는 1명으로 제한되어버린다. 즉, 1:2 or 2:2로 상황이 변한다.[16] 사실 이 문제보다 심각한건 보통 호스트는 보스방 앞에서 소환을 하지 처음 시작부터 소환을 하지 않는다. 사인을 남기는 사람들 또한 보스방 앞에서 소환사인을 긋는 편이다. 그래서 침입이 성공해도 호스트 모습을 보긴 커녕 호스트가 보스방에 들어갔단 상태창이 보이고 다시 원래 세계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소환장소를 지정해준 곳이 보통 지역 입구 주변이라 없지는 않지만 아직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잘 모르는지 활성화 된지는 미지수.[17] 침입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침입한다고 해서 무조건 트롤이나 티배깅을 하는게 아니기에 일장일단이 있다. 물론 라이트 유저와 PvE만 하고싶은 유저들에겐 더할나위 없는 요소지만 전작처럼 PvP를 원하는 사람에겐 영 좋지 않은 환경이 된 셈.[18] 동굴 던전 범용 테마[19] 갱도 던전 범용 테마[20] 시프라 강, 에인세르 강, 깊은 뿌리 밑바닥 범용 테마[21] 영원한 도읍 노크론, 영원한 도읍 녹스텔라 범용 테마[22] 몬 성, 카리아 성관, 적사자성 등 중형 던전 범용 테마[23] 지하 묘지, 영웅 묘지 던전 범용 테마[24] Volcano Manor은 타니스를 필두로 한 화산관 본관의 실내 테마, Prison Town은 화산관 바깥쪽 감옥 거리부터의 던전 테마이다.[25] 신수탑 범용 테마[26] 영웅의 가고일, 흑검의 권속 포함 일부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27] 용암토룡 마카르, 대토룡 테오드릭스 포함 일부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28] 암령 전투 테마[29] 사자 혼종, 노장 오닐, 노장 니아르 전투 테마[30] 트리 가드, 용의 트리 가드, 성수의 기사 로레타 등 기마형 보스와 도가니의 기사, 자미엘의 옛 영웅 등 일부 기사형 보스 전투 테마[31] 철가시 엘레메르, 방울 사냥꾼, 밤 기병 전투 테마[32] 봉인 감옥의 보스들과 화신의 물방울, 피아의 영웅, 온 지혜의 기드온 오프닐 경 등 NPC형 보스 전투 테마[33] 환수의 파수견, 미친 투사 등 지하 묘지 던전 보스 범용 테마[34] 티비아의 배, 죽음의 새, 죽음 의례의 새 전투 테마[35] 비룡, 용인병 전투 테마[36] 문드러진 나무령, 황금 나무의 화신 등 황금 나무 관련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37] 인면 박쥐들이 부르는 노래[38] 라단 축제 개최 시 적사자성 테마[39] 『ELDEN RING』世界累計出荷本数1,200万本、国内累計出荷本数100万本突破! 프롬 소프트웨어
ELDEN RING REACHES 12 MILLION UNITS SOLD WORLDWIDE]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https://x.com/ELDENRING/status/191685505809793856|@ELDENRING X(트위터)[40] NPD: ‘Elden Ring’ Has Now Outsold ‘Call Of Duty: Vanguard’ 포브스[41] PS4, PS5판 피지컬 판매량만 집계[42] アクションRPG『エルデンリング』のプレイヤー視点で描かれるノベライズ『仕事が終われば、あの祝福で』が3月29日に発売決定![43] Live-Action Film Adaptation of ELDEN RING Announced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44] 크레푸스 > 클렙스, 옐로 > 이엘로 등.[45] 검의 언덕, 고립 감옥의 기사, 소울 시리즈부터 개근해온 그레이트 소드, 파르네제와 비슷한 형태인 말레니아의 투구, 가츠를 수인화 시킨 듯이 빼다박은 반 늑대 블라이드 등.[46] 파워 스탠스(이도류), 쌍날검, 파로스의 돌/그리운 향나무(석검 열쇠), 물에 젖거나 비에 맞으면 화염 저항력이 상승하고 벼락 저항력이 내려가는 효과 등.[47] Two Years After Elden Ring, Miyazaki Trusts the Players to Figure It All Out, IGN[48] 블러드본에서 성직자 야수, 최초의 사냥꾼 게르만 등의 명곡을 뽑은 사이토 츠카사는 Déraciné 이후 4년 만의 컴백작이다. 다크 소울 3와 세키로의 주축이었던 키타무라 유카는 엘든 링에서도 전체 OST에서 참여 비중이 높은데 만월의 여왕 레날라, 불의 거인, 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 외에는 필드, 보스 공유 테마곡을 주로 담당했다.[49] 관련 트윗[50] 이것도 비판거리인 게 프롬소프트가 엘든 링을 홍보하면서 수 차례 보여준 빛 바랜 자는 전투광 세트나 바이크 세트였던지라 국내외 할 것 없이 팬아트들에서는 이 장비들을 기준으로 그리는 편이었다.[51] Hey /r/movies! We're Ray Mendoza and Alex Garland, co-directors of A24's upcoming WARFARE. Alex has also directed EX MACHINA, ANNIHILATION, MEN, and CIVIL WAR. WARFARE stars Joseph Quinn, Will Poulter, Charles Melton, Kit Connor, Cosmo Jarvis, Michael Gandolfini and more. Ask us anything! 레딧 r/movie, u/WarfareA24[52] 2022년 6월 쯤, 엘든 링 레딧 게시판에 OST를 녹음한 합창단의 익명 관계자가 나타나 엘든 링 OST의 가사가 라틴어가 아닌 아무런 의미없는 조어라고 밝힌 일이 있었다. 진위는 알 수 없으나 AntoniusTertius는 그 증거라며 자신의 유튜브 계정으로 내부관계자가 유출하고 있는 가사를 계속 업로드하고 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관련기사[53] 디직 픽처스 설정화 엑스퓨터
Elden Ring, 유닛 이미지[54] #[55] 더 게임 어워드의 호스트이기도 하며 캐나다의 저명한 게임 저널리스트이다.[56] From Software Working on 3 Games, One of Which Is Armored Core IGN
E3 2019: Hidetaka Miyazaki and George R. R. Martin Present: Elden Ring 엑스박스 와이어, 단락 3 및 35
Kenneth Chan 링크드인[57] Elden Ring: How FromSoft's Largest, Most Free-Form Map Works - Summer of Gaming IGN, 단락 4
How Hidetaka Miyazaki Made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His Biggest Expansion Yet 롤링 스톤, 단락 6
Elden Ring Is an Evolution of Dark Souls Says Creator – E3 2019 IGN, 'Elden Ring’s Story' 문단 단락 5
Hidetaka Miyazaki interview: FromSoftware's president explores the unknowns of Elden Ring 에지/게임즈레이더+, "What can you tell us about the creative brief you gave him before he set to work on the foundational parts of Elden Ring's backstory?" 및 "What form did his Elden Ring mythos take when it arrived with you? Short stories? Character sketches?" 문단
FromSoftware의 미야자키 히데타카와의 인터뷰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 "이전 인터뷰에서 보스를 디자인할 때 아름다움과 기괴함의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Elden Ring의 공개된 보스를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할 수 있을까요?" 문단[58] Grab For The Ring georgerrmartin.com
조지 R.R 마틴 '엘든 링'의 성과에 만족감 밝혀 디스이즈게임
An Ending georgerrmartin.com, 단락 9[59] 'It's a tier above': How a giant, cryptic RPG like Elden Ring gets translated PC게이머, 단락 13 및 18
Elden Ring Voice Actors on working with Hidetaka Miyazaki 유튜브(Dan Allen Gaming)[60] Elden Ring Is an Evolution of Dark Souls Says Creator – E3 2019) IGN, 'Towns and Villages in Elden Ring' 문단[61] Hidetaka Miyazaki Sees Death as a Feature, Not a Bug 뉴요커, 단락 22
일어나라, 빛바랜 자여. 축복의 인도를 받아 엘든 링의 힘을 휘두르고 틈새의 땅에서 엘데의 왕이 되어라.Rise, Tarnished, and be guided by grace to brandish the power of the Elden Ring and become an Elden Lord in the Lands Between.
영원의 여왕 마리카가 다스리는 틈새의 땅에서 황금 나무의 근원인 엘든 링이 파쇄되었다.In the Lands Between ruled by Queen Marika the Eternal, the Elden Ring, the source of the Erdtree, has been shattered.
마리카의 자식들, 모두가 데미갓인 그들은 거대한 룬이라 불리는, 엘든 링의 조각을 차지했으며, 그 새로운 힘에 미쳐 타락하고 파쇄전쟁을 일으킨 끝에 위대한 의지에게 버림받았다.Marika's offspring, demigods all, claimed the shards of the Elden Ring known as the Great Runes, and the mad taint of their newfound strength triggered a war: The Shattering. A war that meant abandonment by the Greater Will.
그리고 이제 황금의 축복에 의해 틈새의 땅에서 추방된 빛바랜 자들에게 축복의 인도가 전해질 것이다.And now the guidance of grace will be brought to the Tarnished who were spurned by the grace of gold and exiled from the Lands Between.
죽어있으나 살아있는 자들이여, 오래 전에 축복을 잃은 자들이여, 안개 낀 바다를 넘고 틈새의 땅으로 향하는 길을 걸어 엘든 링을 뵈어라.
Ye dead who yet live, your grace long lost, follow the path to the Lands Between beyond the foggy sea to stand before the Elden Ring.
그리고 엘데의 왕이 되어라.And become the Elden Lord.
ELDEN RING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9] 다만 레드 데드 리뎀션 2를 GTX 1060으로 플레이하면 중하옵 60fps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권장사양이라 보기 어렵다.[10] 프레임 드랍과는 다른데, 프레임 드랍은 전체적인 평균 프레임이 낮아지는 현상이고, 스터터링은 일정 수준의 프레임을 유지하면서 중간중간 끊기는 현상이다.[11] 기량 스텟에 따라 낙마 확률이 결정되며, 토렌트의 체력이 다하면 무조건 낙마한다. 낙마해서 쓰러진 모션은 그로기 판정이기 때문에 인간형 적이 달려들어서 추가타를 가할 수 있다. 반대로 플레이어도 낙마한 적에게 일격을 가할 수 있다.[12] 도읍 로데일까지 진행하기 위해 잡아야되는 파편의 군주 중 셋은 잡기전에 필수로 거쳐가야되는 중간 보스가 있기 때문에 최소 3종 ~ 최대 4종의 보스를 잡아야된다. 거인들의 산령에 하나, 무너지는 파름 아즈라의 둘, 재의 도읍 로데일의 셋으로 총 8종으로 엔딩을 보기 위해서 총 11종 ~ 12종의 보스를 잡아야된다. 기존 소울 시리즈나 블러드본, 세키로같은 외전작에서 필수 보스는 최소 9마리에서 최대 12마리로 약 10마리 내외에 총 보스는 약 20마리 언저리였다.[13] ER - Motion Values and Attack Data, 구글 시트[14] Elden Ring Dissected #6 - Poise Explained, 유튜브 illusory wall[15] 만약 호스트가 조롱자의 혀를 사용했을 경우 협력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암령이 나타날 수 있으며, 2번째 암령이 들어올 수도 있다. 암령이 2명일 경우 최대인원 제한 때문에 협력자는 1명으로 제한되어버린다. 즉, 1:2 or 2:2로 상황이 변한다.[16] 사실 이 문제보다 심각한건 보통 호스트는 보스방 앞에서 소환을 하지 처음 시작부터 소환을 하지 않는다. 사인을 남기는 사람들 또한 보스방 앞에서 소환사인을 긋는 편이다. 그래서 침입이 성공해도 호스트 모습을 보긴 커녕 호스트가 보스방에 들어갔단 상태창이 보이고 다시 원래 세계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소환장소를 지정해준 곳이 보통 지역 입구 주변이라 없지는 않지만 아직은 대부분의 사용자가 잘 모르는지 활성화 된지는 미지수.[17] 침입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침입한다고 해서 무조건 트롤이나 티배깅을 하는게 아니기에 일장일단이 있다. 물론 라이트 유저와 PvE만 하고싶은 유저들에겐 더할나위 없는 요소지만 전작처럼 PvP를 원하는 사람에겐 영 좋지 않은 환경이 된 셈.[18] 동굴 던전 범용 테마[19] 갱도 던전 범용 테마[20] 시프라 강, 에인세르 강, 깊은 뿌리 밑바닥 범용 테마[21] 영원한 도읍 노크론, 영원한 도읍 녹스텔라 범용 테마[22] 몬 성, 카리아 성관, 적사자성 등 중형 던전 범용 테마[23] 지하 묘지, 영웅 묘지 던전 범용 테마[24] Volcano Manor은 타니스를 필두로 한 화산관 본관의 실내 테마, Prison Town은 화산관 바깥쪽 감옥 거리부터의 던전 테마이다.[25] 신수탑 범용 테마[26] 영웅의 가고일, 흑검의 권속 포함 일부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27] 용암토룡 마카르, 대토룡 테오드릭스 포함 일부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28] 암령 전투 테마[29] 사자 혼종, 노장 오닐, 노장 니아르 전투 테마[30] 트리 가드, 용의 트리 가드, 성수의 기사 로레타 등 기마형 보스와 도가니의 기사, 자미엘의 옛 영웅 등 일부 기사형 보스 전투 테마[31] 철가시 엘레메르, 방울 사냥꾼, 밤 기병 전투 테마[32] 봉인 감옥의 보스들과 화신의 물방울, 피아의 영웅, 온 지혜의 기드온 오프닐 경 등 NPC형 보스 전투 테마[33] 환수의 파수견, 미친 투사 등 지하 묘지 던전 보스 범용 테마[34] 티비아의 배, 죽음의 새, 죽음 의례의 새 전투 테마[35] 비룡, 용인병 전투 테마[36] 문드러진 나무령, 황금 나무의 화신 등 황금 나무 관련 중간 보스들 전투 테마[37] 인면 박쥐들이 부르는 노래[38] 라단 축제 개최 시 적사자성 테마[39] 『ELDEN RING』世界累計出荷本数1,200万本、国内累計出荷本数100万本突破! 프롬 소프트웨어
ELDEN RING REACHES 12 MILLION UNITS SOLD WORLDWIDE]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https://x.com/ELDENRING/status/191685505809793856|@ELDENRING X(트위터)[40] NPD: ‘Elden Ring’ Has Now Outsold ‘Call Of Duty: Vanguard’ 포브스[41] PS4, PS5판 피지컬 판매량만 집계[42] アクションRPG『エルデンリング』のプレイヤー視点で描かれるノベライズ『仕事が終われば、あの祝福で』が3月29日に発売決定![43] Live-Action Film Adaptation of ELDEN RING Announced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44] 크레푸스 > 클렙스, 옐로 > 이엘로 등.[45] 검의 언덕, 고립 감옥의 기사, 소울 시리즈부터 개근해온 그레이트 소드, 파르네제와 비슷한 형태인 말레니아의 투구, 가츠를 수인화 시킨 듯이 빼다박은 반 늑대 블라이드 등.[46] 파워 스탠스(이도류), 쌍날검, 파로스의 돌/그리운 향나무(석검 열쇠), 물에 젖거나 비에 맞으면 화염 저항력이 상승하고 벼락 저항력이 내려가는 효과 등.[47] Two Years After Elden Ring, Miyazaki Trusts the Players to Figure It All Out, IGN[48] 블러드본에서 성직자 야수, 최초의 사냥꾼 게르만 등의 명곡을 뽑은 사이토 츠카사는 Déraciné 이후 4년 만의 컴백작이다. 다크 소울 3와 세키로의 주축이었던 키타무라 유카는 엘든 링에서도 전체 OST에서 참여 비중이 높은데 만월의 여왕 레날라, 불의 거인, 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 외에는 필드, 보스 공유 테마곡을 주로 담당했다.[49] 관련 트윗[50] 이것도 비판거리인 게 프롬소프트가 엘든 링을 홍보하면서 수 차례 보여준 빛 바랜 자는 전투광 세트나 바이크 세트였던지라 국내외 할 것 없이 팬아트들에서는 이 장비들을 기준으로 그리는 편이었다.[51] Hey /r/movies! We're Ray Mendoza and Alex Garland, co-directors of A24's upcoming WARFARE. Alex has also directed EX MACHINA, ANNIHILATION, MEN, and CIVIL WAR. WARFARE stars Joseph Quinn, Will Poulter, Charles Melton, Kit Connor, Cosmo Jarvis, Michael Gandolfini and more. Ask us anything! 레딧 r/movie, u/WarfareA24[52] 2022년 6월 쯤, 엘든 링 레딧 게시판에 OST를 녹음한 합창단의 익명 관계자가 나타나 엘든 링 OST의 가사가 라틴어가 아닌 아무런 의미없는 조어라고 밝힌 일이 있었다. 진위는 알 수 없으나 AntoniusTertius는 그 증거라며 자신의 유튜브 계정으로 내부관계자가 유출하고 있는 가사를 계속 업로드하고 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관련기사[53] 디직 픽처스 설정화 엑스퓨터
Elden Ring, 유닛 이미지[54] #[55] 더 게임 어워드의 호스트이기도 하며 캐나다의 저명한 게임 저널리스트이다.[56] From Software Working on 3 Games, One of Which Is Armored Core IGN
E3 2019: Hidetaka Miyazaki and George R. R. Martin Present: Elden Ring 엑스박스 와이어, 단락 3 및 35
Kenneth Chan 링크드인[57] Elden Ring: How FromSoft's Largest, Most Free-Form Map Works - Summer of Gaming IGN, 단락 4
How Hidetaka Miyazaki Made ‘Elden Ring: Shadow of the Erdtree,’ His Biggest Expansion Yet 롤링 스톤, 단락 6
Elden Ring Is an Evolution of Dark Souls Says Creator – E3 2019 IGN, 'Elden Ring’s Story' 문단 단락 5
Hidetaka Miyazaki interview: FromSoftware's president explores the unknowns of Elden Ring 에지/게임즈레이더+, "What can you tell us about the creative brief you gave him before he set to work on the foundational parts of Elden Ring's backstory?" 및 "What form did his Elden Ring mythos take when it arrived with you? Short stories? Character sketches?" 문단
FromSoftware의 미야자키 히데타카와의 인터뷰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 "이전 인터뷰에서 보스를 디자인할 때 아름다움과 기괴함의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Elden Ring의 공개된 보스를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할 수 있을까요?" 문단[58] Grab For The Ring georgerrmartin.com
조지 R.R 마틴 '엘든 링'의 성과에 만족감 밝혀 디스이즈게임
An Ending georgerrmartin.com, 단락 9[59] 'It's a tier above': How a giant, cryptic RPG like Elden Ring gets translated PC게이머, 단락 13 및 18
Elden Ring Voice Actors on working with Hidetaka Miyazaki 유튜브(Dan Allen Gaming)[60] Elden Ring Is an Evolution of Dark Souls Says Creator – E3 2019) IGN, 'Towns and Villages in Elden Ring' 문단[61] Hidetaka Miyazaki Sees Death as a Feature, Not a Bug 뉴요커, 단락 22